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912A -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912A
KR20160143912A KR1020150079119A KR20150079119A KR20160143912A KR 20160143912 A KR20160143912 A KR 20160143912A KR 1020150079119 A KR1020150079119 A KR 1020150079119A KR 20150079119 A KR20150079119 A KR 20150079119A KR 20160143912 A KR20160143912 A KR 2016014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sk
user
business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기
이정환
오우진
백승빈
Original Assignee
(주)플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랜아이 filed Critical (주)플랜아이
Priority to KR102015007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912A/ko
Publication of KR2016014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업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 업무를 함께 수행하고자 하는 회원과의 업무 정보 공유를 보다 직관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USINESS USING TEXT INPUT}
본 발명은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급격한 고도화에 따라, 단일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한 사람이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오랜 업무 수행시간이 소요되며, 업무 수행에 있어 전문성이 결여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나의 전문적인 업무 진행을 위해 해당 업무를 다수의 프로세스로 분할하고 이 세부 프로세스를 각각의 조직 구성원에게 할당/전달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효율적이면서도 높은 전문성을 갖는 업무 수행 협력 시스템을 각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최근 추세이다.
최근에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업의 각종 업무 관리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일정, 각종 자료, 분석 정보 등의 생성 및 공유가 각각 독자적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담당자 간 또는 부서 간 상호 유기적인 업무 협조와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이와 같은 업무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을 통해서도 의사 결정이나 업무 수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한 업무 관리는 대부분 보조적인 수단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업무 소통 및 협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업무를 함께 수행하고자 하는 회원과의 업무 정보 공유를 보다 직관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업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업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고, 상기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 업무를 함께 수행하고자 하는 회원과의 업무 정보 공유를 보다 직관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소통 및 협력 서비스의 실제 구현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방법의 흐름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102)는 입력부(104),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 정보 공유 관리부(108)를 포함한다. 업무 관리 장치(102)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12, 14)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12, 14)은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입력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관심 분야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는 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된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고, 출력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한다. 또한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업무 공유 정보는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업무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를 사용자 및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지정된 회원들의 업무로 설정한다. 또한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생성된 업무 공유 정보를 사용자의 대시 보드 및 사용자가 설정한 공개 범위에 포함되는 회원들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업무 공유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업무 별 우선순위,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 시간, 업무 공유 정보의 수행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 중 사용자의 관심 분야 정보와 대응되는 업무 관련 정보를 사용자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102)에 의해 제공되는 업무 소통 및 협력 서비스가 실제 사용자의 단말(12, 14) 상에서 구현되는 예시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소통 및 협력 서비스의 실제 구현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업무 관리 장치(10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접속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12, 14)의 화면 상에는 도 2와 같은 메인 화면이 출력된다. 메인 화면에서 사용자는 대시 보드 메뉴(202), 플래닝 메뉴(204), 다이어그램 메뉴(206)를 선택할 수 있는데, 도 2는 대시 보드 메뉴(202)를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도 2에서, 사용자는 업무 공유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10)을 통해 회원들과 공유하고자하는 업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위치 입력 버튼(212)을 통해 업무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첨부파일 입력 버튼(214)을 통해 업무와 관련된 첨부파일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정 입력 버튼(216)을 통해 업무 일정 정보(날짜, 시간 등)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유자 입력 칸(22)을 통해 업무를 공유하고자 하는 회원에 대한 정보, 즉 업무 공유자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풀 다운 버튼(222)을 눌러 나오는 친구 목록을 통해 업무를 공유하고자 하는 회원을 선택하여 업무 공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업무에 관한 구체적인 컨텐트를 텍스트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을 통해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에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예컨대, '@', '#', '##' 등)를 입력하면 해당 태그 문자에 대응되는 정보의 목록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에 태그 문자 '@'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화면 상에 나타나고, 사용자는 친구 목록에서 원하는 친구를 선택함으로써 업무를 공유하고자 하는 회원에 대한 정보, 즉 업무 공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에 태그 문자 '#'를 입력하면 현재 회사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업무에 관한 목록이 나타나며,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업무 명을 업무 컨텐트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에 태그 문자 '##'를 입력하면 일정 입력 버튼(216)을 누를 때와 마찬가지로 날짜나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나므로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업무 일정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태그 문자의 입력을 통해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에 목록이 나타나면 사용자는 해당 목록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정보가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224)에 출력된다. 이후 사용자는 완료 버튼(226)을 눌러 선택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가 업무 관리 장치(102)의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다.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는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228, 230)를 생성한다.
한편,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업무를 사용자 및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지정된 회원들의 업무로 설정하고, 생성된 업무 공유 정보(228, 230)를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106)에 대응되는 특정 업무를 사용자가 입력한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지정된 회원들 및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업무가 수행되어야 하는 기한은 사용자가 입력한 업무 일정 정보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업무 공유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자는 공개 설정 버튼(218)을 통해 현재 입력하고 있는 업무 공유 정보의 공개 범위(예컨대, 나만 보기, 전체 공개, 친구에게만 공개, 회사 내 공개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생성된 업무 공유 정보(228, 230)를 사용자가 설정한 공개 범위에 속하는 회원들의 대시 보드에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는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되는 업무 공유 정보(228, 230)가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업무 공유 정보(228)에는 업무의 종류 정보(업무공유), 업무를 제안한 사용자 정보(오우진) 및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업무를 사용자와 함께 수행하도록 지정되는 회원 정보(고두환)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업무 공유 정보(228)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업무 컨텐트 정보(232), 업무 일정 정보(234), 업무 공유자 정보(236)가 각각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2의 업무 공유 정보(228)에 표시된 aha 버튼을 눌러 해당 업무 공유 정보(228)에 대한 호감을 표시할 수 있고, comment 버튼 또는 코멘트 입력 칸(238)을 통해 해당 업무 공유 정보(228)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share 버튼을 눌러 해당 업무 공유 정보(228)를 다른 매체를 통해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검색 창(208)을 통해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된 다수의 정보들 중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되는 업무 공유 정보(228, 230)를 미리 설정된 폴더(242)에 저장하거나 업무 공유 정보(228, 230) 별로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대시 보드 상에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통해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된 업무 공유 정보를 미리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 버튼(240)을 통해 각각의 업무 공유 정보(228, 230)을 드래그할 수 있고, 드래그된 업무 공유 정보(228, 230)를 미리 설정된 폴더나 삭제 메뉴(미도시)에 드롭하여 업무 공유 정보(228, 230)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위와 같이 생성된 업무 공유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업무 별 우선순위,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 시간, 업무 공유 정보의 수행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플래닝 메뉴(204)를 선택했을 때 사용자 단말(12, 14)에 나타나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도 3의 화면에서 우선 순위별 버튼(304)을 누를 경우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 업무 공유 정보들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업무 별 우선순위에 따라서 정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 3의 화면에서 등록시간 순위별 버튼(310)을 누를 경우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 업무 공유 정보들을 각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우리회사 업무(312) 버튼이나 소셜 업무(314) 버튼과 같이 업무 공유 정보의 수행 장소에 대한 정렬을 요청할 경우,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업무 공유 정보들 중 회사 내에서 수행되는 업무(우리회사 업무)나 회사 외부에서 수행되는 업무(소셜 업무)를 별도로 정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업무 공유 정보(316)가 완료된 시점에서 사용자는 업무 완료 버튼(미도시)을 눌러 해당 업무를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업무 공유 정보(316)에 대응되는 업무가 업무 일정 정보에 따른 일정보다 지연되는 경우 사용자는 연장 요청 버튼을 눌러 해당 업무의 일정 연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각 업무 공유 정보 별 완료 여부 또는 연장 여부 및 연장 일정에 대한 정보는 입력부(102)를 통해 정보 공유 관리부(108)로 전달된다.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각 업무 공유 정보 별 완료 여부 또는 연장 여부에 따라서 각 업무 공유 정보를 처리 완료된 것과 진행 중인 것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 3의 화면에서 해야할 일 메뉴(302)를 선택하면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진행 중인 업무와 관련된 업무 공유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처리 완료 메뉴(304)를 선택하면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처리 완료된 업무와 관련된 업무 공유 정보만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모아보기 메뉴(306)를 선택할 경우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저장된 모든 업무 공유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또한 도 3에서 화면 상에 출력되는 업무 공유 정보(316)에는 설정된 업무 일정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업무의 D-Day가 +, -로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각각의 업무 일정 및 지연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관심 분야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 관련 정보가 도 2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04)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관심 분야 정보(예컨대, 교육 분야, 경영 분야, 경제 분야 등)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되는 다수의 업무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공개된 업무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들을 각 분야 별로 작성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업무 관련 정보로 정의한다.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이와 같이 저장된 업무 관련 정보들 중 사용자가 입력한 관심 분야 정보와 대응되는 분야의 업무 관련 정보들을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업무 관련 정보는 도 2의 업무 공유 정보(228, 230)와 같은 형태로 생성되어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통해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된 업무 관련 정보를 미리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보 공유 관리부(108)는 사용자가 업무 공유 정보를 공유한 횟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다른 회원들 간의 친분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친분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2의 화면에서 다이어그램 메뉴(206)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2, 14)에는 도 4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이 화면에는 3개월, 1개월, 1주일과 같이 미리 설정된 기간이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기간 동안 사용자가 업무 공유 정보를 공유한 횟수에 따른 다른 회원들과의 친분도가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4에서 사용자(408)를 중심으로 사용자와 친구 관계에 있는 회원들(이혜진, 고두환, 이명기, 관리자 등)이 연결되어 표시되고, 그 중 하나의 회원(412)을 선택하면 해당 회원과의 친분도(58) 및 해당 회원과 공유했던 정보들의 개수(58)가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는 업무 공유 정보 및 업무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업무 공유 정보를 공유한 횟수는 사용자가 업무 공유자 정보를 입력 시 해당 회원이 공유자로서 선택된 횟수를 의미한다.
도 4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전체 메뉴(402)를 통해 자신과 친구 관계에 있는 모든 회원과의 친분도를 확인할 수도 있고, 회사 내 메뉴(404)나 회사 외 메뉴(406)를 통해 회사 내의 회원 또는 회사 외의 회원과의 친분도를 별도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장치는 먼저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는다(502). 그리고 나서, 업무 관리 장치는 입력된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한다(504). 그리고 나서, 업무 관리 장치는 출력된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한다(506). 이후 업무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한다(508). 여기서 업무 공유 정보는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업무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를 사용자 및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지정된 회원들의 업무로 설정하고, 업무 공유 정보를 사용자의 대시 보드 및 사용자가 설정한 공개 범위에 포함되는 회원들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생성된 업무 공유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업무 별 우선순위,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 시간, 업무 공유 정보의 수행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대시 보드 상에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통해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된 업무 공유 정보를 미리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관심 분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 중 사용자의 관심 분야 정보와 대응되는 업무 관련 정보를 사용자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업무 공유 정보를 공유한 횟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다른 회원들 간의 친분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4)

  1.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는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를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지정된 회원들의 업무로 설정하고, 상기 업무 공유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대시 보드 및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공개 범위에 포함되는 회원들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공유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업무 별 우선순위, 상기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 시간, 상기 업무 공유 정보의 수행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관심 분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분야 정보와 대응되는 업무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시 보드 상에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통해 상기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된 업무 공유 정보를 미리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업무 관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업무 공유 정보를 공유한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와 다른 회원들 간의 친분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8. 사용자로부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을 통해 미리 정의된 태그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태그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업무 입력 정보의 목록을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고, 상기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무 입력 정보를 상기 업무 컨텐트 정보 입력 칸에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업무 공유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입력 정보는
    업무 일정 정보, 업무 공유자 정보, 업무 컨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를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업무 공유자 정보에 의해 지정된 회원들의 업무로 설정하고, 상기 업무 공유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대시 보드 및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공개 범위에 포함되는 회원들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하는 정보 공유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업무 공유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업무 별 우선순위, 상기 업무 공유 정보의 생성 시간, 상기 업무 공유 정보의 수행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무 관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관심 분야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공유 관리부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분야 정보와 대응되는 업무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대시 보드 상에 출력하는
    업무 관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시 보드 상에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통해 상기 대시 보드 상에 출력된 업무 공유 정보를 미리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업무 관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업무 공유 정보를 공유한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와 다른 회원들 간의 친분도 정보를 생성하는
    업무 관리 장치.
KR1020150079119A 2015-06-04 2015-06-04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43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19A KR20160143912A (ko) 2015-06-04 2015-06-04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19A KR20160143912A (ko) 2015-06-04 2015-06-04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12A true KR20160143912A (ko) 2016-12-15

Family

ID=5757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119A KR20160143912A (ko) 2015-06-04 2015-06-04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9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05A1 (ko) * 2017-06-07 2018-12-13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33815A (ko) * 2018-09-21 2018-12-17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05A1 (ko) * 2017-06-07 2018-12-13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33815A (ko) * 2018-09-21 2018-12-17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274B2 (en) In-situ mobile application suggestions and multi-application updates through context specific analytics
US9967349B2 (en) Integrated social media server and architecture
US20220109650A1 (en) Snippet(s) of content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 platform
TW201405452A (zh) 工作流程管理裝置及工作流程管理方法
CN112668283B (zh) 文档编辑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875311B2 (en) Communication platform document as a communication channel
US201501697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a database of objective metrics to a performance summary
US202101496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external application functionality into a workflow facilitated by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WO2018149288A1 (zh) 一种Office文件发送方法、终端及系统
KR20160143912A (ko) 텍스트 입력을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53320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콘텐츠 관리시스템
JP6633238B1 (ja) 求人管理システム、求人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79598B2 (en) Conference management apparatus,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program, and conference system
US10078845B2 (en) Marketing application including event and survey development and management
JP6166390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バ、画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997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03990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面共有端末制御方法
CN113128190A (zh) 文件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169648B1 (ko) 카드 컨텐츠 작성 권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JP7237217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1888631B2 (en) Document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platform
US20230127356A1 (en) Converting private channels to public channels
KR102036076B1 (ko) 미팅 참석자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JP6516600B2 (ja) 会計情報処理装置、会計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94712B1 (en) Automated presentation engin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