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009B1 -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 Google Patents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009B1
KR101644009B1 KR1020140079830A KR20140079830A KR101644009B1 KR 101644009 B1 KR101644009 B1 KR 101644009B1 KR 1020140079830 A KR1020140079830 A KR 1020140079830A KR 20140079830 A KR20140079830 A KR 20140079830A KR 101644009 B1 KR101644009 B1 KR 10164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subsidy
payment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81A (ko
Inventor
손호석
서인석
이웅배
Original Assignee
엔노드 주식회사
손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노드 주식회사, 손호석 filed Critical 엔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0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차량 내부에 차량기본정보와 함께 유량 측정값에 해당하는 유고정보와 위치정보를 확보하여 전송하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설치하고,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구축하여,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관할관청의 검증 요청을 받아 들였을 때 혹은 결제사실을 확인하였을 때,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받아들인 정보와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비교하여 부/적합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안내함으로써, 보조금 지급의 적합성을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A fuel subsidy verification system or its method}
본 발명은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관할관청이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 Fuel Subsid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유가보조금을 지급할 때,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해당 차량정보와 위치정보와 유고정보를 확보하여 보조금 지급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FSVS:Fuel Subsidy Verifica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가보조금이란 제1차 세제개편에 따라 경유, LPG 등에 부과되는 유류에 대한 세율을 단계적으로 인상하되, 화물업계의 부담증가를 완화하고자 동기간 중 유류세 인상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조해 주는 유류세 연동 보조금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가보조금을 지급받는 대상으로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이 있고, 관할관청에서 유가보조금의 지급, 환수, 관리, 감독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참고로, 관리관청에는 유가보조금의 지급 및 관리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으로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 Fuel Subsid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고 있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선정한 특정 카드협약사와 업무를 제휴하여, 상기 카드협약사가 발행한 특정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통해 유류결제가 이루어질 때, 관할관청에서는 해당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 차주에게 법률 규정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허락된 만큼의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즉, 도 1은 종래의 유가보조금 지급과정을 도식화한 예시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의 차주가 주유소를 방문하여 주유하고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로 결제를 하게 되면, 주유소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는 결제정보와 주유정보를 카드협약사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카드협약사의 결제서버는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으로 결제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은 간단하게 카드정보와 결제금액을 확인한 후 규정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할당된 량 만큼의 유가보조금을 산정한 후, 이를 관할관청으로 안내하게 되면, 해당 관할관청에서는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카드협약사에서는 유류를 구매한 전체 금액에서 관할관청에서 지급한 유가보조금을 차감한 후, 이렇게 차감된 결제금액만을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의 차주에게 청구함으로써, 정부에서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의 차주를 대상으로 저렴한 비용에 실질적인 유류 해택을 서비스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특정 차량을 대상으로 유류 해택을 서비스함에도 불구하고, 주유소 업주와 화물차주는 서로 짜고 가짜 경우를 주유한 후 진짜 경유를 주유한 것처럼 결제를 하고 그 차액에 해당하는 만큼을 나누어가지거나,
혹은 특정 주유소에서 많은 양을 주유하고 다른 주유소로 찾아가 일정량을 되팔고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이익을 사취하거나, 혹은 폐차직전의 화물차를 실제 운행한 것처럼 서류를 만들어 정부의 유가보조금을 지급 받거나, 혹은 일반차량을 몰고와 주유한 후 실제 화물차량에 주유한 것처럼 속이고 결제해 차액을 현금으로 돌려받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불법적인 유가보조금의 청구와 수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국정 감사시 조사된 바에 따르면 1년에 화물(1조 4,000억 이상) 및 운송업체(택시:4,000억, 버스:5,000억, 기타:1,000억)를 모두 포함해서 대략 2조 4천억 이상의 유가보조금이 지급되었고, 그 가운데 화물차량을 대상으로 만 조사해도 대략 4,000억 이상의 유가보조금이 부당하게 지급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이렇게 불법적으로 지급되고 있는 유가보조금을 적발하면서 투명하게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고, 이에 발맞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게 되었다.
즉, 주유소 내에 번호판 촬영기나 RFID판독기를 설치하여 등록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이 주유를 할 때에만 유가보조금이 지급되도록 하거나(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10-0750684, 10-0883147, 10-0845605),
혹은 이동식 저장장치와 단말기를 설치하여 후불로 보조금을 지급받는 다양한 방식 등이 개발되었으나.(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10-2009-0003071)
이러한 방법들은 단순히 불법적으로 유가보조금을 사취하는 여러 케이스들 중 특정 케이스나 일부에만 한정된 것으로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특히 관할관청에서 전체 유가보조금에 대한 수급이나 청구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며, 부정확한 것들이다.
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10-0750684. 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10-0883147 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10-0845605 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10-2013-0015863
이에 본 발명에서는 관할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 Fuel Subsidy Management System)이 유가보조금을 연산한 후, 이를 토대로 관할관청에서 유가보조금을 지급할 때,
해당 차량의 운행정보와 유고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보조금 지급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지급여부를 결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정확성이 극대화된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FSVS:Fuel Subsidy Verification System)을 서비스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기본정보와 함께 유량 측정값에 해당하는 유고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과,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에 주유를 하고 결제하는 카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유소와,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주유소에서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통해 결제를 요청을 받았을 때 전체 결제금액에서 유가보조금에 해당하는 만큼의 차액된 금액을 청구하는 결제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카드협약사와, 결제시 상기 카드협약사로부터 유가보조금 지급을 요청받아 해당 차량의 카드결제정보와 전체 결제금액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유가보조금을 연산하는 한편 이의 지급을 요청하는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관청과,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카드협약사로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 시도 지자체의 관할관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각 관할관청의 관리자단말기와 각 차량정보검출단말기 사이에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검증센터를 형성하고,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관리관청의 검증 요청을 받았을 때,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받아들인 정보와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비교하여 부/적합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관리관청과 복수 개의 관할관청 중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이 소속되어 있는 해당 지역의 관할관청으로 보내어 상기 관할관청이 투명하게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도록 서포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주유 결제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와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을 통해 어느 위치에서 어떠한 차량이 얼마 만큼의 주유를 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특히 평상시의 주행패턴과 소모되는 연료량의 확인이 가능하여 부당하게 지급되는 유가보조금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의 순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차주가 운행하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10)과;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으로 경유 또는 LPG를 주유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유소와;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주유소에서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통해 결제를 요청을 받았을 때 전체 결제금액 중에서 유가보조금에 해당하는 만큼의 차감된 금액을 청구하는 결제서버(21)를 포함하고 있는 카드협약사(20)와;
상기 카드협약사로부터 유가보조금 지급 요청을 받아들여 카드결제정보와 전체 결제금액을 확인하고 규정에 따라 유가보조금을 연산하는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31)을 구축하고 있는 관리관청(30)과;
상기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의 요청을 받아 연산된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관리자단말기(41)가 설치되어 있는 각 지방 자치단체의 관할관청(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카드결제 정보와 연결되어 있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의 차량정보 요청을 받았을 때 혹은 주기적으로 차량의 기본정보 및 차량 유고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확보하여 전송하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11)를 각각의 등록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마다 설치하고,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51)을 구축하고 있는 검증센터(50)를 형성하여,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51)이 관할관청 혹은 관리관청의 검증 요청을 받아 들이거나 결제사실을 확인하였을 때, 등록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이 맞는지와 해당 차량에 얼마만큼 주유했는지 그리고 주행패턴은 어떻게 되는지 그 변화량을 체크하여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카드결제정보를 비교 매칭하여 부/적합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관할관청과 관리관청으로 피드백시켜 복수 개의 관할관청 중 해당 지역의 관할관청이 투명하게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도록 서포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등록된 각각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11)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해당 관련정보를 확보하여 전송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5분마다 혹은 10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관련정보를 검증센터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등록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에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설치하고, 관할관청의 관리자단말기 또는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을 구축하여,
해당 차량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주유된 유량값 및 속도, 이동거리 등의 주행패턴과 위치 등을 파악하여 보조금 지급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당 지급 및 청구 사실을 바로 모닝터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천억원 이상으로 불법 낭비되고 있는 유가보조금을 세이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카드협약사(20)는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의 발급, 유가보조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지급, 부정수급 방지 및 여신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선정한 금융회사로, 결제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전체 결제금액에서 지급된 유가보조금을 차감한 후 그 금액을 청구한다.
또한, 관리관청(30)은 카드협약사와 제휴를 맺고 투명하고 간소화된 절차에 의하여 유가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해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 Fuel Subsidy Management System)과 운수행정통합관리시스템(ITAS)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실시 예에 따라 검증센터와 업무를 제휴하여 부정수급이나 지급시 판정받은 결과나 모니터링한 결과를 안내받는다.
참고로,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이나 운수행정통합관리시스템(ITAS)은, 관리관청 내에 구축되어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관할관청 혹은 검증센터에 이관된 상태로 실시할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이나 운수행정통합관리시스템(ITAS)일체화된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관할관청(40)은 유가보조금의 지급 및 환수, 지도, 감독 처분 등 유가보조금 제도 운영 업무 전반을 관장하는 특별시장, 광역시장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단체장으로, 유가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한 유가보조금 관리서버나 관리자단말기가 구축되어 있다.
참고로, 관리자단말기(41)나 관리서버는 관할관청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일반 PC이거나 혹은 노트북 혹은 타블릿 PC 등으로,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FSMS)으로부터 유가보조금 지급 요청을 받았을 때 검증센터로부터 안내받은 판정결과를 확인하고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또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10)은 유가보조금 지급 청구 및 수령권을 가진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을 통칭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관할관청 혹은 관리관청에 유가보조금을 지급받기 위한 차량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유류구매가드를 발급받아 소지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에 차량정보검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을 말한다.
더불어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은 관리관청 혹은 관할관청에 유가보조금 지급 등록신청을 할 때, 해당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 정보도 같이 등록한다.
참고로 차량정보검출단말기는 검증센터가 차량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해당 차량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유량값 및 위치정보를 확보하여 검증센터로 전송하는 전용단말기이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차량정보검출단말기(11)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 내부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되어야지만 하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이거나 혹은 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단말기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정보검출단말기는 실시 예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해당 차량의 정보를 검증센터로 전송하여 DB화 하도록 하고, 보고하는 시간은 설정에 따라 5분, 10분, 15분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기본정보는 차량을 식별할수 있는 고유정보을 토대로 해당 차량의 주행패턴을 확인할 수 있는 이동 거리와 속도, 유량 측정값(이하, 유량 저항값 혹은 유량값 혹은 유량이라고도 함)과, 유류 저장탱크의 최소 혹은 최대 값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검증센터(50)는 관리관청와 함께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복수 개의 관할관청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등록 차량의 위치, 운행거리, 속도 유량 변화 등을 모니터링하고, 보조금 지급 대상에 대한 검증결과를 관리관청 혹은 관할관청으로 안내한다.
이때 검증센터는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관할관청을 대신하여 부정 수금자를 적발하거나 모니터링하면서 수익을 창출하고,
실시 예에 따라 부/적합 판정결과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여 조치를 취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검증센터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확보된 유고정보를 토대로 실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이를 토대로 주행거리 대비 유고정보를 추출하여 실 유류소모량을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간 위치정보를 통해 실 주행거리와 위치 측정이 가능하여 운행정보, 주유정보, 결제정보 등의 통합분석을 통해 보조금 지급에 대한 정확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삭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보조금 판정결과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판정결과를 안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각 차량에는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차량의 운전자는 검증센터 혹은 관할관청과 연락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51)은 주기적으로 차량정보검출단말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테베이스화 하면서 차량정보를 로드하고 유량변동이 있는지 체크할 수 있으며, 유량변동이 있으면 얼마만큼의 유량변동이 있는지 체크할 수 있고,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차량이 맞는지 틀렸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부/적합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관리관청과 관할관청으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판정결과를 등록된 차량의 차량정보검출단말기 혹은 해당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판정결과를 안내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전송받은 판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폰은 판정결과를 앱 혹은 SMS문자 혹은 푸쉬문자로 안내 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휴대폰, 타블릿PC, PDA, 노트북들 중 어느 하나이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표출된 내용이 부적격판정 내용이라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의신청 버튼을 통해 검증센터로 연락을 취할 수 있고, 이때 검증센터에서는 확보된 자료를 전송하여 적용대상 차량이 틀리다거나 유량값이 다르다거나 하는 등의 부적합 판정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근거자료를 안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블럭도로써,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55)를 중심으로 보조금 지급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3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져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로는 상기 차량정보검출단말기와 채널을 형성하여 검증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하고 가공하는 차량정보수집 레이어(Layer)와
두번째로는 관할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채널을 형성하여 결제정보를 제공하는 기관과 채널을 형성하고 결제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연동 레이어(Layer)와,
세번째로는 상위에서 상기 차량정보수집 레이어와 연동 레이어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결제내역을 검증하는 검증 레이어(Layer)를 형성한다.
참고로, 차량정보수집 레이어(52)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와 채널을 형성하는 레이어로 단말Demon(52a)과 차량정보가공Demon(5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DEMON(52a)은 주기적으로 입력된 GPS좌표값과, 차량번호, 단말번호, 유량 측정값을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혹은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특정 차량정보검출단말기의 GPS좌표값과, 차량번호, 단말번호, 유량 측정값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때의 단말DEMON은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의 상태, 버전, 등에 대한 정보도 체크한다. 참고로 상기 단말DEMON은 지시명령이 전달되면, 등록된 차량정보검출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검출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받아 들인다.
그리고 상기 단말DEMON은 차량정보검출단말기가 확보한 챠량번호, 단말번호, GPS경도, GPS위도, 유량 측정값 등을 받아 들여 리딩한다.
이때 상기 단말DEMON은 읽어드린 챠량번호, 단말번호, GPS경도, GPS위도, 유량 측정값 등을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이렇게 디코딩 데이터를 정해진 형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하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저장된 값들이 정상적으로 모두 저장이되었으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대기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정보가공DEMON(52b)은 단말DEMON이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를 검증 DEMON에서 활용가능 하도록 데이터로 가공하는 DEMON으로, LOCK되지 않은 기초정보를 읽어 들여 속도, 이동거리, 유량 증감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다.
즉, 상기 차량정보가공DEMON은 Lock 되어진 가장 최신 데이터를 읽어 들여 Old Data를 구성하고, Lock 되지 않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유고정보와 차량기본정보를 순차적으로 읽어 들여 Old Data와 비교함으로써 속도, 거리, 유량 증감분을 추출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 레코드 셋을 Lock한다.
또한, 연동 레이어(53)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과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어로, 결제정보 Sync DEMON(5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제정보 Sync DEMON(53b)은 보조금 관리시스템에 신규 결제정보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신규결제 데이터가 있으면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에 결제정보를 추가한다.
참고로, 상기 결제정보 Sync DEMON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보조금 관리시스템에 신규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있다면 결제정보 Sync DEMON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의 신규Data를 리드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결제테이블에 결제정보(카드번호, 결제일자, 결제금액, 구매단가, 구매수량 결제처)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레이어(54)는 부/적합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이어로써, 검증DEMON(5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증DEMON은 차량정보수집 레이어와 연동 레이어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결제의 진위여부와 적법성을 검증한다.
참고로, 상기 검증DEMON(54a)은 두개의 검증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번째는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으로부터 검증 요청을 받거나 혹은 미 처리된 신규결제 내역이 있을 경우, 검증DEMON은 결제정보 Sync DEMON을 통해 받아들인 신규 결제 Data를 리드하고, 더불어 상기 단말DEMON을 통해 받아들인 차량정보가공DEMON을 통해 처리된 정보를 리드한다. 그리고 이렇게 결제정보 Sync DEMON과 차량정보DEMON을 통해 처리된 각각의 데이터를 매칭하여 결제 금액과, 쥬유량, 주행거리 등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검증구간을 거치게 되면 관할관청에서 설정한 정책에 따라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입력된 검증정책에 위배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사용자정책검증 구간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기본검증구간과 사용자정책검증 구간을 통과하게 되면 정당한 사용자라는 통지서를 관할관청과 관리관청으로 통지하고, 만일 기본검증구간 또는 사용자정책 검증구간 중 어느하나라도 통과하지 못한 부적합 거래로 판단하여 관할관청과 괸리관청으로 통지하는 것이다.
참고로, 검증정책은 관리관청 혹은 관할관청에서 유가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해 세운 규정으로, 각각의 등록 차량이 하루 동안 주유 가능한 횟수와, 금액, 그리고 기간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등록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에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설치하고, 관리 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 및 관할관청의 관리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질적으로 주유된 유량값 및 주행패턴과 위치 등을 파악하여 보조금 지급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짐으로써, 부당 지급/청구되고 있는 사실을 바로 모닝터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부당지급되고 있는 유가보조금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를 관리관청 혹은 관할관청에 서비스함으로써 새로운 이익을 창출하거나 혹은 판정결과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조치를 취하면서 수익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지급에 관한 검증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차주가 등록된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을 운행하다가 주유소를 방문하게 되면 주유를 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자신이 소지한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이용해 결제를 요청하게 되고, 해당 주유소에는 카드단말기를 통해 결제정보를 획득하고 특정 카드협약사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드협약사의 결제서버에서는 주유소에서 전송한 결제정보를 받아 들여,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으로 보조금 지급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은 주유한 금액을 확인하고 관할관청으로 보조금 지급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때 검증센터의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으루부터 결제정보를 전송받고, 해당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부/적합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검증센터의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확인된 결과를 관리관청의 유기보조금 관리시스템과 복수개의 관할관청 중 해당 지역의 관할관청의 관리서버 혹은 관리자단말기로 안내해 주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받아 들인 유고정보와 차량기본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추출된 유량변화나 가공된 정보를 토대로 한다.
그리고 관할관청은 검증결과를 받아들여 적합한 사용자라면 보조금을 지급하고, 부적합 사용자라면 보조금을 지급을 거절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을 받아들인 카드협약사의 결제서버는 정당한 사용자라 전체 결제금액에서 지급받은 유가보조금을 차감한 금액을 청구하는 것이고, 만일 부적합한 사용자라는 통지를 받으면 전체 결제금액을 청구하는 정보를 안내하여 청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관청과 복수 개의 관할관청과, 차량정보검출단말기 사이에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검증센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관할관청 중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이 소속되어 있는 해당 지역의 관할관청으로 검증결과를 보내어 각각이 관할관청이 투명하게 유가보조금이 지급되도록 서포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부/적합 여부를 확인할 때,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로 차량기본정보와 함께 유고정보와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확보할 수도 있지만,
상기 차량정보검출단말기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검증센터로 보내온 차량기본정보 함께 유고정보와 위치정보를 토대로 검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부/적합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관할관청과 관리관청으로 통지할 때, 등록된 대상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판정결과를 안내하고,
이를 받은 운전자가 이의신청을 하게 되면 관할관청 혹은 검증센터에서는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유 결제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와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을 통해 어느 위치에서 어떠한 차량이 얼마 만큼의 주유를 했는지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의 주행패턴과 소모되는 연료량의 확인이 가능하여 정확성을 극대화하여 부당하게 지급되는 유가보조금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가보조금이 부당하게 지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관할관청 또는 관리관청에 서비스함으로써, 새로운 이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10: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 11:차량정보검출단말기
20:카드협력사 21:결제서버
30:관리관청 31: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
40:관할관청 41:관리자단말기
50:검증센터 51: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52:차량정보수집 레이어 52a:단말DEMON
52b:차량정보가공DEMON 53:연동레이어
53a:결제정보 Sync DEMON 54:검증레이어
54a:검증DEMON 55: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차량기본정보와 함께 유량 측정값에 해당하는 유고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과,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에 주유를 하고 결제하는 카드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유소와, 상기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주유소에서 유가보조금 지급 카드를 통해 결제를 요청을 받았을 때 전체 결제금액에서 유가보조금에 해당하는 만큼의 차액된 금액을 청구하는 결제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카드협약사와, 결제시 상기 카드협약사로부터 유가보조금 지급을 요청받아 해당 차량의 카드결제정보와 전체 결제금액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유가보조금을 연산하는 한편 이의 지급을 요청하는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관청과, 상기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카드협약사로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 시도 지자체의 관할관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각 관할관청의 관리자단말기와 각 차량정보검출단말기 사이에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검증센터를 형성하고,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관리관청의 검증 요청을 받았을 때,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받아들인 정보와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비교하여 부/적합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관리관청과 복수 개의 관할관청 중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이 소속되어 있는 해당 지역의 관할관청으로 보내어 상기 관할관청이 투명하게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도록 서포트하고,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차량정보검출단말기와 채널을 형성하여 검증시 필요한 차량기초정보와 위치정보 유고정보를 데이터베이스하는 차량정보수집 레이어와,
    관리관청의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과 채널을 형성하여 검증시 필요한 결제정보와 주유정보를 받아들이는 연동 레이어와,
    상기 차량정보수집 레이어와 연동 레이어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비교분석하여 결제의 진위여부와 적법성을 검증하는 검증레이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차량정보수집 레이어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를 통해 확보된 GPS좌표값과, 차량번호, 단말번호, 유량값을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차량정보검출단말기의 상태와 버전을 체크하는 단말DEMON과, L ock 되어진 가장 최신 데이터를 읽어들여 Old Date를 구성하고 Lock되지 않은 차량기본정보와 유고정보를 읽어들여 Old Data와 비교함으로써 속도, 이동거리, 유량 증감분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해당 데이터 레코드 셋을 Lock 하는 차량정보가공DEM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동 레이어는 유가보조금 관리시스템에 신규 결제정보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신규 결제정보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리드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결제테이블에 결제정보를 입력하는 결제정보 Sync DEMON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증레이어는 차량정보수집 레이어와 연동 레이어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결제의 진위여부와 부/적합여부를 판정하는 검증DEMO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증DEMON은 결제정보 Sync Demon을 통해 받아들인 신규 결제정보 데이터와, 차량정보가공DEMON을 통해 처리된 정보를 토대로, 결제금액과, 주유량, 주행거리을 확인하는 기본검증구간과, 관할관청에서 유가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입력된 검증정책에 위배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사용자정책검증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를 거쳐 부/적합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관리관청과 해당 유가보조금 지급 대상 차량이 소속되어 있는 관할관청으로 통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검출단말기는 유가보조금 지급대상 차량 내부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되어져야만 하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이거나, 혹은 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은 부/적합 판정결과를 안내받는 스마트폰 혹은 휴대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79830A 2014-06-27 2014-06-27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KR10164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30A KR101644009B1 (ko) 2014-06-27 2014-06-27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30A KR101644009B1 (ko) 2014-06-27 2014-06-27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147A Division KR20160011692A (ko) 2016-01-18 2016-01-18 유가보조금을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81A KR20160001881A (ko) 2016-01-07
KR101644009B1 true KR101644009B1 (ko) 2016-07-29

Family

ID=5516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830A KR101644009B1 (ko) 2014-06-27 2014-06-27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8057A (zh) * 2024-02-27 2024-03-29 浙江恒中养老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补贴发放及使用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84B1 (ko) 2005-11-24 2007-08-22 변영석 차량 유가 보조금 지급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0845605B1 (ko) 2006-12-21 2008-07-1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서비스 대상물 인증 및 결제시스템과인증 및 결제 방법
KR100883147B1 (ko) 2006-12-21 2009-02-1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서비스 대상물의 인증 및 결제시스템
KR20130015863A (ko)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기관의 유가보조금 관리 시스템
KR20140070905A (ko) * 2012-11-29 2014-06-11 오영미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85115B1 (ko) * 2012-12-04 2016-01-15 박재덕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81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2447C (zh) 信息中介系统及其所用的信息中介方法
CN100580712C (zh) 用于通行费电子管理的方法和系统
CN101228558B (zh) 电子车辆识别
US20020186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US20100191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ment, Collection, and Disbursement of Funds Related to Motor Vehicles
CN111862461A (zh) Etc智慧加油系统
US8688510B2 (en) Method for fee charging position usages of vehicles
US20190019114A1 (en) Remote vehicle access and multi-application program for car-sharing
KR100750684B1 (ko) 차량 유가 보조금 지급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3225197U (ja) 駐車料金収集管理システム
KR101644009B1 (ko) 유가보조금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JP6954538B2 (ja) 車両通過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通過情報処理方法
US20200160315A1 (en) Autonomous vehicle smart parking ticket
JP7012964B2 (ja) 車両通過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60140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Collecting Taxes for Motor Vehicle Fuel at the Point of Sale
KR20170040407A (ko)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주유 결제 운영 방법
KR20160011692A (ko) 유가보조금을 검증시스템 및 이의 검증방법
KR20150029932A (ko) 자동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11353782A (zh) 针对基于车辆的支付的欺诈检测方法、设备和系统
KR101941651B1 (ko)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방법
KR20210085706A (ko) 공유 차량 배차 방법, 공유 차량 재배치 방법, 카 쉐어링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카 쉐어링 시스템
US20140236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fleet management
CA24455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KR101300128B1 (ko) 자동 요금 징수 차량의 관리 방법
EP4202870A1 (en) Parking pay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