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316B1 -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316B1
KR101986316B1 KR1020180140670A KR20180140670A KR101986316B1 KR 101986316 B1 KR101986316 B1 KR 101986316B1 KR 1020180140670 A KR1020180140670 A KR 1020180140670A KR 20180140670 A KR20180140670 A KR 20180140670A KR 101986316 B1 KR101986316 B1 KR 10198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area
information
lay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녕
이지선
호앙 비에 르
최예은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주)엔젤스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젤스윙 filed Critical (주)엔젤스윙
Priority to KR102018014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는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공사진행표시부;및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이나, 재난이 발생하는 지역, 온난화로 지형이 변화하는 지형에 대한 기간별 변화를 정확하게 알고자 하는 경우 항공 영상을 이용하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KR 10-1797006 B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실시간으로 공사진행현황을 알려줄 수 있는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고(level)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기준좌표계 및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계획고를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계획고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의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상기 변환된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공사진행표시부;및 상기 변환된 계획고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정보제공부;및 상기 계획고 각각에 대응하는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량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 경로에 대한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치표면모델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현장 영역 중 계획고가 정해지지 않은 특정 영역에 대해 최적계획고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적계획고는 상기 특정 영역에서 절토해야 하는 절토량과 상기 특정 영역에서 성토해야 하는 성토량의 합이 최소화되는 계획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는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공사진행표시부;및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날짜 단위로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날짜 단위로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고(level)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기준좌표계 및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계획고를 변환하는 변환부;및 공사현장 영역 중 계획고가 정해지지 않은 특정 영역에 대해 최적계획고를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방법은 공사진행표시부에서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및 정보제공부에서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는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작성되고,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량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 경로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며, 상기 드론과 상기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는 시간에 따른 지형의 변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지형의 부피 변화량을 수치화 하여 공사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건설현장 등에서 토공량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기반을 세울때 레벨값을 기준으로 초과된 부분과 미달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그에 맞추어 공사일정을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에서 이용하는 t1시간의 기준영상을 나타내고, 도 3 내지 5는 t2 내지 t4시간의 비교영상을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지형변화량 가시화 장치에서 기준선(레벨갑)을 기준으로 초과된 영역과 미달된 영역을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에서 특정공사영역을 설정하고, 해당공사영역에서 이용할 건설자동화장비를 파악하거나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보제공부에서 날짜별로 파악한 공사량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공사일정관리장치(100)는 공사진행표시부(110), 정보제공부(120), 수신부(130) 및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공사진행표시부(110)는 또한 매핑부(112) 및 DSM비교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사진행표시부(110)는 공사를 진행하는 영역의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 또는 정사영상과 공사를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공사진행표시부(110)는 DSM 레이어와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표시함으로써 계획고 레이어 대비 DSM레이어의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공사 진행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외에, 공사진행표시부(110)는 또한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DSM레이어, 계획고 레이어, 그 외 최적계획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 및 정보제공부(120)에서 제공하는 정보(도 4, 5, 6 및 11 참고)들을 표현하도록 구현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공사진행표시부(110)는 공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계획고 레이어가 없는 경우에는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140)를 활성화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계획고를 안내할 수 있다(도 7, 762, S770, S780 참고). 최적계획고는 공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절토해야 하는 절토량(도 7, S770)과 성토해야 하는 성토량(도7, S780)의 합이 최소가 되는 계획고를 의미한다. 이 경우, 최소의 기준은 사용자가 기설정한 값 Vpre와의 차이일 수 있다. 사용자는 공사진행표시부(110)에 표시된 최적계획고(도 7, 762)를 선택하거나, 또는 제시된 최적계획고(도 7, 762를 기준으로 에디팅(editing) 또는 수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계획고를 설정할 수 있다.
공사진행표시부(110)는 또한 기설정된 시간 구간별, 날짜별 협력업체의 공사지역의 표시 및 작업량을 계산하여 정보제공부(120)를 통해 도 11의 일 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거나 또는 중첩하여 표시하여 작업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날짜별로, 또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DSM레이어와 계획고레이어의 차이를 기초로 작업량을 파악하여 공사의 일정이 진행되고 있는 속도, 남아있는 작업량등을 파악하여 공사진행이 빠른지, 정상인지, 늦은지를 알려줄 수 있다.
매핑부(112)는 임의의 특정영역을 드론을 이용하여 t1시간에 촬영한 기준영상과 다른 시간, 예를 들어 t2, t3, t4에 촬영한 비교영상을 매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 경우, 매핑부(11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을 통해 취득한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을 사용하여 영상에 대한 좌표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112)는 t1 시간에 촬영한 기준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GPS 좌표 정보와 t2, t3, t4,,,,tn 시간에 촬영한 비교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 중 대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t1 시간에 촬영된 기준영상의 일 예로 도 2 를, t2 내지 t4 시간에 촬영된 비교영상의 일 예로 도 3 내지 5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2 내지 5에서는 정사영상을 표시하였으나, 매핑부(112)는 또한 DSM 영상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DSM영상 간의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매핑부(112)는 또한 특정 공사영역을 비행하여 해당 공사영역의 DSM 영상 또는 정사영상을 생성하는 드론과, 해당 공사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이 경우 DSM영상을 기초로 제작된 수치표면모델(DSM)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값에 따라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특정 공사영역(1018)을 촬영하는 드론과 특정 공사영역(1018) 내의 적어도 하나의 건설자동화기기(1018a, 1018b)는 상호간에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매핑부(112)는 송신되는 데이터를 정사영상, DSM영상에 매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은 GPS 센서, 자이로센서 등과 같이 위치인식이 가능한 센서를 부착하고, 또한 흙의량의 파악이 가능한 무게 센서등을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크레인의 팁의 양쪽에 부착된 GPS 센서를 이용하여, 포크레인 팁의 움직임을 GPS 좌표에 표현하고, 이를 기설정된 기준좌표계와 고도 기준에 따라 변환시킨 후 매핑부(112)에서 해당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매핑부(112)는 또한 특정 공사영역(1018) 내의 적어도 하나의 건설자동화기기(1018a, 1018b)로부터 수신한 건설자동화기기의 위치정보,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량 정보 또는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 경로 등의 정보를 드론이 생성하는 DSM 영상 또는 정사영상에 실시간으로 매핑이 가능하다.
DSM비교부(114)는 기준 DSM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비교 DSM영상 간에 GPS 좌표가 매핑된 이후, 기준영상의 수치표고자료(DSM, Digital Surface Model)과 비교 DSM영상의 수치표고자료를 비교하여, 기준 DSM영상과 비교 DSM영상 간의 변화량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수치표고자료의 고도를 비교하여 비교하는 예시를 개시하였으나, 수치표고자료 외에 등고선 정보 등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DSM 비교부(132)는 도 2에 도시된 기준영상을 기초로 제작한 DSM영상(미도시)과 t2시간에 촬영된 도 3 에 도시된 비교영상을 기초로 제작한 DSM영상(미도시) 간에 변화가 발생한 부분(310, 320, 33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보제공부(12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기준영상과 t3시간에 촬영된 도 4 에 도시된 비교영상 간에 발생한 변화량, 높이의 변화량, 부피의 변화량, 절토량 또는 성토량 등을 포함하는 정보(410, 420, 430, 522)를 표시할 수 있다. 부피의 변화량은 공사영역 계획고와 DSM영상간의 고도정보를 적분하여 계산하거나 또는 싱글 밴드 레스터 계산방법(single band raster calculation) 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보제공부(120)는 또한 도 2 내지 5에 도시된 정사영상 위에 또는 DSM영상 위에 변화량을 시각적으로 그래프, 색상 또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교 DSM영상 위에 부피량 변화(411, 421, 431)를 수치로 변환하여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변화량은 음영강도에 따라 차등표시가 가능하며, 색상을 이용하여 절토부분은 제 1 색상으로, 성토부분은 제 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색상 또는 제 2 색상 역시 음영을 부가하여 강도에 차이를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보제공부(120)는 도 6의 일 실시예와 같이, 최적의 계획고(610)를 기준으로 절토량(621,622)과 남아 있는 업무량(620), 성토량(630,631)의 정보 등을 공사진행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보제공부(120)는 또한 도 11의 일 예시와 같이 공사영역(1110, 1111, 1112)마다 날짜별 작업량(1120)과 변화량 등의 정보가 표시된 표(1100)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표(1100)에 기재된 정보를 외부로 공유하거나(1130) 또는 엑스포트(1140)할 수 있다. 이 경우, ".csv 파일" 또는 ".shp" 파일등의 자료로 export가 가능하다. 또한, 정보제공부(120)는 도 4 내지 7 및 11 등에 표시된 정보를 api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정보제공부(120)는 또한 협력업체 별로 작업지역을 표시하여(도 10) 참고, 각 협력업체가 공사를 진행하여야 할 분할된 영역을 알려줄 수 있고, 공사 진행이 필요한 적토량 또는 성토량의 예측값을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DSM 비교부(134)는 도 4를 참고하면, 변화가 발생한 영역들 중(도 4, 410, 420, 430) 일부 영역 위에 변화량을 파악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선택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며, 사용자가 변화량을 파악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하면(521), 설정한 영역의 부피량이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522).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DSM비교부(114)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비교영상과 기준영상과의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비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시스템(700)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공사일정관리시스템(700)은 드론(7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730,731,732,734,736), 데이터수집서버(740) 및 공사일정관리플랫폼이 구현된 장치(750)을 포함한다. 공사일정관리플랫폼이 구현된 장치(750)의 내부 구성도는 도 8을 참고하여 함께 설명한다.
공사일정관리플랫폼이 구현된 장치(800)는 공사진행표시부(810), 정보제공부(820), 수신부(830),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840), 업로드부(850) 및 변환부(860)를 포함한다. 공사진행표시부(810)는 또한 매핑부(812) 및 DSM비교부(8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중 공사진행표시부(810), 정보제공부(820), 수신부(830),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840), 매핑부(812) 및 DSM비교부(814)는 도 1 에 도시된 대응되는 구성의 설명을 참고한다.
도 7 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730,731,732,734,736)는 각각 위치센서, 무게 센서, 통신부 등을 구비하여 드론(710), 데이터수집서버(740) 및 공사일정관리플랫폼이 구현된 장치(750)와 실시간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드론(710)은 포크레인, 땅파는 기계, 굴삭기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730,731,732,734,736)의 위치를 파악하며, 각각의 건설자동화기기(730,731,732,734,736)가 적토하거나 성토한 흙의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DSM영상을 제작할 때 반영할 수 있다.
공사일정관리플랫폼이 구현된 장치(750) 역시 드론(710)으로부터 수신한 DSM영상 또는 각각의 건설자동화기기(730,731,732,734,736)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공사일정의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업로드부(850)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영역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고(level)(도 7, 762)를 업로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변환부(860)는 기설정된 기준좌표계와 고도 기준에 맞추어 업로드한 계획고를 변환한 후 공사진행표시부(810)에 계획고(도 7, 762)다. 이 경우, 정보제공부(820)는 업로드된 계획고(도 7, 762)를 기준으로 적토되어야 하는 적토량(S770), 성토되어야 하는 성토량(S78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플랫폼이 구현된 장치(도 8, 800)에서 공사진행을 표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사일정관리장치는 사용자에게 도 9와 같이 공사진행을 표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910).
사용자가 영역 선택부(910)를 활성화하면 사용자는 지도 상에 첨펜, 마우스, 손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911,912, 913, 914). 사용자가 영역선택부(910)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S900)을 지정하면, 공사일정관리장치는 해당 영역(S9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951, 952, 95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940)를 통해 건설자동화기기(951, 952, 953)를 더 추가하거나 또는 장비를 변경하거나 비용을 표시하도록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영역선택부(910)를 통해 또한 토사지역이 아닌 암반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공사일정관리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영역(S900)에 대해 드론을 이용하여 정사영상 또는 DSM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해상도 설정(920), 촬영간격 설정(930)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9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전체로 지정한 후, 위성지도 또는 일반지도를 확인하여 고도가 달라져 종횡중복도에 영향을 주는 일부 영역들을 추가로 표시하고(1017a), 추가로 표시한 영역에 대해 영상데이터를 다른 영역보다 더 요청하거나 또는 추가로 표시한 영역의 비행경로를 수정하거나 또는 비행경로의 고도를 수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 내에서 영역을 분할하여(1010~1020), 분할된 영역마다 상이한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또는 분할된 영역마다 이용가능한 건설자동화기기(1018a, 1018b, 1013a)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도 9를 통해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해당 영역 내부의 Zone 선택부(1000a)를 통해 분할 영역을 더 선택할 수 있다. Zone 선택부(1000a)를 통해 분할 영역을 더 선택한 경우, 각각의 제 1 분할 영역(1013)에서 이용할 건설자동화기기(1013a) 또는 제 2 분할영역(1018) 등에서 이용할 건설자동화기기(1018a, 1018b)를 더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영역에서 드론의 비행경로(1000b)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분할 영역(1013)에서 드론은 90도 수직영상, 제 2 분할영역(1018)에서 드론은 60도 측방영상 촬영 등과 같이 각 드론의 촬영방법 등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방법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고(level)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기준좌표계 및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계획고를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계획고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의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상기 변환된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공사진행표시부;
    상기 변환된 계획고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레이어에 중첩시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정보제공부;
    상기 계획고 각각에 대응하는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량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 경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 영역선택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면 해당 영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표면모델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공사현장 영역 중 계획고가 정해지지 않은 특정 영역에 대해 최적계획고를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적계획고는 상기 특정 영역에서 절토해야 하는 절토량과 상기 특정 영역에서 성토해야 하는 성토량의 합이 최소화되는 계획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4.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 영역선택부 인터페이스;
    상기 지도상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을 선택하는 Zone선택부;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공사진행표시부;및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Zone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 각각에서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해 비행하는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 각각에서 이용가능한 건설자동화기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날짜 단위로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고(level)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기준좌표계 및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계획고를 변환하는 변환부;및
    공사현장 영역 중 계획고가 정해지지 않은 특정 영역에 대해 최적계획고를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정보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외부로 공유하거나 엑스포트(export)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장치.
  8. 영역선택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Zone선택부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공사진행표시부에서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및
    정보제공부에서 상기 계획고 레이어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Zone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 각각에서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를 생성하기 위해 비행하는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 각각에서 이용가능한 건설자동화기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는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작성되고,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량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 경로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며, 상기 드론과 상기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방법.
  10. 업로드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고(level)를 업로드하는 단계;
    변환부에서 기준좌표계 및 고도를 기준으로 상기 계획고를 변환하는 단계;
    공사진행표시부에서 상기 계획고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의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레이어와 상기 변환된 계획고 레이어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정보제공부에서 상기 변환된 계획고 대비 상기 수치표면모델 레이어에서 파악되는 절토 및 성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및
    수신부에서 상기 계획고 각각에 대응하는 공사영역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의 위치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량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 각각이 옮긴 흙의 경로에 대한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 영역선택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영역선택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면 해당 영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자동화기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표면모델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진행표시부는
    공사현장 영역 중 계획고가 정해지지 않은 특정 영역에 대해 최적계획고를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최적계획고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적계획고는 상기 특정 영역에서 절토해야 하는 절토량과 상기 특정 영역에서 성토해야 하는 성토량의 합이 최소화되는 계획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일정관리방법.
KR1020180140670A 2018-11-15 2018-11-15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KR10198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70A KR101986316B1 (ko) 2018-11-15 2018-11-15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70A KR101986316B1 (ko) 2018-11-15 2018-11-15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074A Division KR20200056901A (ko) 2019-05-30 2019-05-30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316B1 true KR101986316B1 (ko) 2019-06-07

Family

ID=6684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70A KR101986316B1 (ko) 2018-11-15 2018-11-15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074A (ko) * 2020-11-27 2022-06-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토공량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토공량 산출 방법
KR102593368B1 (ko) 2022-07-07 2023-10-25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42A (ko) * 2002-08-23 2004-02-27 빌딩닥터그룹(주)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43039A (ja) * 2008-03-28 2009-10-22 Toda Constr Co Ltd 土工事における施工支援システム
KR101797006B1 (ko) 2017-04-27 2017-11-13 한국자산관리공사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42A (ko) * 2002-08-23 2004-02-27 빌딩닥터그룹(주)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43039A (ja) * 2008-03-28 2009-10-22 Toda Constr Co Ltd 土工事における施工支援システム
KR101797006B1 (ko) 2017-04-27 2017-11-13 한국자산관리공사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074A (ko) * 2020-11-27 2022-06-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토공량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토공량 산출 방법
KR102454268B1 (ko) * 2020-11-27 2022-10-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토공량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토공량 산출 방법
KR102593368B1 (ko) 2022-07-07 2023-10-25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6758B (zh) 基于无人机摄影技术及bim技术下的室外施工方法
Manyoky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 in cadastral applications
US11783248B2 (en) United states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2440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irborne LiDAR data processing and mapping using data obtained thereby
CN107990877B (zh) 一种基于互联网的无人机遥感解译外业调查系统及方法
KR101797006B1 (ko)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
CN107613248A (zh) 基于bim的无人机监控系统及方法
CN109902332A (zh) 一种基于三维化技术的电力配网系统
US201902854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cquiring two-dimensional images and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data of a field to be surveyed
KR101305059B1 (ko) 수치지도의 실시간 편집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986316B1 (ko)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CN112859930B (zh) 一种基于三维低空目视飞行最佳路径规划方法
CN109345626A (zh) 一种用于土石方测量及施工系统
CN107392348A (zh) 利用bim技术对土石方调配方案进行优化的方法
JP2003287434A (ja) 画像情報検索システム
CN110362895B (zh) 一种基于bim+gis技术的征地拆迁应用管理系统
US20220138467A1 (en) Augmented reality utility locating and asset management system
CN104933223A (zh) 一种输电线路通道数字化测绘方法
JP7079125B2 (ja) 空中写真撮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itzpatrick Unmanned aerial systems for surveying and mapping: cost comparison of UAS versus traditional methods of data acquisition
CN112214143B (zh) 一种无人机安全起降区域的可视化显示方法及装置
KR102058626B1 (ko) 지형변화량 가시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56901A (ko)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JP2022547608A (ja) 画像ベースの生産性追跡システム
KR101176446B1 (ko) 수치지도의 실시간 편집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