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503B1 -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503B1
KR100959503B1 KR1020070114539A KR20070114539A KR100959503B1 KR 100959503 B1 KR100959503 B1 KR 100959503B1 KR 1020070114539 A KR1020070114539 A KR 1020070114539A KR 20070114539 A KR20070114539 A KR 20070114539A KR 100959503 B1 KR100959503 B1 KR 10095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module
user
execution plan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237A (ko
Inventor
정진기
최연식
한제성
하동기
김윤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산업
Priority to KR102007011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삶의 일정을 균형있게 스케줄링하도록 하고, 사용자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협업자를 검색하도록 하는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일정 자동 스케줄링 방법이다.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은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가, 목표에 기초하여 실행 계획 (템플릿) 을 수립하는 실행 계획 모듈, 사용자 플래너의 일정을 관리하는 플래너 모듈, 실행 계획에 기초하고, 플래너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사용자 일정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고, 협업자를 검색하는 스케줄링 모듈, 일정 계획을 검색된 협업자에게 송신하는 송신 모듈과 이에 대한 협업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로 구성된 커뮤니티 모듈, 및 일정 계획의 완료 여부에 따라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을 관리하는 역량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래너 모듈, 스케줄링 모듈, 일정 자동 스케줄링, 협업자 자동 검색

Description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플래너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개인 일정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개인의 일정을 자동 스케줄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존재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의 목표, 사용자의 선행 일정,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역량과 목표 업무별로 요구되는 필요 역량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을 스케줄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있었을 뿐이며, 또한, 사용자가 스케줄러에 일정 계획을 입력하는 방식의 시스템 및 방법이 존재하여 왔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의 플래너와 연동하여 사용자 개인 업무와 업무외 생활을 균형있게 관리하도록 하는 시스템 또는 방법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임의의 업무에 대해 협업자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업무 분배자가 임의로 협업자를 선택하거나, 업무의 담당자인 사용자가 임의로 협업자를 선택하여 왔을 뿐, 협업을 요하는 업무의 특성 및 필요 역량, 협업자로 선택될 수 있는 후보자들의 보유 역량 등을 고려하지 않고 협업자를 선택하는 시스템 또는 방법 에 대해서만 논의하여 왔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와 협업자가 서로의 일정을 공유하여 공동으로 추진하는 업무를 더 원활하게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플래너 또는 스케줄러는 업무를 분배함에 있어서, 개인의 일정이나 보유 역량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업무 분배자가 임의로 업무를 분배하였고, 업무를 배정받은 개인은 스스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정 계획을 수립 및 관리해야 했다. 또한, 다수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하는 협업 업무에 대해서도 관련자 및 협업자의 일정이나 보유 역량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임의의 다수자가 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왔다.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의 보유 역량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업무를 분배하고, 또한, 업무의 진행 상황을 전적으로 개인이 관리, 조정해야 하는바, 업무 분배, 업무 달성, 또는 협업의 효율성이 떨어졌던 것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의 플래너와 목표관리 시스템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삶의 일정을 균형있게 스케줄링하도록 하고, 사용자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협업자를 검색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된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를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가, 목표에 기초하여 실행 계획 (템플릿) 을 수립하는 실행 계획 모듈, 사용자 플래너의 일정을 관리하는 플래너 모듈, 실행 계획에 기초하고, 플래너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사용자 일정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고, 협업자를 검색하는 스케줄링 모듈, 일정 계획을 검색된 협업자에게 송신하는 송신 모듈과 이에 대한 협업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로 구성된 커뮤니티 모듈, 및 사용자와 협업자가 일정 계획의 완료 여부에 따라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을 관리하는 역량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원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삶의 일정을 균형있게 스케줄링하도록 하고, 사용자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협업자를 검색하도록 하는, 일정 자동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템플릿 (실행 계획) 검색을 위해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상응하는 템플릿을 자동 검색하고, 필요 역량, 일정 계획등을 포함하는 템플릿의 프로세스 정보를 제공하고, 템플릿 및 사용자 플래너와 연동하여, 사용자 플래너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을 수립하고, 템플릿과 연동하고, 일정 계획 및 프로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협업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협업자의 플래너와 연동하고, 협업자의 역량 정보와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협업자를 자동으로 선 택하고, 선택된 협업자에게 협업 가능 여부를 묻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선택된 협업자로부터 "협업 가능"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사용자와 선택된 협업자가 일정 계획과 관련된 서로의 일정 정보를 즉시 공유하고, 일정 계획의 완료 여부에 따라, 필요 역량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협업자의 역량을 조정하여 자동 저장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플래너와 상호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목표 (업무 목표, 사명, 역할 목표 등), 기존 일정, 사용자의 보유 역량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일정 스케쥴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업 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협업자 후보들의 일정 및 역량, 일정 (태스크) 수행에 필요한 목표 역량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협업자를 자동 선택함으로써 협업 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련자들이 자신의 일정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의 일정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조화롭게 업무 일정을 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는 협업 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조직의 관리자로서는 조직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업 업무에 있어서 일정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을 보유한 구성원만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를 개발하고자 하는 구성원을 투입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필요한 역량개발을 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고, 사용자가 목표 일정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자신의 목 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의 효과는 업무 수행 측면에서만 발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사용자 개인의 삶과 일을 조절하여, 균형있는 삶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단말기 (300) 또는 휴대 단말기 (400) 를 통해 통신망 (200) 에 접속할 수 있고, 통신망 (200) 을 통해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와 접속된다.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휴대 단말기 (400) 는 사용자가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터넷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망 (200) 을 통하여 그 접속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는 실행 계획 모듈 (110), 플래너 모듈 (120), 스케줄링 모듈 (130), 커뮤니티 모듈 (140), 및 역량 관리 모듈 (150) 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 (300) 또는 휴대 단말기 (400) 를 이용하여 검색어 (예, 실행하고자 하는 목표) 를 입력하면 이는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의 실행 계획 모듈 (110) 로 전달된다. 실행 계획 모듈 (110) 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기초하여 실행 계획 (템플릿) 을 수립하며, 이 때, 실행 계획 모듈 (110) 은 데이터베이스 (DB; 160) 에 저장된 기존의 템플릿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플래너 모듈 (120) 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플래너의 기존 일정을 관리한다. 스케줄링 모듈 (130) 은 실행 계획 모듈이 수립한 실행 계획에 기초하고, 사용자 플래너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사용자 플래너 일정의 빈 시간대에 실행 계획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고, 사용자와 협업을 수행할 협업자를 검색한다. 협업자를 검색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다음에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커뮤니티 모듈 (140) 은 스케줄링 모듈로부터 스케줄링된 일정 계획등을 포함하는 일정 정보를 전달받아, 검색된 협업자에게 스케줄링된 일정 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협업 가능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협업 가능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수신한 협업자는 이에 대한 응답을 커뮤니티 모듈로 송신하며, 커뮤니티 모듈은 협업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역량 관리 모듈 (150) 은 구성원들의 역량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일정 계획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을 관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커뮤니티 모듈 (140) 과 역량 관리 모듈 (150) 은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는 구성이다.
도 2 는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의 각 구성을 구체적인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에 포함되는 실행 계획 모듈 (110) 은, 템플릿 모듈 (112), 데이터동기화모듈 (114), 실행 계획 결정 모듈 (11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모듈 (112) 은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일정 계 획 (예를 들어, 업무) 의 순서, 각 일정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필요역량, 역량별 평균 수행시간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동기화모듈 (114) 은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기를 통해 동시에, 프로세스 정보에 기초한 하나의 일정 계획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화된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제공하며, 실행 계획 결정 모듈 (116) 은 일정 계획에 참여한 단말기들이 동일한 화면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실행계획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 에서 플래너 모듈 (120) 은 사용자 플래너의 일정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세부적인 예시적 구성으로서 사명서 관리 모듈 (122), 업무 관리 모듈 (124), 일정 계획 수립 모듈 (12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명서 모듈 (122) 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플래너에 입력된 사명에 기초하여 사용자 개인의 사명서를 관리한다. 사용자의 사명은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변동가능한 것이므로, 사명서 모듈이 사용자의 사명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 등을 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의 사명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업무 관리 모듈 (124) 은 사용자의 플래너에 입력된 일정 중 업무에 관련된 사용자의 할 일을 관리한다. 또한, 일정계획수립 모듈 (126) 은 실행 계획 모듈이 수립한 실행계획과 관련된 사용자의 구체적인 일정 계획을 수립하며, 이 때 사명서 모듈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개인의 사명과 업무 관리 모듈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업무에 기초하여 일정 계획을 수립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모듈 (130) 은 스케줄러 모듈 (132) 과 스케줄 체크 모듈 (134) 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러 모듈 (132) 은 사용자 플래너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실행 계획에 기초하여 플래너 모듈에서 수립된 일정 계획을 사용자 플래너 일정 중 빈 시간대에 자동으로 스케줄링하고, 협업자를 검색한다. 자동 스케줄링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플래너에는 사용자의 기존 일정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일정이 배정되지 않은 사용자 플래너 일정의 빈 시간대에, 템플릿의 프로세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수립된 사용자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는 것이다. 또한, 협업자 검색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케줄러 모듈은 실행 계획 모듈과 연동하여 템플릿의 프로세스 정보 및 플래너 모듈에서 수립된 일정 계획에 기초하여 협업자를 검색한다. 협업자를 검색할 때에는 구성원들의 플래너와 연동하여 구성원들의 기존 일정을 파악할 수 있고, 구성원의 플래너 일정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협업자를 검색한다. 그 후, 일정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빈 시간을 갖는 검색된 협업자들의 역량 정보와 협업자의 플래너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협업자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최적의 협업자라 함은 일정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빈 시간을 갖는 구성원들의 보유 역량과 일정 계획을 수행함에 필요한 필요 역량을 비교할 때, 필요 역량에 상응하는 보유 역량을 갖는 구성원을 의미한다. 스케줄 체크 모듈 (134) 은 사용자의 일정 (스케줄) 을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정 계획 수행과 관련하여 알람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알람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 스케줄 체크 모듈에 의해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스케줄이 체크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스케줄이 체크되는 주기를 목표 완료 일자 한 달전, 일주일 전, 하루 전 등으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커뮤니티 모듈 (140) 은 송신 모듈 (142) 과 수신 모듈 (144) 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듈 (142) 은 스케줄링된 사용자 일정에 관한 정보를 협업자에게 송신하고, 협업자로 선택된 구성원에게 협업 가능 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 (144) 은, 협업 가능 여부를 묻는 메세지에 대한 협업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협업자는 "협업 가능" 또는 "협업 불가능" 등의 응답을 수신 모듈 (144) 로 송신할 수 있다.
역량 관리 모듈 (140) 은 구성원들의 역량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세부적인 예로는, 보유 역량 모듈 (152) 과 목표 역량 모듈 (154) 을 포함할 수 있다. 보유 역량 모듈 (152) 은, 구성원들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관리하고, 목표 역량 모듈 (154) 은 구성원들이 개발시키고자 하는 목표 역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일정 계획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구성원들 (사용자 및 협업자) 의 역량을 관리할 수도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사용자 및 협업자가 목표 기한 내에 일정 계획을 완료한 경우에는 보유 역량 모듈에서 구성원들의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역량 레벨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식으로 역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 에서 언급되었던 "템플릿"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템플릿이라 함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전문가에 의해 고안된 정형화된 양식으로서, 템플릿에 의해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계획이 순차적으로 관리되어지며,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실행 프로세스가 전문가에 의해 미리 최적화된 템플릿으로 제안된다. 아래의 표 1 에는 예시적인 템플릿의 프로세스 흐름도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7080689361-pat00001
<표 1>
표 1 에서는 균형적으로 사용자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스케줄링에 있어서 템플릿 프로세스 흐름도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1,2,~16" 과 같은 숫자는 예시적인 프로세스 순서이다. 각 프로세스마다 템플릿(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7. 역량정보" 에 대해서는 "개인역량 평가서", "이해관계자 역량 평가서", 및 "실행 계획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 일람표" 등의 템플릿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13. 해결 방안" 에 대해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대안들의 평가 기준", 및 "최적안 선정" 등의 템플릿이 설정될 수 있다. 템플릿의 종류에는 목표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템플릿, 수행절차의 편리성 제공을 위한 템플릿, 정보취득/교육을 위한 템플릿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템플릿의 예로는 CS 마케팅 프로세스 템플릿, 결혼 준비 템플릿, 식단 템플릿 등이 있을 수 있다. 아래의 표 2 에서는 템플릿의 일 예로서 CS 마케팅 프로세스 템플릿이 개시되어 있고, 아래의 표 3 에서는 템플릿의 다른 일 예로서 결혼 준비 템플릿이 개시되어 있고, 표 4 에서는 템플릿의 또 다른 예로서 식단 템플릿이 개시되어 있다. 표 2 에서는, CS 마케팅 프로세스 템플릿의 실행 항목이 단계별로 예시되어 있고, 각 단계별 세부대책이 예시되어 있는데, 1 단계에 해당하는 "1. 키맨 확인" 항목의 세부 대책은 1.1 키맨 정보 수집, 1.2 고객 본사의 핵심 담당자 파악, 1.3 핵심 담당자의 주요 관심사 파악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7080689361-pat00002
<표 2>
Day Task Memo 완료여부
D-90 약혼발표
상견례 및 택일
예식장 결정



허니문 정보 입수




신혼여행 예산
신혼집 결정
혼수품목결정
D-60 피로연,답례품
예물 예단 상의
청첩장 리스트
웨딩드레스 결정
신부화장 상담
허니문 예약
혼수시장조사
신혼집 계약
D-30
D-1
D- day
D+1
<표 3>
Figure 112007080689361-pat00003
<표 4>
이하에서는 도 1 및 2 에서 언급되었던 "역량 정보"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역량 정보는 어떠한 업무를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상이한 템플릿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S 마케팅 업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 정보로는 제품에 대한 지식, 고객에 대한 이해, 관계 구축 능력, 커뮤티케이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의사 결정 능력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외의 역량 정보들도 템플릿 작성시에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역량 정보의 각각의 역량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역량 정보의 내용이 정의될 수 있으며, 아래의 표 5 에서는 템플릿의 일 예로서 CS 마케팅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 량정보의 예시를 개시하고 있다.
역량코드 역량 구분 내용
1 제품지식 제품에 대한 제반 사항을 이해
2 고객이해 고객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고객의 구매 행동에 기초하여 잠재된 니즈를 감지
3 관계구축
4 커뮤니케이션
5 문제해결
6 프리젠테이션
7 마케팅
8 시장예측
<표 5>
여기서, CS 마케팅 업무수행을 하는 데에 있어서, "제품 지식" 이라는 역량은 역량 코드 "1" 로 저장되고, 그 내용은 제품에 대한 제반 사항을 이해하는 역량이 된다. 또한, "고객 이해" 라는 역량은 역량 코드 "2" 로 저장되고, 그 내용은 고객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고객의 구매 행동에 기초하여 잠재된 니즈를 감지하는 역량이 된다. "제품 지식" 이나 "고객 이해" 와 같은 역량 외에 여러 종류의 역량이 템플릿과 관련한 필요 역량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역량에 대한 내용이 정의될 수 있다. 아래의 표 6 에서는 표 5 의 예시 역량 각각에 대해 레벨별 필요 역량의 예시가 개시되어 있다. 역량 중 "제품 지식" 과 관련하여, 제품 특징과 구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정도를 레벨 1 로 정의하고, 제품의 판매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는 정도를 레벨 2 로 정의하고, 경쟁사 제품 전략과 차별화된 전략 개발을 할 수 있는 정도를 레벨 3 으로 정의하고, 제품 관련 미래 기술 동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도를 레벨 4 로 정의하는 예시와 같이, 역량별 레벨을 정의할 수 있으며, 표 6 은 예시적인 것이다.
역량 레벨 내용
제품지식 Level1 * 제품 특징과 구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음
Level2 * 제품의 판매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음
Level3 * 경쟁사 제품 전략과 차별화된 전략 개발을 할 수 있음
Level4 * 제품관련 미래 기술 동향을 예측할 수 있음
고객이해 Level1 *고객별 특징과 차이점, 트랜드 파악
<표 6>
아래의 표 7 에는 템플릿의 일 예로서 CS 마케팅 템플릿과 필요 역량과의 관계의 예시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7080689361-pat00004
<표 7>
또한, 표 7 에서는 실행항목을 대분류로 하고, 각 실행항목에 대한 세부대책을 중분류로 했을 때, 각 중분류에 대한 필요 역량을 개시하고 있다. 일 예로, 키맨 정보 수집이라는 중분류와 관련해서는 고객 이해, 관계 구축, 문제 해결 능력, 사업 이해 능력이라는 역량이 필요한데, 각각은 "레벨 1" 만큼의 역량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실행 항목, 세부 대책, 필요 역량의 레벨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또한, 상기 세부대책별 필요 역량의 표준 소요시간 또는 표준 준비 시간을 지정하여 둘 수도 있다. 표 8 은 예시적인 세부대책별 역량의 표준 소요시간 및 준비 시간의 예시를 개시한다.
실행항목 세부대책 역량-레벨 소요시간 준비시간
1.키맨확인 1.키맨정보수집 고객이해 - Level1 4Days 3Days
고객이해 - Level2 3Days 2Days
<표 8>
이렇게 템플릿에 역량 레벨별 표준 소요시간이 정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작일자 또는 목표 완료 일자를 입력하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의 보유 역량 레벨과 역량 레벨별 표준 소요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템플릿 전체 소요 일정과 사용자가 입력한 시작일자 또는 목표 완료 일자를 비교하여 템플릿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자동으로 스케쥴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케줄링 결과에 의해 나온 완료예정일자가 너무 늦는 경우는 더 높은 역량 레벨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를 투입하여 완료일자를 단축시킬수 있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완료예정일자가 너무 늦다는 것은, 템플릿 전체 소요 일정과 입력된 목표 완료 일자를 비교했을 때 목표 완료 일자가 템플릿 전체 소요 일정의 완료 예정 일자보다는 앞서지만, 목표 완료 일자와 완료 예정 일자의 차이가 리뷰에 필요한 기간 (템플릿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3~7 일)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도 1 과 관련된 실시형태에 더하여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 (100) 가 역할 목표 모듈 (170) 과 메뉴 관리 모 듈 (18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할 목표 모듈 (170) 은 사용자의 역할별 역량 개발을 위한 목표를 관리하고, 메뉴 관리 모듈 (180) 은 사용자 일정의 빈 시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용한 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를 관리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각 사용자는 개인이 처한 환경 여건에 따라 여러가지 역할을 동시에 갖게 되는데, 예를 들어, 아버지, 남편, 아들, 직장인, 친구, 자기계발자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각 역할별로 개인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수립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아버지" 로서의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별 목표에 따른 할 일은 매일, 매주, 매월 또는 주 몇회라는 주기에 따라 각 주기별로 사용자 플래너 일정에 자동으로 설정되어 역할을 충실히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일정 기간동안 사용자가 실천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역할에 집중되었다던지 아니면 어떤 역할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였다는 역할별 실천 비율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균형적으로 역할별 목표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메뉴관리모듈은 역할목표모듈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역할목표모듈에서 역할에 따라 해야 할 일이 자동 스케줄링되는 것과는 다르게, 메뉴관리모듈에서는 사용자의 취미활동 또는 관심분야에 따라 할 일이 자동 스케줄링되도록 지원한다. 즉, 사용자의 취미활동이나 관심분야의 내용을 선택하면 사용자 플래너의 비어있는 시간이 되었을 때 사용자가 선택한 취미활동이나 관심분야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목표에 따른 템플릿에 의해 1차적으로 사용자의 일정이 자동 스케줄링되고, 템플릿에 기초한 자동 스케줄링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일정에 빈 시간이 남아있으면 역할 목표 모듈 (170) 에 의해 사용자의 역할목표가 관리되면서, 역할목표에 따라 사용자 일정을 (주기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스케줄링하고, 그래도 사용자 일정에 빈 시간이 남아 있거나 갑자기 계획된 일 (TASK) 이 취소되어 빈 시간이 생기게 되면 메뉴관리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취미활동 또는 관심분야에 따른 할 일이 관리되면서, 취미활동 또는 관심분야에 따라 일정을 스케줄링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스케줄링의 우선순위는 바뀔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역할별 목표, 목표에 따른 템플릿의 시간 배정, 메뉴 관리 순서로 두는 경우에는, 제 1 순위로 역할 목표 모듈에 의해 역할별 목표에 따라 사용자 일정을 관리 및 스케줄링하고, 사용자 일정에 빈 시간이 남아있다면, 제 2 순위로 템플릿에 의해 사용자의 일정을 자동 스케줄링하고, 이후에도 사용자 일정에 빈 시간이 남아있다면, 제 3 순위로 메뉴관리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취미활동 또는 관심분야에 따른 할 일을 관리 및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삶의 일정을 균형있게 스케줄링하도록 하고, 사용자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최적의 협업자를 검색하도록 한다. 단계 410 에서, 사용자는 우선 템플릿 (실행 계획) 검색을 위해 검색어를 입력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CS 마케팅", "결혼 준비" 등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420 에서, 입 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템플릿이 자동 검색되고, 검색된 템플릿의 프로세스 정보가 제공된다. 템플릿의 프로세스 정보에는 템플릿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 템플릿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필요 역량 정보 (필요 역량 또는 필요 역량 레벨), 일정 계획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해당 템플릿이 검색되면, 단계 430 에서 검색된 템플릿 및 사용자 플래너와 연동하여, 사용자 플래너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사용자 플래너에는 사용자의 기존 일정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일정이 배정되지 않은 사용자 플래너의 빈 시간대에, 템플릿의 프로세스 정보에 포함된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일정을 스케줄링 한 후, 단계 440 에서는 템플릿과 연동하여, 일정 계획 및 프로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협업자를 검색한다. 협업자를 검색할 때에는 검색된 협업자의 플래너와 연동하여 협업자의 기존 일정을 파악할 수 있고, 협업자의 플래너 일정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협업자를 검색한다. 그 후, 일정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빈 시간을 갖는 선택된 협업자들의 역량 정보와 협업자의 플래너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협업자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최적의 협업자라 함은 일정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빈 시간을 갖는 구성원들의 보유 역량과 일정 계획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을 비교할 때, 필요 역량에 상응하는 보유 역량을 갖는 구성원을 의미한다. 최적의 협업자가 선택되면, 단계 450 에서 선택된 협업자에게 협업 가능 여부를 묻는다. 이 때 협업자는 "협업 가능" 또는 "협업 불가능" 등의 응답을 송신할 수 있으며, 협업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460 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와 선택된 협업자 간에 템플릿에 기초한 일정 계획과 관련된 서로의 정보를 즉시 공유하고, 이후 단계 470 에서는 목표 완료 일자가 도래하였을 때, 일정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을 조절한다. 목표 완료 일자에 "일정 완료" 된 경우에는, 수행된 템플릿 프로세스 정보 중 필요 역량에 해당하는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 레벨을 자동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고, 목표 완료 일자에 "일정 미완료" 된 경우에는 수행된 템플릿 프로세스 정보 중 필요 역량에 해당하는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 레벨을 자동으로 한 단계 다운그레이드시키는 것과 같이,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을 조절하여, 자동 조절된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단계 450 에서, 최적의 협업자가 "협업 불가능" 이라고 응답한 경우에는 다시 단계 440 으로 되돌아가서, 선택되었던 최적의 협업자를 제외하고 일정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빈 시간을 갖는 나머지 구성원들 중에서 협업자를 다시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협업자도 협업 가능한지 불가능한지에 대해 일정 합의 단계를 거치고, 이러한 단계는 협업 가능한 협업자가 결정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스케줄링 모듈에 의한 일정 자동 스케줄링을 상세히 살펴본다. 스케줄러는 우선,템플릿 모듈의 프로세스 정보를 입수한다. 이 프로세스 정보에는 템플릿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태스크 (task), 템플릿 전체가 소요되는 일정, 해당 태스크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역량 정보 및 역량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정보를 입수한 후, 스케줄러는 프로세스 정보 중 템플릿 전체가 소요되는 일정과 사용자 (주관자) 가 입력한 목표 완료 일자를 비교하여, 일정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실행 가능 여부 판단은, 검색된 템 플릿 전체의 소요 일정과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 완료 일자를 비교하여, 템플릿 전체의 소요 일정의 예상 완료 일자가 목표 완료 일자와 같거나, 목표 완료 일자보다 앞서는 경우에 태스크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태스크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가 수정된 목표 완료 일자를 입력한다. 태스크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프로세서는 구성원들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일정의 해당일자에 빈 시간을 갖는 구성원들을 후보자로서 선택한다. 그 후, 스케줄러는 선택된 후보자들의 역량 정보 또는 역량 레벨과 해당 태스크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필요 역량 정보 및 역량 레벨을 비교하여, 필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후보자를 협업자로서 선택한다. 이 때, 태스크가 "긴급" 한 경우에는 태스크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보다 높은 레벨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자들을 협업자로서 선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 역량보다 높은 레벨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협업자들을 투입하여 태스크를 신속히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태스크가 "긴급하지 않음" 의 경우에는 태스크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을 자신이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 역량으로 하고 있는 구성원을 협업자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태스크를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 역량을 보유한 구성원들만이 협업자로서 참여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업무 편중 현상등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필요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구성원이라 할지라도, 그 필요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면, 공동 업무를 수행하면서 자기가 목표로 하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스크가 "중요" 한 경우에는 목표 완료 일자까지의 사용 자 플래너의 일정 중 빈 시간에 최대한의 시간을 배정하고, 협업자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태스크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와 과거 경력이 반영된 협업자의 역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협업자를 선택하며, 보다 높은 레벨의 역량을 지닌 자를 관련자로 두어 검토하게 할 수도 있다. 만약, 태스크가 "투자" 의 성격을 띄는 경우 (긴급하지는 않으나 추후 중요한 태스크) 에는 사용자 플래너 일정의 빈 시간을 활용하여 태스크 수행이 가능하도록 배정을 하되, 태스크 수행에 필요한 필요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 필요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 역량으로 하고 있는 구성원과 필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구성원을 협업자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수행하고자 하는 태스크의 성격이 "긴급" 하다 함은, 관련된 템플릿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것이지만, 사용자가 긴급한 정도에 따라서 "매우 긴급", "긴급", "긴급하지 않음" 과 같이 3 단계로 설정할 수 있으며, 태스크의 성격이 "중요" 하다고 하는 것도, 관련된 템플릿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것이지만, 사용자가 중요한 정도에 따라서 "매우 중요", "중요", "중요하지 않음" 과 같이 3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단계를 세분화하여 긴급도와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5 에서 협업자를 선택한 후에는, 선택된 협업자와의 일정 합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도 4 에서의 일정 합의 과정 (단계 450) 과 같다.
도 6 은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의 일정 알람 기능의 일 예를 도시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알람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알람 기능을 설정한 경우에는, 태스크 완료 기한이 도래하였을 때 태스크의 담당자 (사용자 및/또는 협업자) 가 시스템에 로그온 되어있는 경우에는, 스크린 상에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기한이 도래되었음을 알리고, 태스크의 담당자가 시스템에 로그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SMS 등을 이용하여 기한이 도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정을 통해 완료 기한 한달 전, 완료 기한 일주일 전, 완료 기한 하루 전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알람 기능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알람 기능을 통해 태스크의 담당자들은 태스크가 완료되어야 하는 기한을 망각하지 않고, 자신의 태스크 수행 속도를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태스크 수행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동작하므로, 이러한 알람 기능을 사용자나 협업자가 설정하여 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경우 외에도, 업무를 총괄하는 총괄자가 설정하거나 작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태스크의 담당자 (사용자 (A), 협업자 (B)) 와 총괄자 (C) 가 존재할 때, 태스크 완료 기한을 사용자 (A) 와 협업자 (B) 만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총괄자 (C) 도 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태스크 완료 기한이 다가오면 총괄자 (C) 도 완료 기한이 도래했다는 사실을 스크린 (온라인의 경우) 이나 SMS (오프라인의 경우) 를 통해 인식할 수도 있게 설정될 수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태스크 완료 기한까지 태스크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하여, 조직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템플릿 태스크의 스케줄링 방법을 개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의 알람 기능을 도시한다.

Claims (13)

  1.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삶의 일정을 균형있게 스케줄링하도록 하고, 사용자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협업자를 검색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된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를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온라인 실행 계획 서버부는,
    상기 목표에 기초하여 실행 계획 (템플릿) 을 수립하는 실행 계획 모듈;
    사용자 플래너의 일정을 관리하는 플래너 모듈;
    상기 실행 계획에 기초하고, 상기 플래너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일정의 빈 시간대에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하고, 협업자를 검색하는, 스케줄링 모듈;
    상기 일정 계획을 상기 검색된 협업자에게 송신하는 송신 모듈과 이에 대한 협업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로 구성된 커뮤니티 모듈; 및
    상기 일정 계획의 완료 여부에 따라 사용자 및 협업자의 역량을 관리하는 역량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 계획 모듈은,
    업무의 순서, 각 업무의 필요역량, 역량별 평균 수행시간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정보를 관리하는 템플릿 모듈,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하나의 실행계획에 참여하여 동기화된 데이터를 동일한 화면으로 제공하는 데이터동기화모듈, 상기 참여 단말기들에 의해 동일한 화면을 서로 공유하여 실행계획을 결정하는 실행 계획 결정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너 모듈은,
    사용자의 사명서를 관리하는 사명서 관리 모듈, 템플릿과 관련된 업무를 관리하는 업무 관리 모듈, 시간이 배정되지 않은 실행 계획 항목에 대해 시간을 배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일정 계획 수립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량 관리 모듈은,
    사용자의 보유 역량 정보를 관리하는 보유 역량 모듈; 및
    상기 일정 계획을 수행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목표 역량 정보를 관리하는 목표역량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자의 검색은, 제 1 순위로 상기 보유 역량 정보에 기초하고, 제 2 순위로 상기 목표 역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모듈은, 상기 협업자의 플래너의 일정을 확인하여 자동으로 빈 시간을 알려주는 스케쥴 체크 모듈을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정보는, 사용자의 업무 정보, 역량 정보, 협업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인, 일정 자동 스케쥴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역할별 역량 개발을 위한 목표를 관리하는 역할 목표 모듈, 및
    사용자 일정의 빈 시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용한 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를 관리하는 메뉴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에 의해 상기 스케줄링이 수행된 후, 사용자 일정에 빈 시간이 있다면, 상기 역할 목표 모듈에 의해 상기 역할별 역량 개발을 위한 목표를 관리하고, 그 후에도 사용자 일정에 빈 시간이 있다면 상기 메뉴 관리 모듈에 의해 상기 메뉴를 관리하는, 일정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114539A 2007-11-09 2007-11-09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95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39A KR100959503B1 (ko) 2007-11-09 2007-11-09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39A KR100959503B1 (ko) 2007-11-09 2007-11-09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237A KR20090048237A (ko) 2009-05-13
KR100959503B1 true KR100959503B1 (ko) 2010-05-25

Family

ID=4085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539A KR100959503B1 (ko) 2007-11-09 2007-11-09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306B1 (ko) * 2013-12-20 2015-05-11 김우재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66598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66599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9067A2 (en) * 2009-07-17 2011-01-20 Steamboat Communications, Inc. Project progress display and monitoring
WO2012018690A2 (en) * 2010-08-01 2012-02-09 Cosapien Gmbh Automated contract mediator
KR101245372B1 (ko) * 2011-05-23 2013-03-19 김정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US11449834B2 (en) 2014-03-26 2022-09-20 Delta Pds Co., Ltd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KR101725142B1 (ko) * 2014-03-26 2017-04-11 최재호 전략맵 관리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633857B1 (ko) * 2021-11-12 2024-02-07 주식회사 구름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591038B1 (ko) * 2022-11-30 2023-10-17 신현동 인공지능 캘린더를 활용한 일정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708A (ko)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프로젝트 일정관리 시스템의 문서관리 및 완료일정 자동등록 방법
KR20000054553A (ko) * 2000-06-12 2000-09-05 김경주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0213A (ko) * 2001-09-03 2003-03-08 (주)사공이랩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커뮤니티에 근거한 웹 프로젝트제작 및 관리 시스템과 그에 따른 웹 프로젝트 제작 및관리방법
KR20060124235A (ko) * 2005-05-3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에 일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708A (ko)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프로젝트 일정관리 시스템의 문서관리 및 완료일정 자동등록 방법
KR20000054553A (ko) * 2000-06-12 2000-09-05 김경주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0213A (ko) * 2001-09-03 2003-03-08 (주)사공이랩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커뮤니티에 근거한 웹 프로젝트제작 및 관리 시스템과 그에 따른 웹 프로젝트 제작 및관리방법
KR20060124235A (ko) * 2005-05-3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에 일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306B1 (ko) * 2013-12-20 2015-05-11 김우재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5093914A1 (ko) * 2013-12-20 2015-06-25 김우재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66598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66599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237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503B1 (ko)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Cranshaw et al. Calendar. help: Designing a workflow-based scheduling agent with humans in the loop
US11250386B2 (en) Optimized scheduling of calendar events
US9262732B2 (en) System and method of enterprise action item planning, executing, tracking and analytics
US8200520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automated confirmations of meetings
US200900061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vents of event scheduling applications
US20090089133A1 (en) Integrated calendar and task scheduler
CN105074686A (zh) 用于创建和共享任务的系统和方法
Roundy et al. Capacity-driven acceptance of customer orders for a multi-stage batch manufacturing system: models and algorithms
US201401565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an interview
KR20180068400A (ko)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1438317A (zh) 项目资源计划
US201402786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Field Service Appoint Scheduling
US20110320235A1 (en) Computer controlled meetings calendar scheduler based upon importance of meeting attributes
US20140156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view scheduling
KR20180081021A (ko)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AU2022328125A1 (en) Calendar event schedul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using natural language
US201401563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ffectiveness of interviews and meetings
US20150363746A1 (en) Automated scheduling for a business
US20150363735A1 (en) Tracking customer interactions for a business
CA2799838A1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event facility
WO2018044226A1 (en) Booking system
US20190266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digital calendar into a strategic tool
Liao et al. Improvising harmony: opportunities for technologies to support crowd orchestration
Ash Activity scheduling in the dynamic multi-project setting: choosing heuristics through deterministic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