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557A -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557A
KR20160130557A KR1020150062445A KR20150062445A KR20160130557A KR 20160130557 A KR20160130557 A KR 20160130557A KR 1020150062445 A KR1020150062445 A KR 1020150062445A KR 20150062445 A KR20150062445 A KR 20150062445A KR 20160130557 A KR20160130557 A KR 20160130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information
user
busines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호
장진엽
최영준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0557A/ko
Publication of KR2016013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업무 정보 획득부,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연관 자료 수집부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AS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업무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현재 스마트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업무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업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업무 관리 애플리케이션들은 업무의 중요성이나 긴급성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업무 관련 일정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정보는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업무 일정을 확인하여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일일이 찾아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네트워크 기술 및 스토리지 기술 발전에 따라 홍수화가 진행되고 있어, 점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힘든 정보 구조가 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업무 일정 확인 후 업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91125호 (2014.07.2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업무 정보 획득부,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연관 자료 수집부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업무 정보는, 업무 종류, 업무 관련인 및 업무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업무 정보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업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서버 또는 사내 업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 결정부는, 상기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상기 긴급성 또는 상기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연관 자료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 리스트,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 동일 또는 유사 업무 수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및 업무 관련인에 대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자료 수집부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업무 관련인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사용 빈도, 평가 결과,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작성자 및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에서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를 작성, 사용 또는 평가한 사람의 직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일정 정보는,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를 상기 가중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업무 정보는, 업무 종류, 업무 관련인 및 업무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업무 정보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서버 또는 사내 업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상기 긴급성 또는 상기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연관 자료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 리스트,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 동일 또는 유사 업무 수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및 업무 관련인에 대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업무 관련인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사용 빈도, 평가 결과,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작성자 및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에서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를 작성, 사용 또는 평가한 사람의 직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일정 정보는,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를 상기 가중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에 대해 우선 순위에 따라 업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 일정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적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업무 수행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100)는 일정 정보 획득부(110), 우선 순위 결정부(130), 연관 자료 수집부(150) 및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70)를 포함한다.
업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업무 일정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데스크톱 PC, 랩톱 PC, 태블릿 PC, 패블릿(Phablet), PDA,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업무 정보는 예를 들어, 업무 종류, 업무 관련인 및 업무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무 종류는 업무 수행을 위한 행위 내지는 업무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업무 보고, 출장, 회의 참석, 보고서 작성, 이메일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업무 관련인은 업무 수행과 관련된 사람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업무 참여자, 업무 보고 대상, 업무 지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업무 일정은 업무 수행과 관련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업무 기한, 업무 지시일, 업무 수행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에게 업무 정보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정보 획득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 단말과 동기화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정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으로 수신된 이메일 로부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이메일로부터 업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같은 공지된 정보 추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정 정보 획득부(110)는 사내 업무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업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우선 순위 결정부(130)는 일정 정보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업무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순위 결정부(130)는 일정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긴급성 또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업무의 긴급성은 예를 들어, 업무 일정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우선 순위 결정부(130)는 현재 날짜와 업무 기한을 비교하여 업무 기한까지 남은 시간에 따라 각 업무의 긴급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우선 순위 결정부(130)는 현재 날짜와 업무 지시일을 비교하여 경과된 시간에 따라 각 업무의 긴급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우선 순위 결정부(130)는 업무 수행 기간에 따라 각 업무의 긴급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업무의 중요도는 예를 들어, 업무 관련인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우선 순위 결정부(130)는 업무 보고 대상 또는 업무 지시자의 직책에 따라 각 업무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연관 자료 수집부(150)는 업무 정보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한다.
이때, 업무 연관 자료는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전자 문서, 연락처(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 송수신 및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그 종류 및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업무 연관 자료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 리스트,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 과거 동일 또는 유사 업무 수행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및 업무 관련인에 대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자료 수집부(150)는 예를 들어, 사내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연관 자료의 수집은 업무 연관 자료 자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과 업무 연관 자료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를 저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자료 수집부(150)는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 각각에 대하여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업무 관련인 또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 빈도 내지는 평가 결과, 작성자 및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에서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를 작성, 사용 또는 평가한 사람의 직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자료 수집부(150)는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가 동일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한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관 자료 수집부(150)는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에 대하여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또는 업무 관련인(예를 들어, 보고 대상자)에 의한 평가가 높을 수록 높은 가중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관 자료 수집부(150)는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가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인 경우, 높은 가중치를 가지도록 하거나 업무 연관 자료 작성자의 사내 직책이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70)는 우선 순위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업무 일정 정보는 하나 이상의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일정 정보는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70)는 각 업무의 업무 기한을 기준으로 업무 정보를 분류하고,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우선 순위에 따라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70)는 사용자가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를 가중치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는 예를 들어, 연관 자료 수집부(150)에 의해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저장 위치 내지는 접근 경로로 링크된 하이퍼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과 같은 연락처 정보인 경우,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는 연락처 정보 자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70)는 사용자가 리스트 상의 연락처 정보를 선택한 경우, 연관된 기능(예를 들어, 통화 기능, 이메일 작성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업무 정보 획득부(110), 우선 순위 결정부(130), 연관 자료 수집부(150) 및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16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와 연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내의 프로세서는 각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업무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한다(210).
이때, 업무 정보는 예를 들어, 업무 종류, 업무 관련인 및 업무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업무 정보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서버 또는 사내 업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업무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긴급성 또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업무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한다(230).
이때, 업무 연관 자료는 예를 들어,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 리스트,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 과거 동일 또는 유사 업무 수행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및 업무 관련인에 대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관리 장치(100)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업무 관련인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사용 빈도, 평가 결과 및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작성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업무 관리 장치(100)는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일정 정보는,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를 가중치에 따라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일정 관리 장치
110: 업무 정보 획득부
130: 우선 순위 결정부
150: 연관 자료 수집부
170: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

Claims (19)

  1.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업무 정보 획득부;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연관 자료 수집부;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무 정보는, 업무 종류, 업무 관련인 및 업무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업무 정보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업무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서버 또는 사내 업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업무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결정부는, 상기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상기 긴급성 또는 상기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업무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무 연관 자료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 리스트,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 동일 또는 유사 업무 수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및 업무 관련인에 대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관 자료 수집부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업무 관련인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사용 빈도, 평가 결과,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작성자 및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에서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를 작성, 사용 또는 평가한 사람의 직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업무 관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무 일정 정보는,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업무 일정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를 상기 가중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무 관리 장치.
  10.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무 정보는, 업무 종류, 업무 관련인 및 업무 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업무 정보 입력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업무 관리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서버 또는 사내 업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업무 관리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무의 긴급성 또는 중요도를 판단하고, 상기 긴급성 또는 상기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업무 관리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무 연관 자료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 리스트, 상기 업무와 관련된 사내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자료, 동일 또는 유사 업무 수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작성된 자료 및 업무 관련인에 대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는,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한 사람, 업무 관련인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사용 빈도, 평가 결과,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의 작성자 및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조직에서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를 작성, 사용 또는 평가한 사람의 직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업무 연관 자료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업무 일정 정보는,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업무에 대한 업무 정보를 정렬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업무 일정 정보에 포함된 업무 정보 중 특정한 업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의 리스트를 상기 가중치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무 관리 방법.
  1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업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무 정보와 관련된 업무 연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일정 정보 및 상기 업무 연관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62445A 2015-05-04 2015-05-04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30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45A KR20160130557A (ko) 2015-05-04 2015-05-04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45A KR20160130557A (ko) 2015-05-04 2015-05-04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57A true KR20160130557A (ko) 2016-11-14

Family

ID=5752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445A KR20160130557A (ko) 2015-05-04 2015-05-04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05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510A (ko) * 2019-05-30 2020-12-09 최재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37514A (ko) * 2019-05-30 2020-12-09 최재호 할일 맵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69529A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구름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125A (ko) 2013-01-07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125A (ko) 2013-01-07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510A (ko) * 2019-05-30 2020-12-09 최재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37514A (ko) * 2019-05-30 2020-12-09 최재호 할일 맵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69529A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구름 업무 및 직장 활동의 정량화를 통해 근로자를 평가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681B2 (en) Burnout symptoms detection and prediction
CN111615712B (zh) 多日历协调
US20160140508A1 (en) Managing dynamically schedulable meetings
US10354227B2 (en) Generating document review workflows
US20170161179A1 (en) Smart computer program test design
US20140100923A1 (en) Natural language metric condition alerts orchestration
US20180255099A1 (en) Security and compliance alerts based on content, activities, and metadata in cloud
US20170310625A1 (en) Prioritized Messaging System
US9055115B2 (en) Content volume throttling in feed aggregators
CA2828995A1 (en) Natural language metric condition alerts generation
CN101090373A (zh) 附加信息发布装置和附加信息发布系统
US8929659B2 (en) Adaptively assessing object relevance based on dynamic user properties
US10540638B2 (en) Transferring context with delegation authority
US11328254B2 (en) Automatic group creation based on organization hierarchy
US20230121667A1 (en) Categorized time designation on calendars
KR20160130557A (ko)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880390B2 (en) Cognitive impromptu interaction assistant
US10095664B2 (en) Presentation of content in a window of time
US1164560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ncentration in work environments
US9183388B2 (en) Injustice detecting system, injustice detecting device and injustice detecting method
US20150242459A1 (en) Grouping content based upon user activity
JP2009217312A (ja) 小額融資促進支援システム
US20180091620A1 (en) Availability data caching in meeting systems
Huangfu et al. A context-aware usage prediction approach for smartphone applications
KR101745606B1 (ko) 지출 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