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368B1 -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368B1
KR102593368B1 KR1020220091002A KR20220091002A KR102593368B1 KR 102593368 B1 KR102593368 B1 KR 102593368B1 KR 1020220091002 A KR1020220091002 A KR 1020220091002A KR 20220091002 A KR20220091002 A KR 20220091002A KR 102593368 B1 KR102593368 B1 KR 10259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technician
work
scree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나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장치는, 공사를 시공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주소지 정보를 기준으로 작업 과정의 이력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되,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작업 항목의 일측에 공사의 실측 확인서나 시공 사진의 확인을 위한 제1 버튼을 표시하며, 발주자에게 결제 청구를 위한 제2 버튼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Thechnicia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인테리어 공사 등을 위해 기술자들이 고객관리, 업무관리, 일정관리, 결제관리 및 발주관리 등을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솔루션(solution)을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일정한 거주지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들은 자신의 거주 공간을 자신의 취향 또는 유행에 따라 변화시키고자 내부 및 외부 인테리어를 바꾸려는 시도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된 아파트의 경우에 기존 거주자는 물론 신규 구매자 모두가 새로운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아파트 리모델링을 원하는 경우가 많아져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인테리어 공사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테리어는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인테리어 업체가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시공에 따른 견적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가 이를 최종 결정한 후 시공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최근에는 친환경적이고, 생태적이며,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에 대한 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정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아파트 수요자의 품질욕구 증대로 인해 건축물의 실내외 마감공사 부분에 대한 고급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수요성향에 따라 전문건설업 분야에서 인테리어 공사의 수행하는 실내 건축업체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인테리어 시공업체는 소비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사양을 직접 들은 후, 관련된 견적서를 작성하여 소비자와 최종결정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인테리어 등과 관련하여 현재 시중에서 제공되는 많은 서비스(플랫폼)들은 공사를 발주하는 수요자를 중심(B2C기반)으로 서비스를 설계한 관계로 전문 기술자와 같은 공급자의 측면에서는 활용할만한 서비스가 거의 없다. 다시 말해, 인테리어 공급자를 위한 최적화된 업무 툴(tool)과 프로세스가 없다.
첨언하자면 현재 배포되어 있는 수십개의 협업 툴은 사무직 또는 개발업무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 시공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몹시 제한적이다. 따라서 인테리어 기술자들은 다이어리(수기)로 일정을 관리하거나 4~6개의 툴을 혼용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필연적으로 고객관리, 일정관리, 발주, 결제관리 등에 너무 많은 자원(resource)이 투입되고, 고객과의 약속을 놓치거나 결제가 누락되는 업무 누수가 발생하여 계약된 고객이 이탈하거나 고객의 신뢰를 잃게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5165호(2014.02.1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6316호(2019.05.3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65507호(2020.01.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1946호(2020.07.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22384호(2021.02.2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2114호(2021.01.0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1197호(2019.07.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인테리어 공사 등을 위해 기술자들이 고객관리, 업무관리, 일정관리, 결제관리 및 발주관리 등을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솔루션을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장치는, 공사를 시공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주소지 정보를 기준으로 작업 과정의 이력(history)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되, 상기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작업 항목의 일측에 상기 공사의 실측과 관련한 파일의 실측 확인서나 시공 사진의 확인을 위한 제1 버튼을 표시하며, 상기 발주자에게 결제 청구를 위한 제2 버튼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상의 상측에 상기 공사의 시공명, 견적금액, 견적서 확인을 위한 제3 버튼 및 시공 담당자명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항목의 주변으로 작업과 관련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 출입문 비밀번호, 결제청구 발송 여부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버튼의 선택시 결제 상태를 수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상의 하측에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기술자의 내 일정을 일자별로 볼 수 있는 내일정 항목, 상기 작업 과정의 관리를 위한 작업 항목, 월별로 기술자 및 작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캘린더 항목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를 수주하는 기술자 단말장치의 구독 요금제 선택에 따른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프리미엄 서비스로서 상기 수주한 공사의 장소에 대한 도면 데이터를 근거로 원자재의 양을 시뮬레이션하는 자재 시뮬레이션 기능,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 및 자재공동구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를 발주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공사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후 채팅으로 컨설턴트와 상세 상담을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초 자료의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공사의 책임 소재, 보유 기술자 현황 및 시공 도중의 추가 요금 발생 여부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메인 화면상에 상기 사용자의 공사 발주와 관련해 현재를 기준으로 하는 전체 시공 프로세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시공 프로세스 확인 영역, 각 시공별 상세 프로세스와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상세 프로세스 확인 영역, 계약시 협의했던 리모델링 컨셉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리모델링 컨셉 확인 영역 및 상기 공사의 계약과 관련한 계약서의 확인과 앱 내 직접 결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공사를 시공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주소지 정보를 기준으로 작업 과정의 이력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되, 상기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작업 항목의 일측에 상기 공사의 실측과 관련한 파일의 실측 확인서나 시공 사진의 확인을 위한 제1 버튼을 표시하며, 상기 발주자에게 결제 청구를 위한 제2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의 상측에 상기 공사의 시공명, 견적금액, 견적서 확인을 위한 제3 버튼 및 시공 담당자명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항목의 주변으로 작업과 관련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 출입문 비밀번호, 결제청구 발송 여부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버튼의 선택시 결제 상태를 수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의 하측에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기술자의 내 일정을 일자별로 볼 수 있는 내일정 항목, 상기 작업 과정의 관리를 위한 작업 항목, 월별로 기술자 및 작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캘린더 항목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사를 수주하는 기술자 단말장치의 구독 요금제 선택에 따른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프리미엄 서비스로서 상기 수주한 공사의 장소에 대한 도면 데이터를 근거로 원자재의 양을 시뮬레이션하는 자재 시뮬레이션 기능,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 및 자재공동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사를 발주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공사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후 채팅으로 컨설턴트와 상세 상담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초 자료의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공사의 책임 소재, 보유 기술자 현황 및 시공 도중의 추가 요금 발생 여부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메인 화면상에 상기 사용자의 공사 발주와 관련해 현재를 기준으로 하는 전체 시공 프로세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시공 프로세스 확인 영역, 각 시공별 상세 프로세스와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상세 프로세스 확인 영역, 계약시 협의했던 리모델링 컨셉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리모델링 컨셉 확인 영역 및 상기 공사의 계약과 관련한 계약서의 확인과 앱 내 직접 결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시공사 등 공급자의 업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여러가지 툴에 고객정보와 일정을 중복 입력하는 작업을 소거하고 날짜별로 해야 할 업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므로 전문 기술자들이 일정을 놓치지 않으며, 캘린더로 기술자별, 작업별, 상태별로 구분하여 일정 확인 및 작업 할당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회원가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내 일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측, 작업 사진 업로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주소지 바로가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작업 과정 확인하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세부내역 확인하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캘린더의 필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작업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아파트단지 생성에서 지역 추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고객주소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작업 생성 방법(두가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작업에 담당자 할당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관리자의 작업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캘린더의 기술자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관리자의 매출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미수금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20은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관리자 프리미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
도 22는 B2C 플랫폼 이용자 진입 화면의 예시도, 그리고
도 23은 B2C 플랫폼 이용자 계약 후 메인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기술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및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기술자 통합관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예를 들어 인테리어 중개플랫폼과 같이 온라인상에서 중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공사를 발주하는 발주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공사를 수주하는 인테리어 시공사 또는 해당 시공사의 기술자들이 사용하는 솔루션 즉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지만, 이러한 솔루션은 위의 중개플랫폼에 구축되어 두가지 서비스를 병합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또 사용자들의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와 같은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거나, 데스크탑컴퓨터나 랩탑컴퓨터와 같이 PC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가령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와 통신하여 시공사의 기술자가 제공하는 시공사진을 확인하거나 결제를 확인하고 공사를 진행하는 담당자를 확인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접속하는 소프트웨어(S/W) 모듈과 시공사의 기술자 단말장치(110)에서 접속하는 S/W 모듈은 서로 분리되어 두개의 S/W 모듈은 서로 연동할 수 있다.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사용자가 발주하는 인테리어 공사를 수주하는 시공사의 관계자나 시공사의 기술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공을 수행하는 전문 기술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탑재하여 이를 통해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기술자의 시공사진 처리, 결제청구, 결제확인, 담당자 지정 등의 다양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앱 등의 솔루션을 통해 모든 작업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날짜별로 해야 할 업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고, 캘린더를 통해 기술자별, 작업별, 상태별로 구분하여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별로 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도 2의 (a) 참조). 또한, (고객별로) 시공내역을 통해 시공 금액이나 시공 담당자, 그리고 특이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도 2의 (b) 참조). 또한 시공 발주자의 주소지를 근거로 작업 전체보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공이 완료된 경우에는 결제청구를 수행할 수도 있다(도 2의 (c) 참조). 뿐만 아니라,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캘린더 기능을 통해서는 기술자 전체 또는 각 기술자별로 작업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 화면에 접속한 후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내일정, 캘린더, 작업 등의 항목을 선택하여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기술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기술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기술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더 정확하게는 기술자 단말장치(110)에 탑재되는 앱의 실행에 따라 시공사의 전문 기술자들이 업무와 관련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기술자들의 업무는 시공사진 발송, 결제 청구, 결제 확인이나 특정 시공의 담당자 지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 계정을 생성한 이후에 기술자들이 일종의 시공 다이어리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특정 날짜의 시공과 관련한 알림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알림은 결제 청구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결제가 완료되었을 때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공사를 발주하는 고객의 공사와 관련하여 기술자들이 자신이 소지하는 기술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모든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예를 들어 내일정 항목을 통해서는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내 일정을 일자별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시공 예약을 추가로 수주할 수도 있다. 기술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기술자들은 실측이나 시공이 있는 경우에는 실측서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시공의 경우에는 작업사진을 업로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들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시공사진 등은 공사를 발주한 고객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특정 시공 등과 관련하여 결제청구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시공 항목의 일측에 생성되는 결제청구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결제청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앱 화면상의 하단에 형성되는 작업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공사를 발주한 고객의 주소지를 근거로 공사의 작업 과정의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해당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측(혹은 제1 영역)에는 주소정보와, 공사명, 견적금액, 시공 담당자명이 표시될 수 있고, 견적서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하측(제2 영역)으로는 작업 과정의 이력을 날짜별로 보여줄 수 있으며, 실측 항목의 일측에는 실측서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을, 그리고 시공의 경우에는 시공사진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을 생성함으로써 실측서가 업로드되지 않았거나 시공사진이 업로드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버튼을 클릭하여 업로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무엇보다 시공이 완료된 후 결제와 관련해서는 결제항목의 일측에 결제청구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자가 결제청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결제청구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결제 상태를 수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팝업창이 화면상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현금으로 받거나 카드로 받는 경우 수기 조작이 이루어져 이의 상태를 앱 화면에 반영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작업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상에는 다양한 부가정보를 표시해 준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실측을 위해 몇시에 방문요청이 있는지, 시공을 위한 입주전 현관(혹은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표시해 주고, 결제청구가 있는 경우 메시지의 발송이 완료되었음을 표기해 주어 기술자가 작업을 한눈에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화면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상기의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일정표에서 고객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주소지의 상세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월별로 기술자들의 작업과 작업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캘린더 기능, 아파트단지나 지역을 추가하기 위한 기능, 고객주소 생성 기능, 작업에 담당자 할당 기능 등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18을 통해 계속해서 다루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딸느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 있는 B2B 서비스 이외에 B2C 서비스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중개플랫폼이 아니라 직영플랫폼으로 동작하며, 고객의 요청을 본사에서 직접 상담할 수 있는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비스상에서 전화나 인공지능(AI) 챗봇 등을 통해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비딩 방식이 아니라 가격은 기술자의 등급에 따라 정해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예: 백엔드에서는 공급사들에게 여러 개의 비딩을 받고 그룹핑하여 평균을 내서 A 등급 120만원, B 등급 90만원 등과 같이 표준화시키는 방법, 플랫폼이 표준단가를 만들어버리는 방법, 시공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집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면 백엔드로 비딩을 받은 후 본사(혹은 서비스 운영사)에서 표준을 정하는 방법 등). 그리고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또는 서비스 운영자는 고객과 플랫폼이 직접 계약하고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를 통해 결제를 받은 후(혹은 확인한 후) 공급자에게 정산을 해주는 구조로 운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후관리가 (AS) 필요한 시점에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의 플랫폼에서 직접 접수를 받아 처리하고 일정준수, 평판, 또는 패널티 정책을 기반으로 공급자들의 퀄리티를 관리하여 공급자의 업무 효율을 도모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것에서부터 인테리어 생태계를 재정비 할 수 있다. 이렇듯 플랫폼이 인테리어 계약 전체를 관장하고 공급사들을 관리함으로써 현재 월 500건 이상 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되고 있는 부실공사, 시공 중 단가 올리기, AS회피 등의 인테리어 소비자 피해사례를 방지할 수 있으며고객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회원가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회원가입을 위하여 기설치되는 앱을 실행한 후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로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개인 회원(가령 사업자에 소속되는 전문 기술자)은 사업자 어드민(admin)이 초대를 했을 경우 링크를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다. 자동으로 기업명이 할당된다. 기업명을 직접 검색해서 가입을 신청하고 해당 기업의 어드민이 수락하는 기능을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서 제공한다. 한명의 기술자는 여러개의 사업자에 소속될 수 있다. 또한, 개인회원은 회원가입 화면을 통해 개인의 보유 기술을 선택하고 사업자 보유 기술의 범위로 제한하지는 않으나 벗어나는 경우에는 작업단위에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사업자(기업)회원은 사업자 등록증을 업로드해야 가입이 가능하다. 사업자로 가입한 아이디가 해당 기업의 어드민 권한을 갖게 된다. 기업 보유 기술은 '작업'의 전체 카테고리를 정의한다.
도 4는 내일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서 기술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은 도 4의 내일정 화면을 포함한다. 도 4의 화면은 예를 들어 메인화면이나 도 4의 화면의 하측에 표시되는 내일정 항목을 클릭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각 기술자의) 내 일정을 일자별로 볼 수 있다. 또한 작업 상태가 '실측'이거나 '시공'인 경우에는 '실측서' 또는 '작업사진'을 업로드해야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술자 단말장치(110)에서 기술자가 도 4의 (a) 화면에서 실측 항목의 일측에 표시되는 완료하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업로드된 실측서나 작업사진이 없는 경우 작업완료를 위하여 도 4의 (b)에서와 같이 실측서나 작업사진을 업로드하라는 팝업창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실측, 작업 사진 업로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실측서를 앨범에서 업로드하거나 카메라로 촬영할 수도 있다. 실측서를 서버 즉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 단순히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 후 발주처에 발주를 넣을 수도 있다(SMS/E-mail). 이는 관리자 메뉴에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실측서를 앨범에서 업로드하거나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입주 전 빈집의 시공이 많기 때문에 시공 완료 사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객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의 (b) 화면에서는 기술자가 '고객에게 전송 및 결제 청구'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고객에게 시공 사진을 전송하며 동시에 결제 청구 안내 메시지를 같이 보낼 수 있다. 결제 청구는 관리자 메뉴에서 on/off 가능하며, 송금을 할 수 있는 법인 계좌가 안내되며 카드결제가 가능한 링크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주소지 바로가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내일정 항목을 선택해서 나타나는 일정표에서 고객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주소지의 상세페이지로 이동한다. 해당 주소지에는 상세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주소정보가 사전에 링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6의 (b)에서와 같은 주소지 상세페이지에서는 고객 연락처를 확인하고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다. 휴대폰의 통화 기능과 연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주소지 상세페이지에서는 각 기술자들이 주소지를 기준으로 즉 고객별로 어떠한 시공을 수행하였는지를 종합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서 (+) 항목을 클릭하면 작업의 상세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담당자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담당자로 필터링된 캘린더를 볼 수 있다.
도 6의 (b) 화면에서 특이사항은 노트 형식으로 해당 고객에 대한 팁(tip)을 자유롭게 작성 및 수정이 가능하다. 아파트 평형(타입)은 초기에 메모로 관리하지만 별도의 변수(혹은 항목)로 설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작업 과정 확인하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작업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상에서 작업의 처리 현황을 프로세스 순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볼 때 날짜순으로 실측, 발주, 입고, 시공, 결제 등의 작업 항목이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예: 코로나 감염 등) 일정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기술자는 결제 상태를 수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통장앱과 연동 또는 SMS 크롤링으로 송금을 체크하지만, 현장에서 현금으로 받거나 카드로 받는 경우에는 수기 조작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a)에서 볼 때 결제청구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 7의 (b)에서와 같이 결제완료를 수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팝업창이 화면상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제 상태의 수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세부내역 확인하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화면에서 상측의 견적서 확인, 실측 항목과 시공 항목의 일측에서 실측서나 시공사진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이 생성되어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시공 상세 페이지에서 '견적서 확인', '실측서 확인', '시공사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저장해 놓은 파일들을 열어 볼 수 있다. 주소지마다 시공사진을 폴더링(foldering)하여 제공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 사진을 올릴 때 사진이 그룹핑되지 않아 사진의 구분이 어려운 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캘린더의 필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캘린더는 '기술자'를 기준으로 전체보기 필터가 기본 설정되어 있다. 필터에서 '기술자'를 선택하면 해당 기술자의 작업만 볼 수 있다. 또한, 기준에서 '작업'을 선택하면 작업을 기준으로 전체 또는 특정 작업을 필터링하여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기준에서 '상태'를 선택하면 작업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링하여 볼 수 있다.
도 10은 작업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은 직접 동 호수, 또는 고객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결과의 주소지를 클릭하면 해당 주소지의 상세페이지로 이동한다. 또한 해당 지역을 선택하면 하위의 아파트 단지가 나오고, 단지를 클릭하면 해당 단지의 고객 주소가 펼쳐진다. 고객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주소지의 상세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아파트단지 생성의 지역 추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화면의 하단에는 생성 항목 버튼이 표시된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아파트단지, 고객주소나 작업을 (신규로) 생성하기 위한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필요한 지역명을 입력하고, '추가하기'버튼을 누르면 해당 지역이 추가된다. 또한 주소지의 지역을 선택하고 하위의 생성하고자 하는 신규 아파트 단지명을 입력한다. 저장 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아파트 단지가 해당 지역에 생성된다.
도 12는 고객주소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객 주소 생성을 위하여 고객 주소지의 지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를 선택한다. 아파트 단지가 없다면 '아파트단지' 메뉴로 들어가서 단지를 먼저 생성해야 한다. 주소지 정보를 입력한다. 동호수, 고객명, 전화번호, 추가전화번호 및 관계, 특이사항을 기입하고 저장한다. 타입(평형)은 피커에서 선택한다.
주소지가 저장되면 해당 주소지의 기본 페이지로 이동한다. 아파트단지+동+호수의 주소지 조합은 기본키(Primary key)가 된다. 특이사항란은 메모장 타입으로 언제든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13은 작업 생성 방법(두가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지 상세화면에서 시공 내역 하단의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해당 주소지가 할당된 작업 생성 화면이 로딩되며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작업 생성이 완료된다. 생성은 작업 메뉴로 들어가서 원하는 주소지를 검색한다. 주소지를 선택하고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하면 작업 생성이 완료된다.
도 14는 작업에 담당자 할당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을 생성하고 나면 담당자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할당' 버튼을 클릭하면 작업을 생성할 때 입력했던 날짜를 기준으로 기술자의 작업 리스트가 로딩된다. 각 작업자 우측의 '할당' 버튼을 클릭하면 타임피커 즉 시간을 선택하는 선택창(또는 팝업창)이 생성되고 담당자에게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담당자에게 할당을 완료한 주소지를 클릭하면 주소지 상세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5는 관리자의 작업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생성해 놓은 작업목록이 표시되고 작업마다 업무의 프로세스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 발주관리 기능을 on/off할 수 있다. 기능을 off시키면 발주서를 자동으로 발주처로 보내지 못한다. 결제관리 기능을 on/off할 수 있다. 기능을 off 시키면 고객에게 결제요청 문자메시지를 보내지 못한다.
도 16은 캘린더의 기술자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기술자를 초대할 수 있다. 초대된 기술자는 가입전까지 '가입관리' 하단에서 '가입대기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기술자 관리에서 각 기술자가 가진 작업기능을 알 수 있으며, on/off 스위치를 활용하여 기술자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7은 관리자의 매출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기술자는 앱 서비스 화면상의 하단에 표시되는 관리자 항목을 클릭하여 관리자 매출관리에 접근할 수 있다.
매출을 확인하고 싶은 기간을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총매출과 작업별 매출, 기술자별 매출을 확인할 수 있다. 기간 내 미수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주소지 상세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8은 미수금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수금 관리는 앱 서비스 화면상의 작업 항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미수금 주소지로 이동하여 작업 상세 버튼을 클릭하면 작업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며 결제완료 우측의 물음표 버튼에 커서를 대면(혹은 터치하면) 결제요청 히스토리가 표시된다. 현금, 카드, 송금으로 결제를 완료하면 결제청구 버튼을 클릭, 수기로 결제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 제어부(1910),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 및 저장부(19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19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가 구성되거나,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9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기술자 단말장치(11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는 기술 단말장치(110)에서 앱의 실행시 앱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는 제어부(1910)의 제어하에 앱 서비스 화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해당 데이터는 공사를 발주한 고객의 시공을 담당하는 기술자별로 관리될 수 있다.
제어부(1910)는 도 19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 및 저장부(19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910)는 기술자 단말장치(110)에서 앱의 실행시 앱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1910)는 기술자 단말장치(110)로 기제공한 서비스 화면을 통해 다양한 요청이 있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 화면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기술자가 메인 화면의 메뉴 항목에 형성되는 내일정, 캘린더, 작업, 생성 및 관리자 등 원하는 항목의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10)는 대표적으로 기제공한 서비스 화면에서 기술자 단말장치(110)로부터 내일정 항목의 선택이 있는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내 일정을 일자별로 볼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날짜별로 결제청구나 실측서나 공사사진을 업로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화면의 하단에서 작업 항목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은 화면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910)는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제어부(1910)의 제어하에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는 하나의 솔루션에서 시공사의 기술자들이 고객관리, 업무관리, 일정관리, 결제관리 및 발주관리 등의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고객관리는 주소지를 근거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는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시 작업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보여주고 있다. 공사를 발주한 고객의 주소지 정보를 근거로 공사의 시작부터 결제의 완료까지 하나의 화면에서 이력을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해당 화면의 각 작업 항목(실측, 발주, 시공, 결제 등)에는 다양한 부가정보가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는 화면의 최상단에 주소지 정보를 표시하고, 그 하단에는 공사명, 견적금액, 그리고 견적서를 확인할 수 있는 버튼과 공사 담당자명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아래 영역에는 공사 이력을 실측부터 결제까지 표시하고 날짜도 표시해 줄 수 있다. 실측과 시공은 실측서나 시공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을 생성해 표시함으로써 해당 버튼을 클릭할 때 실측서나 시공사진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실측서나 시공사진이 업로드되지 않은 경우 파일찾기나 카메라 촬영을 통해 업로드될 수 있도록 팝업창을 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공 항목에는 현관 비밀번호와 같은 부가정보를 표시해 줌으로써 기술자들에게 불필요한 메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는 결제와 관련하여 결제청구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결제 청구 메시지를 발송한 후 화면상에는 발송 완료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기술자들은 앱 안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날짜별로 해야 할 업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므로 일정을 놓치지 않게 된다. 캘린더로는 기술자별, 작업별, 상태별로 구분하여 일정 확인 가능하고, 일정 관리를 위한 별도의 관리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인건비가 절약될 수 있다.
저장부(1930)는 제어부(19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예를 들어,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기술자는 앱 서비스 화면을 통해 새로운 공사를 위한 고객 주소 생성, 작업 생성, 작업에 담당자 할당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로 제공되어 저장부(1930)에 임시 저장된 후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에서 지정 포맷으로 생성된 후 도 1의 DB(130a)에 다시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930)는 이러한 과정에서 데이터의 임시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9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 제어부(1910),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 및 저장부(19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9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900), 제어부(1910),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 및 저장부(19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9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9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기술자 통합관리부(19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0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공사를 시공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110)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S2000). 기술자 단말장치(110)는 기저장되는 앱을 실행함으로써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주소지 정보를 기준으로 작업 과정의 이력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되,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작업 항목의 일측에 공사의 실측 확인서나 시공 사진의 확인을 위한 제1 버튼을 표시하며, 발주자에게 결제 청구를 위한 제2 버튼을 표시한다(S2010).
예를 들어, 발주자의 A 주소지를 근거로 작업 과정은 하나의 화면상에 견적, 실측, 발주, 입고, 시공, 결제의 순으로 작업 항목의 이력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측 항목의 일측에서 실측서 확인을 위한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공 항목의 일측에는 시공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된다. 견적서 확인을 위한 버튼이 선택되면 견적서가 팝업되어 화면상에 나타날 수 있으며, 결제 항목의 결제청구 버튼을 누르면 결제청구 동작과 함께 결제청구 완료 등의 형태로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무엇보다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공사와 관련한 부가정보를 해당 화면에 표시해 줌으로써 기술자의 시공 작업시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쉽게 잊혀질 수 있는 정보로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곳의 현관 비밀번호 정보가 그 예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21은 관리자 프리미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미엄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리미엄 구독 요금제를 선택해야 하며, 자재 시뮬레이션, 현금영수증 발급, 자재공동 구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프리미엄 구독 요금제 등의 선택은 기술자 단말장치(110)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좀더 설명하면, 도 21의 (a) 내지 (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모든 아파트의 주소/타입별 도면을 스크랩핑하여 해당 주소지에 필요한 원자재의 양을 시뮬레이션한다. 그리고, 현금이나 계좌이체로 결제된 고객들에게 현금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홈택스 등(의 서버)에 연동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운영사(예: 케이플라비크)와 제휴되어 있는 도매업체를 통해 도매가보다 더 저렴하게 원/부자재를 구입할 수 있으며 기술자는 새로운 공급처를 찾기 위해 들이는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1의 (a) 내지 (c)에서 설명하는 화면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술자들은 기술자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관리자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2는 B2C 플랫폼 이용자 진입 화면의 예시도로서, 이용자가 서비스 가입 후 첫번째로 보게 되는 화면이다.
가령 리모델링 수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후 채팅으로 컨설턴트와 상세 상담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의 플랫폼과 '표준계약서'를 작성하여 A부터 Z까지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의 플랫폼이 책임을 지며 3만명(예상)의 고급 기술자 풀(pool)을 보유함으로써 시공 도중에 금액을 올리는 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는 내용들은 도 22에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술자 통합관리장치(130)는 B2B 서비스 이외에도 B2C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중개 플랫폼과 다르게 본사가 직영을 하는 형태로 계약 및 시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은 B2C 플랫폼 이용자 계약 후 메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B2C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시공 계약 후 도 23과 같은 메인 화면을 화면에 표시한다. 메인 화면은 시공 프로세스 확인, 상세 프로세스 확인, 리모델링 컨셉 확인, 계약서 확인하기, 결제하기 및 담당 컨설턴트와 대화하기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현재를 기준으로 전체 시공 프로세스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시공별 상세 프로세스와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약시 협의했던 리모델링 컨셉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 페이지에서는 VR 이미지를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계약서 확인하기 버튼을 클릭해 계약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 청구시 결제하기 버튼이 활성화된다. 가령 계약시는 계약금 청구, 50% 공정 완료시 중도금 청구, 시공 전체 완료시는 잔금 청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담당 컨설턴트와 대화하기 버튼을 통해서는 담당 컨설턴트와 채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기술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1900: 통신 인터페이스부 1910: 제어부
1920: 기술자 통합관리부 1930: 저장부

Claims (20)

  1. 공사를 시공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주소지 정보를 기준으로 여러 작업들이 행해진 내력을 나타내는 작업 과정의 이력(history)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되, 상기 표시한 하나의 화면상에서 상기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하나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의 옆에 상기 공사를 위해 실측을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 파일 형태의 확인서를 나타내는 실측 확인서나 시공 사진의 확인을 위한 제1 버튼을 상기 작업 과정의 이력과 함께 표시하며, 상기 표시한 하나의 화면상에서 상기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하나의 작업 상태로서 결제를 나타내는 문구의 옆에 상기 발주자에게 결제 청구를 위한 제2 버튼을 상기 작업 과정의 이력과 함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마다 옆에 날짜를 더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의 주변으로 작업과 관련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부가 정보로서 출입문 비밀번호, 상기 기술자가 상기 공사에 대한 결제를 청구하였는지의 결제청구 여부의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버튼의 선택시 상기 기술자가 결제 상태를 입력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한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상의 상측에 상기 공사의 시공명, 견적금액, 견적서 확인을 위한 제3 버튼 및 시공 담당자명을 표시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를 수주하는 기술자가 소지하는 기술자 단말장치의 구독 요금제 선택에 따른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프리미엄 서비스로서 상기 수주한 공사의 장소에 대한 평수나 평수의 타입과 관련한 도면 데이터를 근거로 원자재의 양을 시뮬레이션하는 자재 시뮬레이션 기능,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 및 자재공동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를 발주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공사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후 채팅으로 컨설턴트와 상세 상담을 진행시키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초 자료의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공사의 책임 소재, 보유 기술자 현황 및 시공 도중의 추가 요금 발생 여부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메인 화면상에 상기 사용자의 공사 발주와 관련해 현재를 기준으로 하는 전체 시공 프로세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시공 프로세스 확인 영역, 각 시공별 상세 프로세스와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상세 프로세스 확인 영역, 계약시 협의했던 리모델링 컨셉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리모델링 컨셉 확인 영역 및 상기 공사의 계약과 관련한 계약서의 확인과 앱 내 직접 결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11.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공사를 시공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공사를 발주한 발주자의 주소지 정보를 기준으로 여러 작업들이 행해진 내력을 나타내는 작업 과정의 이력을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하되, 상기 표시한 하나의 화면상에서 상기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하나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의 옆에 상기 공사를 위해 실측을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 파일 형태의 확인서를 나타내는 실측 확인서나 시공 사진의 확인을 위한 제1 버튼을 상기 작업 과정의 이력과 함께 표시하며, 상기 표시한 하나의 화면상에서 상기 작업 과정을 형성하는 하나의 작업 상태로서 결제를 나타내는 문구의 옆에 상기 발주자에게 결제 청구를 위한 제2 버튼을 상기 작업 과정의 이력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마다 옆에 날짜를 더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의 주변으로 작업과 관련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부가 정보로서 출입문 비밀번호, 상기 기술자가 상기 공사에 대한 결제를 청구하였는지의 결제청구 여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버튼의 선택시 상기 기술자가 결제 상태를 입력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한 팝업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상의 상측에 상기 공사의 시공명, 견적금액, 견적서 확인을 위한 제3 버튼 및 시공 담당자명을 표시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사를 수주하는 기술자의 기술자 단말장치의 구독 요금제 선택에 따른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프리미엄 서비스로서 상기 수주한 공사의 장소에 대한 평수나 평수의 타입과 관련한 도면 데이터를 근거로 원자재의 양을 시뮬레이션하는 자재 시뮬레이션 기능, 현금영수증 발급 기능 및 자재공동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사를 발주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공사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후 채팅으로 컨설턴트와 상세 상담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초 자료의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공사의 책임 소재, 보유 기술자 현황 및 시공 도중의 추가 요금 발생 여부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메인 화면상에 상기 사용자의 공사 발주와 관련해 현재를 기준으로 하는 전체 시공 프로세스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시공 프로세스 확인 영역, 각 시공별 상세 프로세스와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상세 프로세스 확인 영역, 계약시 협의했던 리모델링 컨셉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리모델링 컨셉 확인 영역 및 상기 공사의 계약과 관련한 계약서의 확인과 앱 내 직접 결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자 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20091002A 2022-07-07 2022-07-22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93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467 2022-07-07
KR20220083467 2022-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368B1 true KR102593368B1 (ko) 2023-10-25

Family

ID=8851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002A KR102593368B1 (ko) 2022-07-07 2022-07-22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65B1 (ko) 2011-12-23 2014-04-03 엠피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설공사관리방법
KR101986316B1 (ko) 2018-11-15 2019-06-07 (주)엔젤스윙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KR20190081197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더리테리어 인테리어 토탈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065507B1 (ko) 2018-12-28 2020-01-13 이지연 실시간 건설 공사 통합 관리 장치
KR102131946B1 (ko) 2019-11-29 2020-07-09 한다움건설(주)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2114B1 (ko) 2020-04-08 2021-01-11 김석 스마트 공사 관리 시스템
KR102222384B1 (ko) 2019-10-25 2021-03-03 주식회사 리바워크스 건설 공사 현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65B1 (ko) 2011-12-23 2014-04-03 엠피이코리아 주식회사 건설공사관리방법
KR20190081197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더리테리어 인테리어 토탈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1986316B1 (ko) 2018-11-15 2019-06-07 (주)엔젤스윙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KR102065507B1 (ko) 2018-12-28 2020-01-13 이지연 실시간 건설 공사 통합 관리 장치
KR102222384B1 (ko) 2019-10-25 2021-03-03 주식회사 리바워크스 건설 공사 현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31946B1 (ko) 2019-11-29 2020-07-09 한다움건설(주)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2114B1 (ko) 2020-04-08 2021-01-11 김석 스마트 공사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52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usiness deals
US113019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artment listings
US9015207B2 (en) Mobile sales tracking system
US94604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o-do list task items to automatically suggest and add purchasing items via a computer network
US20240169456A1 (en) Open house realty system, server and method
TWI536288B (zh) Project schedule control method and its system
CN107111612A (zh) 动态加载针对预测性键入的上下文本体
US20160019488A1 (en) Workflow management device and workflow management method
US20200219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allocating real estate related services
KR102328876B1 (ko) 인테리어 시공 인터넷 영업방법
JP2020038568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83867A1 (en) Multiple-network-commun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ultiple network communities
KR102560784B1 (ko) 태스크 트래킹 방법 및 시스템
KR101679051B1 (ko) 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KR102593368B1 (ko)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2102412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services marketplace
Shaalan Salesforce for Beginners: A step-by-step guide to creating, managing, and automating sales and marketing processes
AU20122164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toring and processing inspection data
TWM510498U (zh) 專案進度控管裝置
KR20160143912A (ko)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30316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ace planning for workspace changes
JP7297111B1 (ja) 業務マッチングシステム、業務マッチング方法及び業務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
KR102668489B1 (ko) 세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16788B1 (ko) 하자담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755977B2 (en) Automated project assessment and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