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730B1 -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730B1
KR102554730B1 KR1020220127974A KR20220127974A KR102554730B1 KR 102554730 B1 KR102554730 B1 KR 102554730B1 KR 1020220127974 A KR1020220127974 A KR 1020220127974A KR 20220127974 A KR20220127974 A KR 20220127974A KR 102554730 B1 KR102554730 B1 KR 10255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user terminal
result information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봉
진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Priority to KR102022012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인증을 통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외부 충전 서버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충전기의 통신이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CTRIC VEHICLE USING LOCAL CERTIFICATION}
본 발명은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황에서도 이용 가능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외부 충전 서버와 충전기는 서버 통신(예: 4G 이동 통신 기술, LTE)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다만,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못한 경우, 즉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황에서는 서버와 충전기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 충전 진행 등의 과정이 끊기거나,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황에서도 사용자를 인증하고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와 충전 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부 충전 서버와 사용자 단말 앱을 통하여 충전기를 인증하는 방식은 외부 충전 서버와 사용자 단말 앱, 외부 충전 서버와 충전기 모두 통신이 연결되어 있어야 문제없이 충전할 수 있는 방식인데, 사용자 단말이나 충전기, 둘 중 하나라도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충전이 진행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충전 인증 과정에서 외부 충전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단말 앱과 충전기가 직접 통신하여 충전을 시작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외부 충전 서버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충전기의 통신이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 상기 충전기의 통신이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은, 3G 이동통신 기술, 4G 이동통신 기술(Long Term Evolution, LTE) 및 5G 이동통신 기술의 미커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기에 포함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상기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고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충전 모듈과,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 상기 충전기의 통신이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과,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클리닝(cleaning)하는 클리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클리닝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이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외부 충전 서버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충전기의 통신이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기의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상기 충전기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가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하여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의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이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가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외부 충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가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클리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 연결 없이 사용자 인증과 전기차 충전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충전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클리닝 과정을 통해 로컬 인증을 통한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전기의 메모리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를 소정 주기에 따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이나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되어 백업되는 경우에만 클리닝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에 관한 데이터 훼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기차 충전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 결과 정보를 서버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절차를 포함한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과정을 포함한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은 전기차(150)를 운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 외부 충전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는 및 외부 충전 서버(300)는 통신 기술 및/또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기술과 통신망은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기술과 통신망은 예컨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는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F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초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전기(200)는 사용자의 전기차(150)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은 BLE 통신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와 달리 외부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충전기(200)와 3G 이동통신 기술, 4G 이동통신 기술(LTE), 5G 이동통신 기술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충전기(200)가 지하주차장 등 외부 충전 서버(300)와의 통신이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해당 위치의 충전기(200)를 이용하여 전기차(150)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는 외부 충전 서버(300)와의 통신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은 이러한 서버 통신이 불안정한 상황에서의 사용자 인증 및 전기차 충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 발명인 바, 따라서 이하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는 간헐적으로 외부 충전 서버(300)와의 통신 연결이 차단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가 외부 충전 서버(300)와 원활한 통신 연결이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1 네트워크 환경, 통신 연결이 차단 또는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2 네트워크 환경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서버 통신의 간헐적 제한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 사이의 통신(예: 블루투스 통신)은 실선으로, 외부 충전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100) 사이의 서버 통신 및 외부 충전 서버(300)와 충전기(200) 사이의 서버 통신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이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전기(200)의 전기차(150) 충전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사용자가 충전 애플리케이션(100a)을 통해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서버(300)는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충전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200)는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차(150)에 전력을 제공하고, 그 결과로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200)는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전송하거나 또는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LTE 등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를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한 프록시(froxy)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충전기(200)로부터 수신한 충전 결과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 후,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전기(200)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충전기(200)가 전기차(15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기(200)에 포함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코드는 바(bar)코드,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에 포함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충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 정보는 충전기 UUID(범용 고유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의 블루투스 신호는 BLE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기(200)의 전기차(150)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충전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충전 결과 정보는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해당 전기차(150)에 충전된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충전을 수행한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를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한 프록시(froxy)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과 충전기(200)를 제공한 관리자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충전 서버(300)는 전술한 제1 네트워크 환경, 즉 서버 통신이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충전기(200)와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외부 충전 서버(300)는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을 통한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과정에서 토큰을 발행할 수 있고, 발행된 토큰은 사용자 단말(100)의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과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요청하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기입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서버(300)는 별도의 신원 인증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된 경우, 외부 충전 서버(300)는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해당 사용자에 고유한 토큰을 발행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부 충전 서버(300)는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보정 요청을 발송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외부 충전 서버(300)는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충전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서버(300)는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충전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진행 제어 신호는 충전기(200)를 언락(un-lock)하는 릴리즈(release) 신호와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량에 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몇몇 예로, 외부 충전 서버(300)는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전기(200)를 통한 전기차(150) 충전 완료 후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 및/또는 충전기(200)로부터 충전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을 프록시로 이용하여 충전기(200)로부터 충전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충전기(200)는 사용자의 전기차(150)를 충전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전기차(150)를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기, 완속 충전기, 휴대용 충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는 전력 공급이 가능한 다양한 충전 콘센트 또는 전력 공급 탭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수단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와 3G 이동 통신 기술, 4G 이동 통신 기술(LTE), 5G 이동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기(200)는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외부 충전 서버(300)와 통신함으로써 전기차(1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외부 충전 서버(300)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충전 서버(300)가 충전기(200)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충전기(200)는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차(150)를 충전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200)는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거나 LTE 등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기(200)는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함으로써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200)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2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전기차(150) 충전을 시작할 수 있도록 충전 잠금 장치를 언락(un-lock)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200)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는 이후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공유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는 클리닝될 수 있다.
충전기(200)의 동작방식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기(20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사용자 인증 모듈(220), 충전 모듈(230)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BLE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Charge Appeal Information, 이하 "CAI"라 한다)를 수신할 수 있다.
충전 요청 정보(CAI)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예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전기차(150) 충전 완료 후에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Charge Result Information, 이하 "CRI"라 한다)를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충전 결과 정보(CRI)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해당 전기차(150)에 충전된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충전을 수행한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모듈(220)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전 요청 정보(CAI)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사용자 인증 모듈(220)은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 모듈(220)은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이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예로, 사용자 인증 모듈(220)은 충전 요청 정보(CAI)에 포함된 토큰의 유효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 모듈(220)은 충전 요청 정보(CAI)에 토큰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해당 토큰의 원본성이 훼손당했거나 또는 해당 토큰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사용자 인증 모듈(22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충전 모듈(230)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Charging Progressing Signal, 이하 "CPS"라 한다)를 전송할 수 있고, 반대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충전 모듈(230)에 충전 미진행 제어 신호(No Charging Signal, 이하 "NCS"라 한다)를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 진행 제어 신호(CPS)는 충전기(200)를 언락(un-lock)하는 릴리즈(release) 신호와 충전 요청 정보(CAI)에 포함된 충전량에 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미진행 제어 신호(NCS)는 충전기(200)의 충전 잠금 장치의 락(lock)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충전 모듈(230)은 전기차(1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충전 모듈(230)은 실제 전기차(150)를 충전시키는 모듈로서, 커넥터, 전력변환 장치, 컨버터 등 전력 공급을 위한 세부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 모듈(230)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모듈(220)로부터 충전 진행 제어 신호(CPS)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차(150)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 모듈(230)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로부터 충전 진행 제어 신호(CPS)가 수신되면 전기차(150)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모듈(230)은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결과 정보(CRI)를 생성할 수 있다. 충전 결과 정보(CRI)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해당 전기차(150)에 충전된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충전을 수행한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은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저장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은 충전 결과 정보(CRI)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기차 충전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기차(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의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기(200)에 포함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함으로써(S01) 충전기 정보(CI)를 수신할 수 있다(S02). 도 3에는 디지털 코드의 몇몇 예로서 QR 코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의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에 충전 요청 정보(CAI)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요청 정보(CAI)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충전기(200)는 충전 요청 정보(CAI)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기(200)는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충전기(200)는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어서, 충전기(200)는 충전 진행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전기차(1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S04).
이어서, 충전기(200)는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05). 이때,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는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충전기(2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는 도 2의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충전기(200)는 도 2에서 전술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사용자 인증 모듈(220), 충전 모듈(230),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외에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과 클리닝 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서술한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CRI)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과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수신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공유할 수 있다.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이용하여 외부 충전 서버(300)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로부터 충전 결과 정보(CRI)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로부터 충전 진행 제어 신호(CPS)를 수신하여 충전 모듈(2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CRI)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에 전송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과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수신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전기차 충전 시스템(1)에서 충전기(200)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과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서로 다른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충전 결과 정보(CRI)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충전 결과 정보(CRI)의 전송 대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더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 결과 정보를 서버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서버 통신의 간헐적 제한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 사이의 통신(예: 블루투스 통신)은 실선으로, 외부 충전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100) 사이의 서버 통신 및 외부 충전 서버(300)와 충전기(200) 사이의 서버 통신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모듈(230)이 생성한 충전 결과 정보(CRI)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저장될 수 있고, 이어서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은 충전 결과 정보(CRI)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이 충전 결과 정보(CRI)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과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에 모두 전송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은 충전 결과 정보(CRI)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과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 중 어느 하나에만 전송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수신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블루투스 통신을 기초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은 BLE 통신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로부터 수신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전기(2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하는 프록시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외부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LTE 등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충전 결과 정보(CRI)를 전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클리닝 모듈(260)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클리닝할 수 있다.
몇몇 예로, 클리닝 모듈(260)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클리닝 신호(CS)를 전송함으로써,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클리닝할 수 있다.
이때, 클리닝 모듈(26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클리닝 신호(CS)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은 클리닝 신호(CS)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충전 결과 정보(CRI)를 삭제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더 참조하여 클리닝 신호(CS)의 생성과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제1 제어신호(RS1)를 생성할 수 있고,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제2 제어신호(RS2)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예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로부터 충전 결과 정보(CRI)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1 제어신호(RS1)를 생성하여 클리닝 모듈(2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로부터 충전 결과 정보(CRI)를 수신하여 외부 충전 서버(300)로 전송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2 제어신호(RS2)를 생성하여 클리닝 모듈(260)에 전달할 수 있다.
클리닝 모듈(26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로부터 생성되는 제1 제어신호(RS1)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로부터 생성되는 제2 제어신호(RS2)에 기초하여 클리닝 신호(CS)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클리닝 신호(CS)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예로, 클리닝 신호(CS)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충전 결과 정보(CRI)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250)을 통해 외부 충전 서버(300)로 전송된 충전 결과 정보(CRI)를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240)에서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충전기(200)는 로컬 인증을 통한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전기의 메모리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를 소정 주기에 따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이나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되어 백업되는 경우에만 클리닝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에 관한 데이터 훼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도 7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전술한 제2 네트워크 환경, 즉 사용자 단말과 충전기가 외부 충전 서버와 통신 연결이 차단 또는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이 충전기의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충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이때, 디지털 코드는 바(bar)코드,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기 정보는 충전기 UUID(범용 고유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충전기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
블루투스 신호는 예컨대 BLE 신호일 수 있다.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외부 충전 서버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기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S120).
몇몇 예로, 충전기는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는 충전 진행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가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충전 결과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해당 전기차에 충전된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충전을 수행한 충전기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는 충전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절차를 포함한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도 8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전술한 제2 네트워크 환경, 즉 사용자 단말과 충전기가 외부 충전 서버와 통신 연결이 차단 또는 단절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이 충전기의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충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이어서,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충전기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
단계(S100 및 S110)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충전기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21).
몇몇 예로, 충전기는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을 분석하거나 또는 충전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을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인증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2).
몇몇 예로, 충전기는 충전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토큰이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기는 충전 요청 정보에 토큰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해당 토큰의 원본성이 훼손당했거나 또는 해당 토큰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판단 결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전기차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S123).
예컨대, 판단 결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충전기는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충전 불가를 의미하는 그래픽 객체를 팝업할 수 있다(S124). 이때, 충전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충전 불가를 의미하는 그래픽 객체를 팝업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을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가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단계(S130)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전술한 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과정을 포함한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이 충전기의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충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이어서,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충전기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 이어서, 충전기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S120). 이어서, 충전기가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단계(S100 내지 S130)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충전기가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40).
몇몇 예로, 충전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는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는 도 2 및 도 4의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가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외부에 공유할 수 있다(S150).
몇몇 예로, 충전기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충전 결과 정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기의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은 충전 결과 정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충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가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를 클리닝할 수 있다(S160).
몇몇 예로, 충전기는 충전 결과 정보가 사용자 단말 및/또는 외부 충전 서버로 전송되는 것에 대응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충전 결과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외부 충전 서버 및 충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와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원활한 제1 네트워크 환경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의 통신 연결 및 상기 충전기와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모두 차단된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으로 복구된 경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과,
    상기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성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클리닝 하는 클리닝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은, 상기 충전기와 상기 외부 충전 서버가 3G 이동통신 기술, 4G 이동통신 기술(Long Term Evolution, LTE) 및 5G 이동통신 기술을 기초로 통신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기에 포함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상기 충전 진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키고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충전 모듈과,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데이터 백업을 위해,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제2 데이터 백업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모듈은,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클리닝(cleaning)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클리닝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이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것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상기 외부 충전 서버 통신 모듈은,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환경 및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전송할 객체가 서로 상이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9.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외부 충전 서버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와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원활한 제1 네트워크 환경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의 통신 연결 및 상기 충전기와 상기 외부 충전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모두 차단된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전기차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기의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충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상기 충전기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가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전기차에 전력을 제공하여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으로 복구된 경우,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성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백업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성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클리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데이터 백업을 위해, 상기 충전기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데이터 백업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외부 충전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2 데이터 백업을 위해 상기 충전기에 저장된 상기 충전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환경 및 상기 생성된 충전 결과 정보를 전송할 객체가 서로 상이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1020220127974A 2022-10-06 2022-10-06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55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974A KR102554730B1 (ko) 2022-10-06 2022-10-06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974A KR102554730B1 (ko) 2022-10-06 2022-10-06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730B1 true KR102554730B1 (ko) 2023-07-13

Family

ID=8716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974A KR102554730B1 (ko) 2022-10-06 2022-10-06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7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893A (ko) * 2011-11-14 2013-05-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711A (ko) * 2011-12-29 2013-08-13 주식회사 효성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40123622A (ko) * 2013-04-11 2014-10-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이동 수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방법
KR101953990B1 (ko) * 2017-09-13 2019-03-04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893A (ko) * 2011-11-14 2013-05-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711A (ko) * 2011-12-29 2013-08-13 주식회사 효성 충전 에이전트 기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40123622A (ko) * 2013-04-11 2014-10-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이동 수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이동 수단 충전방법
KR101953990B1 (ko) * 2017-09-13 2019-03-04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6574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US8151319B2 (en) Authentication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JP6662965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CN106134143B (zh) 用于动态网络接入管理的方法、设备和系统
CN100542344C (zh) 融合wlan-wwan交互网络中的用户证书创始、分发和供应系统和方法
CN109874125A (zh) 蓝牙钥匙的车主授权方法及系统、存储介质及车辆云服务器
KR102232966B1 (ko) 비대면 디지털 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28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yment relate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3132133C (en) Technologies for associating an offline wi-fi system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US89838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end terminal that us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293059A (zh) 移动电源租赁方法及服务器
CN107945408A (zh) 一种使用共享单车的方法、系统、服务器及移动终端
KR102554730B1 (ko)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4640112A (zh) 一种身份鉴权方法、装置及系统
WO2002071786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et dispositif constitutif
CN113556340A (zh) 一种便携式vpn终端、数据处理方法及存储介质
US11228453B2 (en) Secure provisioning of electronic lock controllers
CN116889001A (zh) 数字钥匙认证方法及移动终端、计算机存储介质
CN105015484A (zh) 机动车远程启动控制方法及智能控制单元
KR20240048324A (ko) 블루투스 통신과 로컬 인증을 통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5142098A (zh) 一种数据共享方法及装置
US2019027353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supply devices
CN103813310B (zh) 锁小区装置和方法以及控制装置和方法
KR101283491B1 (ko) 과금 시스템, 과금 방법, 서비스 서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저장 매체
EP353366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suppl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