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553A -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553A
KR20000054553A KR1020000032093A KR20000032093A KR20000054553A KR 20000054553 A KR20000054553 A KR 20000054553A KR 1020000032093 A KR1020000032093 A KR 1020000032093A KR 20000032093 A KR20000032093 A KR 20000032093A KR 20000054553 A KR20000054553 A KR 2000005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business
network
information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102000003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553A/ko
Publication of KR2000005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55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의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업대 기업(B2B)의 인터넷기반 트레이딩을 통해 상거래 시에 거래 당사자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오프 라인에서의 거래완결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업무까지도 온라인으로 통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비즈니스 상거래 시에 거래당사자가 선정되면 온라인에서 계약 내용을 판단하여 적절한 계약서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생성된 계약서를 온 라인에서 인증 프로세스에 의하여 계약서의 내용을 확정하고, 계약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오프라인에서의 일련의 작업에 대한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생성시켜 작업 수행자의 일정을 인터넷에서 관리하게 함으로써, 첫 번째로 거래 완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두 번째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오프라인 프로세스를 온라인에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세 번째로 계약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네 번째로 업무 수행자의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섯 번째로 거래의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모든 과정을 온 라인에서 수행하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Smart business work 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the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의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업대 기업(B2B)의 인터넷기반 트레이딩을 통해 상거래 시에 거래 당사자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오프 라인에서의 거래완결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업무까지도 온라인으로 통하여 일괄적으로 인터넷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한 경매 거래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라인(ON LINE)에서 진행되는 입찰 경매 진행과정(310)과 경매 이후의 오프 라인(OFF LINE) 거래과정(320)으로 나눌 수 있다.
경매 진행과정(310)은 단순히 경매로 판매할 물건들을 게시하고(310-1), 게시된 물건들에 대하여 경매를 실시하며(310-2), 입찰자들이 가격을 제시하고, 거래 정보를 수정하는 협상과정(310-3)을 거친 후에 최적의 입찰조건으로 낙찰자를 결정하는 과정(310-4)으로 온 라인에서 진행된다.
낙찰자가 결정되고 나서, 계약서 작성(320-1), 내부 결재(320-2) 및 대금 지급(320-3) 등의 거래 완성 과정은 오프 라인에서 실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에 의한 거래 방식은 거래의 일부분만을 온 라인을 통하여 실행되고, 나머지 부분들은 오프 라인에서 실행되므로써 전체적인 업무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분리되어 진행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오프 라인에서의 각 과정들도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하여 실행되므로 인하여 거래 완결까지의 일정, 노력 및 시간 많이 소모되며,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비즈니스 상거래 모델의 오프 라인에서 실행되는 계약, 결재 및 일정 관리 등의 거래 완성 과정을 온라인에서 거래의 내용에 따라서 최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의 세부 구성도 이다.
도 3은 인터넷을 통한 경매 거래 방식의 거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약서 작성에서 대금 지급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 프로세스 중에서 계약서 인증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운영 프로세스 중에서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거래 업무 일정에 따라서 온 라인에서 거래에 관련된 소정의 프로세스를 온 라인에서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각각의 프로세스 실행에 따르는 비즈니스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거래 당사자들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비즈니스 업무에 관련된 세부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즈니스 정보에 상응하여 작성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거래자 컴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의 제1실시 예는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계약서 자동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계약서 양식 중에서 해당 거래에 가장 적합한 계약서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계약서 작성에 필요한 항목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계약서 양식의 해당 항목의 입력란에 자동 입력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의 제2실시 예는 네트워크를 통한 거래자A와 거래자B간에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문서 결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 저장된 계약서 파일을 액세스 권한(접근권한)이 있는 상기 거래자A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거래자A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거래자 컴퓨터A로부터 응답되어 전송된 계약서 문서와 수정 여부 및 확정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거래자B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거래자B의 컴퓨터로부터 응답되어 전송된 계약서 문서와 수정 여부 및 확정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거래자A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b) 및 상기 단계(c)를 상기 거래자A,B 쌍방이 계약서 확정에 동의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하고, 상기 거래자A,B가 계약서 확정에 동의한 경우에는 전자 서명을 받고 계약서 파일의 수정을 동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의 제3실시 예는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 상거래 하고자 등록된 상품의 종류에 상응하여 상거래를 위한 일정계획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상거래를 실행하는 각 프로세스별로 발생되는 기본 정보와 입력되는 일정 정보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일정 계획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일정 정보를 해당 업무 수행자의 일정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은 인터넷망(100),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 거래자A 컴퓨터(120) 및 거래자B 컴퓨터(130)를 구비한다.
인터넷망(100)은 웹으로 컴퓨터를 전세계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으로서, 거래자A,B 컴퓨터(120, 130)의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인터넷 접속용 소프트웨어인 지점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할당받고, 이를 이용하여 월드 와이드 웹(WWW) 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월드 와이드 웹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 및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의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원하는 웹사이트의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받는다. 만일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지점간 프로토콜(PPP) 대신에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거래자A,B 컴퓨터(120, 130)는 인터넷망(100) 통하여 웹사이트 중의 하나인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에 접속된다.
위의 지능형 워크 플로워(Work flow) 지원 서버(110)는 세부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벽 서버(210), 웹서버(220), 계약서 자동 생성 엔진(230), 파일 액세스 엔진(240),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엔진(250), 계약서 인증 엔진(260), 데이터 베이스(270), 시스템 제어부(280)로 구성된다.
방화벽 서버(210)는 인터넷망(100) 이용한 정보 교환시의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 내부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유해 정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 IP 어드레스, 사용자 인증번호, 포트번호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접속을 제한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내부 정보의 불법적인 유출을 보호한다.
웹서버(220)는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와 거래자A 컴퓨터(120) 및 거래자B 컴퓨터(130)를 웹 브라우져를 통하여 정보를 서비스하는 역할을 하는데, 해당 입찰관련 정보들을 인터넷망(100) 공용으로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에 의하여 거래자A 컴퓨터(120) 및 거래자B 컴퓨터(130)로 전송한다.
계약서 자동 생성 엔진(230)은 업종별, 상품별로 해당 비즈니스 거래에 관련된 최적의 항목을 포함하는 계약서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데, 구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계약문구(270-5)를 검색하여 해당 거래에 가장 적합한 계약서 양식을 선택한 후에, 선택된 계약서 작성에 필요한 항목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70)의 거래 정보 영역(270-3)에서 검출하고 나서, 거래 정보 영역(270-3)에서 검출된 정보를 자동으로 선택된 계약서의 해당 항목의 입력란에 자동 입력시킨 후에 데이터 베이스의 계약서 파일 영역(270-6)에 저장시키는 프로세스 실행한다.
파일 액세스 엔진(240)은 인터넷망(100) 통하여 파일을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엔진 부분이다. 여기서 파일의 업로드(Upload)/다운로드(Download), 사용자의 접근 통제, 로그 기록 발생 등 일련의 프로세스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엔진(250)은 인터넷을 통해 교환된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일정을 자동 생성시키고 관리하는 엔진 부분으로서, 사용자 권한에 대한 접근 통제 기능, 일정에 대한 타당성(중복되는 일정 여부, 너무 과중한 일정 여부)을 분석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 및 필요한 일정 정보를 수행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계약서 인증 엔진(260)은 온 라인에서 생성된 계약서를 거래자A,B컴퓨터(120,130)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계약서 내용의 수정 여부를 확인한 후에 전자 결재에 의하여 계약서를 인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데이터 베이스(270)에는 세부적으로 분할된 영역에 개인별 일정 정보(270-1), 달력 정보(270-2), 거래 정보(270-3), 회원 정보(270-4), 계약 문구(270-5), 계약서 파일(270-6), 유관기관 정보(270-7), 워크 플로워 정보(270-8), 사용자 정보(270-9)들이 저장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280)는 인터넷망(100) 통하여 전송되는 비즈니스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하고, 거래 업무 일정에 따라서 온 라인에서의 거래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의 엔진을 기동시키고, 각각의 프로세스 실행에 따르는 비즈니스 정보를 상기 인터넷망(100) 통하여 거래 당사자들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비즈니스 업무를 실행시키며,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실행한다.
도 3은 인터넷 망을 통한 경매 거래와 오프 라인 워크 플로워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경매 거래(310)는 입찰하고자 하는 물건의 게시(310-1), 경매(310-2), 협상(310-3), 낙찰(310-4)의 단계로 구성되며, 오프 라인 거래(320)는 계약서 작성(320-1), 내부 결재(320-2), 대금 지급(320-3)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오프 라인(320)에서 실행되어 왔던 단계들을 온 라인에서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워크 플로워를 지원하는 프로세스의 집합이다.
그러면, 도3의 오프라인에서 실행되어 왔던 계약서 작성에서 대금 지급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인터넷을 통한 거래 당사자가 선정되고 실제 거래 행위를 오프라인에서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흐름을 표시하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해 조건에 맞는 거래 당사자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거래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계약서 문구 선정(단계401)에서부터 대금 지급(단계407)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쌍방간의 거래를 오프라인에서의 실행하기 위해 우선 처리해야 하는 업무는 계약서를 작성하는 일이다. 일단 인터넷을 통해 거래 당사자가 결정되고 나면 해당 거래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도 인터넷을 통해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실제 계약서를 시스템에서 손쉽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되어 있는 업종별, 상품별 다양한 표준 계약서의 종류를 선택한다. 이 때 사용자가 원하는 표준 양식을 수작업으로 선택할 수 있고 계약서 자동 생성 엔진(230)을 기동하여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적절한 표준 양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단계401). 계약서 자동 생성 엔진(230)은 선택된 표준 계약서 양식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입력시켜 계약서 초본을 자동으로 생성시킨다(단계402). 이 때 문서 포맷은 MS word, HWP, 텍스트, PDF, XML 등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때 계약 문서에는 거래 당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요 항목을 정의한다. 계약서의 내용은 계약 당사자에 대한 정보, 거래 제품에 대한 명세, 거래 제품에 대한 수량, 거래 금액 및 결재 방법, 인도 시기, 장소 및 방법, 계약 위약 조건, 기타 부대 조건을 포함한다.
이렇게 생성된 계약서는 거래 당사자와의 협의를 거치면서 계약서 내용을 조정하여 최종 계약서 안을 작성한다(단계403).
계약서 최종안이 완성되면 각 거래 주체 회사 내부에서 결재를 받아 최종 계약서를 확정한다(단계404, 405). 최종 계약서를 확정하고 나서, 필요 시 계약금을 지급하고(단계406), 계약서 일정에 따라서 대금을 지급하여 거래를 완료한다(단계40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계약서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현재 국내에서 상거래 오프라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약서이외 다양한 서류가 필요하다. 이러한 서류에는 각종 신고서, 신청서 등 관련업무를 수행하는데 관계있는 유관기관들에 제출하는 각종 서류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거래가 성사되면 오프라인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서류들을 자동 생성하여 준다. 이는 시스템에 계약서이외 관련 서류 일체의 양식을 저장하고 있다가 거래가 성사되면 거래 특성에 맞는 서류의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시켜 서류작성을 용이하게 한다. 서류의 특성상 거래 당사자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계약서 인증의 절차를 따라 처리된다.
그러면, 세부적으로 계약서의 내용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계약에 참여하는 당사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기존에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가 있으면 이를 활용하여 계약서 문구에 자동 입력하고, 기존에 확보된 회원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계약서 작성자가 시스템에 입력하게 한다.
두 번째로, 거래 제품에 관한 명세를 정의하는데, 인터넷 트레이딩을 하면서 입력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계약서 문구에 자동 입력하고, 필요 시 추가로 제품에 대한 CAD 정보, 엔지니어링 정보 등을 첨부할 수 있게 한다.
세 번째로, 거래 제품에 관한 수량을 정의하는데, 인터넷 트레이딩을 하면서 입력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 입력한다.
네 번째로, 거래 금액 및 결재 방법을 정의하는데, 인터넷 트레이딩을 하면서 입력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 입력하고, 만약 정의되어 있지 않았다면 계약서 문구를 작성할 때 수작업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추가 사항을 수작업으로 계약서 작성자가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다섯 번째로, 제품 인도 시기, 장소 및 방법을 정의하는데, 인터넷 트레이딩을 하면서 입력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 입력하는데, 만약 인터넷 트레이딩을 수행할 때 이 정보를 입력하지 않았으면 수작업으로 입력하게 하고, 인도 장소를 회원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추가 사항을 수작업으로 계약서 작성자가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여섯 번째로, 계약 위약시의 조건을 명시하는데, 계약을 불이행할 시의 조건 등을 미리 표준 형태로 만들어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추가 사항을 수작업으로 계약서 작성자가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일곱 번째로, 기타 부대 조건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계약서 파일들은 작성자 주체의 계정에 저장 관리된다. 여러 개의 계약서 참고 파일을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전의 계약서 내용을 참조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경우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계약서 인증 엔진(260)에 의하여 실행되는 운영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약서 인증 알고리즘은 크게 거래자A,B 측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조정단계(5A, 5C),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의 중앙 시스템에서의 계약서 조정단계(5B), 거래자A,B 측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확정단계(5D, 5E),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의 중앙 시스템에서의 계약서 확정단계(5F)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거래자A 측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조정단계(5A)의 세부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501에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110)의 중앙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된 계약서 파일을 거래자A 컴퓨터(120)에서 액세스한다. 자체 내부 결재는 파일 형태로 직접 다운로드할 수도 있지만, 웹 브라우저를 통해 중앙 시스템의 계약서 내용을 수정하고 종이에 출력하여 내부 결재과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권한이 주어진 자만이 파일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한다.
단계501에서는, 액세스된 계약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한 후에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503에서는, 만일 계약서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면 내용을 검토 후에 수정한다. 이 때 수정 내용을 계약 상대방에게 Email, FAX, 전화 등의 매체를 통하여 통보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 통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수정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수정하고 다시 업로드할 수도 있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중앙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
단계504에서는, 만일 더 이상 수정할 필요가 없으면 현재 내용을 최종 계약서 내용으로 할 것인지 판단한다.
단계505에서는, 계속 검토할 필요가 있으면 수정없이 중앙 시스템으로 파일을 전송한다. 만약 웹 브라우저를 통해 중앙 시스템 파일을 직접 액세스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계약서 내용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 검토하고 검토 완료 명령어를 중앙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중앙 시스템 실행되는 계약서 조정단계(5B)의 세부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506에서는, 중앙 시스템은 거래자A에 의해 수정된 계약서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한다. 이 때 파일 형태로 업로드된 경우에는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수정된 계약서 파일을 직접 저장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는, 거래자A 또는 B로부터 최종 계약서 확정 요청을 받았는지 확인한다. 만약 확정 요청을 접수하게 되면 그 순간 계약서 파일은 참조만(Read Only) 가능하게 된다. 계약서 확정 단계에서는 파일의 내용 변경이 불가능하며 계약서 내용 조정 요청이 거래 당사자(A,B) 중에서 들어오면 다시 계약서 조정단계로 되돌아간다.
단계508에서는, 만약 최종 계약서 확정 요청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방에게 계약서 내용의 수정을 통보한다.
세 번째로, 거래자A 측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조정단계(5C)의 세부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509에서는,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상대방에 의해 검토/수정된 계약서 파일을 액세스한다. 자체 내부 결재를 파일 형태로 직접 다운로드할 경우도 있지만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직접 중앙 시스템의 계약서 내용을 수정하고 종이에 출력하여 내부 결재 과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510에서는, 계약서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511에서는, 계약서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면 그 내용을 검토한 후 수정한다. 이 때 수정 내용을 상대방에게 Email, FAX, 전화 등을 통해 통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 시스템이 변경된 내용을 자동으로 통보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단계512에서는, 만약 수정할 필요가 없으면 현재 내용을 최종 계약서 내용으로 할 것인지 판단한다.
단계513에서는, 계속 검토할 필요가 있으면 수정없이 중앙 시스템으로 파일을 전송한다. 만약 웹 브라우저를 통해 중앙 시스템 파일을 직접 액세스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계약서 내용을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검토하고 검토 완료 명령어를 중앙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네 번째로, 거래자A 측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확정단계(5D)의 세부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514에서는, 더 이상 내용의 변경이 없으면 상대방에게 계약 내용 확정을 요청한다. 이 요청은 중앙 시스템을 통해 상대방(거래자B)에게 전달되고 그 결과를 다시 거래자A에게 통보한다.
단계515에서는, 상대방이 계약 내용 확정 요청을 수락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단계516에서는, 만약 확정 요청이 수락되었다면 거래자A는 계약서 파일에 대해 전자 서명을 실시한다. 만약 확정 요청을 수락하지 않고 거절되었다면 다시 계약서 조정 단계(5A)로 되돌아간다.
다섯 번째로, 거래자B 측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확정단계(5E)의 세부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517에서는, 거래자B는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상대방(거래자A)의 계약서 내용 확정 요청을 받는다.
단계518에서는, 거래 상대방이 확정 요청을 수락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519에서는, 만약 확정 요청을 수락하면 문서에 대한 전자 서명 후 중앙 시스템에 결과를 통보한다.
단계520에서는, 만약 확정을 거절하게 되면 계약서 조정 단계(5C)로 되돌아간다.
여섯 번째로, 중앙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계약서 확정 단계(5F)의 세부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521 및 단계522에서는, 거래자A 및 거래자B로부터의 계약서 전자 서명을 전송 받는다.
단계523에서는, 거래자A,B 쌍방이 계약서에 서명한 경우에 최종 계약서의 파일을 동결하여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한 후에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250)에 의하여 실행되는 운영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알고리즘은 크게 경매 입찰에 관한 업무 실행 단계(6A), 계약에 관한 업무 실행 단계(6B), 오프라인 실행 단계(6C), 기타 업무 실행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경매 입찰에 관한 업무 실행 단계(6A)에서의 세부 운영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601에서는, 입찰 게시에 등록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일정표를 자동 생성시킨다.
단계602에서는, 경매 트레이딩을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실제 경매에 참여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찰 게시 항목을 만들기 이전에 경우에 따라 미리 기본적인 게시 내용의 틀을 먼저 마련할 수도 있다. 이는 게시 항목의 내용이 복잡하거나 일부 내용이 최종 결정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 일단 기본적인 입찰 게시 항목의 틀만 만들고 나중에 나머지 정보나 최종 내용을 확정하여 입찰 게시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는, 게시 항목에 관련된 일시나 기타 해야 할 일 등 입찰 게시에 등록하기 위한 일련의 계획을 수립한다.
두 번째로, 계약에 관한 업무 실행 단계(6B)에서의 세부 운영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604에서는, 입찰을 통해 거래 당사자가 정해지면 계약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워크 플로워 일정표를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단계605에서는, 계약을 완료하기 위해서 수행하여야 하는 워크 플로워나 외부 워크 플로워에 관련된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606에서는, 계약의 실행에 관련된 구체적인 일시 기타 해야 할 업무에 대한 내용을 입력한다.
세 번째로, 오프라인에 관한 업무 실행 단계(6C)에서의 세부 운영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607에서는, 업무 성격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수행하여야 할 일련의 업무에 대한 워크 플로워를 정의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미리 업무 성격에 따른 워크 플로워 표들을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가장 적합한 워크 플로워 표를 탐색하여 생성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워크 플로워 표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단계608에서는, 생성된 업무의 워크 플로워의 기본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일부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단계609에서는, 오프라인에서의 업무 실행에 관련된 구체적인 일시 기타 해야 할 업무에 대한 내용을 입력한다.
네 번째로, 기타 업무 실행 단계에서의 세부 운영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610에서는, 특정 HTML 페이지에서 정보 서비스를 사용하다가 사용자 판단에 따라 관련부분을 자신의 일정 다이어리(Diary)로 입력하고 싶은 경우는 해당 HTML에 있는 "일정담기"란 아이콘을 클릭하여 일정입력 메모창을 가동시킨다.
단계611에서는, 해당 HTML에 있는 정보 중에서 일정에 관련된 정보는 자동적으로 일정 입력 메모(Memo) 창으로 전송된다. 해당 업무에 대한 기본적인 일정 정보 이외에 추가할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612에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가지고 자동적으로 구체적인 일정 다이어리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613에서는, 경우에 따라 생성된 일정 다이어리 정보에 대해 수행자를 정의한다. 본인 스스로가 수행자가 될 수도 있지만 일부 일정 수행자를 다른 사람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단계614에서는, 해당 일정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한다. 여기에서 새로이 추가되는 일정과 기존에 이미 수립되어 있던 일정과의 중복이나 너무 많은 일정이 몰려있어 실제 업무를 수행하기가 힘든 부분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615에서는, 경고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을 다시 조정한다. 이 때 업무 부분의 조정이 있을 수 있고 업무 수행자 부분의 조정이 있을 수도 있다.
단계616에서는, 최종적으로 확정된 일정에 대해 해당 업무 수행자의 다이어리 시스템에 저장되고, 동시에 통보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상과 같은 각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인터넷 비즈니스 상거래 모델의 오프 라인에서 실행되는 계약서의 생성, 내부 결재 및 일정 관리 등의 거래 완성 과정을 온라인에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비즈니스 상거래 시에 온라인에서 계약 내용을 판단하여 계약서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생성된 계약서를 온 라인에서 인증 프로세스에 의하여 계약서의 내용을 확정하고, 계약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일정 계획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첫 번째로 낙찰자 선정이후 거래 완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두 번째로 원격지에서 거래 상대방과 계약서의 내용을 검토/수정하면서 확정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오프라인 프로세스를 온라인에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세 번째로 중앙 시스템에서 확정된 계약서 내용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으므로 계약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네 번째로 계약 수행을 위한 일정을 자동으로 생성시켜 주어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섯 번째로 거래의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모든 과정을 온 라인에서 수행하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거래 업무 일정에 따라서 온 라인에서 거래에 관련된 소정의 프로세스를 온 라인에서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각각의 프로세스 실행에 따르는 비즈니스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거래 당사자들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비즈니스 업무에 관련된 세부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즈니스 정보에 상응하여 작성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거래자 컴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는
    사용자 정보 및 비즈니스 업무 지원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 접속된 상기 거래자 컴퓨터로 인터넷 망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에 의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웹 서버; 및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비즈니스 정보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거래 업무 일정에 따라서 온 라인에서 거래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정의 엔진을 기동시키고, 각각의 프로세스 실행에 따르는 비즈니스 정보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거래 당사자들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비즈니스 업무를 실행시키며,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엔진은 업종별, 상품별로 해당 비즈니스 거래에 관련된 최적의 항목을 포함하는 계약서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계약서 자동 생성 엔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엔진은 온 라인에서 생성된 계약서를 계약 당사자 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계약서 내용의 수정 여부를 확인한 후에 전자 결재에 의하여 계약서를 인증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약서 인증 엔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엔진은 계약이 성사된 비즈니스에 대하여 계약서의 내용대로 실행하여야 할 일련의 작업 일정을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상기 작업일정을 자동으로 체크하여 출력하는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엔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6.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계약서 자동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계약서 양식 중에서 해당 거래에 가장 적합한 계약서 양식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계약서 작성에 필요한 항목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계약서 양식의 해당 항목의 입력란에 자동 입력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의 계약서 양식의 선택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업종별, 상품별로 세분화되어 저장된 테이블 리스트를 참조로 하여 계약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 의하여 생성된 계약서는 인증된 거래자만이 액세스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밍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9.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관련 서류 자동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 종류에 따른 일체의 서류 양식 중에서 해당 거래의 특성에 맞는 서류 양식을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추출된 서류 양식의 작성에 필요한 항목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추출된 서류 양식의 해당 항목의 입력란에 자동 입력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10. 네트워크를 통한 거래자A와 거래자B간에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문서 결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 저장된 계약서 파일을 액세스 권한(접근권한)이 있는 상기 거래자A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거래자A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거래자 컴퓨터A로부터 응답되어 전송된 계약서 문서와 수정 여부 및 확정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거래자B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거래자B의 컴퓨터로부터 응답되어 전송된 계약서 문서와 수정 여부 및 확정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거래자A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b) 및 상기 단계(c)를 상기 거래자A,B 쌍방이 계약서 확정에 동의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하고, 상기 거래자A,B가 계약서 확정에 동의한 경우에는 전자 서명을 받고 계약서 파일의 수정을 동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11.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의 자동 일정 생성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능형 워크 플로워 지원 서버에서 상거래 하고자 등록된 상품의 종류에 상응하여 상거래를 위한 일정계획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상거래를 실행하는 각 프로세스별로 발생되는 기본 정보와 입력되는 일정 정보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일정계획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일정계획 정보를 해당 업무 수행자의 일정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계획 정보에 사용자 판단에 따라 해당 HTML에 있는 소정의 일정담기란 아이콘이 클릭되면 관련부분을 자신의 일정 다이어리(Diary)로 입력시키기 위한 일정입력 메모창이 가동되게 프로그래밍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생성된 상기 일정계획 정보에 대하여 이미 수립된 다른 일정과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에는 일정 조정을 위한 단계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계획 정보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새로운 일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방법.
KR1020000032093A 2000-06-12 2000-06-12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93A KR20000054553A (ko) 2000-06-12 2000-06-12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093A KR20000054553A (ko) 2000-06-12 2000-06-12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553A true KR20000054553A (ko) 2000-09-05

Family

ID=1967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093A KR20000054553A (ko) 2000-06-12 2000-06-12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55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93A (ko) * 2001-05-31 2001-08-22 허종범 인터넷을 통해서 합의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방법
KR20020086029A (ko) * 2001-05-10 2002-11-18 이종희 지능형 온라인 양식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20020093289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51914A (ko) * 2002-12-13 2004-06-19 권대순 전자계약 서비스 방법
KR20050097673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블루젠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47556B1 (ko) * 2000-11-22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통신 인프라 시스템 및 그의 마스터 운영 방법
KR100832784B1 (ko) * 2006-07-24 2008-05-27 주식회사 신한은행 정보 처리 시스템
KR100959503B1 (ko) *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9389A (ja) * 1997-07-24 1999-02-12 Ohbayashi Corp 電子購買システム
JP2000113070A (ja) * 1998-09-14 2000-04-21 Ncr Internatl Inc オ―プン通信ネットワ―クによる電子競売遂行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30235A (ko) * 2000-02-14 2000-06-05 김웅범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무역 지원 서비스 방법
KR20010073531A (ko) * 2000-01-18 2001-08-01 배종렬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8784A (ko) * 2000-05-31 2001-12-08 이삼구 인터넷 무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9389A (ja) * 1997-07-24 1999-02-12 Ohbayashi Corp 電子購買システム
JP2000113070A (ja) * 1998-09-14 2000-04-21 Ncr Internatl Inc オ―プン通信ネットワ―クによる電子競売遂行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0073531A (ko) * 2000-01-18 2001-08-01 배종렬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0235A (ko) * 2000-02-14 2000-06-05 김웅범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무역 지원 서비스 방법
KR20010108784A (ko) * 2000-05-31 2001-12-08 이삼구 인터넷 무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56B1 (ko) * 2000-11-22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통신 인프라 시스템 및 그의 마스터 운영 방법
KR20020086029A (ko) * 2001-05-10 2002-11-18 이종희 지능형 온라인 양식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20010078993A (ko) * 2001-05-31 2001-08-22 허종범 인터넷을 통해서 합의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방법
KR20020093289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51914A (ko) * 2002-12-13 2004-06-19 권대순 전자계약 서비스 방법
KR20050097673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블루젠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32784B1 (ko) * 2006-07-24 2008-05-27 주식회사 신한은행 정보 처리 시스템
KR100959503B1 (ko) *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6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a lease for real property in an on-line computing environment
US8321313B2 (en) Method and process for providing relevant data, comparing proposal alternatives, and reconciling proposals, invoices, and purchase orders with actual costs in a workflow process
US73531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closing a real estate transaction
US7496529B2 (en) Electronic activity and business system and method
US200402154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ocument handling, such as for requests for quotations under an electronic auction
US20050149410A1 (en) Process and system for matching buyers and sellers of goods and/or services
US6915275B2 (en) Managing customization of projects prior to manufacture in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US200400735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procurement, such as via an electronic reverse auction
US8548868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ggregrate demand for buyer specified goods and services
EP2543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US6965877B2 (en) Brokering and facilitating consumer projects in an e-commerce system
US20050038683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KR20000054553A (ko) 네트워크에서의 지능형 비즈니스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WO2011075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users for an ip marketplace
KR101787423B1 (ko) 통합구매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전자구매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5018381A (ja) グリーンシート取扱システム、グリーンシート取扱方法、グリーンシート取扱業務支援装置並びにグリーンシート取扱業務支援プログラム
US20030154149A1 (en)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d executing a restricted stock sale plan
JP70420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019798A1 (en)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displaying stock certificate data over a computer network
JP2008146675A (ja) 有価証券売買発注方法、有価証券売買発注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3194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85167A (ja) 資材発注支援システムおよび資材発注支援方法
EP1259922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jobs, managing financing, and/or providing materials
HALARIS et al. 454 E-business: Key Issues,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B. Stanford-Smith and PT Kidd (Eds.) IOS Press, 2000
JP2002312646A (ja) Edi受発注システム及びedi対応型生産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