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602A -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602A
KR20170106602A KR1020160029771A KR20160029771A KR20170106602A KR 20170106602 A KR20170106602 A KR 20170106602A KR 1020160029771 A KR1020160029771 A KR 1020160029771A KR 20160029771 A KR20160029771 A KR 20160029771A KR 20170106602 A KR20170106602 A KR 2017010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supervision
supervisor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2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6602A/ko
Publication of KR2017010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공종별 공사 감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전자장치가, 특정 공종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자장치가, 외부 전자장치 또는 서버가 표준 감리보고서 생성시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 및 일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PP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REAL-TIME SUPERVISION OF CONSTRUCTION BY TYPE}
본 발명은 공종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공종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에서의 감리는 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 등 각 분야별로 해당 전문가에 의해 각 법령이 정하는 감리를 하게 된다. 감리 업무는 현장업무와 행정업무 및 대관업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장업무는 시공 전, 중, 후 업무 절차에 따른 수시 시공 확인 및 검측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행정업무는 기술검토 등을 통한 각종 승인 업무(품질, 안전, 환경계획서, 자재, 하도급, 부진공정, 설계공정, 시공계획서, 시공상세도 등)와 회신, 확인 업무, 문서접수, 발송 및 대장 정리의 수작업과 민원관련 업무 등등을 수행하며, 대관업무는 각종 인허가 및 승인조건과 계약조건 등의 이행여부 기록 관리와 각종 외부기관의 점검 및 감사 대비와 공장점검 및 각종 품질시험 입회 등을 해야 한다. 또한 관련 정보 및 법령은 각 분야 감리의 업무절차 및 법적기준(각종 법령, 고시, 지침, 조례 등)에 따른 감리업무 범위와 분야별 조건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달라지며, 분산되어 있는 사례정보와 책자(기술서적)와 같은 방대한 자료 및 감리지침 등을 참조해야한다.
감리자는 공사 현장에서 건축 과정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건축공사가 설계도서대로 제대로 시공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감리자에게는 품질관리, 공사관리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한 지도 및 감독의 의무도 지워지므로 그 업무는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공사 과정에서 건축물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부실시공으로 인한 사고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2016년 1월 8일 개정된 건축법도 건축물의 감리 과정에 대한 공공성 확보 차원에서 바로 이러한 부실공사와 같은 불법행위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나온 것이다. 감리 업무의 구체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리기록 관리방법 부재를 들 수 있다. 감리자는 주요 공정마다 현장을 들러 정밀한 검측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감리자가 필수적으로 체크해야 할 공정은 ①사전조사, ②기초터파기, ③기초철근 배근, ④ 1(2)층 바닥골조공사, ⑤기준층 바닥공사, ⑥지붕바닥공사, ⑦주요마감, 설비 및 전기공사, ⑧준공 검사와 같이 7 내지 8단계로 나누어진다. 주요 단계별로 감리자는 현장을 방문하여 시공과정을 확인하고 설계도서와 일치하게, 또는 적정 공법에 맞게 시공되고 있는지 감독하고 부적합한 부분은 시정지시를 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 대한 기록 방법은 특별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감리자의 재량에 맡겨져 있다.
소지하고 간 설계도면이나 종이에 감리내역을 기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스마트폰이나 카메라를 이용해 공사사진을 찍고 사무실로 돌아가 PC에 저장해 놓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나중에 이 사진을 보고 감리일지를 정리하고 사진대지를 만들거나 감리보고서를 쓸 때 참고하기도 한다. 감리자가 방문하지 않는 시기에 진행된 공사에 대해서는 시공자가 촬영한 사진을 전송 받기도 한다. 이 자료들을 분실했을 경우에는 현장에서의 기초적 시공 정보를 밝히기 어려워 감리업무가 부실하다는 민원이 제기되기도 한다.
둘째, 공종별 검측 체크리스트 작성이 미비하다는 것이다.
국토부 고시 ‘건축공사 감리세부기준’에는 공종별/단계별 검측 체크리스트가 지정되어 있다. 감리자는 이 체크리스트에 따라 설계도서에 따른 시공, 건축 자재의 성능 시험 등이 기준에 적합하게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규모 건축물 감리현장에는 공종별/단계별 체크리스트가 제대로 작성되지 않고 있다. 감리자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공종별 검측 체크리스트는 시공사진과 함께 아주 중요한 시공정보이다. 하지만 시공자나 감리자 모두 체크리스트 보다는 함께 구두상의 진행 보고와 협의, 지시 및 감독으로 공정의 체크를 갈음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문제는 준공 이후 건축물의 품질이나 안전, 공사대금에 대한 분쟁이 발생했을 때 시공 과정을 자세히 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축적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소규모 건축물 감리 업무는 사진정보 외에는 별 다른 기록 정보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감리정보 공유 방법 부재가 있다. 공사 현황이나 시정 지시에 대한 정보를 시공자나 건축주와 공유하는 방법도 특별한 방식이 없다. 공사 내용이 관련 법령을 위반하여 적법성에 대한 문제점이 불거지기도 한다. 공사 감리자는 관계 법령에 위반된 사항을 발견하거나 공사 시공자가 설계도서대로 공사를 하지 아니하면 이를 건축주에게 알린 후 공사 시공자에게 시정하거나 재시공하도록 요청하여야 한다.
공사의 내용이 부적절하고 그 정도가 심각한 경우 지시사항을 정리하여 공문으로 발송하기도 하나 사무실에 돌아와 서류를 작성하는 절차가 번거롭기 때문에 비교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 시공자나 건축주와 구두나 전화통화로 협의하고 봉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추후 건축주와 공사정보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한 것도 분쟁 발생 시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현장에 잠깐 들러 사진 한 장 찍고 가는 정도로 어떻게 제대로 감리를 수행하느냐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비상주감리의 한계인 것이다.
넷째, 형식적 감리 수행업무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소수이기는 하지만 감리업무 자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공사 과정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공정(예를 들어 철근 배근 등과 같은 골조공사)도 직접 검측하지 않는 사례도 있다. 아예 시공자에게 공사사진만 전송받고는 시공을 허가하는 사례도 많다. 착공시점에는 거의 현장을 돌아보지 않다가 준공시점에 들러 감리보고서에 붙이기 위해 준공서류용 사진만 찍어 가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형식적 감리업무, 서류상 감리자 배치는 감리업무의 해태로 결국 건축 관계자의 윤리의식과 감리 품질의 저하로 악순환될 수밖에 없다. 수행방법의 본질적 개선이 요구되는 이유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공종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와 실제 감리 업무를 수행한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리자가 실제 시공 현장에서 감리 업무를 수행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하는 일시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공종별 공사 감리 정보를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공종별 공사 감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전자장치가, 특정 공종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자장치가, 외부 전자장치 또는 서버가 표준 감리보고서 생성시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 및 일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건물에 대한 공사 감리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로서, 통신부, 및 (i) 특정 공종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ii)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며, (iii)외부 전자장치 또는 서버가 표준 감리보고서 생성시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 및 일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리자가 공종별 실제 시공 위치에서 감리 업무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공종별 감리 단계에서 감리자에 의해 등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공종별 감리 완료 리포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리 완료 리포트를 외부 전자장치로 전송하여 표준 감리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리자의 현장 출입 시간 정보 및 검측 체크리스트와 같은 감리 수행 정보 일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서류상의 감리자 배치나 현장 조사 미비, 감리일지 및 검측 체크리스트 변조와 같은 감리업무 해태를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조회 및 전경 사진 등록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 공간 이동 화면 중 동별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 공간 이동 화면 중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을 대상으로 층별 필터링 과정 수행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 및 선택된 공종 정보에 대한 공사 감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이 완료된 시공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상 위치 정보에 시공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도형이 추가되도록 편집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이 완료된 도면 상 위치 정보 및 편집이 완료된 시공 영상 정보가 실제 감리보고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리일지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성이 완료된 감리일지 정보가 실제 감리보고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시공자 식별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성이 완료된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와 등록된 시공자 식별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가 실제 감리보고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종별 검사 완료 화면, 검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 표시 화면 및 검사가 완료된 세부 공간 정보 표시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 표시 화면 에 대한 공사 감리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 표시 화면 에 대한 시공자 식별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조회하고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종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날짜 인덱스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방법 또는 세부 공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세부 공간의 공종별 정보 중 감리가 조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는 방법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완료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사 감리는 건축분야에서 공종별 시공에 대한 감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 등의 각 분야별로 해당 감리자에 의해 각 법령이 정하는 감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건축분야에서 공종별 시공에 대한 공사 감리를 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자장치(100), 외부 전자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감리 대상인 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감리자가 감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전자장치(100)는 외부 전자장치(300)에서 생성된 공사 현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공사 현장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공종에 대응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 및 획득된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감리 완료 리포트를 생성하여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0)에서 전송되는 공사 감리 정보, 감리자 식별 정보 또는 감리 완료 리포트는 수신 받은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 실제 감리보고서를 생성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외부 전자장치(200)로부터 공사 현장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장치(100)의 요청시 수신 받은 공사 현장 정보를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전자장치(100)에서 수행된 감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외부 전자장치(200)의 요청시 수신 받은 감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외부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 외부 전자장치(200) 및 서버(300) 각각은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타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용 디지털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장치(200) 및 서버(300)는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공용 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같이 대용량 저장 수단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전자 계산기가 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및 프로세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프로세서부(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와 서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프로세서부(140)의 제어에 따라 감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프로세서부(14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프로세서부(140)의 제어에 따라 감리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기능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에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프로세서부(1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특정 공종 정보가 획득되면,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10). 여기서 공사 감리 정보는 획득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감리자 식별 정보는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시 식별 위치 정보, 식별 시간 정보 및 감리자 현장 출근 시간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 위치 정보는 감리자 식별 정보가 획득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식별 시간 정보는 감리자 식별 정보가 획득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세서부(140)가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시 함께 획득하는 식별 위치 정보는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GPS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감리가 수행되는 건물 외부의 GPS 신호 및 건물 내부의 GPS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GPS 신호를 참조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가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시 함께 획득하는 식별 위치 정보는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통신부(110)를 통해 건물 내부 와이파이 신호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참조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가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시 함께 획득하는 가령 식별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부(140)에 구비된 카메라부(미도시) 또는 비콘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감리 업무가 수행되는 시공의 위치 인근에 설치된 비콘 정보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참조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가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시 함께 획득하는 감리자 현장 출근 시간 정보는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통신부(110)를 통해 건물 내부 와이파이 신호가 획득된 시간 정보, GPS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감리가 수행되는 건물 외부의 GPS 신호 및 건물 내부의 GPS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GPS 신호를 참조하여 생성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에서 획득되는 감리자 식별 정보는 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시공자 식별 정보와 함께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감리자 식별 정보는 감리 전체에 대한 총괄 및 감리 책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감리자 총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및 공종별 감리에 대한 책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감리자 공종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공자 식별 정보는 시공 전체에 대한 총괄 책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시공자 현장대리인 식별정보 및 공종별 시공에 대한 책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시공자 공종별시공책임자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일시 정보는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완료 시점에 해당하는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외부 전자장치(200)에서 감리 보고서를 생성할 시 참조할 수 있도록, 생성된 일시 정보,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공사 감리가 일시 정보가 나타내는 일시에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감리 완료 리포트가 생성되도록 지원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생성된 감리 완료 리포트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상기 310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일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특정 공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건물이 선택되면 일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부(140)는 상기 310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40)는 공사 감리를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물에 대한 공사 현장 정보 건물별 주소 정보, 각 건물에 대응되는 동별 정보 및 각 동에 대응되는 공간별 정보, 각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별 정보를 포함함 -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획득된 공사 현장 정보 중 건물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건물을 선택하며, 선택된 특정 건물에 대한 감리 일자를 나타내는 일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특정 건물에 대응되는 동별 정보 중 동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동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동 정보에 대응되는 공간별 정보 중 공간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공간 정보를 선택하며, 선택된 특정 공간 정보에 대응되는 공종별 정보 중 공종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공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한 예시도들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조회 및 전경 사진 등록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감리가 수행될 공사 현장 건물의 정보인 프로젝트 정보 조회 화면(400)을 표시부(130)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정보 조회 화면(400)은 개별 프로젝트 선택 체크(410), 개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건물 주소가 표시되는 건물 주소 정보 표시 영역(420) 및 건물의 전경 사진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의 실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인 전경 사진 등록 아이콘(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정보 조회 화면(400)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전자장치(100)가 통신부를 통해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를 통해 수신 받은 특정 공종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로 구성될 수 이다. 또한, 개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건물 주소가 표시되는 건물 주소 정보 표시 영역(420)에는 감리 업무가 수행될 건물 건축 현장에 대한 명칭 정보 및 행정 구역상 주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전경 사진 등록 아이콘(43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전경 사진 등록 팝업창(440)을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는 전경 사진 등록 팝업창(440)을 통해 앨범 아이콘(441) 및 촬영 아이콘(442)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전경 사진(도4(c)의 480)이 등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 아이콘(441)은 전자장치(100)의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 중 전경사진으로 등록할 수 기능이 수행되도록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또한, 촬영 아이콘(441)은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전경사진으로 등록할 수 기능이 수행되도록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감리가 수행될 공사 현장 건물의 정보인 프로젝트 정보 조회 화면(400)의 건물 주소 정보 표시 영역(42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건물에 대한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이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의 상부 영역에는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을 포함하고, 일 영역에는 건물 주소 정보 표시 영역(42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된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 인덱스 정보가 표시되는 날짜 인덱스 정보 표시 영역(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의 상단부는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에는 건물(공사 현장)명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날짜 인덱스 정보 표시 영역(510) 표시되는 날짜 인덱스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프로세서부(140)는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생성된 날짜 인덱스 정보는 선택된 건물 주소 정보 표시 영역(420)에 대응되는 프로젝트 정보와 매핑되도록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 공간 이동 화면 중 동별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의 날짜 인덱스 정보 표시 영역(51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인덱스 정보(510)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도 6(b)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감리가 수행될 공사 현장 건물에 대응되는 동별 정보가 표시된 화면(6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별 정보가 표시된 화면(600)의 상부 영역에는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을 포함하고, 일 영역 내에 서로 구분되도록 개별 준비된 영역 각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동 정보(610a, 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별 정보가 표시된 화면(600)의 상부 영역에는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에는 건물(공사 현장)명과 날짜 인덱스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 공간 이동 화면 중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을 대상으로 층별 필터링 과정 수행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동별 정보가 표시된 화면(600)에 표시된 동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동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선택된 개별 동 정보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의 상부 영역은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을 포함하고, 일영역 내에는 층별 필터링 아이콘(710)을 타영역 내에는 서로 구분된 복수 개의 세부 공간 정보(720a 내지 720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세부 공간 정보(720a 내지 720h)는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에는 건물(공사 현장)명, 날짜 인덱스 정보 및 동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층별 필터링 아이콘(71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층 정보 표시 팝업 화면(73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40)는 층 정보 표시 팝업 화면(730) 내에 표시된 층 정보 중 하나의 층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층 정보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 및 선택된 공종 정보에 대한 공사 감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선택된 층 정보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에 표시된 세부 공간별 정보 중 하나의 세부 공간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의 상부 영역은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을 포함하고, 일영역 내에는 조회 아이콘(820)을 포함하며, 타영역 내에는 서로 구분된 복수 개의 공정 정보(810a 내지 810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에는 건물(공사 현장)명, 날짜 인덱스 정보, 동 정보 및 세부 공간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세부 공정 정보(810a 내지 810i)는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조회 아이콘(82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도8(a)에서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별 정보를 초성, 약자 등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에 표시된 공종별 정보 중 하나의 공종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공사 감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 감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의 상부 영역은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을 포함하고, 일영역 내에는 공종 정보 명칭 표시 영역(910)을 포함하며, 타영역 내에는 공사 감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공 영상 정보 등록 아이콘(920), 도면 상 위치 정보 등록 아이콘(930), 감리 일지 정보 등록 아이콘(940) 및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 등록 아이콘(9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에는 건물(공사 현장)명, 날짜 인덱스 정보, 동 정보, 세부 공간 정보 및 공종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공종 정보 명칭 표시 영역(910)은 프로세서부(140)가 획득한 특정 공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이다. 시공 영상 정보 등록 아이콘(920)은 프로세서부(140)가 시공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공 영상 정보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도면 상 위치 정보 등록 아이콘(930)은 프로세서부(140)가 도면 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도면 상 위치 정보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감리 일지 정보 등록 아이콘(940)은 프로세서부(140)가 감리 일지 정보를 도면 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도면 상 위치 정보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 등록 아이콘(950)은 프로세서부(140)가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시공 영상 정보 등록 아이콘(92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시공 영상 정보 등록 팝업창(930)을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는 시공 영상 정보 등록 팝업창(930)을 통해 앨범 아이콘(940a) 및 촬영 아이콘(940b)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공 영상 정보 표시 영역(970)에 표시된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60)에 시공 영상 정보가 등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 아이콘(940a)은 전자장치(100)의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영상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영상 정보로 등록할 수 기능이 수행되도록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또한, 촬영 아이콘(441)은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등을 영상 정보로 등록할 수 기능이 수행되도록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60)의 일영역 내에는 시공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공 영상 정보 표시 영역(970), 시공 영상 정보에 대한 부가 설명 정보 부가 설명 정보는 동 정보, 세부 공간 정보 및 공종 정보를 포함함- 표시 영역(980) 및 저장 아이콘(9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아이콘(990)은 시공 영상 정보 표시 영역(970) 내에 표시된 시공 영상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가 획득하는 공사 감리 정보는 시공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시공 영상 정보는 건물(공사 현장)명, 날짜 인덱스 정보, 동 정보, 세부 공간 정보 및 공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시공 영상 정보 표시 영역(97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공 영상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1000)을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가 제공하는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1000)을 통해 시공의 위치를 대상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시공 영상 정보 내에 시공의 위치 중 특정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특정 위치 표시 도형에 대한 도형 입력창을 제공하고, 프로세서부(140)가 도형 입력창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 내 상기 특정 위치 표시 도형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가 제공하는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1000)을 통해 시공 영상 정보 내에 특정 위치의 감리 결과인 특정 위치 감리자 의견에 대한 감리자 의견 입력창을 제공하고, 프로세서부(140)가 감리자 의견 입력창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 내 특정 위치 감리자 의견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1000)은 일영역 내에 시공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시공 영상 표시 영역(1010)을 포함하고, 타영역 내에 편집 아이콘 인터페이스 창(1020)을 포함하며, 하단 영역 내에 시공 영상 정보 생성 관련 정보 시공 영상 생성(촬영) 일시 정보 및 시공 영상 생성 위치 정보 및 공종 정보를 포함함- 를 표시하는 시공 영상 정보 생성 관련 정보 표시 영역(10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 및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1000)의 편집 아이콘 인터페이스 창(1020)은 영상 정보 내에 시공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체 영역 중 특정 위치 표시 도형 또는 특정 위치 감리자 의견을 추가로 생성하기 위한 편집 아이콘들(1020a 내지 1020h)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편집 아이콘 인터페이스 창(1020)은 도형 선택 아이콘(1020a, 1020b, 1020c), 메모 아이콘(1020d), 색상 설정 아이콘(1020e), 색상 표시 아이콘(1020f), 취소 아이콘(1020g) 및 닫기 아이콘(1020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형 선택 아이콘들(1020a, 1020b, 1020c)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도형 입력창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메모 아이콘(1020d)은 감리자 의견 입력창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색상 설정 아이콘(1020e)은 도형 입력창 기능에 의해 영상 정보에 추가로 입력되는 도형 또는 감리자 의견 입력창 기능에 의해 영상 정보에 추가로 입력되는 감리자 의견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색상을 설정하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색상 표시 아이콘(1020f)은 색상 설정 아이콘(1020e)의 색상 설정 기능에 의해 설정된 색상을 표시한다. 취소 아이콘(1020g)은 편집 아이콘 인터페이스 창(1020)에 포함된 아이콘들(1120) 중 선택된 아이콘의 기능의 실행을 취소하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닫기 아이콘(1020h)은 영상 정보 편집을 종료하고, 저장하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도형 선택 아이콘들(1020a, 1020b, 1020c)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영상 정보 표시 영역(1010)의 전체 영역 중 도형 입력창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에 선택된 도형(1040)을 시공 영상 표시 영역(1010)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에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40)는 획득된 터치 입력 신호에 선택된 도형(1040)의 위치/크기 등이 변경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메모 아이콘(1020d)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영상 정보 표시 영역(1110)의 전체 영역 중 도형 입력창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에 의견 입력창(1100)을 시공 영상 표시 영역(1010)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에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40)는 획득된 터치 입력 신호에 선택된 의견 입력창(1100)의 위치/크기 등이 변경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40)는 메모 아이콘(1020d)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시공 영상 정보 표시 영역(1010)의 전체 영역 중 도형 입력창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에 의견 입력창(1100)에 감리자의 의견을 등록 시키기 위한 자판 입력창(1120)이 팝업 형식으로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의견 입력창(110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자판 입력창(1120)에 의해 감리자 의견을 나타내는 감리자 의견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감리자 의견 텍스트 정보를 시공 영상 표시 영역(1010)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 내에 의견 입력창(1100)이 위치되었던 특정 영역에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닫기 아이콘(1020h)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시공 영상 정보 저장창(1200)을 팝업 형식으로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된 시공 영상 정보 저장창(1200)은 저장 아이콘(1210) 및 닫기(1220)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140)는 저장 아이콘(12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편집된 시공 영상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동시에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시공 영상 정보(1230)가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부(140)는 그냥 닫기 아이콘(12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편집 이전 상태의 시공 영상 정보가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이 완료된 시공 영상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상기 도 9(c)에 도시된 시공 영상 정보 표시 영역(970)에 표시된 시공 영상 정보 선택을 위한 체크 박스(13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시공 영상 정보(1300)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공유 아이콘(132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형식 제공창(1330)을 팝업 형식으로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저장 형식 제공창(1330) 중 하나의 저장 형식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 및 선택 아이콘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시공 영상 정보를 선택된 저장 형식에 따라 저장부(120)에 저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유를 지원하는 공유 관련 애플리케이션 팝업창(134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140)는 공유 관련 애플리케이션 팝업창(1340)에 표시된 공유 관련 애플리게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선택된 저장 형식에 따라 저장된 시공 영상 정보를 선택된 공유 관련 애플리게이션을 통해 외부 전자장치(200) 및 서버(300)와 같은 다른 전자장치들과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가 지원하는 공유 기능은 시공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감리 정보들을 다른 전자장치들과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가 획득하는 공사 감리 정보는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도면 상 위치 정보는 건물(공사 현장)명, 날짜 인덱스 정보, 동 정보, 세부 공간 정보, 공종 정보 및 시공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상 위치 정보는 시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면 상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평면도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은 평면도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은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구조도 및 BIM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도면 상 위치 정보 등록 아이콘(93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4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400)은 핀추가 아이콘(1410), 핀삭제 아이콘(1420), 위치이동 아이콘(1430), 저장 아이콘(1440) 및 평면도 선택 아이콘(1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핀추가 아이콘(1410)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핀삭제 아이콘(1420)은 도면 상에 추가된 아이콘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위치이동 아이콘(1430)은 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저장 아이콘(1440)은 도면 상 위치 정보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400)에서 수행된 작업을 저장하는 기능의 수행을 명령하는 인디케이터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평면도 선택 아이콘(155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형식의 평면도들(1470a 내지 1470c)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평면도 표시 팝업창(1460)이 표시부(130) 상에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도 표시 팝업창(1460)은 닫기 아이콘(148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부(140)는 닫기 아이콘(148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130)상에 평면도 표시 팝업창(1460)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평면도 표시 팝업창(1460) 내에 표시된 평면도들(1470a 내지 1470c) 중 하나의 평면도(1470c)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선택된 평면도(1470c)를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400)의 위치표시 화면(미도시)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상 위치 정보에 시공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도형이 추가되도록 편집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핀추가 아이콘(15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이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콘이 위치표시 화면(미도시)의 영역에 표시된 평면도 상에 표시 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위치이동 아이콘(153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평면도 상에 시공의 위치가 특정되도록 평면도 상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의 위치를 공사 감리가 실제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140)는 위치이동 아이콘(153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고, 표시부(130) 상에 드래그 입력 등과 같은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의 위치가 공사 감리가 실제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저장 아이콘(14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평면도 상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140)는 저장 아이콘(14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공사 감리가 실제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의 이미지가 추가된 평면도가 저장부(120)에 저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이 완료된 도면 상 위치 정보 및 편집이 완료된 시공 영상 정보가 실제 감리보고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는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 감리 보고서를 생성할 시 참조할 수 있도록, 감리 완료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리 완료 리포트는 감리 완료 보고서에 포함된 일시 정보, 공사 감리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공사 감리 정보는 기본적으로 하기 자세히 설명될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 하기 자세히 설명될 감리 일지 정보, 공사 감리가 실제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아이콘의 이미지가 추가된 평면도(1400) 및 편집된 시공 영상 정보(12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시 정보는 특정 공종에 대한 감리가 완료된 일시 정보 및 식별 정보가 획득된 일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리 완료 리포트를 획득한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는 감리 완료 보고서에 포함된 일시 정보, 공사 감리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감리 보고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리일지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가 제공하는 감리일지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700)은 특정 공종의 시공 결과에 대한 감리자의 감리 내용을 나타내는 감리 일지 정보 - 감리 착안 사항, 감리 내용, 특기 사항, 지적사항 및 처리 결과를 포함함 -에 대한 각각의 텍스트 입력창(1710a 내지 1720d) 및 저장 아이콘(17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감리 일지 정보 등록 아이콘(9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감리일지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7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각각의 텍스트 입력창 중 하나의 텍스트 입력 창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해당 텍스트 입력창에 감리자의 의견을 감리자의 의견을 등록 시키기 위한 자판 입력창(1720)이 팝업 형식으로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자판 입력창(172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자판 입력창(1720)에 의해 감리자 의견을 나타내는 감리자 의견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감리자 의견 텍스트 정보를 해당 텍스트 입력창에 획득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저장 아이콘(173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각각의 텍스트 입력창(1710a 내지 1720d)에 표시된 각각의 텍스트 정보를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여 감리 일지 정보를 저장 및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성이 완료된 감리일지 정보가 실제 감리보고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는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 감리 보고서를 생성할 시 참조할 수 있도록, 감리 완료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리 완료 리포트는 감리 완료 보고서에 포함된 일시 정보, 공사 감리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공사 감리 정보는 기본적으로 하기 자세히 설명될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 감리 일지 정보(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리 완료 리포트를 획득한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는 감리 완료 보고서에 포함된 감리 일지 정보(1700)를 참조로 하여 감리 보고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시공자 식별 정보와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 등록 아이콘(95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은 감리 수행시 감리자에 의해 감리되어야 할 항목들을 대상으로 감리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검측 체크 박스(1910) 및 서명 아이콘(19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의 검측 체크 박스(1910)의 내용들은 프로세서부(140)가 획득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내용이다. 즉, 검측 체크 박스(1910)의 내용들이 공종별로 서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감리 수행시 감리자에 의해 감리되어야 할 항목들이 공종별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도 19(b)를 참조하면,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서명 아이콘(192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검측 체크 박스(1910)에 체크된 정보 저장하고,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140)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이 팝업 형식으로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은 기본적으로 총괄 감리 업무를 수행한 감리자를 식별하기 위한 감리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되는 감리자 총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c) 및 특정 공종에 대한 감리 업무를 수행한 감리자를 식별하기 위한 감리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되는 감리자 공종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은 감리 업무가 수행되는 현장의 전체 시공을 책임지는 시공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공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되는 시공자 현장대리인 식별정보 입력창(1940a) 및 특정 공종에 대한 시공 업무를 수행한 시공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공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되는 시공자 공종별시공책임자 식별정보(1940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은 완료 아이콘(1950), 지우기 아이콘(1960) 및 취소 아이콘(19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 내에 완료 아이콘(195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시공자 현장대리인 식별정보 입력창(1940a), 시공자 공종별시공책임자 식별정보(1940b), 감리자 총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c) 및 감리자 공종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d)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입력된 식별 정보를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표시부(130) 상의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의 예로서 프로세서부(140)가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서명(signature)을 입력할 수 있는 서명 입력창들을 제공하고, 감리자 또는 시공자의 서명 입력창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여 생성되는 전자 서명(electronic signature)정보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전자장치(100)에 구비된 생체 신호 취득부(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지문, 혈관 이미지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시공자의 식별 정보인 시공자 식별 정보는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일시 정보와 매핑시 함께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는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의 감리자 총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c) 및 감리자 공종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d)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식별 정보의 입력 신호가 획득되고, 완료 아이콘(195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식별 정보를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표시부(130) 상의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부(140)는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의 감리자 총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c) 및 감리자 공종별감리책임자 식별정보 입력창(1940d)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식별 정보의 입력 신호가 획득되고, 시공자 현장대리인 식별정보 입력창(1940a), 시공자 공종별시공책임자 식별정보(1940b)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식별 정보의 입력 신호가 획득되면, 식별 정보를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표시부(130) 상의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에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창(1940c 또는 1940d)과 시공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창(1940a 또는 1940b)가 포함된 경우,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창(1940c 또는 1940d)에 서명이 완료되고, 시공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창(1940a 또는 1940b)된 후 완료 아이콘(223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식별 정보를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표시부(130) 상의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지우기 아이콘(22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의 시공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창(1940a 또는 1940b) 또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창(1940c 또는 1940d)에 입력된 식별 정보가 삭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는 지우기 아이콘(22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모든 식별 정보를 한번에 삭제하거나 감리자 식별 정보 또는 시공자 식별 정보가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삭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성이 완료된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와 등록된 시공자 식별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가 실제 감리보고서에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감리 완료 리포트 생성시 최종 등록된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1900) 및 식별 정보(1930)가 포함되도록 감리 완료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감리 완료 보고서에 포함된 검측 체크리스트 정보(1900) 및 식별 정보(1930)는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 감리 보고서(2000)를 생성할 시 참조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종별 검사 완료 화면, 검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 표시 화면 및 검사가 완료된 세부 공간 정보 표시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의 완료 아이콘(223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식별 정보를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표시부(130) 상의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30)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한 후, 공종별 검사 완료창(2100)이 팝업 형식으로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검사 완료창(2100)에 포함된 완료 아이콘(21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와 식별 정보 -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공사 시공을 책임지는 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시공자 식별 정보- 대한 정보들의 등록이 완료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부(140)는 특정 공종에 대한 감리 업무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특정 공종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부(120)에 저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검사 완료창(2100)에 포함된 완료 아이콘(21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공사 감리 정보와 식별 정보의 등록이 완료된 특정 공종 정보(810d)가 표시된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부(140)는 공사 감리 정보와 식별 정보의 등록이 완료된 특정 공종 정보(810d)가 다른 공종 정보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해당 공종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의 바탕 색을 소정의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등록된 정보들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색상으로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1(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에서 공사 감리 정보와 식별 정보의 등록이 완료된 특정 공종 정보(810d)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720e)를 표시하는 영역의 바탕 색을 소정의 색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세부 공간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색상으로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 표시 화면 에 대한 공사 감리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 내에 공사 감리 정보와 식별 정보의 등록이 완료된 특정 공종 정보(810d)가 표시된 상태에서 조회 아이콘(22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해당 특정 공종 정보(810d)에 대해 시공 영상 정보가 등록된 시공 영상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60), 소정의 형상을 갖는 아이콘으로 시공의 위치가 마크된 도면이 등록된 도면 상 위치 정보를 등록하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400), 감리자의 시공에 대한 감리 의견 내용이 등록된 감리일지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700) 및 감리자의 감리 내용을 나타내는 검측 체크리스트가 등록된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들을 겹치는 팝업창들 형식으로 표시부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표시된 겹치는 팝업창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해당 팝업창이 표시부(13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 표시 화면 에 대한 시공자 식별 정보 및 감리자 식별 정보를 조회하고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프로세서부(140)는 표시된 겹치는 팝업창들 중 감리자의 감리 내용을 나타내는 검측 체크리스트가 등록된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획득된 선택 신호에 따라 검측 체크리스트가 등록된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검측 체크리스트가 등록된 검측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0) 내에 서명 아이콘(192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감리자 및 시공자 식별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80) 내에 내용삭제 아이콘(23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감리 업무에 관련된 정보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공종별 검사 기록 삭제창(1330)이 표시부(130) 상에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검사 기록 삭제창(1330) 내에 확인 아이콘(13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감리 업무에 관련된 정보들이 삭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검사 기록 삭제창(1330) 내에 취소 아이콘(13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표시부(130) 상의 공종별 검사 기록 삭제창(1330) 표시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종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날짜 인덱스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방법 또는 세부 공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세부 공간의 공종별 정보 중 감리가 조사가 완료된 공종 정보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는 방법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 내에 상부 영역의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에 건물(공사 현장)명(520a), 특정 공종 감리가 수행된 날짜 정보(미도시), 동 정보(미도시), 세부 공간명(520b) 및 특정 공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 내에 상부 영역의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 내에 표시된 건물(공사 현장)명(520a)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건물(공사 현장)명(520a)에 대응되는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공종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800) 내에 상부 영역의 감리 업무 단계 표시 영역(520) 내에 표시된 세부 공간명(520b)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세부 공간명(520b)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이 표시부(130)상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4(d)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세부 공간명(520b)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별 정보가 리스트화 표시된 화면(700) 내에 완료 아이콘(520c)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당일 업무 완료 팝업창(2400)이 표시부(130) 상에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당일 업무 완료 팝업창(2400)에 포함된 확인 아이콘(24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당일 업무 - 감리가 수행된 일자 인덱스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업무- 가 완료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완료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당일 업무 완료 팝업창(2400)에 포함된 확인 아이콘(241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당일 업무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당일 업무 완료 팝업창(2400)의 표시를 종료하며,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날짜 인덱스가 표시된 화면(500) 내에 당일 업무가 완료된 개별 날짜 인덱스 표시 영역(미도시)에 날짜 인덱스 정보(510a)와 작업 추가 정보(510b) 감리 업무가 시작된 시간 정보, 감리 엄부가 종료된 시간 정보 및 당일 업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함 가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40)는 새로운 감리 업무가 시작되는 조사 시점에 새로운 개별 날짜 인덱스 표시 영역(미도시)을 추가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날짜 인덱스 표시 영역에 새로운 감리 업무가 시작되는 조사 시점에 해당하는 날짜 인덱스 정보(미도시)와 새로 자동 생성된 날짜 인덱스 정보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510c)가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프로젝트 정보 조회 화면(400) 내에 개별 프로젝트 선택 체크(410)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획득되고, 현장정보 아이콘(46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획득되면,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완료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50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5(d)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부(140)는 프로젝트 완료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500) 내에 프로젝트 완료 아이콘(252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모든 감리 업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감리 업무 완료 팝업창(2530)이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부(140)는 감리 업무 완료 팝업창(2530) 내에 확인 아이콘(2540)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표시부(130) 상에 감리 업무 완료 팝업창(2530)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들에 따른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지원하는 전자장치(100)가 제공하는 상술된 기능들을 통해 감리자는 세부 공간 부위별로 실시간 검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들에 따른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지원하는 전자장치(100)가 제공하는 상술된 기능들을 통해 감리자가 등록한 특정 공정에 대한 세부적인 감리 결과 또는 공사 현장의 전체 감리 결과들을 외부 전자장치(200) 또는 서버(3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권한을 가진 권한자들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자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40: 프로세서부
200: 외부 전자장치
300: 서버

Claims (1)

  1. 공종별 공사 감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전자장치가, 특정 공종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특정 공종 정보에 대응되는 시공에 대한 감리 정보인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공사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감리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를 해당되는 일시(日時)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자장치가, 외부 전자장치 또는 서버가 표준 감리보고서 생성시 상기 획득된 공사 감리 정보, 상기 획득된 감리자 식별 정보 및 일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029771A 2016-03-11 2016-03-11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106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71A KR20170106602A (ko) 2016-03-11 2016-03-11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71A KR20170106602A (ko) 2016-03-11 2016-03-11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02A true KR20170106602A (ko) 2017-09-21

Family

ID=6003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771A KR20170106602A (ko) 2016-03-11 2016-03-11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6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279B1 (ko) * 2018-12-31 2019-06-26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279B1 (ko) * 2018-12-31 2019-06-26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034B1 (ko)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Ma et al.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based on a collaborative system using BIM and indoor positioning
Park et al. A framework for proactive construction defect management using BIM, augmented reality and ontology-based data collection template
Bohn et al. Benefits and barriers of construction project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automated cameras
US9177280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cquiring an enhanced positive response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based on an electronic manifest documenting physical locate marks on ground, pavement, or other surface
US8543651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ubmitting virtual white line drawings and managing notifications in connection with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US8977558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and assessment of engineering plans
KR20170137098A (ko)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CN102792322A (zh) 利用相关联的地理空间数据的可视化信息组织
US20210097475A1 (en) Networked activity management with media collection and selectable activity insertion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82729A (zh) 一种土地质量地质调查野外数据采集系统及方法
CA2823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eld services automation
JP2009193407A (ja) 工事管理システム
KR101584485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Kim et al. Mobile app development for smart construction site work processing
KR20170106602A (ko) 공종별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rora et al. Mobile GIS for construction quality managers and surveyors
KR20160066222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방법
Yamaura et al. Project inspection using mobile technology-phase II: assessing the impacts of mobile technology on project inspection.
Abdelrehim Interactive voice-visual tracking of construction as-built information
Barletta et al. Geo-based Data Integration (GDI) in the IAEA Department of Safeguards
Sikarwar et al. Delay Analysis of Residential Construction by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harqi et al. Training Video on Low-Skilled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