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857B1 -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857B1
KR102633857B1 KR1020210155646A KR20210155646A KR102633857B1 KR 102633857 B1 KR102633857 B1 KR 102633857B1 KR 1020210155646 A KR1020210155646 A KR 1020210155646A KR 20210155646 A KR20210155646 A KR 20210155646A KR 102633857 B1 KR102633857 B1 KR 10263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529A (ko
Inventor
류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름
Priority to KR102021015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8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사용자 단말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업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단말로 업무 정보를 제공하고,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는 단계; 및 (c)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 1 사용자 단말이 실제 수행한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업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업무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에 대한 제목, 세부 정보 및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포함된다. 또한, (a) 내지 (b) 단계를 통해 결정된 업무들을 관리할 수 있는 업무 인터페이스 및 소속 팀원들의 업무 진행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업무의 진행상황에 대한 리포트를 제공하거나, 특정 업무에 대한 다양한 소통처를 제공한다. 또한, (a) 내지 (b) 단계를 통해 결정된 업무들이 실제로 수행될 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게 더 제공되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가 표시되고, 측정된 시간을 경험치로 환산하여, 업무에 대한 종합정보 및 통계 정보를 통해 퍼포먼스를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WORK MANAGEMENT SYSTEM THAT EVALUATES WORKERS THROUGH QUANTIFICATION OF WORK AND WORKPLACE ACTIVITIES}
본 발명은 직장 등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근로자가 생성한 업무 정보에 대한 업무 수행 시간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고, 업무가 완료되면 업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산출하여 근로자의 근무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업무 평가 시스템의 경우 평가자가 근로자와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를 직접 확인한 후 근로자의 근무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평가자는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직접 눈으로 감독하거나, 결과에 대한 레포트를 확인하는 등의 주관적인 방법이 사용되기에 평가가 공정하지 않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업무를 평가함에 있어 종래의 시스템은 사업장을 비롯한 근로자가 평가자의 시야에서 근무 중이어야만, 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 밖에도, 평가의 결과에 대해서도 근로자에게 주관적인 평가 정보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근로자가 한층 높은 업무 수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이 되거나, 업무 수행에 대한 동기부여에 큰 기여를 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로자의 업무 상태를 정량화된 수치로 산출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근로자가 직접 생성한 업무 정보를 기반으로 업무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그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고, 근로자를 관리하는 리더들의 경우 팀원이 어떻게 업무를 처리하는지, 혹은 업무에 대한 퍼포먼스가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관리하게 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업무를 위해 출근한 근로자가 사무실 내에 체류하는 동안 "회의, 휴식, 식사 및 업무" 등의 다양한 상태에 대한 시간을 추적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업무 포퍼먼스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리포트는 게임화(gamification )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리포트를 확인하는 사용자에게 쉽고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가 생성한 업무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지 다른 근로자가 정할 수 있게 되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평가가 공정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사용자 단말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업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단말로 업무 정보를 제공하고,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는 단계; 및 (c)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 1 사용자 단말이 실제 수행한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업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업무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에 대한 제목, 세부 정보 및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는 업무 정보의 제목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갖는 다른 업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의 결과로 산출된 다른 업무 정보가 수행됨에 소요된 실제 업무 시간을 기초로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 이전에, 제 1 사용자 단말 혹은 관리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업무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에 참석할 제 2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여 그루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복수의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에 대응되는 업무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진행중인 업무에 대한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고, 작업 리스트를 복수의 제 2 사용자 단말로 공유하되, 작업 리스트는 제 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업무 및 업무에 대한 우선 순위가 포함되며, 우선 순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수정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b) 단계는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통해 복수의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 이후 관리자 단말이 선택된 예상 업무 시간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로 예상 업무 시간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수정받아, (b)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업무 완료 정보가 수신된 시간을 기반으로 실제 업무 시간을 산출하고, 업무에 참여한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각각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업무 시간은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현재 상태 정보의 기초하여 산출되며, 현재 상태 정보가 실제 근무 상황에 대응되면, 현재 상태 정보가 설정되어 지속된 시간을 실제 업무 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상태 정보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실제 근무 상황 동안 설정됐던 각각의 현재 상태 정보 및 설정된 현재 상태 정보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형식을 갖는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통계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예상 업무 시간과 실제 업무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제 1 사용자 단말과 제 2 사용자 단말이 함께 이용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업무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생성된 채팅 로그를 수신하고, 채팅 로그로부터 채팅 횟수, 채팅 텍스트의 량, 부재 중 시간 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서버가 근태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제 1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를 수신하고, (c) 단계는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되, 근태 정보는 사용자가 출근여부 및 출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후 업무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업무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고, 업무 평가 리포트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직급 정보, 업무 평가 점수, 근로시간 및 사내 혜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무 평가 점수와 근로 시간은 소정의 기간별 달성해야 하는 목표값과 달성한 수치를 함께 표현하는 형태로 표시하여, 업무 평가 점수 및 근로 시간이 목표값을 달성하면, 직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게임화(gamification)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고, (c) 단계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얼굴, 신체, 옷 등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실시간 동영상에서 기 인식된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실시간 영상에서 이탈한 횟수에 기초하여가중치를 생성하여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의 실시간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c) 단계는 화면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를 검출하고,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제 1 사용자 단말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업무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사용자 단말로 업무 정보를 제공하고,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고,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실제 업무 시간과 예상 업무 시간의 비교 결과 및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업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업무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에 대한 제목, 세부 정보 및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항에 의한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혹은 관리자 단말은 업무의 퍼포먼스 및 태스크 등의 업무 진행과정에서 획득된 다양한 정보를 공유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의 업무 상태를 정량화된 수치로 산출하여, 근로자의 근태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근로자가 직접 생성한 업무 정보를 기반으로 업무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그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한다.
또한, 근로자를 관리하는 리더들의 경우 팀원이 어떻게 업무를 처리하는지, 혹은 업무에 대한 퍼포먼스가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관리하게 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업무를 위해 출근한 근로자가 사무실 내에 체류하는 동안 "회의, 휴식, 식사 및 업무" 등의 다양한 상태에 대한 시간을 추적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업무 포퍼먼스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리포트는 게임화(gamification )된 형태 또는 기존의 형식적인 차트나 통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리포트를 확인하는 사용자에게 쉽고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근로자가 생성한 업무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지 다른 근로자가 정할 수 있게 되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평가가 공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는 회사들이 다양한 업무에서 이용하고 있는 협업 툴을 하나로 연동시킬 수 있게 되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이동 없이도 이를 업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카드의 형태로 구현된 업무 정보의 구성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평가 리포트의 구성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리스트의 구성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툴의 구성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태를 평가하는 시스템은 서버(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된다. 이때, 각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전달하고, 업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업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또한, 업무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에 대한 제목, 세부 정보 및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포함된 정보를 뜻하게 된다. 즉,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하게 될 업무를 뜻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업무 정보를 일종의 카드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업무 정보를 제공하고,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게 된다.
이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수행하게 될 업무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다른 단말로서, 업무 정보에 대한 최소한의 지식이 있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어야 한다. 즉, 업무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또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업무에 참여하지 않으나 동일한 회사(또는 소속)에 소속된 사용자의 단말에 대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실제로 수행한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업무 평가 점수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정량화 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전달하고, 그에 대한 업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서버(100)는 수신된 업무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거나,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업무 완료 정보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실제 수행한 업무에 대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업무 정보를 생성하고, 수행한 업무에 대한 업무 평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업무 정보를 수신하고, 업무에 대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될 수 있다.
이때,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이거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이는 반대의 경우로 차용될 수 있다.)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과 해당 단말의 소유주 정보 및 업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 단말(200)과 해당 단말의 소유주 정보 및 업무 정보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정보를 수신한다(S110).
구체적으로, 단계(S110)에서 서버(100)는 업무 정보를 생성하길 원하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후,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한 업무 정보를 생성하면, 서버(100)가 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선택적 실시예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업무 정보의 제목(텍스트)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갖는 기존의 다른 업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는 검색의 결과로 산출된 기존의 다른 업무 정보에 등록된 실제 업무 시간을 기초로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업무 정보의 제목이 "개발자 채용"인 경우, 서버(100)가 "개발자 채용"과 유사한 텍스트 또는 유사한 의미의 단어를 갖는 다른 업무정보를 검색하고, 다른 업무 정보 중 "프로그래머 채용", "개발인력 고용" 등과 같은 다른 업무정보를 검색해낼 수 있다. 이때, 검색된 다른 업무정보의 소요시간을 참고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예상 업무 시간으로서 추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특정 업무를 처음 수행하더라도, 예상되는 업무 시간을 파악하여 선택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해당 업무에 참여인력으로 등재된 근로자의 경력을 참고하여 예상 업무시간이 추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등록된 "개발인력 채용" 업무의 경우, 해당 업무를 수행한 근로자 A가 10년 경력, 근로자 B가 5년 경력이었고, "프로그래머 채용" 업무의 경우 해당 업무를 수행한 근로자 C가 7년 경력, 근로자D가 6년 경력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반해,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요청한 업무정보에 등록된 근로자의 경력은 각각 3년, 2년인 경우, 이러한 경력 차이를 감안하여, 기존의 업무정보에 등록된 소요시간보다 조금 더 긴 소요시간을 산정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인력 채용"과 "프로그래머 채용"의 소요시간이 각각 1개월, 1.5개월이었다면,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추천하는 소요시간은 2~2.5개월과 같이 경력에 기반하여 계산된 값이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업무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종의 업무 카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업무 카드는 대표적으로 4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먼저, 업무 카드의 제 1 영역(310)에는 업무 정보에 대응하는 제목, 생성자(이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응된다.), 관리자, 생성일 및 일정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두 번째로, 업무 카드의 제 2 영역(320)에는 업무에 대한 세부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에 대한 간단한 프로세스나 업무에 참석한 각 사용자들의 역할들을 요약하여 제공하게 된다.
세 번째로, 업무 카드의 제 3 영역(330)에는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는 업무 정보를 생성한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생성하게 되지만, 시간의 선택은 제 2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2 사용자 단말(200)이 업무 카드의 제 3 영역(330)에 구비된 조작 버튼을 통해 직접 예상 업무 시간을 제안할 수도 있다.
이때, 추가 실시예로 업무 카드의 제 2 영역(320)을 통해, 해당 업무에 참여할 제 2 사용자 단말(200)을 모집할 수 있다. 만약, 제 2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업무에 참여하게 되면, 업무 카드의 제 3 영역(330)이 활성화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업무 카드의 제 4 영역(340)에는 앞서 각 영역에 포함되지 못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업무의 중요도에 대한 선택지가 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은 업무에 대한 정보가 자유롭게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업무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한다(S120).
추가 실시예로,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업무 정보를 통해 업무를 함께 수행할 제 2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면, 서버(100)는 이를 인지하여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업무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서버(100)는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통해 복수의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예상 업무 시간을 해당 업무가 진행될 시간으로 선택하게 된다.
그 밖의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120) 이후 관리자 단말이 선택된 예상 업무 시간을 평가할 수 있다. 이때, 평가 결과에 따라 서버(100) 혹은 관리자 단말은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예상 업무 시간에 대한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요청이 수락된다면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상 업무시간의 선택지가 수정된 업무 정보를 수신하여, 단계(S120)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즉, 관리자의 입장에서 근로자가 수행할 업무의 시간이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수정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S13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 1 사용자 단말이 실제 수행한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대표적으로 아래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첫 번째 방법으로 서버(100)는 업무 완료 정보가 수신된 시간을 기반으로 실제 업무 시간을 산출하고, 업무에 참여한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200)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각각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후, 서버(100)는 예상 업무 시간과 실제 업무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업무 정보를 통해 선택된 예상 업무 시간보다 실제 업무 시간이 짧은 경우 업무를 빠르게 끝낸 것임으로, (+)가중치를 적용하게 된다. 반대로, 예상 업무 시간보다 실제 업무 시간이 더 긴 경우 업무를 느리게 처리했다고 판단할 수 있기에, (-)가중치 또는 0과 1사이의 소수점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수를 평가하게 된다.
두 번째 방법으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제 2 사용자 단말(200)이 함께 이용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업무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생성된 채팅 로그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서버(100)는 채팅 로그로부터 채팅 횟수, 채팅 텍스트의 량, 부재 중 시간 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가중치를 기반으로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업무 시간에 업무와 관련된 텍스트량이 많은 경우 (+)가중치를 반대의 경우나 불필요한 대화에 대한 텍스트량이 많은 경우 (-)가중치 또는 0과 1사이의 소수점 가중치를 적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미리 근태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근태 정보란 용자가 출근여부 및 출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정보를 뜻한다.
따라서, 서버(100)는 근태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시간에 출근이나 퇴근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하고, 그에 대한 가중치를 생성하여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각을 한 횟수만큼 (-)가중치 또는 0과 1사이의 소수점 가중치를 생성하여 업무 평가 점수에 반영하게 된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서버(100)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혹은 위치 정보 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기 설정된 업무 장소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업무 장소를 자주 벗어나게 되면, 이를 업무 평가 점수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서버(100)는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얼굴, 신체, 옷 등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게 된다. 이후, 서버(100)는 실시간 동영상에서 기 인식된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실시간 영상에서 이탈한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노트북에 대응되고, 사용자가 업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구동 시 노트북의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실시간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 체형(신체) 혹은 옷의 형태(색상) 등을 통해 현재 작업을 수행한 사용자를 인식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업무시간 동안 착실하게 업무를 수행하였다면 실시간 영상에는 사용자만이 촬영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일을 하지 않기 위해 자리를 비우게 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가 자리를 이탈한 횟수나 이탈 후 얼마의 시간이 흘렀는지 여부에 따라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가중치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실시간 영상 내에서 최초로 인식된 제 1 사용자가 아닌 제 2 사용자가 촬영되는 경우, 서버(100)는 제 2 사용자의 얼굴, 체형(신체) 혹은 옷의 형태(색상) 등을 인식하고, 기 인식된 제 1 사용자의 특징과 비교하게 된다. 만약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갖는다면, 동일인으로 판단하고 자리를 이탈한 횟수를 차감하게 된다. 반대로, 서로 다른 인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사용자가 업무 중 자리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업무 평가 점수 산출에 패널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단말의 실시간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화면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를 검출하고,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근무 시간에 실행된 카톡이나 모바일 게임 등의 실행 횟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 언급한 추가 실시예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영상이나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하는 기술은, 사전에 사용자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의 자리 이탈여부나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 등을 정리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고, 실제로 자리 이탈 및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이유에 대한 피드백(즉, 근로 불성실행위가 실제로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피드백)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130) 이후 서버(100)는 업무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업무 평가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업무 평가 리포트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자, 직급 정보, 업무 평가 점수, 근로시간 및 사내 혜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업무 평가 리포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 평가 점수와 근로 시간은 소정의 기간별 달성해야 하는 목표값과 달성한 수치를 함께 표현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업무 평가 리포트는 업무 평가 점수 및 근로 시간이 목표값을 달성하면, 직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게임화(gamification)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포트의 제 1 영역(410)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자(이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될 수도 있다.) 및 직급 정보가 제공되어, 해당 리포트가 누구의 것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리포트의 제 2 영역(420)에는 사용자가 해당 회사(또는 소속)에 얼마나 근무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로 시간과 누적된 업무 평가 점수 등이 표기될 수 있다.
리포트의 제 3 영역(430)에는 소정의 기간별 달성해야 하는 업무 평가 점수나 근로 시간의 목표값과 달성한 수치를 함께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게임에서 많이 사용되는 경험치(EXP) 시스템을 차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리포트의 제 4 영역(430)에는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사내 혜택이 종래의 게임에서 사용되는 "스킬(skill)"이라는 개념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리포트의 제 4 영역(430)에는 목표값을 달성한 업무 평가 점수나 근로 시간에 따른 추가적인 혜택에 대한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리스트의 구성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생성된 업무 정보에 대한 작업 리스트를 생산하여,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과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기에 앞서,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혹은 관리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업무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에 참석할 제 2 사용자 단말(200)을 선택하여 그루핑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서버(100)는 복수의 제 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무에 대응되는 업무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진행중인 업무에 대한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고, 작업 리스트를 복수의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공유하게 된다.
이때, 작업 리스트는 제 2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업무 및 업무에 대한 우선 순위가 포함되며, 우선 순위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수정기능이 제공된다.
이제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작업 리스트의 제 1 영역(510)과 사용자의 업무 내용이 표시되는 작업 리스트의 제 2 영역(52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작업 리스트의 제 1 영역(510)에는 업무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참석된 사용자의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름(아이디), 사진, 출근 상태여부, 업무상태, 소속된 부서나 업무 수행을 위해 임시로 소속된 팀에 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 리스트의 제 2 영역(520)에는 사용자가 이미 수행한 업무와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업무 등이 표시된다. 이때, 각각의 업무들은 완료된 시간,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 및 업무의 우선순위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예로 각 시간에 대한 리마인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업무를 놓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을 통해 애자일 프로세스나 플래닝포커가 산정된 업무 등을 원활하게 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같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임시로 조직된 팀원 간의 업무 공유가 원활해지게 된다.
그 밖에도 업무를 주도하는 리더의 경우 팀원들이 어떤 일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작업 리스트를 확인하고 업무 퍼포먼스를 파악하거나, 개개인의 작업량을 수정해주는 등의 보조업무가 가능하다.
또한, 리마인더 기능을 통해 특정 시간별 조직에서 일어나는 이벤트 등이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툴의 구성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업무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제 업무 시간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실제 업무 시간은 사용자가 실제로 업무를 수행한 시간만을 산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도 7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업무 툴은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설정하여 실제로 업무를 수행한 시간을 서버(100)가 산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 업무 시간은 업무 툴을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200)이 설정한 현재 상태 정보의 기초하여 산출된다. 이때, 현재 상태 정보가 실제 근무 상황에 대응되면, 현재 상태 정보가 설정되어 지속된 시간을 상기 실제 업무 시간으로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은 타임 트래킹 툴의 예시로, 타임 트래킹 툴의 제 1 영역(610)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탭이 존재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상태란 '출퇴근', '휴식', '식사', '업무' 등의 회사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업무가 포함된다.
타임 트래킹 툴의 제 2 영역(620)에는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가 간략하게 표시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타임 트래킹 툴의 제 2 영역(620)에는 사전에 사용자의 업무가 시작되거나, 마감되는 시간 등의 특정 이벤트가 설정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제공하할 수 있다.
타임 트래킹 툴의 제 3 영역(630)에는 사용자나 조직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검색할 수 있는 탭이 제공되며, 사용자는 업무를 검색하여 타임 트래킹 툴의 제 2 영역(620)에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업로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사용자가 선택한 현재 상태 정보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실시간 공유되어, 다른 사용자로 하여금 이 사용자가 현재 무엇을 하는지 파악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타임 트래킹 툴은 동일한 소속(혹은 회사)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추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임 트래킹 툴은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실제 근무 상황 동안 설정됐던 각각의 현재 상태 정보 및 설정된 현재 상태 정보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형식을 갖는 통계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타임 트래킹 툴은 산출된 통계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근로자나 관리자는 타임 트래킹 툴이 생성한 통계 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이 소속된 팀 내에서 본인 혹은 근로자가 얼마나 업무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통계 정보는 텍스트, 표, 그래프 및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외부 프로그램(예를 들면, 엑셀)을 통해 열 수 있는 파일의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Claims (19)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사용자 단말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업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업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는 단계; 및
    (c)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실제 수행한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업무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에 대한 제목, 세부 정보 및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포함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업무 정보의 제목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갖는 다른 업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의 결과로 산출된 상기 다른 업무 정보가 소모한 실제 업무 시간을 기초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추천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업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통해 복수의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하며, 상기 (b) 단계 이후 관리자 단말이 선택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수정받아, 상기 (b)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또는 단말의 실시간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에 대한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기 인식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이탈한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이탈한 이후 다른 제 2 사용자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의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기 인식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기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가지면 동일인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탈한 횟수를 차감하며, 서로 다른 인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사용자가 자리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의 실시간 화면 정보를 수신되면, 상기 화면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현재 상태 정보 및 상기 업무 완료 정보가 수신된 시간을 기반으로 실제 업무 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현재 상태 정보가 실제 근무 상황에 대응되면, 상기 현재 상태 정보가 설정되어 지속된 시간을 상기 실제 업무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실제 업무 시간을 업무에 참여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각각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혹은 관리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업무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에 참석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여 그루핑을 수행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복수의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업무에 대응되는 업무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진행중인 업무에 대한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리스트를 복수의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공유하되,
    상기 작업 리스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업무 및 상기 업무에 대한 우선 순위가 포함되며,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수정기능이 제공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 정보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공유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제 근무 상황 동안 설정됐던 각각의 상기 현재 상태 정보 및 설정된 상기 현재 상태 정보가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형식을 갖는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및 근로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제 2 사용자 단말이 함께 이용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업무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생성된 채팅 로그를 수신하고,
    상기 채팅 로그로부터 채팅 횟수, 채팅 텍스트의 량, 부재 중 시간 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가 근태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근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출근여부 및 출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업무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업무 평가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 평가 리포트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직급 정보, 상기 업무 평가 점수, 근로시간 및 사내 혜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평가 점수와 근로 시간은 소정의 기간별 달성해야 하는 목표값과 달성한 수치를 함께 표현하는 형태로 표시하여, 상기 업무 평가 점수 및 근로 시간이 상기 목표값을 달성하면, 상기 직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게임화(gamification)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사용자 단말로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업무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업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업무 정보에 포함된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실제 업무 시간과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비교 결과 및 업무의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업무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업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행할 업무에 대한 제목, 세부 정보 및 상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가 포함되고,
    상기 업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업무 정보의 제목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갖는 다른 업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의 결과로 산출된 상기 다른 업무 정보가 소모한 실제 업무 시간을 기초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추천하고,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는 과정은
    상기 업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통해 복수의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하며,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은 이후 관리자 단말이 선택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예상 업무 시간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의 선택지를 수정받아, 상기 예상 업무 시간을 선택받는 과정을 재수행하고,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기 이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또는 단말의 실시간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에 대한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기 인식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제 1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이탈한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이탈한 이후 다른 제 2 사용자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의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기 인식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기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가지면 동일인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탈한 횟수를 차감하며, 서로 다른 인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사용자가 자리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의 실시간 화면 정보를 수신되면, 상기 화면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여 상기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현재 상태 정보 및 상기 업무 완료 정보가 수신된 시간을 기반으로 실제 업무 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현재 상태 정보가 실제 근무 상황에 대응되면, 상기 현재 상태 정보가 설정되어 지속된 시간을 상기 실제 업무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실제 업무 시간을 업무에 참여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각각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업무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부터 이탈한 이후 다른 제 2 사용자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의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기 인식된 상기 제 1 사용자의 얼굴, 신체, 옷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기설정된 유사도 이상을 가지면 동일인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탈한 횟수를 차감하며, 서로 다른 인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사용자가 자리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장치.
  19. 제 1 항에 의한 업무의 정량화 기반 근태를 평가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10155646A 2021-11-12 2021-11-12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63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46A KR102633857B1 (ko) 2021-11-12 2021-11-12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46A KR102633857B1 (ko) 2021-11-12 2021-11-12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529A KR20230069529A (ko) 2023-05-19
KR102633857B1 true KR102633857B1 (ko) 2024-02-07

Family

ID=8654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46A KR102633857B1 (ko) 2021-11-12 2021-11-12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408B1 (ko) 2023-10-27 2024-03-13 주식회사 잡위드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17B1 (ko) * 2017-02-15 2018-08-02 최재호 근무평가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근무평가관리 장치,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및 근무평가관리 프로그램
JP2019207739A (ja) * 2019-09-12 2019-12-05 株式会社フュージョンズ ホールディングス 勤怠管理サーバ、勤怠管理システム、勤怠管理方法及び勤怠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03B1 (ko) *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0557A (ko) * 2015-05-04 2016-11-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20414B1 (ko) * 2019-07-04 2021-02-24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업무 시간 관리 프로그램, 그리고 이를 구현한 사용자 단말 및 업무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17B1 (ko) * 2017-02-15 2018-08-02 최재호 근무평가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근무평가관리 장치,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및 근무평가관리 프로그램
JP2019207739A (ja) * 2019-09-12 2019-12-05 株式会社フュージョンズ ホールディングス 勤怠管理サーバ、勤怠管理システム、勤怠管理方法及び勤怠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529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6552A1 (en)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Aggregate and Analyze Exact Effort and Time Productivity
US70692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nel management collaboration
Kautz et al. Knowledge, learning and IT support in a small software company
US10853744B2 (en) Distributing a task to multiple workers over a network for completion while providing quality control
US7324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ational risk based on personnel planning factors
US70824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matrix management of personnel planning factors
US20170213169A1 (en)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organization management
US20200050996A1 (en) High level workforce as a service delivery using a cloud-based platform
US11023859B2 (en) Using virtual currency to compensate workers in a crowdsourced task
US779269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d crediting a solution to a business issue of a current client
US20030004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erformance reviews
US20120282576A1 (en) System for managing formal mentoring programs
US2014027962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employee teams
US8694487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KR102633857B1 (ko)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US20160196616A1 (en)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CN113393060A (zh) 任务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300048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ersonnel compensation planning factors
Richardson Process governance best practices: Building a BPM center of excellence
CN111523810A (zh) 企业级模型管理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US20140278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ning employee teams
US200300047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nel planning factors
WO2010077512A2 (en) Dynamic data processing applications with data phasing and work management
US20200202278A1 (en)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Compliance Metering and Reporting
JP2020052802A (ja) 作業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