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947B1 -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947B1
KR101773947B1 KR1020160037562A KR20160037562A KR101773947B1 KR 101773947 B1 KR101773947 B1 KR 101773947B1 KR 1020160037562 A KR1020160037562 A KR 1020160037562A KR 20160037562 A KR20160037562 A KR 20160037562A KR 101773947 B1 KR101773947 B1 KR 10177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module
checking
electric vehic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호
강지웅
Original Assignee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filed Critical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Priority to KR102016003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품질 및 충전기 접지상태 등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 관련 전반 사항을 측정,점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운영서버를 통해 검사 대상이 되는 각각의 충전기에 대한 개별적인 데이터 관리/제어가 가능케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An inspection equipment only for EV charge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품질 및 충전기 접지상태 등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 관련 전반 사항을 측정,점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운영서버를 통해 검사 대상이 되는 각각의 충전기에 대한 개별적인 데이터 관리/제어가 가능케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 전기자동차에 대한 민간 인식의 변화도 바뀌고 있다. 제주도는 탄소 없는 섬 조성을 위한 전기자동차 분야 계획을 수립하여 2013년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 운행 차량을 2030년까지 100% 전기자동차로 전환키 위한 프로젝트에 따라 전기자동차 선도도시 중 한 곳인 제주도에서는 민간 전기자동차 보급의 경쟁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충전기를 통한 충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충전기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도 1 참조). 그러나, 충전기 설치 후 정상 작동검사를 위해서는 전기차를 이용하여 직접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밖에 없어서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충전기 사용 시 전기자동차 충전이 안 될시 차량이 고장인지 충전기가 고장인지 쉽게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충전기 제조사와 전기자동차 제조사 양쪽에 문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타 제조사 제품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된 상황에서 소통지연에 따른 조치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장비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충전기 전용검사 장비의 경우, 현장에서 간편하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이동형 충전기 전용검사 장비가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 문헌) 등록특허 제10-1189852호 "원격검침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관리시스템 및 방법"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된 선행특허 역시 단순히 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불과할 뿐,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검사를 시행할 수 있게 하는 전용 검사장비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품질 및 충전기 접지상태 등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 관련 전반 사항을 측정,점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운영서버를 통해 검사 대상이 되는 각각의 충전기에 대한 개별적인 데이터 관리/제어가 가능케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 대상 충전기들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제어는 물론 그 이전시에도 용이하게 이력정보를 이양,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기와 전기자동차 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태 체크를 통해 충전기 또는 전기자동차의 이상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 전기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 및 상기 점검부를 통해 측정된 충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하는 전류측정모듈과,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점검하는 전압측정모듈과, 충전기의 제품 출하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파일럿신호측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접지저항측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계통의 품질을 점검하는 전력품질점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력품질점검모듈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고조파를 측정하는 고조파측정모듈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검사 관련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별도의 운영서버; 및 검사장비 내 상기 운영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특정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하고 이에 대한 저장,관리,제어를 수행하는 분별제어모듈과, 상기 분별제어모듈에 의해 분별되는 각각의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저장하는 분별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특정 충전기에 대한 제조사코드, 제조사의 제품고유번호, 등록자번호 및 등록일자를 조합한 특정 KEY값을 산출,부여하는 KEY값산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분별제어모듈은 상기 KEY값을 토대로 특정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특정 충전기가 이전 설치되거나 또는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해당 충전기에 대한 KEY값을 이전 등록하는 것으로 해당 충전기에 대한 이력정보를 간편하게 이양,관리하는 이전관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는, 충전기와 전기자동차 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통신모듈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상태를 체크하여 충전기 또는 전기자동차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는 충전상태점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품질 및 충전기 접지상태 등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 관련 전반 사항을 측정,점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별도의 운영서버를 통해 검사 대상이 되는 각각의 충전기에 대한 개별적인 데이터 관리/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 충전기들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제어는 물론 그 이전시에도 용이하게 이력정보를 이양,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충전기와 전기자동차 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태 체크를 통해 충전기 또는 전기자동차의 이상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기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비를 이용한 충전기 검사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5)는, 전기자동차 충전기(3)가 설치된 현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51); 전기자동차 충전기(3)와 연결되어 충전기(3)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52); 상기 점검부(52)를 통해 측정된 충전기(3)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3); 검사장비 내에서의 하기 운영서버(55)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54); 및 다수의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대한 검사 관련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별도의 운영서버(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1)는 전기자동차 충전기(3)가 설치된 현장으로 검사장비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충전기가 출고되는 공장이 아닌 충전기가 실제 설치된 현장에서의 실시간 검사를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이동부(51)를 통해 현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51)는 바퀴 등 다양한 이동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3)는 후술할 점검부(52)를 통해 측정 및 진단되는 측정대상 충전기(3)의 상태를 사용자(점검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측정대상 항목 및 그 결과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54)는 후술할 운영서버(55)와 검사장비() 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구성으로, 후술할 점검부(52)를 통해 측정되는 특정 충전기(3)에 대한 정보를 운영서버(55)에 전송하고, 필요시 운영서버(55)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4)로는 이동통신모듈(LTE 등)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 다양한 통신모듈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점검부(52)는 전기자동차 충전기(3)와 연결되어 충전기(3)의 상태를 점검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3)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하는 전류측정모듈(521)과, 전기자동차 충전기(3)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점검하는 전압측정모듈(522)과, 충전기(3)의 제품 출하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파일럿신호측정모듈(523)과, 전기자동차 충전기(3)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접지저항측정모듈(524)과,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공급되는 전력계통의 품질을 점검하는 전력품질점검모듈(5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측정모듈(521)은 전기자동차 충전기(3)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하는 구성으로, 충전기(3)로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기의 출력 전류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측정,점검하게 된다. 상기 전류측정모듈(521)은 충전기(3)의 측정 단자 등에 연결되어 충전기(3)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전압측정모듈(522)은 전기자동차 충전기(3)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점검하는 구성으로, 충전기(3)로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기의 출력 전압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측정,점검하게 된다. 상기 전압측정모듈(522)은 충전기(3)의 측정 단자 등에 연결되어 충전기(3)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신호측정모듈(523)은 충전기(3)의 제품 출하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충전기(3)가 현장에 설치되기 전 또는 바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초기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여 초기 충전기(3)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일럿신호측정모듈(523) 역시 충전기(3)의 측정 단자 등에 연결되어 초기 충전기(3)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접지저항측정모듈(524)은 전기자동차 충전기(3)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충전기(3)의 기본적인 출력전압, 출력전류 등의 상태뿐만 아니라 충전기(3)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의 안정성까지 한번에 원스톱(ONE-STOP)으로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후술할 전력품질점검모듈(525) 외에 추가로 상기 접지저항측정모듈(524)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3)의 접지상태까지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력품질점검모듈(525)은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공급되는 전력계통의 품질을 점검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는 충전기(3)의 기본적인 출력전압, 출력전류 등의 상태뿐만 아니라 한전 선로로부터 충전기에 인입되는 전력의 품질까지 한번에 원스톱(ONE-STOP)으로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를 위해 상기 전력품질점검모듈(525)은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고조파를 측정하는 고조파측정모듈(5251)과,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모듈(5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조파측정모듈(5251)은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고조파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충전기(3)에 인입되는 전력의 고조파 측정을 통해 인입 전력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충전기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이즈측정모듈(5252)은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충전기(3)에 인입되는 전력의 노이즈 측정을 통해 인입 전력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충전기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영서버(55)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충전기(3)에 대한 검사 관련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기 위해 검사장비와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영서버(55)는, 특정 충전기(3)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하고 이에 대한 저장,관리,제어를 수행하는 분별제어모듈(551)과, 상기 분별제어모듈(551)에 의해 분별되는 각각의 충전기(3)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저장하는 분별저장모듈(5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별제어모듈(551)은 특정 충전기(3)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하고 이에 대한 저장,관리,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기 운영서버(55)가 각각의 전기자동차 충전기(3)별로 분별하여 검사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분별제어모듈(551)을 통해 특정 충전기(3)별로 데이터를 분별하고 이에 대한 저장,관리,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점검부(52)는, 특정 충전기에 대한 제조사코드, 제조사의 제품고유번호, 등록자번호 및 등록일자 등을 토대로 이를 조합하여 특정 KEY값을 산출,부여하는 KEY값산정모듈(52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별제어모듈(551)은 상기 KEY값을 토대로 특정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할 수 있다. 즉, 상기 KEY값산정모듈(526)은 제품고유번호, 등록자번호 및 등록일자 등의 제품별 특정 값 등을 토대로 이를 조합(일 예로, '제품고유번호+등록일자"로 구성된 KEY값 등)하여, 특정 충전기에 대한 고유의 번호인 KEY값을 산출,부여할 수 있는데, 이러한 KEY값이 부여되는 경우에 별도로 특정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상기 분별제어모듈(551)은 상기 특정 KEY값만을 활용하여 특정 충전기를 분별할 수 있게 되므로, 충전기별 데이터베이스화 내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KEY값을 전혀 생소한 넘버링(numbering)이 아닌 기존 특정 충전기와 관련된 상기 정보 등을 활용하여 생성함으로써, KEY값의 관리 측면에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별저장모듈(552)은 상기 분별제어모듈(551)에 의해 분별되는 각각의 충전기(3)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분별저장모듈(552)에 의해 체계적으로 분별되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는 향후 수많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3)들에 대한 유지,관리에 효용성 있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점검부(52)는, 특정 충전기(3)가 이전 설치되거나 또는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해당 충전기(3)에 대한 KEY값을 이전 등록하는 것으로 해당 충전기(3)에 대한 이력정보를 간편하게 이양,관리하는 이전관리모듈(52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던 전기자동차 충전기(3)가 위치를 옮겨 다른 장소에 설치되거나 또는 충전기(3)에 대한 소유권이 양도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충전기(3)를 관리하는 서버 등에 일일이 이전된 또는 양도된 충전기(3)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관리되는 충전기(3)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상태에서는 이러한 방식은 관리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향후 이러한 충전기(3)의 이전 또는 양도시에도 간편하게 해당 충전기(3)의 이력을 간편하게 이양,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상기 이전관리모듈(527)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즉, 상기 이전관리모듈(527)은 앞서 상기 KEY값산정모듈(526)을 통해 충전기(3)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KEY값을 토대로 특정 충전기(3)가 이전 설치되거나 또는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해당 충전기(3)에 대한 KEY값을 이전 등록하는 것으로 해당 충전기(3)에 대한 이력정보를 간편하게 이양,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전/양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54)는, 충전기(3)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기자동차(1)의 제어부(11)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통신모듈(541)을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52)는, 충전기(3)와 전기자동차(1) 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통신모듈(541)을 통해 전기자동차(1)의 충전상태를 체크하여 충전기(3) 또는 전기자동차(1)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는 충전상태점검모듈(52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충전기(3) 자체에 고장 등의 문제로 인해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전기자동차(1) 자체(충전되는 부위)에 문제가 있어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충전기(3)만에 대한 상태 점검 만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를 통해서도 상기 차량통신모듈(541) 및 충전상태점검모듈(528)을 통해 충전기(3)와 전기자동차(1) 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자동차(1)의 충전상태를 체크하여 혹시 있을 전기자동차(1)의 충전 부위에서의 이상 여부까지도 점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기자동차 11: 제어부
3: 충전기 5: 검사장비
51: 이동부 52: 점검부
521: 전류측정모듈 522: 전압측정모듈
523: 파일럿신호측정모듈 524: 접지저항측정모듈
525: 전력품질점검모듈 5251: 고조파측정모듈
5252: 노이즈측정모듈 526: KEY값산정모듈
527: 이전관리모듈 528: 충전상태점검모듈
53: 표시부
54: 통신부 541: 차량통신모듈
55: 운영서버 551: 분별제어모듈
552: 분별저장모듈

Claims (10)

  1.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된 현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
    전기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
    상기 점검부를 통해 측정된 충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다수의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검사 관련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별도의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특정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하고 이에 대한 저장,관리,제어를 수행하는 분별제어모듈과, 상기 분별제어모듈에 의해 분별되는 각각의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저장하는 분별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는, 특정 충전기에 대한 제조사코드, 제조사의 제품고유번호, 등록자번호 및 등록일자를 조합한 특정 KEY값을 산출,부여하는 KEY값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별제어모듈은 상기 KEY값을 토대로 특정 충전기에 대한 데이터를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점검하는 전류측정모듈과, 전기자동차 충전기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점검하는 전압측정모듈과, 충전기의 제품 출하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파일럿신호측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접지저항측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계통의 품질을 점검하는 전력품질점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품질점검모듈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고조파를 측정하는 고조파측정모듈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공급되는 전력에서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특정 충전기가 이전 설치되거나 또는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해당 충전기에 대한 KEY값을 이전 등록하는 것으로 해당 충전기에 대한 이력정보를 간편하게 이양,관리하는 이전관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검부는, 충전기와 전기자동차 간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통신모듈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상태를 체크하여 충전기 또는 전기자동차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는 충전상태점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KR1020160037562A 2016-03-29 2016-03-29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KR10177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62A KR101773947B1 (ko) 2016-03-29 2016-03-29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62A KR101773947B1 (ko) 2016-03-29 2016-03-29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947B1 true KR101773947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562A KR101773947B1 (ko) 2016-03-29 2016-03-29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94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01B1 (ko) * 2017-11-22 2018-05-09 주식회사 피에스엔 전기 자동차 충전기 자가 진단 시스템
DE102018102208A1 (de) * 2018-02-01 2019-08-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bile Ladestation für Elektrofahrzeuge und Verfahren zum Erden einer mobilen Ladestation
KR102012005B1 (ko) * 2018-03-07 2019-08-1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DE102018123714B3 (de) 2018-09-26 2019-12-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Netzunabhängige mobile Ladestation
KR20210048823A (ko) * 2019-10-24 2021-05-04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검사장치
KR20210051347A (ko) * 2019-10-30 2021-05-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8164A (ko) * 2019-11-29 2021-06-09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6389A (ko) 2019-12-16 2021-06-24 김형태 중고 전기 차량의 성능 평가 시스템
KR102295910B1 (ko) * 2021-04-15 2021-08-31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313121B1 (ko) * 2020-12-30 2021-10-18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전기차 충전기 계량오차 점검 시스템
US11498442B2 (en) * 2019-09-17 2022-11-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ystems and methods for noise cancellation in protective earth resistance check of vehicle onboard battery char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0775A (ja) * 2011-11-17 2013-06-06 Takaoka Electric Mfg Co Ltd 充電器検定装置および移動体模擬装置
JP5744311B2 (ja) * 2012-03-01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器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0775A (ja) * 2011-11-17 2013-06-06 Takaoka Electric Mfg Co Ltd 充電器検定装置および移動体模擬装置
JP5744311B2 (ja) * 2012-03-01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器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01B1 (ko) * 2017-11-22 2018-05-09 주식회사 피에스엔 전기 자동차 충전기 자가 진단 시스템
DE102018102208A1 (de) * 2018-02-01 2019-08-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bile Ladestation für Elektrofahrzeuge und Verfahren zum Erden einer mobilen Ladestation
KR102012005B1 (ko) * 2018-03-07 2019-08-1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DE102018123714B3 (de) 2018-09-26 2019-12-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Netzunabhängige mobile Ladestation
US11498442B2 (en) * 2019-09-17 2022-11-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ystems and methods for noise cancellation in protective earth resistance check of vehicle onboard battery charger
KR102271474B1 (ko) * 2019-10-24 2021-07-01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검사장치
KR20210048823A (ko) * 2019-10-24 2021-05-04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검사장치
KR102264549B1 (ko) 2019-10-30 2021-06-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1347A (ko) * 2019-10-30 2021-05-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8164A (ko) * 2019-11-29 2021-06-09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061B1 (ko) 2019-11-29 2021-10-12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6389A (ko) 2019-12-16 2021-06-24 김형태 중고 전기 차량의 성능 평가 시스템
KR102313121B1 (ko) * 2020-12-30 2021-10-18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전기차 충전기 계량오차 점검 시스템
KR102295910B1 (ko) * 2021-04-15 2021-08-31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947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KR10227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검사장치
JP3157712U (ja) 電池健康状態監視構造
KR102031116B1 (ko)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WO2019230069A1 (ja) 電池管理装置、電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電池情報処理方法
KR101647423B1 (ko) 전력설비 자동 진단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468314B1 (ko)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의 기능검사시스템
CN105358363A (zh) 具备按需诊断激活功能的电池监控系统
CN105340290A (zh) 电池监控网络
CN202393840U (zh) 一种电力设备状态检测移动实验室
CN205003544U (zh) 汽车生产线下线检测系统
CN203396898U (zh) 绝缘子放电检测装置
CN105759147A (zh) 一种电动汽车电池管理系统的一体化测试装置
KR102310061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6553A (ko) 전기차 충전기 자가진단 시스템, 서버 및 자가진단 방법
KR20210012200A (ko) 환경시험 장비의 성능이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356441A (zh) 机车信号车载设备在车检测作业的系统、方法及装置
US202200430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n energy supply network
CN106603338A (zh) 智能终端响应时间测试方法、装置和系统
CN111210101A (zh) 车辆管理装置、排气分析系统、存储介质和车辆管理方法
CN108089086B (zh) 一种配电网电缆接头故障诊断设备和诊断方法
KR101559343B1 (ko)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CN116843314A (zh) 监控终端运维管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4991222B (zh) 计量自动化终端质量评价系统
CN112782236B (zh) 变流器柜体的材料状态监测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