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133B1 -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133B1
KR102474133B1 KR1020210005146A KR20210005146A KR102474133B1 KR 102474133 B1 KR102474133 B1 KR 102474133B1 KR 1020210005146 A KR1020210005146 A KR 1020210005146A KR 20210005146 A KR20210005146 A KR 20210005146A KR 102474133 B1 KR102474133 B1 KR 102474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ystem
business
work
charge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795A (ko
Inventor
주제호
오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앤지
Priority to KR102021000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 도시 관리 시스템, 도로 관리 시스템, 상수 관리 시스템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시스템 생성부,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제공부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 의해 노후화된 지자체 공간 정보 시스템을 최신 엔진 및 기술 기반으로 고도화할 수 있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sharing of spatial data busines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 도시 관리 시스템, 도로 관리 시스템, 상수 관리 시스템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기반 시설물, 도시 계획, 환경과 교통등 각종 도시 관련 자료들을 전산 정보화 시키는 일체의 시스템을 지자체 공간 정보 시스템이라 한다. 이는 1995년 대구 지하철 공사중 가스관 폭발 사고를 계기로 도로, 상수, 하수, 지하 시설물과 같은 도시 기반 시설물을 공간 정보 기반으로 관리하고자 각 시도와 시군구에서 구축하기 시작한 시스템으로 초기에는 도시 정보 시스템(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사업과 시스템 구축 사업을 포함한다. DB 구축 사업은 도로, 상수, 하수, 지하시설물과 같은 도시 기반 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하여 구조화된 전산 파일(SHAPE, CAD)을 생성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시스템 구축 사업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으로 확보한 성과물을 조회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초기 시도에 구축된 도시 정보 시스템은 대부분 15년 이상 노후화된 시스템이다. GIS기술과 IT 기술 발전에 따라 시스템 고도화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10-1619395 B1 KR 10-0384992 B1 KR 10-0446195 B1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노후화된 지자체 공간 정보 시스템을 최신 엔진 및 기술 기반으로 고도화할 수 있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업무, 메뉴, 도구, 지도의 선택 조합으로 업무 시스템을 생성하여 개인 스타일에 맞춰 업무 시스템을 생성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주민행정, 세정행정, 부동산 행정, 복지 행정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는,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시스템 생성부,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은, 시스템 생성부가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 및 시스템 제공부가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후화된 지자체 공간 정보 시스템을 최신 엔진 및 기술 기반으로 고도화할 수 있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업무, 메뉴, 도구, 지도의 선택 조합으로 업무 시스템을 생성하여 개인 스타일에 맞춰 업무 시스템을 생성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뿐만 아니라 텍스트 기반의 행정 데이터를 공간 정보 플랫폼 체계로 편입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주민행정, 세정행정, 부동산 행정, 복지행정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서 제공되는 공유,협업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서 수행되는 구축 및 공유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도,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별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도 기능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서 제공되는 공유,협업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10)는 A 사용자와 B 사용자가 자신만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유, 협업 플랫폼 상에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인 C 사용자와 D 사용자가 공유된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타인에 의해 공유된 컨텐츠를 수정하여 재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공유 컨텐츠는 개인이 보유한 주소 기반 행정(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인 업무 지도를 포함한다. 타 부서에서 구축해놓은 주소 기반의 행정 데이터를 조회 가능케 하여 부서간 개인간에 업무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공유 컨텐츠는 시설물의 위상 관계(위치)와 속성 정보를 조합한 분석결과인 공간 분석 정보를 포함하여 특정 시설물의 입지 선정을 위한 공간 분석을 진행하고 분석 결과를 다른 작업자와 업무 공유 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컨텐츠는 레이어 설정, 초기 지도 위치, 그래픽등 각종 설정값을 세팅해놓은 사용자 설정된 업무 환경을 포함하여 사용자 업무 환경을 공유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업무의 인수 인계가 가능하다.
또한 공유 컨텐츠는 지도상에 위치 기반으로 등록해놓은 사진과 메모를 포함하여 메모 등록후 공유함으로써 업무 협업이나 설명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정 업무에 맞게 메뉴와 기능을 조합하여 만든 사용자 설정 정보를 공유하여 특정 부서에 맞는 시스템을 만들어 공유함으로써 인사이동에 따른 업무 공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빈번히 검색하는 위치정보를 즐겨찾기로 저장하여 공유함으로써 등록해놓은 위치를 시스템 접속시 재사용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가 제공하는 공유 및 협업 체계를 활용하여 부서간 업무 협업에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지적 변동 사항에 대한 부서간 업무 협업 과정을 살펴보면, 지적과에서 변동사항 업무 지도를 생성하여, 세정과에 업무지도를 공유하고, 세정과에 공유 알림을 전송한다. 그러면 세정과에서 공유 알림을 수신한 후에 공유 업무 지도를 지적 변동 사항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수시로 변경되는 지적 변동 사항을 기존에는 지적 부서에서 타부서로 종이문서나 메일 형태로 전송해야했다.
따라서 변동사항을 신속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는 세정과에서는 업무가 적체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적 변동사항을 업무 지도로 만들어 지적과에서 세정과로 공유함으로써 세정과에서는 신속하게 공유받은 지도를 가져오기 하여 공간 정보와 속성 정보를 동시에 조회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가 제공하는 공유 및 협업 체계를 활용하여 업무 출장후 현장 조사 내용을 공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수 담당자가 출장 내용을 메모하여 공유하면, 하수 담당자가 상수 담당자가 공유한 메모 내용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적과에서 출장 내용 사진을 공유하면 세정과에서 해당 사진을 참조하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10)가 제공하는 공유 및 협업 체계를 활용하여 작업 환경 공유를 통한 업무 인수 인계 과정을 살펴보면, 인계자가 환경 저장 목록, 개인 업무 내역, 공간 분석 및 즐겨찾기, 사진 및 메모 정보를 공유하여 인계하면 인수자가 즉각적으로 공유된 정보들을 인수받을 수 있다.
업무 순환에 따른 자리 이동이 빈번한 지자체 공무원의 경우 기존 담당자 업무의 인수인계 절차를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편리하게 업무 이관이 가능하고, 공간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업무 인수 인계가 진행되기 때문에 시스템 교육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서 수행되는 구축 및 공유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제 1 업무 담당자(A 사용자)는 업무, 메뉴, 도구, 지도와 같은 항목들을 선택하여 자신의 업무 스타일에 맞게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은 포털 페이지에 바로가기로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한 시스템을 다른 제 2 업무 담당자(C사용자), 제 3 업무 담당자(D사용자)...에게 공유한다. 이때 제 1 업무 담당자가 공유 대상을 사용자로 지정하거나 부서를 선택하여 공유하면, 공유 받도록 허용된 제2 업무 담당자, 제 3 업무 담당자는 제 1 업무 담당자에 의해 생성된 시스템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10)는 최신 엔진 및 기술 기반으로 고도화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업무 작업자가 직접 개인 취향에 맞게 구축하고, 이를 다른 업무 작업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10)는 업무 작업자 개인에게 맞춤형 시스템, 업무 환경, 업무 지도, 공간 분석 결과, 사진이나 메모의 공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직접 편의에 맞게 세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업무 작업자들과 자신이 직접 세팅한 업무 관리 시스템이나 컨텐츠의 공유를 통해 업무 효율의 극대화 및 빅데이터 기반 데이터를 마련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업무 시스템 이외에 업무 작업자가 필요 데이터와 기능을 조합하여 시스템을 직접 변형하여 생성하고,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성한 시스템을 다른 업무 작업자에게 공유하여 전반적인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인이 보유한 업무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다른 업무 작업자들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권한이 부여된 업무나 메뉴를 조합하여 개인 성향을 반영한 자신만의 시스템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10)는 다양한 직군 및 분야에서 근무하는 업무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축 정보를 입력받고, 업무 작업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구축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다른 작업자들에게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20)은 다양한 직군 및 분야에서 근무하는 업무 작업자들이 업무를 위해 활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기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10)는 통신부(110), 시스템 생성부(120), 시스템 제공부(130), 업무 지도 기능부(135), 컨텐츠 생성부(140), 컨텐츠 제공부(150), 컨텐츠 수정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 (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스템 생성부(120)는 업무 담당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한다. 이때 시스템 생성부(120)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초기 업무 관리 시스템외에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와 기능을 조합하여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나만의 시스템 및 관리자가 생성한 시스템에 동적으로 변경 내용을 추가반영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시스템 생성부(120)는 기본 도시 관리 시스템, 도로 관리 시스템, 상수 관리 시스템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되,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을 조합하여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생성부(120)는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들 중 사용자에게 권한이 부여된 선택 옵션만 노출시켜, 제한된 권한 내의 옵션사항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시스템 생성부(120)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함으로써 개인이 보유한 업무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다른 작업자들과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한다. 또한 권한이 부여된 권한 내 업무, 기능, 도구를 활용하고 메뉴를 조합하여 자신만의 개별적인 시스템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시스템 생성부(120)는 만들기, 공유, 바로가기 등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목록 조회 같은 기능을 통한 효율적인 업무 지원이 가능하다.
업무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공유하여 부서간 효율적인 협업 체계를 마련하고, 공간 정보의 공유와 협업을 통한 부서간 의사 소통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행정 정보를 공간 정보와 융,복합함으로써 행정 업무에 필요한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 생성부(120)는 생성된 시스템에 대해 권한별, 부서별 공유 대상을 분석하고, 포털 화면에 나만의 시스템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업무 작업자의 나만의 시스템 생성은 권한 기반으로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유된 업무 시스템을 가져오기할 때에도 접근 권한을 직접 설정하여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업무 시스템 생성시 간결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업무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리 체계를 수립하며 효율적인 정보 공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시스템 제공부(130)는 시스템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컨텐츠 생성부(140)는 업무 환경, 업무 지도, 행정 데이터, 공간 분석 결과 및 사진, 메모를 포함하는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업무 관리 컨텐츠는 시스템 제공부(130)에서 공유, 제공받은 업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부(150)는 컨텐츠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컨텐츠 수정부(160)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한 업무 관리 컨텐츠에 대해 다른 업무 담당자의 수정 내용을 포함하는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공부(150)는 컨텐츠 수정부(160)로 수신된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담당자들에게 공유한다.
그리고 공유된 업무 관리 시스템의 활용 이후에 해당 업무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 적절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한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70)는 시스템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이 구동되는 데 필요한 기반 정보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컨텐츠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업무 컨텐츠 및 컨텐츠 수정부(160)에서 갱신된 업무 컨텐츠를 저장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생성부에서의 업무 관리 시스템 생성 화면의 예시도이다.
시스템 생성부(120)는 도 4a와 같이 업무, 메뉴, 도구, 배경 지도를 선택받기위한 선택 목록을 제공하고, 선택받은 항목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신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한다.
또한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 목록을 표시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10)는 시스템 생성부(120)에서 업무 작업자에 의해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 목록을 제공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10)는 시스템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 각각에 대해 공유 대상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업무 관리 시스템마다 공유 대상을 사용자를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특정 부서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업무 관리 시스템마다 공유 범위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공부(130)가 시스템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다른 업무 담당자는 공유 받은 시스템들 중 선택적으로 가져오기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별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와같이 현재 위치, 배경 지도, 레이어 정보, 레이어 심볼 세팅, 그리고 정보등 현재 환경을 목록으로 저장하여 필요할때 불러와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환경 정보를 시스템 기본환경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계정으로 시스템 접속시에 설정된 환경으로 화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환경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기본 환경 이에외도 각환경을 선택하여 화면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등록된 환경을 현재 환경으로 갱신하고, 모든 환경 저장 항목도 갱신 가능하다. 환경 명칭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고 저장된 환경 정보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과 같이 지도 화면에서 마우스 클릭을 통해 메모를 입력하고, 입력한 메모를 관리하며, 사진을 등록하고 등록된 사진을 관리하며 사진 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10)는 업무 지도 기능부(135)가 업무 담당자가 보유한 텍스트 기반의 행정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업무 지도 구축 기능을 한다.
즉,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주소 정제 기술,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 공간 데이터 표출, 지형 처리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행정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한다.
이는 텍스트 주소 정보의 자동 매핑을 통해 다양한 업무에서 공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그리고 주제도 변환 기능의 추가 제공으로 공간정보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공유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무 지도 기능부(135)의 업무 지도 구축 기능은 개인이나 부서가 보유한 행정 정보의 공간정보화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와 관련된 가치있는 행정 정보 발굴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행정정보의 종류에 따른 효과적인 주제도 표출방식 적용 방안을 마련하고 다양한 행정 정보 매쉬업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업로드등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행정정보 업로드시 적절한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검색, 조회, 삭제, 주제도 등록 기능을 통한 효율적인 업무 지원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가치있는 행정정보를 개인간, 부서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협업체계를 마련할 수 있고, 공간 정보의 공유와 협업을 통한 부서간 의사소통을 강화시켜 행정정보를 공간 정보와 융.복합하여 행정업무에 필요한 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업무 지도 기능부(135)의 업무 지도 구축 기능은 개인 또는 부서가 보유하고 있는 텍스트 기반의 행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다양한 예외 사항을 분석하여 업무 지도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간결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예외 사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정형 주소 정보에 대한 정제 방안을 수립하고 공간 정보화를 위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무지도의 주제도 전환 절차를 구축하고 효율적인 정보 공유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부여받은 권한에 따라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업무지도 기능을 구현하고, 업무지도는 신청 및 승인을 통해 주제도로 전환가능하며 생성된 주제도는 공간 정보 플랫폼 내에 있는 다른 주제도와 동일한 규칙으로 관리될 수 있다.
업무 지도 기능은 기본 기능으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활용도 높은 업무지도를 주제도로 변환하여 시스템 사용자들이 공통으로 업무에 활용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신규 발행된 주제도는 기존 주제도와 동일하게 그룹으로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관점에서의 업무 흐름을 살펴보면, 크게 행정 정보를 수집하고, 업로드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활용 및 유지 관리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정 정보 수집 단계에서 개인 및 부서가 보유한 행정 정보 중 공간 정보화 했을 경우에 정보 가치가 있는 행정 정보를 수집하고 시스템 업로드를 위한 기본적인 정제작업을 수행한다. 수집 단계에서 활용 용도를 파악하여 공개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행정 정보 업로드 단계에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을 통해 행정 정보 데이터를 업로드한다.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거쳐 수집된 행정 정보를 시스템 기능을 통해 업로드하고, 시스템과의 피드백을 통한 2차 데이터 정제 과정을 수행하며 업로드 완료후에는 공간정보 플랫폼 상에서 표출되는 형식을 보고 최종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적용 단계에서 업로드된 정보 즉 컨텐츠의 공개 여부를 판단하고 시설물 관리 체계로의 편입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등록, 승인 요청을 한다. 관리자 승인 후 기존 시설물과 동일한 시스템 체계에서 관리한다.
활용 및 유지 관리 단계에서는 업무지도 주제도 전환 요청에 따라 관리자 시스템에서 주제도 전환을 관리하고, 타 사용자 및 부서와의 업무협업 및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승인 및 권한 부여 후에 다른 시설물과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관점에서의 업무 흐름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 즉 작업자로부터 파일 업로드 및 주소 구분을 선택받고, 주소 범위를 지정받으면 주소 정제를 통해 좌표를 추출하고 지도를 표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지도를 업무 관리 시스템으로 업로드하여 등록하고 환경 정보를 저장해둔다.
관리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업로드되는 시스템 파일을 업로드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승인이 된 후에는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고 서비스 발행을 통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무 지도 구축 기능은 주소 정제 기술, 좌표 변환 및 추출 기술, 공간 데이터 표출 기술, 지형 처리(Geoprocessing) 서비스 기술을 수행하며, 사전에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시에 반영한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도 기능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도 기능부의 주소 정제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와 같이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다양하고 불규칙하게 비정형화된 주소 데이터를 최대한 유연하게 위치 정보로 정제하는 기술로 엑셀 자료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에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하는 주소정보를 효율적으로 정형화된 주소 정보로 정제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된다. 유효하지 않은 주소값들의 표시나 누락 판단, 사용자 피드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은 정제된 주소를 기반으로 지적 고유 번호(PNU)를 추출하고 정제된 주소를 기반으로 경위도좌표, TM좌표 등 다양한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업로드한 행정정보와 연속 지적도 데이터를 공간조인(Spatial Join)하여 포인트나 Polygon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고, 도로명 주소는 종속 건물이 아닌 주건물의 중심점 기준으로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주소 정제 절차에 있어서, 엑셀 파일의 각 컬럼을 읽어 사용자에게 주소와 라벨 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업로드 양식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고, 업로드 한 파일의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여 엑셀 파일을 업로드 받는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주소 컬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 이때 주소는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셀에 대해 주소 정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주소를 정제할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 타입 주소가 아닌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주소를 정제함이 바람직하다.
주소 정제후 완료된 건과 오류가 난 건에 대해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업로드 과정중 사용자 피드백을 받기 위한 절차상 웹페이지들을 제공한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지도 기능부의 공간 데이터 표출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공간 데이터 표출 기술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행정정보에 기반하여 주소 정제후 추출한 공간 정보를 실시간 지도상에 표출하되, 공간 데이터에 대한 표출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점형 또는 면형으로 표출할 수 있다. 업로드된 업무지도는 심볼 설정과 라벨 설정하여 표출할 수 있다.
즉, 텍스트 파일 내 주소 정보를 정제하고 연속지적도의 PNU코드와 조인하여, 좌표 추출 후 공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있다. 텍스트 기반의 주소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해 좌표 형태의 데이터(경위도 좌표, TM좌표 포함)나 Shape형태의 공간 데이터가 필요하다. 즉, 시설물 관리체계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Shape형태의 공간 데이터 추출이 필요하다.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도 7b와 같이 주소정제된 행정 정보 데이터에 기반하여 PNU코드를 추출하고, Polygon To Point함수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추출하고, 좌표 또는 Shape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지형처리(Geoprocessing) 기술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공간 기반 작업 처리를 수행하고 폴리곤을 포인트로 변환하여 Shape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된 Shape 파일의 Import등 핵심 기술은 Geoprocessing Service 형태로 발행하여 클라이언트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개발 가능하고 SDO_Geometry 데이터 타입을 핸들링하는 다양한 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업무지도의 주제도 전환 기능을 제공한다.
작업자가 개인적으로 사용중인 업무지도를 등록하고, 다른 사용자 또는 타 부서와 공유 및 협업을 요청하는 주제도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그러면 업무 관리자는 등록된 업무 지도의 관리를 수행할 수있다. 등록 요청 건에 대해 업무 관리자는 데이터 검토 후 최종 승인을 하고, 등록 거절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거절 사유를 통지함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로부터 파일 형태로 업로드된 업무지도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등록된 공간 데이터의 각종 마스터 정보를 추가로 등록한다. 마스터정보는 업무 관리자가 등록 가능하고, 등록이후에 변경 가능하다. 또한, 엑셀 파일로 관리되던 업무지도를 포인트 또는 폴리곤 형태의 공간 데이터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그리고 해당 업무지도를 등록 요청한 사용자에게 기본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등록된 시설물에 대해 심볼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발행하여, 업무 관리자가 등록된 레이어에 대한 권한 체계를 구성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제도 변환 신청 완료에 대한 공지를 한다.
이때 등록된 데이터가 기본 정보로 설정되고, Cartography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업무 관리자는 수동으로 심볼 및 라벨을 설정, 변경할 수 있으며 시스템 운행중에도 레이어에 대한 개별 서비스 발행이 가능하다.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생성된 업무 지도를 다른 업무 작업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때 다른 업무 작업자 및 부서를 선택하여 공유 대상을 설정받을 수 있다.
또한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복수의 업무지도들에 대해 목록 조회 및 속성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검색 결과 목록에서 위치 이동 및 추가 정보 조회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업무 지도 기능부(135)는 등록된 업무 지도에 대한 유용한 옵션들을 컨텍스트 메뉴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정보보기, 목록보기, 등록신청, 심볼설정, 라벨설정, Shape 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업무지도의 심볼 변경 기능을 제공하고, 지도상에 표출할 라벨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업무지도를 공간 정보 플랫폼의 주제도로 등록 신청하는 기능 및 관리자 승인 후 다른 공간 정보와 동일한 규칙으로 관리되도록 설정하는 기능, 선택된 업무지도의 상세 속성 정보를 테이블로 조회하거나 선택된 항목의 대장 조회 및 위치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10)는 텍스트 기반의 행정 데이터를 공간 정보 플랫폼 체계로 편입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주민행정, 세정행정, 부동산 행정, 복지행정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주소가 포함된 행정정보를 지도에서 신속하게 조회함으로써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고, 행정정보와 공간정보의 융복합을 통해 복잡한 의사 결정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즉, 시설물 기반의 공간 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10)는 GeoServer기반의 공간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시설물 기반의 공간 분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책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즉, GeoServer에서 지원하는 공간 분석 기능을 적용하여 기본 시스템을 구축하고 추가기능을 첨가하여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시스템 생성부(120)는 GeoServer기반의 공간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시설물 기반의 공간 분석 시스템에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시켜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기능 및 절차를 단순화하여 사용자에게 공간분석결과를 정확하게 피드백하고, 확장이 용이한 인터페이스로 설계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웹서비스 형태로 개발 가능하여 확장이 용이하다.
일예로 도로 상하수, 도시계획, 인허가 업무등 공간 분석 기능이 사용되는 업무를 기반 기능으로 구성하고, 입력값 및 분석 결과값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으로 정확한 분석 자료를 도출할 수 있다.
공간을 레이어로 구분하여, 다수의 레이어를 대상으로 공간 분석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2개 이상의 레이어를 대상으로 공간 분석 할 수 있다. 이때 공간 분석 결과는 목록으로 관리되고, 추가, 삭제,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공간 분석 결과를 지도상에 표출하고, 분석 결과를 저장하고 목록으로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공간 분석은 워크플로우 형식의 분석 모델링 툴에 의한 모델링 기술,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가능하고, QGIS에서 사용하는 공식 스크립트 언어로 구현 가능한 스크립트 기술,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으로 동작 가능한 공간 SQL분석,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구성 가능하고 OpenLayer와 호환 가능한 서비스 발행 기술에 의해 수행된다.
시설물 기반의 공간 분석 시스템은 공간 분석 조건 및 결과 시설물을 추가하거나, 시설물 조건별 필터링, 버퍼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공간 분석 결과를 표출하고, 저장하고, 공간 분석 결과의 통계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경이 200mm이하인 상수관로 반경 100미터 이내에 상수맨홀을 추출하거나, 천연가스 배관 길이의 합을 행정읍면동 별로 지도상에 표시하고 통계차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분석결과를 지도 표출과 함께 일반적인 시설물 검색창과 동일한 패턴으로 사용자에게 익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목록 형태로 표출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과 같이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은, 먼저 시스템 생성부가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한다(S800).
일 양상에 있어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본 도시 관리 시스템, 도로 관리 시스템, 상수 관리 시스템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되,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을 조합하여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들 중 사용자에게 권한이 부여된 선택 옵션만 노출시킨다.
그리고 시스템 제공부가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S810).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컨텐츠 생성부가 업무 환경, 업무 지도, 행정 데이터, 공간 분석 결과 및 사진, 메모를 포함하는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생성한다(S820).
그리고 컨텐츠 제공부가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S830).
이후에, 컨텐츠 수정부가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한 업무 관리 컨텐츠에 대해 다른 업무 담당자의 수정 내용을 포함하는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수신하면(S840), 업무 관리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담당자들에게 공유한다(S85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업무 지도 기능부가 주소 정제 기술,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 공간 데이터 표출, 지형 처리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행정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 장치
20 : 사용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시스템 생성부 130 : 시스템 제공부
135 : 업무 지도 기능부 140 : 컨텐츠 생성부
150 : 컨텐츠 제공부 160 : 컨텐츠 수정부
170 : 저장부

Claims (12)

  1.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시스템 생성부;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제공부;
    주소 정제 기술,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 공간 데이터 표출, 지형 처리 기술, 주제도 전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행정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업무 지도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지도 기능부는,
    엑셀 파일의 각 컬럼을 읽어 업무 담당자에게 주소와 라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업무 담당자로부터 선택받은 셀에 대해 주소 정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주소를 정제하는 주소 정제 기술을 수행하고,
    정제된 주소를 기반으로 지적 고유 번호(PNU), 경위도좌표, TM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 업무 담당자가 업로드한 행정정보와 연속 지적도 데이터를 공간조인(Spatial Join)하여 포인트 또는 Polygon 데이터를 추출하고, 도로명 주소에 대해 종속 건물이 아닌 주건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을 수행하고,
    상기 행정정보에 기반하여 주소 정제 후 추출한 공간 정보를 실시간 지도상에 표출하되, 공간 데이터에 대한 표출 방식을 업무 담당자의 선택에 따라 점형 또는 면형으로 표출하고, 업로드된 업무지도에 대해 심볼과 라벨을 설정하여 표출하는 공간 데이터 표출 기술을 수행하고,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공간 기반 작업 처리를 수행하고 폴리곤을 포인트로 변환하여 Shape 파일을 생성하는 지형 처리 기술을 수행하며,
    업무 담당자가 사용중인 업무지도를 등록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 또는 타부서와 공유 및 협업을 요청하면, 주제도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업무 관리자의 검토에 따라 최종 승인 또는 등록 거절을 업무 담당자에게 통지하되, 최종 승인인 경우, 해당 업무지도를 등록 요청한 업무 담당자에게 기본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등록된 시설물에 대해 심볼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발행하여, 업무 관리자가 등록된 레이어에 대한 권한 체계를 구성토록 하고, 주제도 변환 신청 완료에 대한 공지를 수행하는 주제도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생성부는,
    기본 도시 관리 시스템, 도로 관리 시스템, 상수 관리 시스템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되,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을 조합하여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생성부는,
    상기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들 중 업무 담당자에게 권한이 부여된 선택 옵션만 노출시키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업무 환경, 업무 지도, 행정 데이터, 공간 분석 결과 및 사진, 메모를 포함하는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한 업무 관리 컨텐츠에 대해 다른 업무 담당자의 수정 내용을 포함하는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수정부로 수신된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담당자들에게 공유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생성부가 업무 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를 위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
    시스템 제공부가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스템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시스템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및
    업무 지도 기능부가 주소 정제 기술,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 공간 데이터 표출, 지형 처리 기술, 주제도 전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행정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업무 지도 기능부가 주소 정제 기술,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 공간 데이터 표출, 지형 처리 기술, 주제도 전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행정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는,
    엑셀 파일의 각 컬럼을 읽어 업무 담당자에게 주소와 라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업무 담당자로부터 선택받은 셀에 대해 주소 정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주소를 정제하는 주소 정제 기술을 수행하는 단계;
    정제된 주소를 기반으로 지적 고유 번호(PNU), 경위도좌표, TM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 업무 담당자가 업로드한 행정정보와 연속 지적도 데이터를 공간조인(Spatial Join)하여 포인트 또는 Polygon 데이터를 추출하고, 도로명 주소에 대해 종속 건물이 아닌 주건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좌표 전환 및 추출 기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행정정보에 기반하여 주소 정제 후 추출한 공간 정보를 실시간 지도상에 표출하되, 공간 데이터에 대한 표출 방식을 업무 담당자의 선택에 따라 점형 또는 면형으로 표출하고, 업로드된 업무지도에 대해 심볼과 라벨을 설정하여 표출하는 공간 데이터 표출 기술을 수행하는 단계;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공간 기반 작업 처리를 수행하고 폴리곤을 포인트로 변환하여 Shape 파일을 생성하는 지형 처리 기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업무 담당자가 사용중인 업무지도를 등록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 또는 타부서와 공유 및 협업을 요청하면, 주제도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업무 관리자의 검토에 따라 최종 승인 또는 등록 거절을 업무 담당자에게 통지하되, 최종 승인인 경우, 해당 업무지도를 등록 요청한 업무 담당자에게 기본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등록된 시설물에 대해 심볼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발행하여, 업무 관리자가 등록된 레이어에 대한 권한 체계를 구성토록 하고, 주제도 변환 신청 완료에 대한 공지를 수행하는 주제도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본 도시 관리 시스템, 도로 관리 시스템, 상수 관리 시스템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되,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을 조합하여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관리 시스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무, 메뉴, 도구, 배경지도 항목들 중 선택 옵션들 중 업무 담당자에게 권한이 부여된 선택 옵션만 노출시키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컨텐츠 생성부가 업무 담당자로부터 업무 환경, 업무 지도, 행정 데이터, 공간 분석 결과 및 사진, 메모를 포함하는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나만의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업무 담당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업무 담당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컨텐츠 수정부가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한 업무 관리 컨텐츠에 대해 다른 업무 담당자의 수정 내용을 포함하는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무 관리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수정된 업무 관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무 담당자들에게 공유하는,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방법.
  12. 삭제
KR1020210005146A 2021-01-14 2021-01-14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KR10247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146A KR102474133B1 (ko) 2021-01-14 2021-01-14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146A KR102474133B1 (ko) 2021-01-14 2021-01-14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95A KR20220102795A (ko) 2022-07-21
KR102474133B1 true KR102474133B1 (ko) 2022-12-06

Family

ID=8261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146A KR102474133B1 (ko) 2021-01-14 2021-01-14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354B1 (ko) * 2023-07-07 2024-03-18 김상대 토지실거래가 추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56B1 (ko) * 2017-12-06 2018-12-12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92B1 (ko) 2001-05-22 2003-05-23 삼아항업(주) 자동 지도 제작 방법
KR100446195B1 (ko) 2001-07-10 2004-08-30 (주)한양 3차원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3469B1 (ko) * 2008-09-26 2010-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19395B1 (ko) 2015-11-19 2016-05-10 중앙항업(주) 도로와 상수도와 하수도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
KR102224046B1 (ko) * 2019-05-28 2021-03-09 (주)휴메인시스템 점용정보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56B1 (ko) * 2017-12-06 2018-12-12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95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o et al. “Mapping” smart cities
CN101166327B (zh) 用于动态标记可视显示地图中的地图对象的方法和装置
CN104484462A (zh) 一种企业信息获取方法及系统
JP2012527008A (ja) 位置基盤データ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US20120259669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interactive digital mapping integration of travel plans
CN101916270A (zh) 旅游导航与救援系统服务器端的设计与实现
JP2006024168A (ja) サーバシステム,ユーザ端末並びに同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同ユーザ端末を用いたサービス提供方法
KR102474133B1 (ko)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CN112287048A (zh) 一种地图服务处理方法和装置
Klopp et al. Informal 2.0: Seeing and improving urban informal practices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the digital matatus case in nairobi
Yilmaz et al. Real time vector database updating system: a case study for Turkish topographic vector database (Topovt)
de Farias et al. Urbis: A touristic virtual guide
WeiWei et al. GIS: advancement on spat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government
Masron et al. conceptualise tourism support system through web-based GIS for collaborative tourism planning
Wahid et al. Integrated Infrastructure Management Using Web-GIS Application: Integrated Infrastructure Management Using Web-GIS Application
Barborič et al. ISTER: Connecting Historical Danube Regions Roman Routes with a GIS-based Territorial Atlas and an Online Interactive Tool
Jannack et al. Urban Platform Dresden—New Solutions for Collaboration, Knowledge Sharing, and Urban Value Creation
Adawiyah et al. Development of Tourism Objects and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MSM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 Tanggetada District
Valachamy et al. A review of MyGDI: the catalyst of the evolu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 Malaysian public sector
JHMSS et al. Real-Time Land Use and Land Information System in Homagama Divisional Secretariat Division
Kokalj et al. Crossing Borders: A Multi-Layer GIS Mapping Framework for the Cultural Management of the Mundo Maya Region
Lwin et al.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s for geospatial analysis
KR20170136760A (ko) 공공데이터와 공개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지도를 활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 맞춤형 관광투어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oo et al. “Mapping” Smart Cities
Neupane et al. E-CAD: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for la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