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99A -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99A
KR20180066599A KR1020160167612A KR20160167612A KR20180066599A KR 20180066599 A KR20180066599 A KR 20180066599A KR 1020160167612 A KR1020160167612 A KR 1020160167612A KR 20160167612 A KR20160167612 A KR 20160167612A KR 20180066599 A KR20180066599 A KR 2018006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ata
gas station
amount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995B1 (ko
Inventor
조용성
박영규
Original Assignee
조용성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성, 박영규 filed Critical 조용성
Priority to KR102016016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9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비정상적인 루트를 통한 유류의 반입을 감지하여 무자료유류 유통정보를 생성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세금계산서 DB와, 각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저장량을 측정하여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유류 계측기, 및 상기 세금계산서 DB와 유류 계측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류에 대한 직접적인 정밀검사를 처리하는 장치를 주유소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자료유류를 구매한 주유소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장치 설치에 의한 과다한 초기비용의 지출이 요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PETROLEUM TRANSACTIONS WITHOUT AUTHENTIC DOCUMENTATION USING MEASUREMENT APPARATUS OF STORAGE QUANTITY}
본 발명은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상적인 루트를 통한 유류의 반입을 감지하여 무자료유류 유통정보를 생성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자료거래 유류와 유사유류 제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차량 피해와 세금 누수가 늘고 있다. 여기서, 유사유류 제품은 조연제 또는 첨가제 등의 명칭 여하에 관계없이 유류제품에 다른 유류화학제품을 혼합하는 방법 등으로 차량이나 기계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을 의미한다.
그동안 무자료거래 유류와 유사유류 제품들은 불법적인 경로로 유통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유사유류 제품과 무자료거래 유류를 정품으로 속여 판매하여 부당이익을 챙기는 주유소가 많이 적발되고 있으며, 정부의 단속 강화에도 불구하고 그 수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사유류 제품만큼이나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정량주유 문제이다. 최근 한국석유관리원은 2014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총 15개월 동안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를 상대로 자동차 연료를 정량보다 3~5%가량 미달되게 판매한 주유소 18곳을 적발하였다.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수사에 따르면, 이들 주유소는 감량 프로그램 유통책으로부터 불법 프로그램이 이식된 메인보드를 대당 200~300만원에 구입해 불법 설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 이들은 정량에 미달되도록 변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기 전 비밀번호를 설정해 석유관리원 단속 시 정량 주유되도록 하는 등 지능적으로 단속을 피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최근 PCB 기판 조작, 프로그램 변조 등 정량미달 조작수법이 진화함에 따라, 정량미달 판매업소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석유관리원에 따르면, 2014년 정량미달로 적발된 업소는 불법시설물 설치 업소를 포함해 총 87개소였으며, 2015년에는 총 149개소(불법시설물 32업소 포함)로 나타났다.
이처럼 선량한 소비자들이 많은 피해를 입고 있지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유사유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피해는 연료계통의 윤활작용 및 자가 청정기능 문제, 부품의 조기 노후화 및 연료계통의 불순물 누적, 정품 휘발유와의 연소속도 차이로 인한 엔진의 부담 가중, 배기가스의 유독성물질 배출, 엔진오일과 확인되지 않은 화학적 반응 등이 발생하게 되는 2차적인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839호(2013.12.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9503호(2010.05.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4011호(2008.06.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유소가 정유사를 통해 구입한 유류량과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잔량을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유사유류, 면세유 불법유통, 절도한 기름의 불법유통 등의 무자료유류를 구매하는 주유소를 검출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유소가 정유사를 통해 구입한 유류량과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잔량 및 소비자에게 판매한 판매량을 실시간 및 누적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유사유류, 면세유 불법유통, 절도한 기름의 불법유통 등의 무자료유류를 구매하고 판매하는 주유소를 검출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세금계산서 DB와, 각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저장량을 측정하여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유류 계측기, 및 상기 세금계산서 DB와 유류 계측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류에 대한 직접적인 정밀검사를 처리하는 장치를 자동차나 주유소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유사유류를 비정상적인 유통경로를 통해 매입한 주유소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장치 설치에 의한 과다한 초기비용의 지출이나 과다한 검사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반적인 유사유류 판별 시스템은 품질이 정품 유류와 동일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구매를 적발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은 국세청 등의 세금 관련 관공서로부터 수집된 주유소의 유류 구매 데이터와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 내의 잔량 증가분을 비교분석하여 보관된 유류의 유류별 증가량이 유류별 유류 구매량을 초과하는 경우를 적발할 수 있으므로, 주유소에 의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구매를 적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 별로 소비자에 판매하는 유류별 유류 판매량과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 내의 잔량 감소분을 비교분석하여 유류별 유류 판매량이 보관된 유류의 유류별 감소량을 초과하는 경우를 적발할 수 있으므로, 주유기의 조작 등을 통해 정량보다 소량을 주유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무자료거래 유류에 대한 판단 정보를 관리감독 기관으로 실시간 또는 요청 시 송출하여 관리감독 기관이 보다 면밀하게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무자료거래 유류를 근절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주유소 기준 유류의 매입량과 매출량을 감시하여 현금영수증을 발행하지 않은 현금 매출에 대해서 매출을 누락하는 주유소를 적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주유소에 보관 중인 유류의 증가량과 감소량을 기준으로 유류 매입량과 매출량의 밸런스 문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주유소의 탈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무선통신 네트워크(이하, '통신 네트워크'라 약칭함)와 연결된 세금계산서 DB(100)와, 주유소 별로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10)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 유량 계측기(200),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세금계산서 DB(100)와 유량 계측기(200)로부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두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주유소별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서버(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세금계산서 DB(100)를 포함한다.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국세청 등의 관공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금계산서 데이터에는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 상호와 유류를 구매한 일시 및 주유소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의 주소,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의 소유자 명칭, 주유소가 구매한 유류의 가격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통신 네트워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각각의 주유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세금계산서 DB(100)는 각 주유소의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세금계산서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유류를 주유소로 판매한 각 정유사가 관리하는 정유사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세금계산서 DB(100)는 정유사 단말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 한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체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세금계산서 DB(100)는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유류의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공서의 세금계산서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세금계산서 관리서버에 저장된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된 관공서의 서버를 세금계산서 DB(100)로 이용하거나, 상기 관공서의 서버에 연결된 상태로 관공서의 서버에 저장된 세금계산서 데이터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세금계산서 DB(100)로 이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류 계측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류 계측기(200)는 각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류 저장탱크(10)의 유류 저장량(잔량)을 측정하여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유류 계측기(200)는 상기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즉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유류 계측기(200)는 유류 저장탱크(10)로 유류가 공급되는 경우에 유류 증가량을 계측하고, 유류 저장탱크(10)로부터 유류가 배출되는 경우에 유류 감소량을 계측한다. 필요에 따라, 유류 계측기(200)는 유류의 증가량 및 감소량뿐만 아니라 총 저장량을 계측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유류 저장량 데이터에는 유류 증가량 또는 유류 감소량이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총 저장량이 포함된다.
또한, 유류 계측기(200)는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기능을 갖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200)는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사의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어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200)는 유선을 통해 근거리에 설치된 유선공유기에 연결되거나, 와이파이 등을 통해 근거리에 설치된 무선공유기에 연결된다. 이때, 유선공유기나 무선공유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에 연결되어 유류 계측기(200)로부터 제공된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계측기(200)는 도 2와 같이 유류를 주입하기 위해 유류 저장탱크(10)의 상부에 구비된 유입구(12)에 결합되는 보호캡(2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호캡(210)은 그 내주면에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2)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된다.
또한, 유류 계측기(200)는 도 3과 같이 보호캡(210)에 설치되고 광발생부(222)와 광검출부(224) 및 계수기(미도시)가 구비된 레이저 거리측정기(220)를 포함한다. 상기 광발생부(222)는 레이저를 부구(240)를 향하여 발광하는 구성이고, 상기 광검출부(224)는 부구(240)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를 감지하는 구성이며, 계수기는 발광된 레이저가 되돌아오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구성이다. 이때, 거리측정은 거리측정기(220)의 조준선과 레이저 광축을 일치시키고 지향성이 우수한 레이저를 발사한 뒤, 이 레이저가 부구(240)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온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거리차를 유량을 환산하여 유량을 표시한다.
아울러, 유류 계측기(200)는 일단이 보호캡(2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류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부구(240)에 끼워지는 승강안내축(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류 계측기(200)는 승강안내축(230)에 끼움 결합되는 부구(240)를 포함한다. 이때, 부구(240)는 유류 저장탱크(10)의 내부로 유류가 유입되면 승강안내축(230)에 끼워진 상태로 광발생부(222) 및 광검출부(224)를 향하여 승강되고, 외부로 유류가 배출되면 광발생부(222) 및 광검출부(224)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하강된다.
또한, 유류 계측기(200)는 레이저 거리측정기(220)를 통해 측정된 값을 원격지에 구비된 중앙서버(300)로 송신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아울러, 유류 계측기(200)는 기존 유류 총 저장량과 새롭게 계측된 유류 총 저장량의 차이를 분석하여 유류의 증감분을 결정하고, 이를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유류 계측기(200)는 유량에 따라 변하는 부구(240)의 높이차에 따라 유량이 측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20)의 광발생부(222)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부구(240)에서 반사된 뒤 다시 광검출부(224)로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환산한 뒤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300)로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결제 데이터 DB(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데이터 DB(400)는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를 구매하기 위해 사용한 소비자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국세청 등의 관공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에는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 상호,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리터당 가격,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 승인일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주소,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전화번호,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가맹점 번호, 신용카드의 카드번호, 신용카드의 카드사명, 공급가액, 부가세, 승인일시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데이터 DB(400)는 통신 네트워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각각의 주유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결제 데이터 DB(400)는 각 주유소의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데이터 DB(400)는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한 각 신용카드사가 관리하는 신용카드사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제 데이터 DB(400)는 신용카드사 단말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 한 결제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체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결제 데이터 DB(400)는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유류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공서의 신용카드 결제정보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데이터 DB(400)는 신용카드 결제정보 관리서버에 저장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신용카드의 결제 데이터가 저장된 관공서의 서버를 결제 데이터 DB(400)로 이용하거나, 상기 관공서의 서버에 연결된 상태로 관공서의 서버에 저장된 신용카드의 결제 데이터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결제 데이터 DB(400)로 이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금영수증 DB(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금영수증 DB(500)는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를 구매하기 위해 현금을 사용한 소비자가 현금 사용을 인증받기 위해 국세청 등의 관공서에 등록하는 현금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국세청 등의 관공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현금영수증 데이터에는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 상호 및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주소,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리터당 가격, 유류를 구매한 시간,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전화번호, 신분번호, 승인금액, 승인번호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현금영수증 DB(500)는 통신 네트워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각각의 주유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현금영수증 DB(500)는 각 주유소의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현금영수증 DB(500)는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공서의 현금영수증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금영수증 DB(500)는 현금영수증 관리서버에 저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현금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된 관공서의 서버를 현금영수증 DB(500)로 이용하거나, 상기 관공서의 서버에 연결된 상태로 관공서의 서버에 저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현금영수증 DB(500)로 이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주유량 검출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주유소의 주유기에 설치되고 중앙서버(3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주유기를 통해 주유된 유류의 주유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유량 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주유량 정보에는 주유된 유류의 종류, 주유된 유류의 용량, 주유기가 설치된 주유소 상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주유기가 설치된 주유소의 주소, 주유기가 설치된 주유소의 소유자 명칭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기능을 갖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주유량 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주유소에 복수개가 설치된 주유기에 각각 설치되며, 근거리에 설치된 게이트웨이(7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게이트웨이(7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에 연결되어 각각의 주유량 검출장치(600)로부터 제공된 주유량 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주유기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 주유량 정보를 주유기로부터 수집하고, 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주유기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유류의 주유량을 직접 계측하여 주유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유량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정량보다 작은 용량이 주유되도록 주유기를 설정한 주유소를 적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주유량 검출장치(600)는 결제 방법에 상관없이 소비자의 차량으로 공급되는 유류의 공급량을 계측하므로, 유류를 현금으로 구매한 소비자 중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은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용량도 주유소의 총 유류 판매량에 포함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앙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300)는 세금계산서 DB(100)와 유량 계측기(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세금계산서 DB(100)에 저장된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류 계측기(200)로부터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중앙서버(300)는 결제 데이터 DB(4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결제 데이터 DB(400)에 저장된 소비자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현금영수증 DB(5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현금영수증 DB(500)에 저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보관 중인 유류의 종류 및 저장량을 추출하며, 개별 주유소의 유류 구매량과 유류 저장량을 분석하여 유류 저장량이 유류 구매량을 초과(유류 잔량의 증가분이 유류 공급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중앙서버(300)는 기존에 개장한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미리 보관중인 유류의 잔량을 조사하여 초기 값으로 반영하고, 유류 구매량과 주유 저장량을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비교한다.
예컨대, 2016년 이전에 개장한 제1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10)에 3,000ℓ의 휘발유가 보관 중인 상태에서 2016년 1월에 정유소로부터 10,000ℓ의 휘발유를 구매한 경우, 유류 계측기(200)가 상기 유류 저장탱크(10)에 15,000ℓ의 휘발유가 저장되었다는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전송하면, 중앙서버(300)는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필요에 따라, 중앙서버(300)는 관리감독 기관의 감시서버(7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관리감독 기관의 감시서버(8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감시서버(800)의 요청에 따라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 및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보관 중인 유류의 종류 및 저장량을 추출하며,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류의 기존 잔량에 유류 구매량을 더한 후 유류 판매량을 뺀 나머지 유류의 제1 잔량이 실제 유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류의 제2 잔량과 일치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제2 잔량이 제1 잔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필요에 따라, 중앙서버(300)는 제2 잔량이 제1 잔량을 초과하더라도 그 오차가 1 내지 1,000ℓ인 경우에는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와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합산하고 이를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 및 유류 저장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며,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현금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보관 중인 유류의 종류 및 저장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과 현금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합산하여 개별 주유소의 합산 유류 판매량을 계산하고,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류의 기존 잔량에 유류 구매량을 더한 후 상기 합산 유류 판매량을 뺀 나머지 유류의 제1 잔량이 실제 유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류의 제2 잔량과 일치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제2 잔량이 제1 잔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제4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 및 주유량 정보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보관 중인 유류의 종류 및 저장량을 추출하며, 주유량 정보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개별 주유소의 유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류의 기존 잔량에 유류 구매량을 더한 후 주유기를 통한 유류 판매량을 뺀 나머지 유류의 제1 잔량이 실제 유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류의 제2 잔량과 일치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제2 잔량이 제1 잔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신규로 개장한 주유소별 유류 구매량과 주유 판매량의 비교는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월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에 개장한 주유소는 저장탱크의 잔량을 조사하여 초기 값으로 반영하고, 유류 구매량과 주유 판매량를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비교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세금계산서 DB 200 : 유류 계측기
300 : 중앙서버 400 : 결제 데이터 DB
500 : 현금영수증 DB 600 : 주유량 검출장치
700 : 게이트웨이 800 : 감시서버

Claims (5)

  1.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세금계산서 DB;
    각 주유소에 구비된 유류 저장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유류 저장탱크의 유류 저장량을 측정하여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유류 계측기; 및
    상기 세금계산서 DB와 유류 계측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관리감독 기관의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결제 데이터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결제 데이터 DB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 및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의 현금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되는 현금영수증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현금영수증 DB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와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합산하고 이를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 및 유류 저장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주유소의 주유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유기를 통해 주유된 유류의 주유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유량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주유량 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주유량 검출장치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유류 저장량 데이터 및 주유량 정보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167612A 2016-12-09 2016-12-09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12A KR101891995B1 (ko) 2016-12-09 2016-12-09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12A KR101891995B1 (ko) 2016-12-09 2016-12-09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9A true KR20180066599A (ko) 2018-06-19
KR101891995B1 KR101891995B1 (ko) 2018-08-28

Family

ID=6279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12A KR101891995B1 (ko) 2016-12-09 2016-12-09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6634A1 (it) * 2019-05-08 2020-11-08 Levantoil S R L Sistema e metodo di tracciamento e di controllo della qualità di un carburan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011A (ko) 2006-12-12 2008-06-17 정대훈 디지털 스케쥴러
KR100959503B1 (ko)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677A (ko) * 2010-04-16 2011-10-24 주식회사 굿윌소프트 중소기업의 비지니스인텔리전스시스템 구축을 위한 거래증빙 수집 자동화 방법
KR101336839B1 (ko) 2011-05-26 2013-12-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유사 석유 제품 및 정량 주유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4105A (ko) * 2013-09-23 2015-04-02 배문준 유류 거래 전자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7752A (ko) * 2012-07-19 2015-06-18 조주현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011A (ko) 2006-12-12 2008-06-17 정대훈 디지털 스케쥴러
KR100959503B1 (ko)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677A (ko) * 2010-04-16 2011-10-24 주식회사 굿윌소프트 중소기업의 비지니스인텔리전스시스템 구축을 위한 거래증빙 수집 자동화 방법
KR101336839B1 (ko) 2011-05-26 2013-12-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유사 석유 제품 및 정량 주유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7752A (ko) * 2012-07-19 2015-06-18 조주현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150034105A (ko) * 2013-09-23 2015-04-02 배문준 유류 거래 전자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6634A1 (it) * 2019-05-08 2020-11-08 Levantoil S R L Sistema e metodo di tracciamento e di controllo della qualità di un carbur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995B1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689B1 (en) Polling remote fueling sites for product leve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US8275719B1 (en) Electronic settlement of petroleum and gas distributions
Stoyanov Tariff evasion and rules of origin violations under the Canada‐US Free Trade Agreement
WO2008142423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yment cards and fuel cards
CN110246030A (zh) 多方联动的贷后风险管理方法、终端、装置及存储介质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WO2016135532A1 (en) System to verify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uel received in vehicles and automotors
CN109472491A (zh) 一种检验检测企业信用评估软件系统
CN112862338A (zh) 一种企业信用报告获取方法及相关设备
KR101095167B1 (ko) 경기상황을 반영한 자금 위험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891995B1 (ko)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13177707A (zh) 一种用于综合供能服务站的智能系统及巡检方法
KR101891996B1 (ko)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55323B1 (ko) 면세유 부정유통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376064B1 (ko) 휴대용 분석장치를 이용한 주유정보 관리시스템
KR20150059630A (ko) 주유소 관리 시스템
KR102058582B1 (ko) 주유장치의 변조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0392A (ko) 폐기물 품질을 즉시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2383830B1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주유소 장치
RU2604341C2 (ru) Система учета потребления ресурсов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ой и способы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210044050A (ko) 고속도로 무인요금 결제용 제품 통합결제시스템
KR2015013969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101676344B1 (ko) 혼유 방지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유 장치
KR101644009B1 (ko)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KR102662347B1 (ko) 고도화된 선정산 이상 금융 거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