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49B1 -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549B1
KR102264549B1 KR1020190136501A KR20190136501A KR102264549B1 KR 102264549 B1 KR102264549 B1 KR 102264549B1 KR 1020190136501 A KR1020190136501 A KR 1020190136501A KR 20190136501 A KR20190136501 A KR 20190136501A KR 102264549 B1 KR102264549 B1 KR 10226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nspector
charger
serv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347A (ko
Inventor
서민호
김병철
정혜윤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은 (a)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 중,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고장 신고에 따라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접수한 고장신고를 점검자에게 메시지로 전송하여 현장출동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점검자 소지의 점검자 단말기가 점검자가 숙지한 조치 방법만으로 고장 조치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점검자 단말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점검자에 의해 고장 조치가 불가능한 경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을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점검자 단말기의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 요청에 따라 리포트를 가지고 해당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 경우 매뉴얼을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점검자가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고장 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충전기 고장에 대한 학습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고장에 신속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짐에 따라 충전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ALING WITH A FAILURE IN ELECTRIC VEHICLE CHARGER}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충전기 점검시스템의 점검결과 리포트를 AI를 통해 학습하여 현장에서 리포트 결과를 분석한 후 조치 방법을 알려줘서 현장출동자가 현장에서 고장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주행을 위한 연료로 전기를 사용하므로 전기를 지속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충전기와 충전인프라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며 전기차 보급속도에 맞춰 충전기도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나 충전기 고장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전기차 사용자의 불편이 늘어나고 있다.
전기차 보급속도에 맞춰서 충전기 및 충전인프라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으나 충전기의 고장 발생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여 오히려 전기차 사용자들의 불편과 충전기 유지보수 비용이 더욱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충전기 고장을 진단하고 조치하는 방법이 전혀 없고, 고장을 인식해도 충전기 개발자 및 전문가의 도움 없이는 대응이 어려움에 따라 충전기 고장을 조치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충전기 고장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 충전기 현장점검자 증가와 충전기 교체 등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현장 출동자를 충전기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오랜 경험과 시간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5906호(2019.06.12)
상술한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식 충전기 점검시스템의 점검결과 리포트를 AI를 통해 학습하여 현장에서 리포트 결과를 분석한 후 조치 방법을 알려줘서 현장 출동자가 현장에서 고장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은 (a)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 중,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고장 신고에 따라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접수한 고장신고를 점검자에게 메시지로 전송하여 현장출동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점검자 소지의 점검자 단말기가 점검자가 숙지한 조치 방법만으로 고장 조치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점검자 단말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점검자에 의해 고장 조치가 불가능한 경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을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점검자 단말기의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 요청에 따라 리포트를 가지고 해당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 경우 매뉴얼을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점검자가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고장 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은 (f`)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리포트의 고장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 패턴의 학습된 조치 매뉴얼이 없는 경우, 전문가 고장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의 (f`)단계는 (f`-1)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전문가 단말기에 고장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 (f`-2) 충전기 전문가의 고장 조치 수행 후, 상기 전문가 단말기가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작성하는 단계; (f`-3)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서 작성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4)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는 수신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가지고 고장패턴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식 충전기 점검시스템의 점검결과 리포트를 AI를 통해 학습하여 현장에서 리포트 결과를 분석한 후 조치 방법을 알려줘서 현장 출동자가 충전기 관련 전문가가 아니여도 현장에서 고장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충전기 고장에 대한 현장 출동자의 즉각적 대응이 가능하여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충전기 고장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충전기 고장에 대한 학습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고장에 신속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짐에 따라 충전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의 검검자 출동 요청 단계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의 매뉴얼 생성 단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의 전문가 고장 조치 요청 단계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기(100), 충전인프라 서버(200), 점검자 단말기(300),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는 전기차를 운행중인 운전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인 공공기관, 고속도로 휴게소, 지정된 주유소 등에 설치된다.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고장데이터를 수집하거나, 1시간 이상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은 충전기를 고장으로 판단한다.
참고로,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는 5~10분마다 주기적으로 충전기 상태를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데이터가 한두 번 오지 않았다고 고장이라 판단할 수 없으나 1시간 동안 어떠한 데이터도 수집되지 않으면 충전기, 충전제어기의 고장이나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통신연결을 모니터링하는 방법도 있으나 충전기마다 통신방식이 달라서 계속 통신연결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는 충전기도 있어서 통신연결 모니터링으로 충전기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는 현장으로 출동한 현장 점검자가 소지하는 단말기 즉, 고장으로 판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의 점검 및 조치를 위하여 현장 출동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는 장비로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에 포함된 충전제어부와 통신을 통해 충전기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 점검 리포트(보고서)를 생성한다.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상기 현장 점검자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고장으로 판단된 충전기의 보고서를 수집하여 학습을 통해 데이터의 통계에 따른 충전기 고장부위 및 조치 매뉴얼을 생성하여, 연결된 상기 현장 점검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상기 현장 점검자는 소지한 상기 현장 점검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충전기 고장부위 및 조치 매뉴얼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의 고장을 점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에 의한 고장 대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의 사용 중, 해당 전기차 충전기(10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현장 사용자의 고장 신고에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전기차 충전기(100)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는 고장일 때 상태 값이 바뀌는데, 해당 상태 값에 따라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고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값은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의 입력부 고장, 출력부 고장, 변환부 고장, 통신모듈부 고장, 주제어부 고장, 차량부 고장, 및 기타 고장이 해당된다.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상기 상태 값 외에도 1시간 이상 데이터 수집이 없어도 고장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접수한 고장신고 메시지를 점검자에게 전송하여 현장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2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어플을 설치한 점검자들의 점검자 단말기(300)로 고장신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0).
이때,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200)는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된 위치 또는 설치위치, 제조사, 제조년도, 과거 고장기록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고유번호를 상기 고장신고 메시지와 함께 푸시알림 형태로 전송한다.
상기 고장신고 메시지를 수신한 복수의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들 중, 고장이 발생한 전기차 충전기(100)와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점검자 단말기(300)를 소지한 점검자가 현장으로 출동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20).
이때, 상기 점검자는 자신이 소지한 점검자 단말기(300)로 고장신고 메시지 수신을 알리고, 현장으로 출동하는 경우 출동메시지를 어플에 입력하여 다른 점검자와의 중복 출동을 방지한다.
또한, 고장난 전기차 충전기(100)와 가장 근거리에 있더라도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 어플을 통해 다른 점검자 출동요청 또는 출동 불가능 메시지 입력을 통해 차순위 점검자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220)단계 이후, 점검자는 자신이 타고 출동한 전기차에 충전을 시도하여 고장을 보다 면밀하게 확인하여 고장 접수된 전기차 충전기(100)를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30).
한편,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S230)단계에서 점검자에 의한 전기차 충전기(100)의 점검 결과 데이터, 외관 및 접속 부분 사진 데이터로 외관을 점검하여 점검자가 숙지한 조치방법으로 바로 고장 조치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상기 (S300)에서 점검자 고장 조치 가능한 경우 점검자에 의해 고장 조치가 이루질 수 있도록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에 점검을 지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참고로,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는 점검가능 여부에 따른 물음에 대한 점검자의 답변 입력을 통해 점검 지시를 표시부에 주는 방식으로 점검 지시를 준다.
한편,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점검자에 의해 현장에서 고장 조치가 불가능한 경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을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에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이때,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는 전기차 충전기(100)의 고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리포트 생성 후,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로 전송하여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장 데이터는 고장발생시간, 고장유형, 고장 코드, 고장내용 등이 해당한다.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의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리포트를 가지고 해당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00).
상기 (S600)단계에서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상기 리포트의 고장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 패턴의 학습된 조치 매뉴얼이 있는지 여부로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600)단계에서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 경우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매뉴얼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0).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700)에서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수신한 리포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패턴 확인 후 기존 학습된 고장 데이터와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10).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기존 패턴 데이터와 고장상태가 유사한 경우 현장에 출동한 점검자에게 고장 조치 매뉴얼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20).
상기 점검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고장 조치 매뉴얼을 점검자가 수신하여 해당 고장 조치 매뉴얼대로 전기차 충전기(100)를 고장 조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0).
한편, 상기 (S600)단계에서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상기 리포트의 고장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 패턴의 학습된 조치 매뉴얼이 없는 경우, 전문가 고장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00).
상기 전문가 고장 조치 요청 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전문가 단말기(500)에 고장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10).
상기 고장 조치 요청에 따라 충전기 전문가는 현장으로 출동하여 수집 데이터 동작을 확인하고 고장상태를 확인하여 고장 조치를 수행한 후, 상기 전문가 단말기(500)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20).
상기 전문가 단말기(500)에서 작성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30).
이후,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수신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가지고 고장패턴을 학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40).
상기 S940 단계를 통해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400)는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정식 고장 조치 매뉴얼로 데이터 베이스화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전기차 충전기
200 : 충전인프라 서버
300 : 점검자 단말기
400 :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
500 : 전문가 단말기
600 : 전기차

Claims (6)

  1. (a)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 중,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고장 신고에 따라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접수한 고장신고를 점검자에게 메시지로 전송하여 현장출동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점검자 소지의 점검자 단말기가 점검자가 숙지한 조치 방법만으로 고장 조치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점검자 단말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점검자에 의해 고장 조치가 불가능한 경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을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점검자 단말기의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 요청에 따라 리포트를 가지고 해당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 생성이 가능한 경우 매뉴얼을 생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고장 조치 매뉴얼에 따른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상기 점검자의 고장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어플을 설치한 점검자들의 점검자 단말기로 고장신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상기 고장신고 메시지를 수신한 복수의 상기 점검자 단말기들 중, 고장이 발생한 전기차 충전기와 근거리에 위치한 점검자가 소지한 점검자 단말기로부터 현장 출동 가능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상기 (b-2)단계에서 현장 출동이 가능하여 출동한 점검자의 직접적인 전기차에 충전 시도에 따라 고장 접수된 전기차 충전기의 점검결과를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부터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충전 인프라 서버가 근거리에 위치한 점검자 단말기로부터 현장 출동 불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차순위의 근거리 점검자 단말기로 출동을 요청하되,
    상기 (c)단계 이후에
    (d`)상기 점검자 단말기가 점검자가 숙지한 조치 방범만으로 고장 조치가 가능한 경우 점검자에 의해 고장 조치가 이루질 수 있도록 점검자에서 점검을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e)단계에서
    (f`)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상기 리포트의 고장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 패턴의 학습된 조치 매뉴얼이 없는 경우, 전문가 고장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f-1)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수신한 리포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패턴 확인 후 기존 학습된 고장 데이터와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f-2)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기존 패턴 데이터와 고장상태가 유사한 경우 현장에 출동한 점검자에게 고장 조치 매뉴얼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f`-1)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가 전문가 단말기에 고장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
    (f`-2) 충전기 전문가의 고장 조치 수행 후, 상기 전문가 단말기가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작성하는 단계;
    (f`-3)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서 작성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4) 상기 충전기 고장대응 AI 서버는 수신한 고장 조치 매뉴얼 초안 리포트를 가지고 고장패턴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방법.
KR1020190136501A 2019-10-30 2019-10-30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01A KR102264549B1 (ko) 2019-10-30 2019-10-30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01A KR102264549B1 (ko) 2019-10-30 2019-10-30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47A KR20210051347A (ko) 2021-05-10
KR102264549B1 true KR102264549B1 (ko) 2021-06-11

Family

ID=7591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01A KR102264549B1 (ko) 2019-10-30 2019-10-30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333B1 (ko) * 2021-07-12 2022-02-08 씨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 유지보수 관리 장치
KR102484633B1 (ko) * 2022-10-24 2023-01-04 주식회사 서경산업 전기차충전기 고장판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47B1 (ko) 2016-03-29 2017-09-07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JP2019129671A (ja) 2018-01-26 2019-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充電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システム、ならびに、充電器の異常診断方法
KR102012005B1 (ko) * 2018-03-07 2019-08-1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KR102031116B1 (ko) * 2018-09-20 2019-10-14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553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 자가진단 시스템, 서버 및 자가진단 방법
KR102043050B1 (ko) 2017-12-04 2019-11-11 중앙제어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고장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47B1 (ko) 2016-03-29 2017-09-07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용 검사장비
JP2019129671A (ja) 2018-01-26 2019-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充電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システム、ならびに、充電器の異常診断方法
KR102012005B1 (ko) * 2018-03-07 2019-08-1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동식 점검 시스템
KR102031116B1 (ko) * 2018-09-20 2019-10-14 주식회사 이에스피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47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3614B (zh) 一种车地一体综合分析平台
CN1991652B (zh) 可编程逻辑控制器和中央单元之间通信的通信方法及自动远程监控和诊断系统
KR102264549B1 (ko) 전기차 충전기 고장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25768B (zh) 一种基于云分析的远程电视异常处理方法及系统
US20030061857A1 (en) Method for providing diagnostic messages
JP6812312B2 (ja) プラント支援評価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支援評価方法
CN101609407A (zh) 基于发布者/订阅者模式的全站模型文件匹配的检测方法
KR102580834B1 (ko) 철도시설 회생전력을 활용한 수소 설비 사고 시나리오 도출 및 위험성 평가 플랫폼
TW202208201A (zh) 電池服務管理方法、電池服務管理平臺以及電子設備
CN114742529B (zh) 一种实验室设备维修管理系统
CN10960072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景区设施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110598872A (zh) 交通系统的维护方法、装置和设备
CN111612337A (zh) 热网调度自动发令方法及自动发令系统
CN112949798B (zh) 基于rfid技术的实验室设备管理方法及其系统
JP5487588B2 (ja) 遠隔の機械を保守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N112140936A (zh) 充电监控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2529518A (zh) 基于日常活动水平检测和管理系统的企业数据管理方法
CN116485376A (zh) 一种设备维修外包服务流程的数据闭环方法
CN113629878B (zh) 一种配电网三遥开关遥控控制校验方法及系统
CN109981359A (zh) 一种智能变电站遥控异常分析诊断方法和装置
CN113438116B (zh) 一种电力通讯数据管理系统及方法
CN115334560A (zh) 基站异常的监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202218909A (zh) 充電設備之故障診斷與排除系統及其自動故障診斷及排除的方法及電腦程式產品
CN115903720A (zh) 用于轨道交通的故障诊断系统及方法和存储介质
KR20210083893A (ko) 수소 충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