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642A -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642A
KR20040017642A KR1020020050059A KR20020050059A KR20040017642A KR 20040017642 A KR20040017642 A KR 20040017642A KR 1020020050059 A KR1020020050059 A KR 1020020050059A KR 20020050059 A KR20020050059 A KR 20020050059A KR 20040017642 A KR20040017642 A KR 2004001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information
inspection
management serve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Original Assignee
빌딩닥터그룹(주)
주식회사 이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딩닥터그룹(주), 주식회사 이메인텍 filed Critical 빌딩닥터그룹(주)
Priority to KR102002005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642A/ko
Publication of KR2004001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관리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정보를 수신하고 각 현장별로 행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입력함과 동시에 이러한 정보가 현장관리 서버에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은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관리 서버;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와 개인 휴대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은 a) 관리하는 건설현장 중 정보가 필요한 건설현장을 조회하여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상기 선택된 해당 현장의 정보와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점검 및 현장품질 평가 결과를 검토하여,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보고서 생성부는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Building Sites}
본 발명은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관리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정보를 수신하고 각 현장별로 행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입력함과 동시에 이러한 정보가 현장관리서버에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사에서 공사가 진행중인 전국적으로 분산된 건설현장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대상인 현장의 정보를 담고 있는 설비도면, 구조도면, 설계도면등의 각종 도면, 작업지시서, 작업관리서, 시공품질 평가서등의 각종 서류를 가지고현장관리자가 현장에 방문하여, 해당 현장을 점검하고 점검결과를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한 뒤, 다시 본사의 사무실에 돌아와서 자료정리를 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여 PC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현장관리 방법은 현장이력, 점검결과 등의 자료정리가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못하여, 현장에서 기록하고 본사에서 입력하는 방식으로데이터 관리가 이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공간적으로 분산된 각 건설현장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없어 건설현장의 정보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건설현장관리를 할 수가 없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장정보를 실시간 조회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하는 것이 현장에서 가능하여 데이터의 이중관리를 배제할 수 있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의 통합관리를 통해 모든 건설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공간적으로 분산된 건설현장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현장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장관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 현장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은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구성도이다.
도4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현장정보 DB, 현장관리 DB와 보고서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구조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5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현장 조회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Check list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현잠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입력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현장관리서버12: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
12a: 현장정보 DB12b: 현장관리 DB
12c: 보고서 DB14: 보고서 생성부
16: 제어부20: 통신망 30: 개인휴대단말기32: 데이터 송/수신부
34: 입/출력부36: 데이터 처리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은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관리 서버;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와 개인 휴대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관리 서버는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이력 및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부; 및 상기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가 업데이트되도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이력 및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는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현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정보 DB;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과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관리 DB; 및 상기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고서를 저장하고 있는 보고서 DB;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현장점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 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입/출력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현장의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의 건설현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은 a) 관리하는 건설현장 중 정보가 필요한 건설현장을 조회하여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상기 선택된 해당 건설현장의 정보와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점검 및 현장품질 평가 결과를 검토하여,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보고서 생성부는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관리 시스템 및 건설현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관리 시스템은 현장관리 서버(10), 개인 휴대 단말기(30) 및 통신망(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라함은 핸드폰, 셀룰러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명칭과 관계없이 휴대가 가능하고 일정 수준의 연산처리 능력을 갖춘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진다.
현장관리 서버(10)는 건설현장을 총괄 관리하는 본사에 구비된 컴퓨터이다. 현장관리 서버(10) 내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30)와 통신망(2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통신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관리 서버는 해당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개인 휴대 단말기(30)로 전송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을 수 있다.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12)는 현장관리 서버(10)에서 관리하는 모든 현장의 이력 및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본사에서 관리하는 전현장의 정보가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고 하나의 현장관리 서버내에서 관리되므로 건설현장의 정보의 유기적 통합을 통한 효율적인 건설현장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보고서 생성부(14)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전송되어 저장된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한다. 즉, 보고서 생성부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공정진행정도, 각 현장의 결함정도, 현장별 품질평가 결과등의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각종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렇게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된 각종 보고서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보고서 DB(12c)에 저장된다.
제어부(16)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를 관리하여 현장점검 및 현장품질 평가 결과를 현장관리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6)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현장점검 및 품질평과 결과를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12)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는 현장정보 DB(12a), 현장관리 DB(12b), 보고서 DB(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현장정보 DB(12a), 현장관리 DB(12b)와 보고서 DB(12c)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구조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장정보 DB(12a)는 현장명, 현장코드, 현장주소, 현장소장, 현장연락처, 연면적, 공사기간, 구분, 층수, 도면 등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현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현장관리 DB(12b)에는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과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이 저장되어 있다.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은 건축관리, 구조관리, 전기관리, 조경관리, 설비관리등으로 분류되며, 각 항목은 세부 점검사항인 Check List로 나눠진다. 한편 이러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과 Chech list에는 현장관리자가 현장점검을 행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도록 평가점수가 배점되어 있다.
보고서 DB(12c)에는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고서인 실적보고서, 결함보고서, 현장별 품질평가 결과표, 현장별 종합평가, 현장별 공정진행 결과 그래프, 점검일보등의 보고서들이 저장되어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30)는 본사에서 관리하는 현장에 방문하는 현장관리자에게 배치된다. 현장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30)를 통해서 수신된 해당 현장의 정보, 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을 확인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30)를 통해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하여 현장에서 현장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 현장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30)를 통해서 현장관리 서버의 현장관리 데이터부(12)에 접속하여 해당 현장의 정보뿐만 아니라 본사가 관리하는 전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으로 분산된 각 건설현장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개인 휴대 단말기(30)는 데이터 송/수신부(32), 입/출력부(34) 및 데이터처리부(36)를 포함하여 각각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32)는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현장의 정보, 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등을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36)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 송/수신부(3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입/출력부(34)로 현장관리자가 현장점검 및 품질 평가 항목별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현장관리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30)에 표시된 화면으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하면, 데이터 처리부(36)는 입/출력부(3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현장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소정 포맷으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처럼변환된 데이터는 데이터 송/수신부(32)를 통해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된 현장관리 서버(10)로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a) 관리하는 건설현장 중 정보가 필요한 건설현장을 조회하여 선택하는 단계(S100)
공사가 진행 중인 건설현장을 방문한 현장관리자는 사용자 인증단계를 거쳐 개인 휴대 단말기(30)를 통해 현장관리 서버(10)에 접속한다. 사용자 인증단계를 거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관리자가 건설현장을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개인 휴대 단말기(30)에 표시된다. 현장관리자는 건설현장을 개인 휴대 단말기(30)의 화면에서 조회하여 선택한다(S100). 본사에서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정보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되어 현장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기때문에, 현장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관리하고자 방문한 건설현장을 포함한 본사에서 관리하는 전현장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b) 상기 현장관리 서버가 상기 선택된 해당 현장의 정보와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00)
현장관리자가 해당 현장을 조회하여 선택하면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12)의 현장정보 DB(12a)에서 해당 현장의 정보가 선택되어 개인 휴대 단말기(30)로 다운로드된다. 따라서 현장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현장관리 서버의 현장정보 DB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현장정보를 참조하여 각 현장별로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12)의 현장관리 DB(12b)에서 해당 현장의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이 개인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된다.
c)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S300)
현장관리자가 건축관리, 구조관리, 전기관리, 조경관리, 설비관리등으로 분류된 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출력부에는 세부 점검 사항인 check list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 현장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30)의 입/출력부(34)의 check list를 참조하여 현장 점검 및 품질 평가를 실시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인 항목별 점수를 무선 인터넷 입/출력부(34)를 통해 입력한다. 이처럼,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부(3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후, 데이터 송/수신부(32)를 통해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된다.
d)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점검 및 현장품질 평가 결과를 검토하여,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단계(S400)
현장관리 서버의 제어부(16)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각 현장별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12)로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킨다. 이와같이 각 개인 휴대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는 제어부(16)를 통해 업데이트되어 현장관리 데이터 베이스부(12)의 현장관리DB(12b)에 저장된다.
e) 상기 보고서 생성부는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S500)
현장관리 서버의 보고서 생성부(14)는 제어부(16)를 통해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한다. 보고서 생성부는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인 각 항목 별 check list에 대한 평가점수를 포함한 현장관리 데이터베이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적보고서, 결함보고서, 현장별 품질평가 결과표, 현장별 종합평가, 현장별 공정진행 결과 그래프, 점검일보등의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고서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12)의 보고서DB(12c)에 저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현장관리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을 이용하여 본사가 관리하는 각 현장별로 행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입력함과 동시에 이러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보고서가 생성되어 모든 건설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건설현장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최적 실시예에 의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단점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외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현장정보를 실시간 조회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하는 것이 현장에서 가능하여 데이터의 이중관리를 배제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본사에서 관리하는 건설현장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다.
데이터의 통합적인 관리를 통해 모든 건설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공간적으로 분산된 건설현장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현장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현장관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어 현장관리에 소요되는 작업량이 감소된다.

Claims (5)

  1.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관리 서버;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와 개인 휴대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이력 및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부; 및
    상기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가 업데이트되도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는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현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정보 DB;
    관리하는 모든 건설현장의 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과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있는 현장관리 DB; 및
    상기 보고서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고서를 저장하고 있는 보고서 D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입/출력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현장의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현장점검 결과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5. 관리하는 건설현장의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현장관리 서버,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상기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현장관리 서버와 개인 휴대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현장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관리하는 건설현장 중 정보가 필요한 건설현장을 조회하여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상기 선택된 해당 건설현장의 정보와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항목을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장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데이터를 현장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현장관리 서버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점검 및 현장품질 평가 결과를 검토하여,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보고서 생성부는 상기 현장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관리 방법.
KR1020020050059A 2002-08-23 2002-08-23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17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059A KR20040017642A (ko) 2002-08-23 2002-08-23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059A KR20040017642A (ko) 2002-08-23 2002-08-23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42A true KR20040017642A (ko) 2004-02-27

Family

ID=3732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059A KR20040017642A (ko) 2002-08-23 2002-08-23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64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702A1 (en) * 2008-03-19 2009-09-24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Dredging monitoring system
KR100958941B1 (ko) * 2007-05-17 2010-05-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 통합 계측정보 관리 시스템
KR101037723B1 (ko) * 2008-09-30 2011-05-30 신동주 Dgps 기반의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공사 시공 및 준공 검측방법
KR101358673B1 (ko) * 2013-08-30 2014-02-10 (주)엘씨씨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418671B1 (ko) * 2013-03-07 2014-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EP3285225A1 (en) * 2016-08-16 2018-02-21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KR101986316B1 (ko) * 2018-11-15 2019-06-07 (주)엔젤스윙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KR20200099670A (ko) * 2019-02-15 2020-08-25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현장 점검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407A (ja) * 1998-03-17 1999-09-28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複数の建設現場の工程管理方法
JP2000001986A (ja) * 1998-06-15 2000-01-07 Fujita Corp 工事管理システム
JP2001357186A (ja) * 2000-06-14 2001-12-2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建設現場の管理システム
KR20030018664A (ko) * 2001-08-30 2003-03-06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공정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68661A (ko) *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네오컨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407A (ja) * 1998-03-17 1999-09-28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複数の建設現場の工程管理方法
JP2000001986A (ja) * 1998-06-15 2000-01-07 Fujita Corp 工事管理システム
JP2001357186A (ja) * 2000-06-14 2001-12-2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建設現場の管理システム
KR20030018664A (ko) * 2001-08-30 2003-03-06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공정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68661A (ko) *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네오컨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41B1 (ko) * 2007-05-17 2010-05-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 통합 계측정보 관리 시스템
WO2009116702A1 (en) * 2008-03-19 2009-09-24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Dredging monitoring system
KR101037723B1 (ko) * 2008-09-30 2011-05-30 신동주 Dgps 기반의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공사 시공 및 준공 검측방법
KR101418671B1 (ko) * 2013-03-07 2014-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101358673B1 (ko) * 2013-08-30 2014-02-10 (주)엘씨씨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EP3285225A1 (en) * 2016-08-16 2018-02-21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US11379626B2 (en) 2016-08-16 2022-07-05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KR101986316B1 (ko) * 2018-11-15 2019-06-07 (주)엔젤스윙 공사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KR20200099670A (ko) * 2019-02-15 2020-08-25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현장 점검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9512C (zh) 用于将数据推到移动设备的系统和方法
JP3782975B2 (ja) ユーザの位置を確認するため情報を集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1635287A1 (en) Program customization means for commercial applications in handheld devices
CN101202694A (zh) 用于在普及性设备上提供web服务的方法和系统
EP4167082A1 (en)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s (apps), and terminal device, server and system
US200500594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esence information on terminal device in a network
KR20040017642A (ko)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69017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US20030220937A1 (en) Portable computer with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JP2003173385A (ja) 調査方法
KR100381500B1 (ko) 전자 명함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02103606A (zh) 一种在手机客户端上实现高级检索商品的技术
KR20010100475A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89038B1 (ko) 지리정보 기반의 일정관리방법
KR20030012269A (ko) 네트워크 기반의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게임통합서비스 시스템
KR20020036136A (ko)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에서 편집한 데이터를데이터베이스로 공유하여 송/수신하는 시스템
JP2014081775A (ja) 携帯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画面処理方法
KR20030040134A (ko) 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서비스정보 제공방법 및 제어국
JPWO2006075389A1 (ja) 通信端末装置
JP2007018371A (ja) モバイルワンストップ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300832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ovement path,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0921972B1 (ko)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402162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8951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90036110A1 (en) Connecting apparatus, connec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