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933B1 - 생산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933B1
KR101872933B1 KR1020170161608A KR20170161608A KR101872933B1 KR 101872933 B1 KR101872933 B1 KR 101872933B1 KR 1020170161608 A KR1020170161608 A KR 1020170161608A KR 20170161608 A KR20170161608 A KR 20170161608A KR 101872933 B1 KR101872933 B1 KR 101872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status
management module
managem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김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학 filed Critical 김재학
Priority to KR102017016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재 가지고 있는 모바일기기로도 구축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선데이터통신, 무선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10),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관리서버(2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200a)(200n)와 원격PC(220)와 연결되고 데이터통신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는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된 복수개의 유무선공유기(AP-1)(AP-2)(AP-3)(AP-4)를 통해서 상기 관리서버(210), 상기 원격PC(220), 상기 모니터(200a)(200n)와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10)에는 인쇄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린터(300a)(300n)가 연결된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210)는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들 각각의 권한을 부여하고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기기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생산관리앱(App. ;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앱을 통하여 자재(400), 장비(500), 잡자재(600)에 각각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생산현장에서 입고 또는 출고되는 모든 물품은 QR코드로 관리된다. 상기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의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오픈되어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며, 이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항목별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공지사항, 문서양식, 사원현황, 작업자의 작업시간, 장비별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관리모듈(111), 송수신되는 문서의 표준을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문서서식을 요청받으면 해당 문서서식을 송신하고, 다른 형식의 문서를 수신하면 표준문서로 재송신하도록 요청하는 표준문서모듈(112)과, 월별 생산계획과 현재 생산현황을 엑셀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생산관리모듈(113), 생산에 필요한 자재번호, 관리번호목록, 자재출고시 생성된 제조지시서, 자재의 준비현황 또는 출고현황을 제공하는 자재관리모듈(114)과, 하네스 작업내역과 하네스 제작현황, 사급파트의 입고와 출고에 대한 현황을 제공하는 하네스관리모듈(115)과, 판넬작업관리와 일일 작업 현황과 월단위로 판넬작업진행 내역을 제공하는 판넬관리모듈(116)과, 생산장비의 검수진행상황과 검수진행중 진행시간, 검수자, 검수시작시간, 검수종료시간, 검수소요시간이 제공되는 품질관리모듈(117)과, 모든 생산일정의 진행상황을 작업장 내에 설치된 모니터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관리모듈(118)과,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 공정별 날짜리스트, 현장작업후 받아온 케이블의 종류별 내역을 입력시킬 수 있는 사급파트 입고,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시 발견된 부적합 내역을 입력하고 입력된 내용은 메인화면에 일정기간 팝업으로 표시하며 스크롤 맨아래 닫기 버튼을 구비하여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 현장관리모듈(11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산관리시스템{Produc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재 가지고 있는 모바일기기로도 구축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도록 한다.
공개번호 10-2013-0098584(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호에 따르면,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 은 부재 상에 표시된 식별자의 이미지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재의 식별자를 인식가능한 부재 정보로 변환하는 식별자처리부, 상기 부재의 이미지나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부재의 위치 벡터와 스케일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부재의 형상 정보와, 상기 위치 벡터 및 상기 스케일 정보를 통하여 상기 형상 정보에 따른 부재와 상기 이미지 상의 부재를 정합하는 정합부 및 상기 부재 정보에 해당되는 생산 정보를 상기 정합된 부재의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생산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공개번호 10-2013-0126775(자재 생산 관리 시스템)호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에 필요한 자재의 생산 관리 업무를 모바일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재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재 기본 정보, 자재 실적처리 정보 및 자재 후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DB 그룹; 상기 DB 그룹의 저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모듈을 탑재한 모바일단말; 및 상기 DB 그룹의 저장 정보에 대한 상기 응용 프로그램 모듈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생산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공개번호 10-2015-0012762(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호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산작업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코드(Bar Code)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접수된 업무에 대한 작업지시번호를 할당하고 작업지시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도록 바코드 생성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기 및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판독되는 정보를 서버에 기록하는 공정 제어부를 포함한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공개번호 10-2013-0098584(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공개번호 10-2013-0126775(자재 생산 관리 시스템) 공개번호 10-2015-0012762(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그러나, 종래의 생산관리시스템은 담당직원이나 관리자가 정해진 위치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환경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시스템구축비용이 해당 업체로서는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수많은 컴퓨터를 유지보수하는 비용이 발생하고, 그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가중되었다.
이로 인해서, 영세한 제조업체에서 생산관리시스템을 운영하기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재 가지고 있는 모바일기기로도 구축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데이터통신, 무선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10),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관리서버(2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200a)(200n)와 원격PC(220)와 연결되고 데이터통신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는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된 복수개의 유무선공유기(AP-1)(AP-2)(AP-3)(AP-4)를 통해서 상기 관리서버(210), 상기 원격PC(220), 상기 모니터(200a)(200n)와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10)에는 인쇄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린터(300a)(300n)가 연결된 생산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서버(210)는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들 각각의 권한을 부여하고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기기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생산관리앱(App. ;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앱을 통하여 자재(400), 장비(500), 잡자재(600)에 각각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생산현장에서 입고 또는 출고되는 모든 물품은 QR코드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의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오픈되어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며, 이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항목별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공지사항, 문서양식, 사원현황, 작업자의 작업시간, 장비별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관리모듈(111), 송수신되는 문서의 표준을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문서서식을 요청받으면 해당 문서서식을 송신하고, 다른 형식의 문서를 수신하면 표준문서로 재송신하도록 요청하는 표준문서모듈(112)과, 월별 생산계획과 현재 생산현황을 엑셀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생산관리모듈(113), 생산에 필요한 자재번호, 관리번호목록, 자재출고시 생성된 제조지시서, 자재의 준비현황 또는 출고현황을 제공하는 자재관리모듈(114)과, 하네스 작업내역과 하네스 제작현황, 사급파트의 입고와 출고에 대한 현황을 제공하는 하네스관리모듈(115)과, 판넬작업관리와 일일 작업 현황과 월단위로 판넬작업진행 내역을 제공하는 판넬관리모듈(116)과, 생산장비의 검수진행상황과 검수진행중 진행시간, 검수자, 검수시작시간, 검수종료시간, 검수소요시간이 제공되는 품질관리모듈(117)과, 모든 생산일정의 진행상황을 작업장 내에 설치된 모니터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관리모듈(118)과,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 공정별 날짜리스트, 현장작업후 받아온 케이블의 종류별 내역을 입력시킬 수 있는 사급파트 입고,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시 발견된 부적합 내역을 입력하고 입력된 내용은 메인화면에 일정기간 팝업으로 표시하며 스크롤 맨아래 닫기 버튼을 구비하여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 현장관리모듈(119)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최상위 모바일기기로부터 그 하위 모바일기기로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210)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기기별 권한은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권한내용은 항목별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허용 여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에 따르면, 1)종래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작은 사업장일수록 적은 비용으로 극단적으로는 별도의 비용없이 구축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장의 크기에 따라서 비용이 증가하지 않도록 설계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태블릿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태블릿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스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생산관리시스템을 위한 세부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유선데이터통신, 무선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10),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관리서버(2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200a)(200n)와 원격PC(220)와 연결되고 데이터통신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는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된 복수개의 유무선공유기(AP-1)(AP-2)(AP-3)(AP-4)를 통해서 상기 관리서버(210), 상기 원격PC(220), 상기 모니터(200a)(200n)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무선공유기(AP-1)(AP-2)(AP-3)(AP-4)는 공유기 기능뿐만 아니라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의 기능도 겸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10)에는 인쇄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린터(300a)(300n)가 연결되는데, 이 프린터는 로컬 인쇄기능 뿐만 아니라 네트웍 인쇄기능을 겸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210)는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들 각각의 권한을 부여하고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의 총갯수가 적고, 그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타가 관리서버(210)를 운영할 정도로 많지 않다면 상기 입력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최상위 모바일기기로부터 그 하위 모바일기기로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210)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기기별 권한은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권한내용은 항목별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허용여부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태블릿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스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태블릿(100)에는 생산관리앱(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구동되는 모바일기기(101)(102)(103)(104)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생산관리앱(App. ;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앱을 통하여 자재(400), 장비(500), 잡자재(600)에 각각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현장에서 입고 또는 출고되는 모든 물품은 QR코드로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의 태블릿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태블릿, 스마트폰, 핸드폰, 랩탑컴퓨터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모바일기기가 태블릿인 경우를 가정하여 그 태블릿에 설치된 생산관리앱의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의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오픈되어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항목별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공지사항, 문서양식, 사원현황, 작업자의 작업시간, 장비별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관리모듈(111), 송수신되는 문서의 표준을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문서서식을 요청받으면 해당 문서서식을 송신하고, 다른 형식의 문서를 수신하면 표준문서로 재송신하도록 요청하는 표준문서모듈(112)이 구비된다.
월별 생산계획과 현재 생산현황을 엑셀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생산관리모듈(113), 생산에 필요한 자재번호, 관리번호목록, 자재출고시 생성된 제조지시서, 자재의 준비현황 또는 출고현황을 제공하는 자재관리모듈(114)이 구비된다.
하네스 작업내역과 하네스 제작현황, 사급파트의 입고와 출고에 대한 현황을 제공하는 하네스관리모듈(115), 판넬작업관리와 일일 작업 현황과 월단위로 판넬작업진행 내역을 제공하는 판넬관리모듈(116), 생산장비의 검수진행상황과 검수진행중 진행시간, 검수자, 검수시작시간, 검수종료시간, 검수소요시간이 제공되는 품질관리모듈(117)이 구비된다.
모든 생산일정의 진행상황을 작업장 내에 설치된 모니터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관리모듈(118)과,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 공정별 날짜리스트, 현장작업후 받아온 케이블의 종류별 내역을 입력시킬 수 있는 사급파트 입고,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시 발견된 부적합 내역을 입력하고 입력된 내용은 메인화면에 일정기간 팝업으로 표시하며 스크롤 맨아래 닫기 버튼을 구비하여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 현장관리모듈(1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생산관리앱은 사용자별로 구분된 권한에 따라서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되는데, 이는 생산관리시스템이 도입된 회사 내 직급과 업무관련성과 연관된다.
즉, 그 회사의 대표이사나 공장장은 생산관리앱의 모든 정보를 입력하거나 볼 수 있지만, 생산직 말단 근로자인 경우에는 제한된 정보를 입력하거나 볼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권한설정은 회사에 따라서 변동가능하다.
상기 생산관리앱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권한은 그 회사의 상급자 태블릿에 의해서 설정된다는 점은 동일하고 명확하다.
이러한 생산관리앱의 각 모듈별 기능을 그림과 함께 좀더 자세히 예시하도록 한다.
1)설정관리모듈
설정관리모듈(111)은 아래 그림과 같은 입력창을 통해서 공지사항의 종류와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일반 공지사항은 게시일로부터 7일간 게시되고 중요 공지사항은 게시일로부터 다른 태블릿의 생산관리앱에서 한달간 메인화면에 표시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1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2
아래 그림과 같이 내용확인버튼이 구비되어 로그인된 작업자의 읽기확인이 가능하며,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3
일정 권한 이상의 작업자 태블릿은 읽음 확인창으로 읽은 사원과 안읽은 사원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4
또한, 아래 그림과 같이 해당 회사에서 사용중인 문서양식을 특정폴더에 업로드하여 파일리스트형식의 링크를 구비하여 태블릿의 화면에서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5
사원현황페이지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부서, 직위, 입사일, 연락처, 생년월일, 근속일 등의 확인 가능하고, 여기에 사원이 새롭게 추가되면 로그인정보도 함께 생성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6
아래 그림과 같이 작업자가 태블릿을 이용하여 작업진행사항을 입력한 데이터를 가지고 해당 장비의 작업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고 장비별리스트에서는 장비별 최소 작업시간과 최대 작업시간을 표시해주며 해당시간을 클릭하면 작업시간에 대한 내용을 표시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7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8
Figure 112017119117901-pat00009
2)표준문서모듈
표준문서모듈(112)은 아래 그림과 같이 장비생산에 필요한 프로세스(Process), 작업변경지시서, 표준서, 도면, 검수서 등을 리스트링크와 게시판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0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1
3)생산관리모듈
생산관리모듈(113)은 아래 그림과 같이 고객사에서 전달받은 엑셀파일의 일정표를 업로드하여 리스트형식으로 월단위로 생산일정을 디스플레이하여 고객사의 일정 배포 즉시 업데이트가 되도록 구성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2
자재출고, 하네스작업, 판넬작업에 대한 생산현황을 실시간으로 현황을 반영하도록 구성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3
4)자재관리모듈
자재관리모듈(114)은 아래 그림과 같이 장비에 부착되는 이력관리용 QR코드 출력페이지를 표시하여 상기 프린터를 통해서 인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4
이러한 QR코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장비에 부착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5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제조이력정보를 볼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6
또한, 납품 전에 장비를 포장하고 부착되는 관리번호인쇄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를 예시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7
이러한 관리번호는 다음 그림과 같이 관리번호리스트로 디스플레이되고, 자재출고시 제조지시서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되지만 오류로 인해 미생성되면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8
다음 그림과 같이 자재 출고시 생성된 제조지시서의 리스트를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고, 출력여부도 확인가능하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19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0
다음 그림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준비, 출고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자재가 부족한 상황이나, 기타 이슈가 있을 때 이슈 내용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자재출고를 하면 제조지시서, 고객사 관리번호, QR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1
다음 그림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가관리와 BOM(Bill of Materials) 연동을 위한 자재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2
잡자재리스트도 다음 그림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3
5)하네스관리모듈
하네스관리모듈(115)은 하네스 작업 내역확인을 위해 작업자, 작업일, 시작시간, 종료시간을 공정별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4
다음 그림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 작업현황도 판넬하네스와 외부하네스로 구분하여 자재출고와 같이 이슈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5
다음 그림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사급파트의 입고내역을 확인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메인입고는 현장작업자가 셋업후 입고를 작성하지만 별도의 구매시 입고내역을 입고할 수 있고 현장작업자가 입고내역을 입력한 후 메인화면에 입고 확인란 출력 확인 후에는 입고내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6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7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8
Figure 112017119117901-pat00029
아래 그림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고 확인된 사급파트를 업로드된 일정을 기준으로 장비별 출고내역을 입력하고 월 단위로 표시되며 내역도 같이 확인 가능하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0
6)판넬관리모듈
판넬관리모듈(116)은 아래 그림과 같이 공정별 작업자 입력란에 작업자를 입력하고 작업을 배정하며 작업이 완료된 공정에는 종료 날짜와 작업자 이름을 표시하도록 한다.
배정된 작업에는 해당 작업자가 태블릿으로 로그인 메인화면 하단부에 표시된 작업내역을 선택하며 개별작업이 진행된 여러 공정이 배정되었으면 공정종료 후에 이어서 진행하도록 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1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2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3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배정된 작업의 내역이 표시되고 날짜를 선택하여 해당 날짜의 작업내역도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4
다음 그림과 같이 일정표를 기준으로 월단위로 판넬작업의 진행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5
7)품질관리모듈
품질관리모듈(117)은 다음 그림과 같이 생산장비의 검수진행상황을 볼 수 있는 페이지로 도면과 검수서가 링크되어 있고, 검수 진행중에는 진행시간이 표시되며 표준서 및 유의사항을 표시하고 완료후에는 검수자, 시작시간, 종료시간, 소요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6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7
다음 그림과 같이 고객사에서 전달받은 도면의 출도 현황리스트로 해당 도면번호를 클릭하여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8
Figure 112017119117901-pat00039
도면현황에서 입력한 출도내역을 주단위로 읽어와 다음 그림과 같이 결재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0
다음 그림과 같이 부적합 리스트 페이지에서 입력한 부적합 데이터로 장비별, 유형별, 작업자별로 실시간 품질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1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2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3
다음 그림과 같이 작업자는 태블릿을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므로 작업자가 공정을 완료할 때 자동으로 입력되지만 누락이 발생할 때 별도로 입력할 수 있고, 별도로 입력하기에 부적합한 내역은 공정과 유형을 선택한 후 내용과 건수를 입력하며 전체 건수는 리스트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4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5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6
8)모니터관리모듈
모니터관리모듈(118)에 의해서, 다음 그림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든 생산일정의 진행상황은 생산현황페이지를 통해 작업장내 설치된 모니터로 실시간 표시가 되도록 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7
9)현장관리모듈
현장관리모듈(119)은 다음 그림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납품된 장비가 현장에서 공정별 날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8
다음 그림과 같이, 현장 작업 후에 받아온 사급 케이블의 종류별 내역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49
다음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객사로부터 납품된 장비의 현장작업시 발견된 부적합 내역을 입력하고, 입력된 내용은 메인 화면에 일정기간 팝업으로 표시되며 스크롤 맨 아래에 닫기 버튼을 구비하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Figure 112017119117901-pat00050
Figure 112017119117901-pat00051
10 ; 네트워크 100 ; 모바일기기
101, 102, 103, 104 ; 태블릿 110 ; 생산관리앱
111 ; 설정관리모듈 112 ; 표준문서모듈
113 ; 생산관리모듈 114 ; 자재관리모듈
115 ; 하네스관리모듈 116 ; 판넬관리모듈
117 ; 품질관리모듈 118 ; 모니터관리모듈
119 ; 현장관리모듈 200a, 200n ; 모니터
300a, 300n ; 프린터 400 ; 자재
500 ; 장비 600 ; 잡자재
AP-1, AP-2, AP-3, AP-4 ; 유무선공유기

Claims (3)

  1. 유선데이터통신, 무선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관리서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 원격PC, 복수개의 모바일기기, 복수개의 유무선공유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린터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21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200a)(200n) 및 상기 원격PC(20)가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기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는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유무선공유기(AP-1)(AP-2)(AP-3)(AP-4)를 통해서 상기 관리서버(210), 상기 원격PC(20), 상기 모니터(200a)(200n)와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10)에는 인쇄기능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린터(300a)(300n)가 연결된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210)는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들 각각의 권한을 부여하고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모바일기기(101)(102)(103)(10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기기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생산관리앱(App. ;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앱을 통하여 자재(400), 장비(500), 잡자재(600)에 각각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생산현장에서 입고 또는 출고되는 모든 물품은 QR코드로 관리되며;
    상기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의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오픈되어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며, 이 생산관리앱(110)은 태블릿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항목별로 설정을 입력할 수 있고, 공지사항, 문서양식, 사원현황, 작업자의 작업시간, 장비별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관리모듈(111), 송수신되는 문서의 표준을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문서서식을 요청받으면 해당 문서서식을 송신하고, 다른 형식의 문서를 수신하면 표준문서로 재송신하도록 요청하는 표준문서모듈(112)과, 월별 생산계획과 현재 생산현황을 엑셀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생산관리모듈(113), 생산에 필요한 자재번호, 관리번호목록, 자재출고시 생성된 제조지시서, 자재의 준비현황 또는 출고현황을 제공하는 자재관리모듈(114)과, 하네스 작업내역과 하네스 제작현황, 사급파트의 입고와 출고에 대한 현황을 제공하는 하네스관리모듈(115)과, 판넬작업관리와 일일 작업 현황과 월단위로 판넬작업진행 내역을 제공하는 판넬관리모듈(116)과, 생산장비의 검수진행상황과 검수진행중 진행시간, 검수자, 검수시작시간, 검수종료시간, 검수소요시간이 제공되는 품질관리모듈(117)과, 모든 생산일정의 진행상황을 작업장 내에 설치된 모니터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관리모듈(118)과,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 공정별 날짜리스트, 현장작업후 받아온 케이블의 종류별 내역을 입력시킬 수 있는 사급파트 입고, 납품된 장비의 현장 작업시 발견된 부적합 내역을 입력하고 입력된 내용은 메인화면에 일정기간 팝업으로 표시하며 스크롤 맨아래 닫기 버튼을 구비하여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 현장관리모듈(119)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 및 그 서식을 최상위 모바일기기로부터 그 하위 모바일기기로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210)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모바일기기별 권한은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권한내용은 항목별로 읽기와 쓰기에 대한 허용 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70161608A 2017-11-29 2017-11-29 생산관리시스템 KR101872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08A KR101872933B1 (ko) 2017-11-29 2017-11-29 생산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08A KR101872933B1 (ko) 2017-11-29 2017-11-29 생산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933B1 true KR101872933B1 (ko) 2018-07-31

Family

ID=6307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608A KR101872933B1 (ko) 2017-11-29 2017-11-29 생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9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667B1 (ko) * 2019-12-04 2020-09-14 부천공업(주) Qr코드를 이용한 와이어 하네스 이력 확인 방법
KR20200114171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팩앤롤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20200126079A (ko) 2019-04-29 2020-11-06 (주)알피네트웍스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00126080A (ko) 2019-04-29 2020-11-06 (주)알피네트웍스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37B1 (ko) * 2005-10-21 2006-01-24 (주)에이시에스 생산 정보화 시스템
KR20130098584A (ko) 2012-02-2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20130126775A (ko) 2012-04-12 2013-1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생산 관리 시스템
JP5571351B2 (ja) * 2009-10-26 2014-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産管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50012762A (ko) 2013-07-26 2015-02-04 이순호 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37B1 (ko) * 2005-10-21 2006-01-24 (주)에이시에스 생산 정보화 시스템
JP5571351B2 (ja) * 2009-10-26 2014-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産管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98584A (ko) 2012-02-2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20130126775A (ko) 2012-04-12 2013-1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생산 관리 시스템
KR20150012762A (ko) 2013-07-26 2015-02-04 이순호 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71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팩앤롤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20200126079A (ko) 2019-04-29 2020-11-06 (주)알피네트웍스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00126080A (ko) 2019-04-29 2020-11-06 (주)알피네트웍스 최적의 운용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열처리 설비용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55667B1 (ko) * 2019-12-04 2020-09-14 부천공업(주) Qr코드를 이용한 와이어 하네스 이력 확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33B1 (ko) 생산관리시스템
US20200193049A1 (en) Lockout-tagout and safety compliance systems and methods
US962162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KR101562534B1 (ko)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기자재 검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류관리시스템
US201301793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tocking Inventory
US201301793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tocking Inventory
CN103970828B (zh) 网络系统和信息报告方法
JP2017134768A (ja) 紙文書管理システム
KR101628318B1 (ko) 건설 프로젝트 관리 방법
JP2014219887A (ja) 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KR20150012762A (ko) 생산작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22244247A1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78718A (ja) 作業指示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39894B (zh) 用于定制光学实验室管理系统的应用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US20170124634A1 (en) EZCloud Sales (ECS)
CN112435039A (zh) 基于区块链的商品溯源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20220082304A (ko) 벤더 관리 시스템
JP2022096147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Hassan et al. Development of an order processing system using Google Sheets and Appsheet for a Malaysian automotive SME factory warehouse
KR100985202B1 (ko) 알에프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납입카드 발행시스템 및 방법
JP201601834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927812A (zh) 信息处理终端、信息处理系统以及方法
JP7412526B1 (ja) 株主総会支援システム及び株主総会支援方法
KR102618666B1 (ko) 사물에 연결된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JP2013175088A (ja) 依頼管理装置、依頼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依頼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