KR20130089711A -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711A
KR20130089711A KR1020110145984A KR20110145984A KR20130089711A KR 20130089711 A KR20130089711 A KR 20130089711A KR 1020110145984 A KR1020110145984 A KR 1020110145984A KR 20110145984 A KR20110145984 A KR 20110145984A KR 20130089711 A KR20130089711 A KR 20130089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unit
agent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철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1014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711A/ko
Publication of KR2013008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영서버의 충전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 상기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된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충전기 사용자를 인증하며, 상기 충전기의 충전 이력을 관리하고, 충전한 전력량에 따라 결제하는 충전 에이전트; 및 상기 충전 에이전트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 에이전트가 충전기능을 분산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운영서버의 로드를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CHARGE AGEN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영서버의 충전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 각국별로 환경오염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전지의 재충전을 위한 충전소 설치 등의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전기차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소 운영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100)은 단일의 운영서버(110)에 복수개의 단위 충전 구역들에 각각 구비된 충전기들(130)이 무선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된 집중구조를 갖는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충전소 운영시스템(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단위 충전 구역에 배치된 해당 충전기(a)에 사용자가 인증을 요청한다. 그러면 해당 충전기(a)는 인증요청 정보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10)로 전송하고, 운영서버(110)는 등록된 사용자에 한해 인증을 승인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충전기(a)에서 전기차를 충전한다. 이때 해당 충전기(a)는 얼마만큼 전력이 충전되었는지에 대한 충전이력을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20)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해당 충전기(a)는 충전이력에 따라 과금하고, 그 과금정보를 무선통신 기지국(140)을 통해 카드사와 같은 결제서버(150)로 제공한다.
그러나 운영서버(110)는 해당 충전기(a)와의 거리제약으로 인해 모든 충전기의 상태 및 충전이력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통신비용이 상승할 수 밖에 없고, 처리속도 또한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충전시스템(100)이나 네트워크(120)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고객의 인증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객은 전기차의 충전을 발생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든 충전기에는 충전비용의 결제를 위한 카드 결제기와 카드사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설치된 통신단말기와 같은 공통 모듈로 인해 충전기의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충전 에이전트가 충전기능을 분산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된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충전기 사용자를 인증하며, 충전기의 충전 이력을 관리하고, 충전한 전력량에 따라 결제하는 충전 에이전트, 및 충전 에이전트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충전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충전기와의 연결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를 구비한다.
충전 에이전트는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부, 충전기의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충전기의 충전이력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이력관리부, 충전기를 통해 충전한 전력량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부, 운영서버와 결제서버 및 충전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운영서버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진단부, 인증부, 이력관리부, 과금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충전 에이전트를 구비한다.
통신부는 운영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결제서버와 CDMA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충전기와 이더넷 또는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한다.
충전 에이전트는 충전기의 펌웨어(Firmware)의 버전(Version)을 점검하여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운영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충전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한다.
충전 에이전트는 신규 충전기의 설치정보 중 위성항법장치(GPS)와 충전기의 식별(ID)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환경설정(Configuration)없이 신규 충전기를 등록하는 충전기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충전 에이전트는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기록하는 충전기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가입자의 인증정보가 기록된 고객 데이터베이스, 충전기의 개별 충전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 및 기 설정된 운영정책이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에이전트가 충전기능을 분산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운영서버의 로드를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충전 에이전트는 독립적으로 운전자의 인증, 충전, 과금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서버와의 통신두절 시에도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충전기를 정상 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비용을 절감시키기 때문에 전기차를 대중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소 운영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에서 충전 에이전트를 자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부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충전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충전 에이전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가솔린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전기로만 운행되어 업스트림을 포함한 오염물질 배출이 전혀 없는 차량이라고 정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200)은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240),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되는 충전기(240)와 연결되어 충전기(240)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충전기(240) 사용자를 인증하며, 충전기(240)의 충전 이력을 관리하는 충전 에이전트(300), 충전 에이전트(300)와 네트워크(220)로 연결되어 충전 에이전트(300)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를 관리하는 운영서버(210)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위 충전 구역 #1부터 단위 충전 구역 #N은 가솔린 차의 주유소와 같은 충전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위 충전 구역에서는 하나의 충전 에이전트(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의 단위 충전 구역에는 복수 개의 충전기(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충전 에이전트(300)는 하나의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기(240)를 연결하여 관리된다.
바람직하게 충전 에이전트(300)와 충전기들(240)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과 같은 수단으로 연결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300)가 단위 충전 구역 #1에 구비된 충전기들(240)을 관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300)는 충전기들(240)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고장진단 메시지를 일정간격으로 각각의 충전기들(240)로 전송한다. 만약 어떤 충전기(b)가 정상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충전기(b)는 고장진단 메시지에 대해 일정시간 동안 응답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응답(ACK)을 전송한다. 그러면 충전 에이전트(300)는 해당 충전기(b)가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네트워크(220)로 연결된 운영서버(210)로 해당 충전기(b)의 관리번호와 고장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충전기(b)의 신속한 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충전 에이전트(300)는 운영서버(210)와 무선 네트워크(220)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충전기(b)의 고장진단을 위한 다른 예로는 충전기들(240) 각각에 구비된 자체진단 시스템에서 알람이 발생하면, 발생된 알람은 문제발생(error) 메시지를 동반하여 충전 에이전트(300)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충전 에이전트(300)는 네트워크(220)를 경유하여 해당 충전기(b)의 관리번호와 고장메시지를 운영서버(2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충전 에이전트(300)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방문한 고객을 인증한다.
예를 들면, 고객이 식별카드를 사용하여 인증을 요청하면, 충전 에이전트(300)는 내부에 구비된 회원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객의 회원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별카드는 무선통신 칩을 내장하고 있는 RF(Radio Frequency) 카드임이 바람직하다.
식별카드를 통해 회원인증이 승인되면 고객은 충전을 수행한다. 그 후 구비된 카드 결제기나 M2M(Machine to Machine)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기지국(250)을 경유하여 결제서버(260)에 접속한다. 충전 에이전트(300)는 고객이 충전한 전력량에 대해 과금하여 결제서버(260)로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받는다. 그 후, 충전 에이전트(300)는 승인결과를 충전기에 구비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영수증을 자동으로 발급한다. 결제가 종료되면 충전 에이전트(300)는 결제결과를 운영서버(210)로 무선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신규로 추가되는 고객의 정보는 운영서버(21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충전 에이전트(300)는 이 업데이트 결과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다운로드 받는다..
이와 같이, 충전 에이전트(300)는 하나의 단위 구역 내의 충전기들(240)과 이더넷 또는 전력선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통신하고, 운영서버(210)와는 무선 네트워크(220)로 연결되어 통신하며, 결제서버(260)와는 카드 결제기나 M2M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여기서, 충전 에이전트(300)는 운영서버(210)와의 정상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일전 시간간격으로 파일롯 신호(Pilot Signal)를 전송하고, 운영서버(210)는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만약 충전 에이전트(300)의 파일롯 신호에 대해 운영서버(210)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면, 충전 에이전트(300)는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충전기들(240)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운영서버(210)와의 연결이 끊어진 상황에서 고객이 충전기(b)에 인증을 요청하면, 충전 에이전트(300)는 구비된 회원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객을 인증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된 전력량에 따라 과금하여 결제서버(260)로 전송하고, 결제서버(260) 결제승인 정보를 수신받는다. 즉 결제 시 수행한 모든 절차를 로그 형태로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따라서 충전 에이전트(300)는 운영서버(210)와의 연결이 재개되는 경우에 저장된 로그를 운영서버(210)로 전송하기 때문에 충전기(b)가 수행한 이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운영서버(210)의 관리자는 그 로그를 모니터링하여 운영서버(210)와의 연결이 두절된 상태에서도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의해 정상충전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서버(210)와 연결된 각각의 충전 에이전트(300)가 충전관리를 분산처리함으로써 운영서버(210)의 로드를 줄임과 동시에 독립적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에서 충전 에이전트를 자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300)는 다수의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부(310), 충전기의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320), 충전기의 충전이력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이력관리부(330), 충전기를 통해 충전한 전력량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기 위안 과금부(340), 운영서버(210)와 결제서버(260) 및 충전기와 통신하기 통신부(350), 운영서버(210)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진단부(310), 인증부(320), 이력관리부(330), 과금부(340), 및 통신부(3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충전 에이전트(3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진단부(310)는 충전기 상태 및 충전기 내부에 설치된 장비(Meter, DIO Board, CAN Board, Card Reader 등)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진단부(310)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장비들로 진단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장비들은 각각의 진단 메시지에 대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진단 메시지가 전송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으면 진단부(310)는 해당 충전기의 해당 장비가 고장이라고 진단하고 충전기 데이터베이스(311)에 그 내역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360)로 그 내역을 전송하면, 제어부(360)는 제1 통신부(351)를 통해 그 내역을 운영서버(210)로 무선전송한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210)의 운영자는 문제가 발생한 충전기를 확인하여 수리공을 파견하는 등의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인증부(320)는 운영서버(210)로부터 등록된 회원의 정보를 전송받아 회원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등록된 회원의 정보는 운영서버(210)를 대체하여 회원 식별카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회원등급에 따라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인증부(320)는 운영서버(210)에서 신규로 가입한 회원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업데이트 정보를 제1 통신부(351)를 통해 수신받아, 회원 데이터베이스(321)를 업데이트 한다.
이력관리부(330)는 개별 충전기의 충전이력을 이력 데이터베이스(331)에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하고, 운영서버(210)가 해당 충전기의 이력을 요청하는 경우, 이력 데이터베이스(331)로부터 해당 충전기 정보를 호출하여 제어부(360)를 경유하여 제1 통신부(351)를 통해 전송한다.
과금부(340)는 충전기에 구비된 카드리더기(Card Reader)로부터 판독된 사용자 카드정보를 제2 통신부(352)를 이용하여 결제서버(260)에 전송하고, 그 결과를 충전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결제내역을 확인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충전기는 사용자가 결제내역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한다.
이 때, 과금부는 제2 통신부(352)를 통해 무선통신 기지국을 경유하여 결제서버(260)에 접속한다. 만약 무선통신 방식이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CDMA 방식)이라면, 제2 통신부(352)는 M2M 단말기와 같은 CDMA 방식의 통신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진단부(310), 인증부(320), 이력 관리부(330), 및 과금부(340)에서 수행한 내용을 이벤트 형식으로 운영서버(210)에 제1 통신부(351)를 경유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1 통신부(351)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한다. 따라서 제1 통신부(351)는 다양한 무선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각각의 무선통신 아답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외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내장된 무선통신 아답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서버(210)의 운영자는 제1 통신부(351)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여 충전기들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만약 충전기의 고장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 운영서버(210)의 운영자는 즉시 해당 충전기를 파악하여 수리조취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에이전트(300)는 충전기의 펌웨어(Firmware)의 버전(Version)을 점검하여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운영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충전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380)를 구비한다.
이 업데이트부(380)는 제1 통신부(351)를 통해 운영서버(21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받아 충전기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충전 에이전트(300)는 신규 충전기의 설치정보 중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와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D)를 이용하여, 별도의 환경설정(Configuration)없이 신규 충전기를 등록하는 충전기 등록부(370)를 구비한다.
제어부(360)는 운영서버(210)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진단부(310), 인증부(320), 이력관리부(330), 과금부(340), 및 통신부(35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운영서버(210)의 오류나 네트워크의 오류로 인하여, 충전 에이전트(300)와 운영서버(210)가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제어부(360)는 기 설정된 운영정책을 운영 데이터베이스(361)로부터 호출하여 에이전트(30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통신부(350)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에이전트(300)의 통신부(350)는 도 4와 같이 운영서버(2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351), 결제서버(260)와 CDMA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352) 및 충전기와 이더넷 또는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353)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부(350)는 양방향 유무선통신 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으므로, 전력선 통신, 광케이블 통신, 위성 통신, RF 통신 및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데이터베이스(311, 321, 331, 361)는 저장매체로 구성된다.
저장매체란 자기저장장치, 광 저장장치, 반도체 저장장치 등 자료기록이 가능한 전자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충전 에이전트(300)가 충전기능을 분산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운영서버의 로드를 현저히 줄어들고, 운영서버(210)와 무선 네트워크(220)로 연결된 충전 에이전트(210)는 독립적으로 운전자의 인증, 충전, 과금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서버(21)와의 통신두절 또는 무선 네트워크(220)와의 단절 시에도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충전기를 정상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310: 진단부 320: 인증부
330: 이력 관리부 340: 과금부
350: 통신부 360: 제어부
370: 충전기 등록부 380: 업데이트부

Claims (7)

  1.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
    상기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된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충전기 사용자를 인증하며, 상기 충전기의 충전 이력을 관리하고, 충전한 전력량에 따라 결제하는 충전 에이전트; 및
    상기 충전 에이전트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와의 연결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에이전트는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부;
    상기 충전기의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충전기의 충전이력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이력관리부;
    상기 충전기를 통해 충전한 전력량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부;
    상기 운영서버와 결제서버 및 상기 충전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운영서버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운영정책에 따라 상기 진단부, 상기 인증부, 상기 이력관리부, 상기 과금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영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결제서버와 CDMA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충전기와 이더넷 또는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에이전트는
    상기 충전기의 펌웨어(Firmware)의 버전(Version)을 점검하여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상기 운영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상기 충전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에이전트는
    신규 충전기의 설치정보 중 위성항법장치(GPS)와 충전기의 식별(ID)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환경설정(Configuration)없이 상기 신규 충전기를 등록하는 충전기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에이전트는
    상기 충전기의 고장여부를 기록하는 충전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인증정보가 기록된 고객 데이터베이스;
    상기 충전기의 개별 충전이력을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 및
    기 설정된 운영정책이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0110145984A 2011-12-29 2011-12-29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30089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84A KR20130089711A (ko) 2011-12-29 2011-12-29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84A KR20130089711A (ko) 2011-12-29 2011-12-29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11A true KR20130089711A (ko) 2013-08-13

Family

ID=4921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984A KR20130089711A (ko) 2011-12-29 2011-12-29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71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56B1 (ko) * 2015-08-21 2016-1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 차량용 소프트웨어 설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8247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공동 시설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전력 분배 시스템
KR20180029462A (ko) * 2016-09-12 2018-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12079A (ko) * 2017-07-26 2019-02-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KR101953990B1 (ko) * 2017-09-13 2019-03-04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2031116B1 (ko) * 2018-09-20 2019-10-14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6399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이에스피 피드백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소의 자가진단 방법
CN113658379A (zh) * 2021-09-17 2021-11-16 区块动力(广州)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桩的收益结算方法
US11518264B2 (en) 2019-10-23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 charging facility inform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54730B1 (ko) * 2022-10-06 2023-07-13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56B1 (ko) * 2015-08-21 2016-1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 차량용 소프트웨어 설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8247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공동 시설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전력 분배 시스템
KR20180029462A (ko) * 2016-09-12 2018-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12079A (ko) * 2017-07-26 2019-02-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KR101953990B1 (ko) * 2017-09-13 2019-03-04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WO2019054535A1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2031116B1 (ko) * 2018-09-20 2019-10-14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6399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이에스피 피드백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소의 자가진단 방법
US11518264B2 (en) 2019-10-23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 charging facility inform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658379A (zh) * 2021-09-17 2021-11-16 区块动力(广州)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桩的收益结算方法
KR102554730B1 (ko) * 2022-10-06 2023-07-13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9711A (ko)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JP6743198B2 (ja) 使用者認証コンセント、電力仲介用コネクタ及び電力需要装置
US8725596B2 (en) Mobile asset data management system
US71650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otely and distantly located assets
US8729857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to a vehicle and for charging said vehicle
CN103459188B (zh) 中央服务器、包括该中央服务器的充电设施登记系统以及充电设施登记方法
JP5426327B2 (ja) 駐車・充電管理システム
US20080015955A1 (en) Mobile asset data management system
US20060106671A1 (en) Road roll collection system
US2014015225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and methods
KR20120062089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전기차량을 충전 제어하는 차량 모바일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량 및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전기차량 충전 제어 방법
KR20210016172A (ko) 공유 배터리 시스템 및 그의 배터리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EP2852937A1 (en)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WO2013125217A1 (ja) 車載装置、充放電器、及び、充放電システム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KR20200032512A (ko) 전기차 충전 중 차량 상태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3123988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ption metering and transfer control
TWM524521U (zh) 運用雲端架構以物聯網為基礎的電池能源分配管理系統
KR20220050114A (ko) 전기 자동차의 홈 충전 요금 처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충전 데이터의 활용 방법
KR101905187B1 (ko) 건설장비와 관제서버 간의 통신 방법
KR102077465B1 (ko) 비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표준화 전기자동차 충전기로 변환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표준화모듈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40000290A (ko) 전기차 충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496633A (zh) 服务器以及系统
KR20210026919A (ko) 차량의 전원 최적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