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996B1 -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996B1
KR101891996B1 KR1020160167611A KR20160167611A KR101891996B1 KR 101891996 B1 KR101891996 B1 KR 101891996B1 KR 1020160167611 A KR1020160167611 A KR 1020160167611A KR 20160167611 A KR20160167611 A KR 20160167611A KR 101891996 B1 KR101891996 B1 KR 10189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as station
data
tax
credi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598A (ko
Inventor
조용성
박영규
Original Assignee
조용성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성, 박영규 filed Critical 조용성
Priority to KR102016016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9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유사유류 등 무자료거래 유류의 판매를 감지하여 무자료유류 유통정보를 생성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세금계산서 DB와,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결제 데이터 DB, 및 상기 세금계산서 DB와 결제 데이터 DB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류에 대한 직접적인 정밀검사를 처리하는 장치를 자동차나 주유소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유사유류를 판매한 주유소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장치 설치에 의한 과다한 초기비용의 지출이 요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PETROLEUM TRANSACTIONS WITHOUT AUTHENTIC DOCUMENTATION}
본 발명은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사유류 등 무자료거래 유류의 판매를 감지하여 무자료유류 유통정보를 생성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자료거래 유류와 유사유류 제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차량 피해와 세금 누수가 늘고 있다. 여기서, 유사유류 제품은 조연제 또는 첨가제 등의 명칭 여하에 관계없이 유류제품에 다른 유류화학제품을 혼합하는 방법 등으로 차량이나 기계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을 의미한다.
그동안 무자료거래 유류와 유사유류 제품들은 불법적인 경로로 유통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유사유류 제품과 무자료거래 유류를 정품으로 속여 판매하여 부당이익을 챙기는 주유소가 많이 적발되고 있으며, 정부의 단속 강화에도 불구하고 그 수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사유류 제품만큼이나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정량주유 문제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2010년 말 전국 490여개 주유소, 1970 여개 주유기를 대상으로 정량 주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평균 오차가 20L 당 -55.3mL로 나타나서 운전자들의 소비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선량한 소비자들이 많은 피해를 입고 있지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특히, 유사유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피해는 연료계통의 윤활작용 및 자가 청정기능 문제, 부품의 조기 노후화 및 연료계통의 불순물 누적, 정품 휘발유와의 연소속도 차이로 인한 엔진의 부담 가중, 배기가스의 유독성물질 배출, 엔진오일과 확인되지 않은 화학적 반응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839호(2013.12.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9503호(2010.05.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4011호(2008.06.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유사를 통해 구입한 유류량과 소비자에게 판매한 유류량을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유사유류, 면세유 불법유통, 절도한 기름의 불법유통 등의 무자료유류를 판매하는 주유소를 검출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세금계산서 DB와,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결제 데이터 DB, 및 상기 세금계산서 DB와 결제 데이터 DB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류에 대한 직접적인 정밀검사를 처리하는 장치를 자동차나 주유소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유사유류를 판매한 주유소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장치 설치에 의한 과다한 초기비용의 지출이나 과다한 검사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반적인 유사유류 판별 시스템은 품질이 정품 유류와 동일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판매를 적발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은 국세청 등의 세금 관련 관공서로부터 수집된 주유소의 유류 구매 데이터와 유류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자료거래 유류의 판매를 적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 별로 정유사로부터 제공받은 유류별 유류 공급량과 소비자에 판매하는 유류별 유류 판매량을 비교분석하여 유류별 유류 판매량이 유류별 유류 공급량을 초과하는 경우를 적발할 수 있으므로, 주유기의 조작 등을 통해 정량보다 소량을 주유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무자료거래 유류에 대한 판단 정보를 관리감독 기관으로 실시간 또는 요청 시 송출하여 관리감독 기관이 보다 면밀하게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무자료거래 유류를 근절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주유소 기준 유류의 매입량과 매출량을 감시하여 현금영수증을 발행하지 않은 현금 매출에 대해서 매출을 누락하는 주유소를 적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주유소의 유류 매입량 및 매출량의 밸런스 문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주유소의 탈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무선통신 네트워크(이하, '통신 네트워크'라 약칭함)와 연결된 세금계산서 DB(100)와 결제 데이터 DB(200),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세금계산서 DB(100)와 결제 데이터 DB(200)로부터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수집하고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주유소별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서버(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세금계산서 DB(100)를 포함한다.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국세청 등의 관공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금계산서 데이터에는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 상호와 유류를 구매한 일시 및 주유소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의 주소,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의 소유자 명칭, 주유소가 구매한 유류의 가격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통신 네트워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각각의 주유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세금계산서 DB(100)는 각 주유소의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세금계산서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유류를 주유소로 판매한 각 정유사가 관리하는 정유사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세금계산서 DB(100)는 정유사 단말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 한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체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세금계산서 DB(100)는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유류의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공서의 세금계산서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금계산서 DB(100)는 세금계산서 관리서버에 저장된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저장된 관공서의 서버를 세금계산서 DB(100)로 이용하거나, 상기 관공서의 서버에 연결된 상태로 관공서의 서버에 저장된 세금계산서 데이터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세금계산서 DB(100)로 이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결제 데이터 DB(200)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 데이터 DB(200)는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를 구매하기 위해 사용한 소비자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국세청 등의 관공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에는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 상호,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리터당 가격,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 승인일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주소,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전화번호,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가맹점 번호, 신용카드의 카드번호, 신용카드의 카드사명, 공급가액, 부가세, 승인일시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데이터 DB(200)는 통신 네트워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각각의 주유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결제 데이터 DB(200)는 각 주유소의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데이터 DB(200)는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한 각 신용카드사가 관리하는 신용카드사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제 데이터 DB(200)는 신용카드사 단말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 한 결제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체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결제 데이터 DB(200)는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유류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공서의 신용카드 결제정보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데이터 DB(200)는 신용카드 결제정보 관리서버에 저장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신용카드의 결제 데이터가 저장된 관공서의 서버를 결제 데이터 DB(200)로 이용하거나, 상기 관공서의 서버에 연결된 상태로 관공서의 서버에 저장된 신용카드의 결제 데이터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결제 데이터 DB(200)로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금영수증 DB(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금영수증 DB(400)는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를 구매하기 위해 현금을 사용한 소비자가 현금 사용을 인증받기 위해 국세청 등의 관공서에 등록하는 현금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국세청 등의 관공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현금영수증 데이터에는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 상호 및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주소,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리터당 가격, 유류를 구매한 시간, 유류를 판매한 주유소의 전화번호, 신분번호, 승인금액, 승인번호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현금영수증 DB(400)는 통신 네트워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각각의 주유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현금영수증 DB(400)는 각 주유소의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현금영수증 DB(400)는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공서의 현금영수증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금영수증 DB(400)는 현금영수증 관리서버에 저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현금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된 관공서의 서버를 현금영수증 DB(400)로 이용하거나, 상기 관공서의 서버에 연결된 상태로 관공서의 서버에 저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현금영수증 DB(400)로 이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주유량 검출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주유소의 주유기에 설치되고 중앙서버(3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주유기를 통해 주유된 유류의 주유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유량 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주유량 정보에는 주유된 유류의 종류, 주유된 유류의 용량, 주유기가 설치된 주유소 상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주유기가 설치된 주유소의 주소, 주유기가 설치된 주유소의 소유자 명칭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기능을 갖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주유량 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주유소에 복수개가 설치된 주유기에 각각 설치되며, 근거리에 설치된 게이트웨이(6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게이트웨이(6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에 연결되어 각각의 주유량 검출장치(500)로부터 제공된 주유량 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주유기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 주유량 정보를 주유기로부터 수집하고, 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주유기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유류의 주유량을 직접 계측하여 주유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유량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정량보다 작은 용량이 주유되도록 주유기를 설정한 주유소를 적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주유량 검출장치(500)는 결제 방법에 상관없이 소비자의 차량으로 공급되는 유류의 공급량을 계측하므로, 유류를 현금으로 구매한 소비자 중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은 소비자가 구매한 유류의 용량도 주유소의 총 유류 판매량에 포함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자료유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앙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300)는 세금계산서 DB(100)와 결제 데이터 DB(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세금계산서 DB(100)에 저장된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결제 데이터 DB(200)에 저장된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현금영수증 DB(4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현금영수증 DB(400)에 저장된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며, 개별 주유소의 유류 구매량과 유류 판매량을 분석하여 유류 판매량이 유류 구매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필요에 따라, 중앙서버(300)는 관리감독 기관의 감시서버(7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관리감독 기관의 감시서버(7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감시서버(700)의 요청에 따라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와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합산하고 이를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며,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현금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과 현금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합산하여 개별 주유소의 유류 판매량을 계산하고, 상기 유류 판매량과 상기 개별 주유소와 동일한 주유소의 유류 구매량을 분석하여 유류 판매량이 유류 구매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와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 및 주유량 정보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서버(300)는 주유소별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정유사로부터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고,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하며, 주유량 정보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추출한다. 필요에 따라, 중앙서버(300)는 현금영수증 데이터를 통해 개별 주유소가 소비자에 현금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더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300)는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과 주유기를 통해 차량에 공급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비교하여 더 많은 공급량을 해당 주유소의 최종 유류 판매량으로 선택한다. 이때, 중앙서버(300)는 신용카드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과 현금 결제로 판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합산하여 개별 주유소의 1차 유류 판매량으로 선택한 후, 상기 1차 유류 판매량과 주유기를 통해 차량에 공급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을 비교하여 더 많은 공급량을 해당 주유소의 최종 유류 판매량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개별 주유소의 유류 구매량과 최종 선택된 유류 판매량을 분석하여 유류 판매량이 유류 구매량을 초과하면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신규로 개장한 주유소별 유류 구매량과 주유 판매량의 비교는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월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에 개장한 주유소는 저장탱크의 잔량을 조사하여 초기 값으로 반영하고, 유류 구매량과 주유 판매량를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비교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세금계산서 DB 200 : 결제 데이터 DB
300 : 중앙서버 400 : 현금영수증 DB
500 : 주유량 검출장치 600 : 게이트웨이
700 : 감시서버

Claims (4)

  1. 유류를 주유소로 판매한 각 정유사가 관리하는 정유사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정유사로부터 공급된 유류를 구매한 각 주유소의 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상기 정유사 단말기로부터 업로드 되어 저장되며, 관공서 서버에 설치된 세금계산서 DB;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의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결제 데이터 DB;
    각 주유소에서 판매된 유류의 현금영수증 데이터가 저장되는 현금영수증 DB;
    주유소의 주유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유기를 통해 주유된 유류의 주유량 정보를 수집하고, 근거리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주유량 정보를 전송하는 주유량 검출장치; 및
    상기 세금계산서 DB, 결제 데이터 DB, 현금영수증 DB, 및 주유량 검출장치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유소별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 현금영수증 데이터, 및 주유량 정보를 비교하여 무자료거래 유류의 유통을 검출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세금계산서 데이터는
    유류를 구매한 주유소 상호와 유류를 구매한 일시 및 주유소가 구매한 유류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관리감독 기관의 관리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무자료유류의 유통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67611A 2016-12-09 2016-12-09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11A KR101891996B1 (ko) 2016-12-09 2016-12-09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11A KR101891996B1 (ko) 2016-12-09 2016-12-09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8A KR20180066598A (ko) 2018-06-19
KR101891996B1 true KR101891996B1 (ko) 2018-08-28

Family

ID=6279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11A KR101891996B1 (ko) 2016-12-09 2016-12-09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7004A (zh) * 2023-08-31 2023-10-31 北京微宝金网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电子显示屏、报税口的数电发票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3844A (ja) * 2014-09-03 2016-04-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印字制御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011A (ko) 2006-12-12 2008-06-17 정대훈 디지털 스케쥴러
KR100959503B1 (ko)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677A (ko) * 2010-04-16 2011-10-24 주식회사 굿윌소프트 중소기업의 비지니스인텔리전스시스템 구축을 위한 거래증빙 수집 자동화 방법
KR101336839B1 (ko) 2011-05-26 2013-12-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유사 석유 제품 및 정량 주유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7752A (ko) * 2012-07-19 2015-06-18 조주현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150034105A (ko) * 2013-09-23 2015-04-02 배문준 유류 거래 전자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3844A (ja) * 2014-09-03 2016-04-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印字制御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8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32363A1 (en) Payment cards and fuel cards
US201002415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managing transactional data related to product and service sales
CN110246030A (zh) 多方联动的贷后风险管理方法、终端、装置及存储介质
Fusaro Why do people use debit cards: evidence from checking accounts
CN112862338A (zh) 一种企业信用报告获取方法及相关设备
WO2016135532A1 (en) System to verify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uel received in vehicles and automotors
Kiss Salience and switching
KR101891996B1 (ko)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Buteau et al. Emerging insights from digital solutions in financial inclusion
KR20120101817A (ko)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US20080306821A1 (en)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Commodity Consumers to Selective Retail Locations
CN113177707A (zh) 一种用于综合供能服务站的智能系统及巡检方法
Hosken et al. Discussion of “Using stationarity tests in antitrust market definition”
KR20220076712A (ko) 허위 중고차 매물 진단시스템
KR101891995B1 (ko) 유량계측기를 이용한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08796A (ko) 유가 헤징 시스템
KR100955323B1 (ko) 면세유 부정유통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40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Collecting Taxes for Motor Vehicle Fuel at the Point of Sale
KR101376064B1 (ko) 휴대용 분석장치를 이용한 주유정보 관리시스템
KR20170040051A (ko) 실 거래량을 검증하는 방법
KR20150029932A (ko) 자동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ojima et al. Abuses in Fuel Markets: How to Protect Consumers and Public Health
KR20020053438A (ko) 네트워크 기반의 업무용 차량 주유관리 시스템
Rubenis et al. Evaluation of a necessity for subsidies for electric vehicle purchases in Latvia: 2013–2017
KR20210101699A (ko) 주유량 미달 방지를 위한 정량 주유 검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