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279B1 -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279B1
KR101993279B1 KR1020180173427A KR20180173427A KR101993279B1 KR 101993279 B1 KR101993279 B1 KR 101993279B1 KR 1020180173427 A KR1020180173427 A KR 1020180173427A KR 20180173427 A KR20180173427 A KR 20180173427A KR 101993279 B1 KR101993279 B1 KR 10199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terminal
client
management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Priority to KR102018017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련의 건설사업 과정을 정보통신기술과 결합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은,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축주 단말기,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의 현장 정보를 제공하는 공사관계자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건축주 단말기 및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연결하며, 계획, 설계, 시공준비, 시공, 및 유지보수의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따라 관리 정보와 현장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공사관계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공사 내역과 해당 비용을 건축주 단말기 및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함께 제공하되 세부 공사 내역의 수행시마다 건축주 또는 공사관계자 일방 또는 양자 협의에 의해 처리된 기성 금액을 계약 금액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Description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housing owner}
본 발명은 건축/건설 사업을 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건축주와 건설현장의 공사관계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공사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사업 분야에 있어서, 4차 산업혁명을 맞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과 건설사업관리를 융합하여 현재 건설사업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건설업의 생산성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설계감리 및 책임감리 등의 제도에서와 같이 건설사업의 특정단계에서 적용되는 일차원적 관리 체계에서 건설사업 전단계에 걸쳐 비용, 기간, 품질,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의 도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건설사업에 대해 공정, 품질, 비용에 관한 전문지식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고 있는 건축주(발주자)를 대신하여 사업의 종합적인 관리하는 건설지식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등장한 건설사업관리는 건설공사의 기획, 타당성 조사,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 감리, 평가, 사후관리 등과 관리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맡아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설공사는 전문적이고 복잡한 일이어서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건축주가 관리할 수 없다. 그래서 건축주를 대신해서 이 공사 일체를 맡아서 해주는 일이 필요하여 법으로 제도화하였으며, 흔히 CM(construction management)이라고 불린다.
건축주는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건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와 공사 기간을 단축하여 이득을 얻는다. 건설사업관리는 건축, 부동산 분야의 지식서비스사업으로 근래에 개발된 것으로서, 건축 재료, 건축 기술, 건축물 규모의 확대, 해외 건설, 건축 장비의 발달 등 건축 환경이 진보하면서 생겨난 사업분야이다.
그러나, 이러한 건설사업관리는 전적으로 건설사업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컨설턴트의 경험과 전문성에 의존하고 있으며, 건설사업 일련의 흐름에 관하여 개인 건축주(발주자)는 여전히 현재의 수행 단계 내지 공사 진행 상황을 파악하거나 개입할 여지가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건설사업관리 기술이 전문적 지식을 가진 건축주(발주자)의 역량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며 개인 건축주의 비용과 시간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던 약점을 극복하고, 특히 개인 건축주의 경우에 일련의 건설사업관리의 세부 내역과 지출 내역이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며, 공사 진행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의사 결정의 상황이 추후 분쟁을 야기할 우려를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은,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축주 단말기;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의 현장 정보를 제공하는 공사관계자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연결하며, 계획, 설계, 시공준비, 시공, 및 유지보수의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따라 상기 관리 정보와 상기 현장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공사관계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공사 내역과 해당 비용을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함께 제공하되, 세부 공사 내역의 수행시마다 건축주 또는 공사관계자 일방 또는 양자 협의에 의해 처리된 기성 금액을 계약 금액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 중 계획 또는 설계 단계에서 산출된 전체 예산 중 계약 금액과 현재의 시공 과정에서 변경된 기성 금액을 비교하고, 변경된 비용에 따라 비례하여 세부 공사 내역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전체 공정률을 재산출하며, 상기 계약 금액에 대비한 상기 기성 금액의 차이가 비용 임계값보다 큰 경우 건축주의 선택이 가능한 세부 대체 항목을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가 낮거나 또는 비용이 낮은 순서대로 도출하여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현장 정보 중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옵션(option)이 존재하는 항목과 각각의 예상 비용을 실시간으로 상기 건축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건축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건축주의 선택 옵션을 상기 서버 내에 의사 결정의 결과로서 기록한 후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로 회신하며, 상기 의사 결정에 따라 수행된 공사 내역 및 그에 따른 기성 금액을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별로 건축주와 공사관계자가 검토하여야 하는 체크리스트(checklist)를 시계열적인 처리 순서 및 처리 조건과 함께 미리 저장하고, 건설사업관리의 진행에 따라 현재의 단계에 부합하는 체크리스트를 독출하여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건축주와 상기 공사관계자가 현재의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에 대한 검토 결과를 증빙 자료와 함께 저장한 후 다음의 건설사업관리 단계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되, 상기 체크리스트 내에 부적합이 발생한 항목에 설정된 검토 담당자 및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부적합 내용과 그에 따라 지연된 기간 또는 추가 발생한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현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대하여 각각의 예상 공정률과 실제 공정률을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예상 공정률에 대비한 상기 실제 공정률의 차이가 공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공정률의 차이에 대한 세부 지연 내역을 도출하여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건설사업관리의 세부 공사 내역 각각에 대해 순차 처리 조건 또는 병행 처리 조건의 여부, 및 처리 조건의 변화에 따른 예상 비용 테이블을 함께 저장하고, 작업 스케줄링 기법을 이용하여 작업의 우선순위를 고려하되,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 중에서 상기 세부 지연 내역과 병행 가능하거나 또는 순서 변경이 가능한 현장 작업 내역과 순서 변경에 따른 비용 변화를 도출하여 현장 작업의 속행 가능한 기간과 함께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건축주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작업 순서에 따라 각각의 세부 작업에 대응하는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변경된 작업 일정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설사업관리 전반에 걸친 일련의 절차를 서버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사업비, 공정, 품질, 환경, 안전 등 사업의 종합적인 관리를 개인 건축주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건축 과정 중에 발생하는 선택 및 변경에 따라 야기되는 비용의 변화 내지 기간의 변화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지함으로써 개인 건축주라 할지라도 낭비의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적으로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절차별로 의사 결정과 그에 따른 증빙을 시스템 내에 기록함으로써 불필요한 분쟁에 대비한 쉬운 건축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는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는 건축주 단말기의 화면 구성과 기본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프로젝트 현장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건설사업관리의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미리 설정하고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계약 금액과 기성 금액을 관리하기 위한 현장 내역서를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 저장하고, 새롭게 입력된 기성 항목을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시공 변경에 따른 비용 리스크(risk)를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전체 공정의 흐름을 요약하는 보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시공 변경에 따른 지연 리스크(risk)를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체크리스트의 적합/부적합 여부에 따른 단계별 진행율을 반영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자 별 기성 항목과 연계하여 비용 기반의 공정률을 재산출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자 별 현장 사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옵션(option)이 존재하는 경우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화면의 예시와 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는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크게 서버(10), 건축주 단말기(20) 및 공사관계자 단말기(30)로 구성된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개인 건축주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고 제공된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관리 역량이 부족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설사업관리를 구성하는 각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제시하고, 각 단계별 세부 내역별로 산출된 예산(계약 금액)과 예정된 공정 일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다수의 공사관계자들과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의사 결정이 필요한 항목에 대한 제시, 질의 및 응답을 수행하되, 선택 항목에 관한 자료와 증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사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잘 설계된 건설사업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서버(10) 내에 구축되며, 건축주 및 공사관계자들은 자신의 건축주 단말기(20) 및 공사관계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서버(10)를 통해 소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사관계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내역과 비용 정보 전체가 개인 건축주에게도 제공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갖고 설계되었으며, 다만 개인 건축주의 용이한 이해 및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개별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과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건축주 단말기(20)는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고, 공사관계자 단말기(30)는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의 현장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건축주 단말기(20) 및 공사관계자 단말기(30)는 각각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23, 33), 미리 정의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하는 처리부(25, 35), 그리고 외부로부터 현장 사진 내지 옵션(option) 항목의 선택을 위한 샘플(sample)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7, 3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내지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인 터치 패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키보드, 또는 음성 취득을 위한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부(29, 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연결하며, 계획, 설계, 시공준비, 시공, 및 유지보수의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따라 상기 관리 정보와 상기 현장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이때, 상기 서버(10)는, 공사관계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공사 내역과 해당 비용을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함께 제공하되, 세부 공사 내역의 수행시마다 건축주 또는 공사관계자 일방 또는 양자 협의에 의해 처리된 기성 금액을 계약 금액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갱신하게 된다.
즉, 서버(10)는 개인 건축주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인 비용의 관점에서 최초 설계에 따른 계약 금액과 기성 금액을 비교함으로써 실제 공사 진행에 따라 나타나는 비용의 증감을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건축주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건설사업관리의 각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공사 내역에 대한 계약 내용을 미리 저장할 필요가 있으며, 공사 진행 상황에 따라 현장으로부터 입력되는 현장 정보를 토대로 이미 집행된 기성 금액을 일자별로 기록하게 된다. 시간의 추이에 따라 기성 금액의 입력이 누적됨에 따라 계약 금액과의 차이가 실시간으로 산출되며, 이러한 변경 내역이 즉시 건축주에게 전달됨으로써 건축주로 하여금 공사 관리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는 건축주 단말기의 화면 구성과 기본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는 현장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공사명,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구조, 층수 등 현장 전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초기 설정을 진행하게 된다.
도 3의 (b)는 선택된 현장에 관련된 공사관계자를 추가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건설현장관리의 전과정을 통해 개입하는 각종 담당자들 별로 역할에 따른 권한과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건설현장관리에서는 정형화된 템플릿이 존재하므로 각 역할별 권한과 기능 부여에 관한 기본적인 설정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세부 권한과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c)는 단계별 진행상태 확인을 위한 화면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건축주는 각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세부 항목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d)는 특정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내역별 진행률과 전체 공정률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단순한 공사 진행에 따라 공정률을 산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계약 금액과 변경된 기성 금액을 반영하여 공정률를 표시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이후 도 10을 통해 기술하도록 한다.
도 4의 (e)는 세부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체크리스트를 제시한다. 각각의 체크리스트는 서로 간에 우선순위가 존재하는 항목도 있고, 또는 병행하여 처리될 수 있는 항목도 존재한다. 이러한 순서 조건을 고려하여 선택 버튼(radio button)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 이에 연관된 다른 항목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축법 상 선행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항목(선행 조건)이 부적합하였다면 후행하는 다음 항목으로의 진행이 불가능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되는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선행 조건을 고려한 제약이 함께 저장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4의 (f)는 특기 사항 및 세부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는 화면을 예시하였다. 필요에 따라 현장의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 등이 첨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한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예시 화면을 참고하여 각 구성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는 프로젝트 현장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건축주 또는 서버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현장을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다. 각 프로젝트마다 전체 계약 금액과 현재의 공정에 따른 기성 금액이 표시되며, 각각은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으로 분류되어 개괄적인 공사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도 6은 건설사업관리의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미리 설정하고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푸집에 관한 세부 체크리스트가 화면 상에 표시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세부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은 현장의 필요에 따라 추가 내지 삭제가 가능하다.
앞서 간략히 소개한 바와 같이, 서버는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별로 건축주와 공사관계자가 검토하여야 하는 체크리스트(checklist)를 시계열적인 처리 순서 및 처리 조건과 함께 미리 저장한다. 그런 다음, 서버는 건설사업관리의 진행에 따라 현재의 단계에 부합하는 체크리스트를 독출하여 건축주 단말기 및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건축주와 공사관계자가 현재의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에 대한 검토 결과를 증빙 자료와 함께 저장한 후 다음의 건설사업관리 단계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되, 체크리스트 내에 부적합이 발생한 항목에 설정된 검토 담당자 및 건축주 단말기에 부적합 내용과 그에 따라 지연된 기간 또는 추가 발생한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특정 항목에서 부적합이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시간의 지연 내지 추가 비용의 발생이 야기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이러한 상황 발생을 즉시 건축주에게 통지하여 문제 해결을 독려함으로써 불필요한 절차의 단축을 유도한다.
도 7 내지 도 9는 계약 금액과 기성 금액을 관리하기 위한 현장 내역서를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 저장하고, 새롭게 입력된 기성 항목을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살펴보면, 특정 현장에 대한 현장 내역서를 예시한 것으로 실무상 엑셀(excel) 문서로 관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장 내역서에는 세부 공사 항목별로 계약 금액과 기성 금액, 그리고 그 비율이 포함된다. 생성된 현장 내역서를 배치(batch) 작업을 통해 즉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 적재할 필요가 있으므로, 엑셀 문서의 구조를 파싱(parsing)하여 그 세부 내역을 시스템에 업로드한다.
도 8은 도 7의 현장 내역서를 시스템에 업로드한 결과를 예시하였으며, 도 9는 특정 가설공사 항목(품명)에 대한 일자별 기성 금액을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하였다. 일자별 기성이 누적됨에 따라 각 세부 항목(품명)을 구성하는 금액의 합계 역시 갱신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시공 변경에 따른 비용 리스크(risk)를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서버가 비용에 대한 문제를 사전에 개인 건축주에게 통지하는 안전 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S1010 단계에서, 건설사업관리 서버는,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 중 계획 또는 설계 단계에서 산출된 전체 예산 중 계약 금액과 현재의 시공 과정에서 변경된 기성 금액을 비교한다. 앞서 도 9를 통해 일자별 기성 내역이 입력되는 상황을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누적된 기성 금액을 S1010 단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계약 금액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S1020 단계에서, 건설사업관리 서버는, 변경된 비용에 따라 비례하여 세부 공사 내역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전체 공정률을 재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공사 세부 내역의 진척 상황에 따라 공정률을 산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정률에 변경된 비용을 고려하였다. 개인 건축주의 입장에서는 비용의 증감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세부 공사 내역별로 변경된 비용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축주로 하여금 전체 공정에서 차지하는 특정 공정의 중요도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S1030 단계에서, 만약 계약 금액에 대비한 기성 금액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비용 임계값보다 큰 경우 S1040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개인 건축주는 비용 임계값을 특정 금액 내지 비율(5~10% 정도)을 설정하여 자신이 수용할 수 있는 추가 지출을 억제할 수 있다.
S1040 단계에서, 건설사업관리 서버는, 건축주의 선택이 가능한 세부 대체 항목을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가 낮거나 또는 비용이 낮은 순서대로 도출하여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건축주로 하여금 비용 절감을 위한 선택을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세부 항목별로 선택이 가능한 대체 항목에 관한 리스트를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데, 대체 항목에는 각각의 예상 비용이 매칭되어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설사업관리 프로젝트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리스트 및 비용 매칭 테이블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전체 공정의 흐름을 요약하는 보고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공사 관계자(또는 건축주)를 위해 마련된 화면이다. 도 11에서는 종합적인 기능으로서, 현장별 공정관리를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진행률, 공정별 진행률, 현장위치, 현장사진, 의사결정 및 협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에서 시공 변경에 따른 지연 리스크(risk)를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1210 단계에서, 건설사업관리 서버는, 현장 정보를 이용하여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대하여 각각의 예상 공정률과 실제 공정률을 주기적으로 비교한다.
S1220 단계에서, 만약 예상 공정률에 대비한 실제 공정률의 차이가 공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S1230 단계로 진행한다. 이러한 공정 임계값은 경험이 풍부한 건설사업관리의 컨설턴트의 조언에 따라 서버에 설정될 수 있으며, 건축주가 수용 가능한 지연 일자 내지 지연 비율로 구현될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건설사업관리 서버는, 공정률의 차이에 대한 세부 지연 내역을 도출하여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버는 건설사업관리의 세부 공사 내역 각각에 대해 순차 처리 조건 또는 병행 처리 조건의 여부, 및 처리 조건의 변화에 따른 예상 비용 테이블을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는 작업 스케줄링 기법을 이용하여 작업의 우선순위를 고려하되,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 중에서 세부 지연 내역과 병행 가능하거나 또는 순서 변경이 가능한 현장 작업 내역과 순서 변경에 따른 비용 변화를 도출하여 현장 작업의 속행 가능한 기간과 함께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하여 병행 또는 순서 변경이 가능한 작업 중 현재의 계획보다 전체 비용이 감소하는 작업 리스트를 후보로서 추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부 작업 내역과 순서 조건을 그래프(graph) 알고리즘으로 구성하되, 노드(node) 간의 방향성 에지(edge)에 비용을 할당함으로써 순서 관계에 따른 비용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그래프로부터 모든 노드를 방문할 수 있는 후보 경로를 도출하되, 그 중 가장 비용이 작은 후보 경로를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버는 건축주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작업 순서에 따라 각각의 세부 작업에 대응하는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변경된 작업 일정을 통지할 수 있다.
도 13은 체크리스트의 적합/부적합 여부에 따른 단계별 진행율을 반영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계획단계, 설계단계, 시공준비단계, 유지보수단계, 임대관리단계 각각에 대해 체크리스트의 적합 또는 부적합에 따른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14는 일자별 기성 항목과 연계하여 비용 기반의 공정률을 재산출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기성관리 항목을 통해, 일자별 회차별 기성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기성 내역에 공사별 금액에 따른 가중치가 체크리스트에 적용되어 공사관계자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면, 가중치에 따른 적합 또는 부적합에 따른 단계별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일자별 현장 사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현장별로 시간의 추이에 따라 일자마다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현장 사진을 통해 현장의 공사진행상태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옵션(option)이 존재하는 경우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화면의 예시와 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6의 (a)를 참고하면 일자별 의사결정 내역이 표시되며, 도 16의 (b)에는 특정 항목의 구체적인 주제와 선택 옵션이 표시된다. 여기에는 창호 자재에 대한 건축주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다양한 창호 브랜드가 제시되었다. 사용자의 옵션 선택에 따라 비용과 공정 진행 속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도 16의 (c)와 같이 일자별 의사 결정에 따라 반영된 현장 진행률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서버를 통해 도 16의 옵션 선택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각 단계를 다음과 같다.
S1710 단계에서, 건설사업관리 서버는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현장 정보 중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옵션(option)이 존재하는 항목과 각각의 예상 비용을 실시간으로 건축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한다.
다음으로, S1720 단계에서, 서버는 건축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건축주의 선택 옵션을 서버 내에 의사 결정의 결과로서 기록한 후 공사관계자 단말기로 회신한다. 이러한 의사 결정의 결과를 기록하는 것은, 공사 현장에서 종종 등장하는 사후 분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구두에 의해 건축주의 선택을 결정하고 공정에 반영하는 경우, 건축물 완공 시점에 건축주의 번복 내지는 기억의 혼동으로 인해 하자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S1720 단계는 이러한 분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S1730 단계에서, 서버는 S1720 단계의 의사 결정에 따라 수행된 공사 내역 및 그에 따른 기성 금액을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비용 변화를 쉽게 인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사업관리 전반에 걸친 일련의 절차를 서버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사업비, 공정, 품질, 환경, 안전 등 사업의 종합적인 관리를 개인 건축주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건축 과정 중에 발생하는 선택 및 변경에 따라 야기되는 비용의 변화 내지 기간의 변화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지함으로써 개인 건축주라 할지라도 낭비의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적으로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절차별로 의사 결정과 그에 따른 증빙을 시스템 내에 기록함으로써 불필요한 분쟁에 대비한 쉬운 건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버
11: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13: 서버의 통신부
15: 서버의 처리부
20: 건축주 단말기
23: 건축주 단말기의 통신부
25: 건축주 단말기의 처리부
27: 건축주 단말기의 카메라
29: 건축주 단말기의 입력부
30: 공사관계자 단말기
33: 공사관계자 단말기의 통신부
35: 공사관계자 단말기의 처리부
37: 공사관계자 단말기의 카메라
39: 공사관계자 단말기의 입력부

Claims (6)

  1.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축주 단말기;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의 현장 정보를 제공하는 공사관계자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연결하며, 계획, 설계, 시공준비, 시공, 및 유지보수의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따라 상기 관리 정보와 상기 현장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공사관계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공사 내역과 해당 비용을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함께 제공하되, 세부 공사 내역의 수행시마다 건축주 또는 공사관계자 일방 또는 양자 협의에 의해 처리된 기성 금액을 계약 금액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즉시 상기 건축주에게 전달함으로써 공사 관리에 대한 주의를 유도하고,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 중 계획 또는 설계 단계에서 산출된 전체 예산 중 세부 공사 내역에 대해 미리 저장된 계약 금액과 현재의 시공 과정에서 현장으로부터 이미 집행된 일자별 기성 금액을 입력받아 누적함으로써 변경된 기성 금액을 비교하고, 변경된 비용에 따라 비례하여 세부 공사 내역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전체 공정률을 재산출하며, 상기 계약 금액에 대비한 상기 기성 금액의 차이가 상기 건축주의 추가 지출을 억제하도록 특정 금액 또는 비율로 설정된 비용 임계값보다 큰 경우 건축주의 선택이 가능한 세부 대체 항목을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가 낮거나 또는 비용이 낮은 순서대로 도출하여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하고,
    건설사업관리의 세부 공사 내역 각각에 대해 순차 처리 조건 또는 병행 처리 조건의 여부, 및 처리 조건의 변화에 따른 예상 비용 테이블을 함께 저장하고, 상기 현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에 대하여 각각의 예상 공정률과 실제 공정률을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예상 공정률에 대비한 상기 실제 공정률의 차이가 공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공정률의 차이에 대한 세부 지연 내역을 도출하여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하고,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하여 병행 또는 순서 변경이 가능한 작업 중 현재의 계획보다 전체 비용이 감소하는 작업 리스트를 후보로서 추천하는 작업 스케줄링 기법을 이용하여 작업의 우선순위를 고려하되,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 중에서 상기 세부 지연 내역과 병행 가능하거나 또는 순서 변경이 가능한 현장 작업 내역과 순서 변경에 따른 비용 변화를 도출하여 현장 작업의 속행 가능한 기간과 함께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건축주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작업 순서에 따라 각각의 세부 작업에 대응하는 공사관계자 단말기에 변경된 작업 일정을 통지하고,
    상기 작업 스케줄링 기법은, 세부 작업 내역과 순서 조건을 그래프(graph) 알고리즘으로 구성하되, 노드(node) 간의 방향성 에지(edge)에 비용을 할당함으로써 순서 관계에 따른 비용 변화를 구현하고, 구성된 그래프로부터 모든 노드를 방문할 수 있는 후보 경로를 도출하되, 그 중 가장 비용이 작은 후보 경로를 결과로 출력하는,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현장 정보 중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 개의 옵션(option)이 존재하는 항목과 각각의 예상 비용을 실시간으로 상기 건축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건축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건축주의 선택 옵션을 상기 서버 내에 의사 결정의 결과로서 기록한 후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로 회신하며,
    상기 의사 결정에 따라 수행된 공사 내역 및 그에 따른 기성 금액을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일련의 건설사업관리 단계별로 건축주와 공사관계자가 검토하여야 하는 체크리스트(checklist)를 시계열적인 처리 순서 및 처리 조건과 함께 미리 저장하고,
    건설사업관리의 진행에 따라 현재의 단계에 부합하는 체크리스트를 독출하여 상기 건축주 단말기 및 상기 공사관계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되, 상기 체크리스트와 함께 미리 저장된 처리 순서 및 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의 우선순위, 병행 처리 가능 여부, 또는 선행 조건의 부적합 여부에 따라 다음 항목으로의 진행을 제어하며,
    상기 건축주와 상기 공사관계자가 현재의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에 대한 검토 결과를 증빙 자료와 함께 저장한 후 다음의 건설사업관리 단계로 진행하도록 유도하되, 상기 체크리스트 내에 부적합이 발생한 항목에 설정된 검토 담당자 및 상기 건축주 단말기에 부적합 내용과 그에 따라 지연된 기간 또는 추가 발생한 비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건축주로 하여금 절차의 단축을 유도하는,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73427A 2018-12-31 2018-12-31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KR10199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27A KR101993279B1 (ko) 2018-12-31 2018-12-31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27A KR101993279B1 (ko) 2018-12-31 2018-12-31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279B1 true KR101993279B1 (ko) 2019-06-26

Family

ID=6710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427A KR101993279B1 (ko) 2018-12-31 2018-12-31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2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46B1 (ko) * 2019-11-29 2020-07-09 한다움건설(주)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16815B1 (ko) *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20220074998A (ko) * 2020-11-20 2022-06-07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78287A (ko) 2020-12-03 2022-06-10 김정수 건축물 관련 샘플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CN116703130A (zh) * 2023-08-08 2023-09-05 威海市城市规划技术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工程测量智慧规划设计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602A (ko) * 2016-03-11 2017-09-21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111337A (ko) * 2016-03-28 2017-10-12 (주)컨사이트 건설공사 관련 공공정보에 기반한 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70142671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이지큐 클라우드 기반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602A (ko) * 2016-03-11 2017-09-21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111337A (ko) * 2016-03-28 2017-10-12 (주)컨사이트 건설공사 관련 공공정보에 기반한 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70142671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이지큐 클라우드 기반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발주자 업무기능 역량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46B1 (ko) * 2019-11-29 2020-07-09 한다움건설(주)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74998A (ko) * 2020-11-20 2022-06-07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19477B1 (ko) * 2020-11-20 2022-07-11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78287A (ko) 2020-12-03 2022-06-10 김정수 건축물 관련 샘플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16815B1 (ko) *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CN116703130A (zh) * 2023-08-08 2023-09-05 威海市城市规划技术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工程测量智慧规划设计管理系统
CN116703130B (zh) * 2023-08-08 2023-10-13 威海市城市规划技术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工程测量智慧规划设计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279B1 (ko)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US20230061905A1 (en) Collaboration tool
US8364513B2 (en) Technician control system
Bard et al. Workforce planning at USPS mail processing and distribution centers using stochastic optimization
US8099312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885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of services workforce staffing using hiring, contracting and cross-training
US20170249574A1 (en) System for monitoring of workflows capable of automatic task allocation and monitoring of resources
Helm et al. Design and optimization methods for elective hospital admissions
KR102028422B1 (ko) 프로젝트의 단계별 전문가 매칭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019488A1 (en) Workflow management device and workflow management method
KR101969571B1 (ko)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및 건설 인력 관리 방법
US10755220B2 (en) Service level agreement impact modeling for service engagement
US20130054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dget-Compliant, Fair and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JPWO2020067137A1 (ja) 勤務シフト作成装置、学習モデ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37352B1 (en) Methods for editing hierarchical data
Dzeng et al. Critiquing contractors' scheduling by integrating rule-based and case-based reasoning
JP4939274B2 (ja)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44755A (ja) マンアワーシステム
KR102146545B1 (ko)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JPH10177608A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
Collins et al. Automated assignment and scheduling of service personnel
JP2020052802A (ja) 作業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46640A (ja) 勤務シフト表自動作成システム
KR102633857B1 (ko)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WO2022016093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