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661A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661A
KR20030068661A KR1020020008154A KR20020008154A KR20030068661A KR 20030068661 A KR20030068661 A KR 20030068661A KR 1020020008154 A KR1020020008154 A KR 1020020008154A KR 20020008154 A KR20020008154 A KR 20020008154A KR 20030068661 A KR20030068661 A KR 20030068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nagement
work
productivity
labo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김주학
오세욱
하용호
유승훈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컨텍
Priority to KR102002000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661A/ko
Publication of KR2003006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66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PDA) 및 IT 기술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노무자의 출역현황, 각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들에 대한 작업량 및 작업시간 등을 측정하고 이를 가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건설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있어 노무자들의 출퇴근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IT기술(바코드리더기, 지문인식기, 정맥인시기 등)을 활용함으로써 노무자들의 출연현황과 노무비를 산정할 수 있고 각 노무자마다 바코드가 장착된 아이디카드를 부여하여 단위작업에 투입된 노무자들의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수집 및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휴대용단말기가 각 단위작업마다 투입되는 노무자들의 작업시간 및 작업물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가공하고 현장서버 또는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가공하여 해당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 정보, 작업의 생산성, 공사 진척 현황 및 향후 공사일정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DA 및 IT기술을 이용한 건설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써 건설현장의 노무관리, 생산성 관리, 공정관리를 상호 연계하여 관리하여 통합 운영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Integrate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건설 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들에 대한 작업량과 작업시간 등을 측정한 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단위작업별로 관리할 수 있는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건설통합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는 일반 제조업과는 달리 공사작업이 복잡하고 현장중심의 생산방식이며, 단일한 일품 생산형이다. 즉, 건설공사는 발주자의 요구조건과 현장의 위치 및 환경에 따라 고유의 특성이 존재하게 되고, 생산과정에 오랜 시일이 요구되며 반복 재생산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건설공사를 시행하는 절차는 발주자의 성격과 공사의 성질에 따라 달리하고 있으나 직영공사와 도급공사로 구분되고, 도급공사의 경우에는 발주방법에 따라 경쟁입찰계약이나 수의계약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건설공사의 일반적인 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주자가 설계와 적산을 통해 예정가격을 결정한 후 입찰 공고하는 발주단계(S1~S4)와, 수주자가 발주자의 요구조건을 검토하여 설계에 따라 적산한 후 견적하는 입찰단계(S5~S8), 낙찰되면 계약한 후 시공하는 시공단계(S9~S14)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주자는 공사계획을 수립한 후 현장실사를 거쳐 설계를 하고(S1,S2), 설계에 따라 공사비용(예정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적산을 하며, 입찰공고한다(S3,S4). 수주자는 수주계획에 따라 입찰공고를 본 후 현장설명과 설계도 및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적산하여 입찰가격을 산정한다(S5~S8). 입찰 후 낙찰되면 발주자와 수주자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고, 수주자는 계약에 따라 시공하고 발주자는 공사를 감독한다(S9~S11). 공사가 완료되면 각종 검사 후 목적물을 인도하고, 공사대금을 지불한다(S12~S14).
이때, 시공단계에서는 건설공사의 공기와 품질, 안전 및 원가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공사관리가 요구된다. 즉, 건설공사는 시공주체로서의 노무자, 시공대상으로서 재료, 시공수단으로서 기계와 설비라는 3요소에 기술과 자금을 투입하여 수행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공사관리는 품질관리와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현재 국내 건설산업의 경우 각종 관리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분석하는 도구가 미약하여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노무관리나 생산성 측정, 공정계획 등은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수행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술과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여 대부분의 건설관리가 경험자에 의해 주먹 구구식으로 처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건설관리는 노무, 생산성 및 진도율에 대한 데이터들이 상호 연계되어 활용되지 못하고, 공정관리, 작업계획, 잔여공정 예측 등이 공정 계획자의 주관이나 경험치에 의존하고 있어 그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된 원인은 계획대비 노무 실적, 노무 및 생산성, 진도율을 비교 측정할 수 있는 실적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노무관리를 위해 종래에 사용되는 출역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입구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한 것으로, 노무자의 출퇴근 시간정보만 관리할 수 있을 뿐 각 노무자가 실제 투입되어 처리된 단위공정과 실적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바코드 리더 및 지문인식기를 이용하여 노무자의 실제 투입시간을 자동으로 집계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건설공사의 관리를 체계화하고 공사실적 자료를 축적해 갈 수 있는 건설 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설공사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의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관리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노무자를 등록하는 화면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단위작업 투입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적물량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역점검 테이블 화면의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역현황 테이블 화면의 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 관리 테이블 화면의 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대장 화면의 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량 노무비 화면의 예,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용 비교 화면의 예,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관리 화면의 예,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경력관리 화면의 예,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 지수 출력화면의 예,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 효율 출력화면의 예,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 및 조공별 생산성 지수 출력화면의 예,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대한 기공 및 조공의 평균 투입 및 작업량에 대한 출력화면의 예,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있어 인당 생산성을 출력하는 화면의 예,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있어 투입되는 비용에 대한 원당 생산성을 출력하는 화면의 예,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의 수를 히스토그램으로 출력하는 화면의 예,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산성 저하비용을 출력하는 화면의 예,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대한 진도율 출력화면의 예,
도 28은 본 발명에 따라 단위작업체계를 구성하는 바차트형식의 출력화면의 예,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진도율에 따른 공정표 양식을 출력하는 화면의 예,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보고서 양식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출역관리장치204: 서버
206: 바코드 리더208-1~208-n: 휴대용 단말기
210: 현장사무소320: 통신망
230-1~230-n: 단위작업장310: 무선 인터넷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 노무자마다 부여되는 아이디가 저장된 아이디카드; 상기 아이디카드의 아이디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수단과 무선통신기능이 구비되어, 상기 독출수단으로 상기 아이디 카드에 수록된 아이디를 자동으로 읽어 해당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체크하고, 일일 진행사항을 표시하며 진척도를 입력받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각 휴대용 단말기에 일일 작업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각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각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체크하여 노무관리정보와 생산성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공사 관리방법은,단위작업을 정의하고 단위작업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노무자를 정의하고 노무자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계획에 따라 공정계획을 수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 일일 단위작업을 다운로드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단위작업장의 노무자의 투입시간을 체크하고 실적물량을 산출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각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각 단위작업의 노무자 투입시간과 실적물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은 다수의 단위작업장(230-1~230-n)과 부대시설(220), 현장관리소(21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단위작업장(230-1~230-n)은 공사의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고, 공사의 진척도와 내용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데, 도 2에는 A단위작업장(230-1), B단위작업장(230-2),.., N 단위작업장(230-n)이 도시되어 있다.
현장의 출입구에는 노무자의 출역을 관리하기 위한 출역관리장치(302)가 설치되어 있고, 현장사무소(2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204) 또는 웹이 연결된 P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위작업장(230-1~230-n)에는 단위작업에 투입된 노무자를 관리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208-1~208-n)가 위치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208-1~208-n)는 노무자의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현장관리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해당 공정에 출입하는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위작업장마다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로 다수의 단위 작업장을 관리할 수도 있다.
현장사무소(210)에는 노무자의 출퇴근을 체크하기 위한 출역관리장치(202)와 서버(204)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버(204)는 통상의 공중망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출역관리장치(202)는 지문인식기, 바코드 리더 혹은 다른 생체인식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모든 노무자는 아이디(ID) 카드(도 3의 302)를 보유하고 있고, 출근과 퇴근시에 출역관리장치(202)에서 출퇴근을 체크한다. 그리고 노무자가 작업을 위해 해당 단위작업장에 투입되면, 해당 단위작업장의 관리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코드 리더기로 노무자 아이디카드(302)에 수록된 바코드를 읽어 노무자의 인(IN) 시간을 체크한다. 노무자가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단위작업장을 나갈 때도 현장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208-1~208-n)로 노무자의 아이디카드(302)를 읽어 아웃(OUT) 시간을 체크한다. 여기서, 아이디카드(302)는 바코드가 인쇄된 플라스틱 카드나 스마트카드, IC카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노무자에 대한 식별코드(ID)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므로 작업영역이 가변적인 건설공사에 있어서 이동이 용이하고, 노무자가 공정에 투입된 실제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다. 예컨대, 노무자a가 현장에 투입되어 A단위작업을 하다가 B단위작업을 한 후 다시 C 단위작업을 한 경우에 종래에는 각 단위작업장에서 실제 작업한 시간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 단위작업장마다 투입되는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체크함으로써 노무자가 실제로 어느 단위작업에서 얼마만큼의 일을 수행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휴대용 단말기(208-1~208-n)와 서버(204)가 무선 인터넷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설통합관리시스템은 각 노무자마다 부여되는 아이디가 저장된 아이디카드(302)와, 아이디카드(302)의 아이디(ID)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수단과 무선통신기능이 구비되어, 독출수단으로 상기 아이디 카드(302)에 수록된 아이디를 자동으로 읽어 해당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체크하고, 공정 관리자에게 일일진행사항을 표시하며 진척도를 입력받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208-1~208-n)와, 각 휴대용 단말기(208-1~208-n)에 일일 작업량 정보를 전송하고, 각 휴대용 단말기(208-1~208-n)로부터 수신되는 각 단위작업의 노무자 출입시간을 체크하여 노무관리정보와 생산성관리, 공정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4)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서버(204)는 본사 메인 서버(204a)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204b, 204c)로 구분되어 관리업무를 분산 처리하고, 현장 PC(602)에는 출역관리장치(202)와 바코드 리더(206) 등이 연결되어 노무자의 출퇴근과 이동시간을 체크하고, 통신망(320)과 연결되어 본사서버(204)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서, 각 노무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카드(302)를 소지하고 있고, 각 단위작업장(230-1~230-n)에 위치한 현장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208-1~208-n)를 가지고 있다. 각 휴대용 단말기(208-1~208-n)와 본사 메인 서버(204a)는 무선 인터넷(310)으로 접속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넷(310)은 CDMA모듈을 이용한 통상의 무선 공중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4)와 휴대용 단말기(208)는 무선랜(LAN)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204)는 하드웨어, 드라이버, 운영체계, 응용 프로그램 등으로 계층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일반 인터넷의 통신처리를 위한 네크워크 장비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204)의 하드웨어는 CPU와메모리,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로 구현되어 있고, 이러한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각종 운영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건설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응용계층에서 수행되는데, 이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모듈(401)과 노무관리모듈(402), 생산성모듈(403), 공정관리모듈(404) 등으로 모듈화되어 있다.
입력모듈(401)은 각 현장관리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208-1~208-n)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입력받고, 노무관리모듈(402)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노무관리정보를 제공며, 생산성모듈(403)은 노무관리모듈(402)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생산성 관련 지수를 계산하고, 공정관리모듈(404)은 예정공정과 실적을 비교하여 공정계획을 실제에 맞게 공정계획을 정정, 잔여공정예측 및 진도율을 산정하고, 그날의 단위작업 누적물량을 휴대용 단말기(208)로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208)는 무선인터넷을 위한 무선통신 기능과 바코드 리더를 포함하는 PDA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208)는 CDMA칩과 바코드 리더, CPU,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위에 드라이버와 운영체계가 수행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소프트웨어(501)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서버(204)와 휴대용 단말기(208)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관리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무선 인터넷 방식이 아니라 무선랜(LAN)방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8-1~208-n)와서버(204)가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사현장의 각 단위 작업장마다 휴대용 단말기(208-1~208-n)가 위치하고 있고, 현장사무소에는 현장 컴퓨터(602)가 있으며, 현장 컴퓨터(602)에는 DB를 포함한 출역관리장치(202)와 바코드 리더(206) 등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현장 컴퓨터(602)와 휴대용 단말기(208-1~208-n)는 무선랜(310') 방식을 통해 접속되며, 본사 서버(620)는 공중 통신망(610)을 통해 현장 컴퓨터(602)와 연결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때 무선랜(LAN) 프로토콜로서는 불루투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 tooth)란 근거리 통신을 위한 국제표준으로서 전송거리는 대략 10~100m정도이고, 사용주파수는 2.4GHz의 ISM대역을 사용하고 전송방식은 주파수 이동 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휴대용 단말기(208-1~208-n)는 앞서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208-1~208-n)와 동일하나 무선인터넷 방식이 아니라 무선랜을 이용하여 현장 컴퓨터와 접속하기 위한 불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노무자 인(IN)시간과 아웃(OUT)시간, 작업물량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현장 컴퓨터(602)는 DB서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와 O/S 기반 위에 입력모듈, 노무관리모듈, 생산성모듈, 공정관리모듈이 탑재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들이 수행되어 DB에 일일 단위작업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일단위작업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208-1~208-n)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208-1~208-n)로터 단위작업에 대한 노무자 투입시간 데이터와 작업물량 데이터 등을 입력받아 노무관리와 생산성관리, 공정관리를 위한 통계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통계 처리된 각종 데이터는 다양한 형식의 출력폼 및 보고양식으로 표현되어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통신망(610)을 통하여 본사 컴퓨터(62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노무자(ID카드)와 서버와 현장관리자(PDA)가 상호 연동되어 수행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약시에 제시한 공정계획에 따라 단위작업을 정의하고, 단위작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예컨대, 바코드)를 생성한다(701). 단위작업은 전체 공사내용을 공종과 공정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작업분류체계(WBS:Work Breakdown Structure)코드 혹은 시설분류체계(FBS: Facility Breakdown Structure)코드를 조합한 분류체계로 정의할 수 있다.
이어 공정에 투입될 노무자를 정의하고, 노무자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ID; 바코드로 표현됨)를 생성한다(702). 이어 노무자의 식별코드가 부여된 아이디카드를 발급한다(70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별코드로는 바코드를 사용하나 다른 코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작업과 노무자를 정의함과 아울러 계약시의 공정계획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한다(704).
이상의 과정을 거쳐 서버측에서 관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공사를 개시함과 아울러 일일 단위로 단위작업 데이터를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208-1~208-n)로 다운로드한다(705).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들에 대한 작업시간은 두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하루의 작업이 시작되면 현장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로 단위작업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자신의 단위작업장으로 이동하여 측정하는 방안(720~722)과, 노무자가 투입되기 직전인 아침조회 후 일괄적으로 측정하는 방안이 있다.
노무자는 출근하면 발급된 아이디카드(302)를 수령한 후 출역관리장치(202)를 이용하여 출근시간을 체크한다(740~742). 이때 직원의 경우에는 발급된 아이디카드를 자유롭게 소지할 수 있게 하고, 일용직과 같은 임시 노무직은 출근시 아이디카드(302)를 배부하고 퇴근시 반납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역관리장치(2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문인식기나 정맥인식기 등 생체인식를 이용할 수도 있고,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노무자의 출근시간은 서버 혹은 현장 PC의 DB에 기록된다(706).
현장관리자가 관리하는 단위작업이 일정하고 관리영역이 좁을 경우에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 작업시간 체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출근 후 노무자는 현장관리자로부터 작업을 지시받고, 해당 단위작업장으로 이동한다(743,744). 단위작업장에서 노무자가 투입될 경우에 노무자는 자신의 아이디카드(302)를 현장관리자에게 제시하고, 해당 현장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208-1~208-n)를 이용하여 아이디카드(302)의 바코드를 읽어 노무자 인(IN)타임을 입력한다(723,724). 이 후 노무자는 단위작업장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식사시간이나 퇴근시간 혹은 다른 단위작업이 지시되면 다시 아이디카드(302)를 제시하여 단위작업장의 아웃(OUT)시간을 체크한 후 이동한다(725~727).
한편, 현장관리자가 관리하는 단위작업이 불규칙하고 관리영역이 넓을 경우의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의 작업시간을 체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출근 후, 노무자는 아침 조회시 현장관리자로부터 작업을 지시받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아이디카드(302)를 현장관리자에게 제시하고 해당 현장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아이디카드(302)의 바코드를 읽어 노무자 인(IN)타임을 입력한 다음 해당 단위작업으로 이동한다. 이후 노무자는 단위작업장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식사시간이나 작업종료시간 혹은 다른 단위작업이 지시되면 다시 아이디카드(302)를 제시하여 단위작업장의 아웃(OUT)시간을 체크한 후 이동한다(725~727).
이와 같이 각 단위작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8-1~208-n)에 의해 해당 단위작업에 투입된 인원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가 수집된다.
이어 작업이 종료되면 현장관리자가 그날의 작업물량(실적)을 측량한 후 입력한다(728,729). 그리고 이와같이 입력된 데이터는 각 휴대용 단말기(208-1~208-n)에서 서버(204)로 업로드된다(730). 노무자는 퇴근시간이 되면, 출역관리장치를 이용하여 퇴근시간을 체크한다(745,746).
서버(204)는 퇴근시간을 기록하고, 각 단위작업장의 휴대용 단말기(208-1~208-n)로부터 그날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계처리한다(707~712). 즉, 노무관리 데이터를 처리하여 노무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생산성 데이터을 산출하며, 공정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실제 측량된 그날의 실적에 따라 계획대비 실적을 검토하여 이미 세워둔 계획을 실제에 맞게 정정한 후 다음 날의 단위작업 지시에 이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작업으로 세분된 공정까지 정확한 데이터를얻어 각종 통계자료를 산출한 후 실제에 맞게 공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공정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각 단계들을, 입출력 화면의 예를 들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무자를 분류 및 등록하는 단계(702)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무자는 다음 표 1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소속 분류 고용형태 직위 아이디 카드
통합건설업체 현장관리자 정직원 소장,공무,공사, 기사 등 일반카드
작업반장 월 계약직 단위작업 감독 및 관리 일반카드
기술노무자 물량/일계약직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노무자 일반/더미
일용노무자 일계약직 보통인부 및 잡부(단순작업) 더미카드
전문건설업체 현장관리자 정직원/계약직 소장,총무,기사 등 일반카드
작업반장 정직원/월계약직 단위작업 감독 및 관리 일반카드
기술노무자 물량/일계약직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노무자 일반/더미
일용노무자 일계약직 보통인부 및 잡부(단순작업) 더미카드
상기 표 1과 같이 전체 노무자를 소속에 따라 통합건설업체 노무자와 전문건설업체 노무자로 구분하고, 고용형태별로 현장관리자, 작업반장, 기술노무자, 일용노무자로 분류한다. 여기서,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모든 노무자에 있어서 아이디카드 발급은 비용 및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므로 표 1에서와 같이 고용형태에 따라 아이디카드를 일반카드와 더미카드로 구분하여 발급한다. 더미카드와 일반카드를 구분하는 기준은 계약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고용된 노무자와 단순작업을 수행하는 일용 및 기술노무자에게 더비카드를 발급하고 관리직 노무자와 주요작업을 수행하는 기술노무자에게는 일반카드를 발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류된 노무자를 DB에 등록할 경우에 현장관리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직위, 담당업무, 급여 등을 입력하여 '직원정보 DB'에 등록하고, 일반노무자의 경우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직영/외주/일용직 정보, 기공/조공 정보, 직종, 월/단가, 금액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노무자 정보 DB'에 등록한 후 식별코드(ID)를 부여한다. 이어 출역관리를 위한 노무자의 생체 인식정보(예컨대, 지문정보, 정맥정보 등) 또는 아이디 카드정보를 DB에 등록한 후, 바코드가 기록된 아이디카드를 발급하고 관련정보를 직원정보 DB나 노무자 DB에 저장한다. 이때 주민등록 번호를 아이디카드와 연결하는 키로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민등록번호는 필요한 정보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관리자와 노무자를 등록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장 PC담당자는 PC를 통하여 노무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일/월 계약에 따른 단가, 현장관리자/계약직 노무자, 직영/외주/일용, 기공/조공, 직위, 직종과 같은 노무자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등록버튼을 누르면 하단에 입력된 정보들이 나열된다. 현장 PC 담당자는 입력정보를 확인하고 수정여부를 판단한 후 최종 입력자료를 DB에 저장한다.
노무자 정의단계(702)에서 외주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외주등록은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계약정보를 등록시킨 후 팀의 실적 물량과 연결하여 물량 노무비 산정에 활용한다. 외주등록시에는 단위작업코드, 단위작업명, 담당팀장명, 계약품목, 계약형태, 계약물량, 계약단가, 총계약금액 등을 '팀정보 DB'에 등록한다. 이때 총계약금액은 단가계약의 경우 "계약물량×계약단가"로 구하고, 일식의 경우 현장 PC 담당자가 총 계약금액을 직접 입력한다. 즉, 총계약금액이 외주비용이 되며 완성된 공사의 단위작업 실적물량과 팀을 연결하여 외주비용과 물량 노무비 산정에 활용한다.
노무자 정의 단계(702)에서 장비등록은 장비명, 장비용량, 운전자 신상정보, 보유/임대, 임대업체명, 임대계약조건 등을 입력하여 '장비 DB'에 등록한다. 이때 장비운전자 아이디카드는 다른 노무자의 아이디카드와 동일하게 작성하고, 추가로 해당 장비명과 장비운전자의 신상정보를 연계시킨다. 따라서 장비운전자의 단위작업 투입시간을 해당 장비의 가동시간으로 파악하여 장비비용 및 유류비용 산정 등에 활용한다.
한편, 출역시간측정(706,707)은 이미 등록된 '노무자 정보 DB'의 노무자 신상정보와 출역관리장치(예컨대, 바코드리더기 또는 지문인식기 등의 생체 인식기)로부터 입력된 출퇴근시간을 입력받아 각 노무자의 출역 데이터를 '출역정보 DB'에 저장한다.
단위작업 투입시간 측정(624,627)을 위해 먼저 단위작업 정의단계(701)에서 생성된 '단위작업 DB'로부터 해당 일의 단위작업을 각 단위작업 휴대용 단말기(PDA)로 다운로드하여 표시하고, 각 현장관리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단위작업을 선택한다. 현장관리자가 해당 단위작업을 선택한 후 노무자의 투입이 있으면, 노무자들의 투입(IN)시간과 완료(OTU)시간에 해당 노무자의 아이디카드를 스캔한다. 스캔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PDA)에 임시 저장된 노무자의 투입시간은 일정시간 후 '단위작업시간 DB'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위작업시간 DB에는 날짜별로 해당 단위작업 코드에 따라 노무자의 투입/완료시간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무자의 작업시간을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의 아이디카드와 휴대용 단말기(PDA)를 이용하여 노무자 아웃(OUT)시간과 인(IN)시간의 차이로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노무자별 단위작업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작업 투입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투입시간 입력, 업무종료시간 입력, 아이디, 물량 진행상황 입력, PC로 데이터 전송 등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현장관리자가 선택한 단위작업이 상단에 표현되며, 노무자의 업무투입시간을 체크하기 위하여 노무자에게 부여한 아이디카드의 바코드를 휴대용 단말기로 스캔하면 노무자의 기본정보와 투입시간이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출력된다. 단위작업에 대하여 투입된 모든 노무자의 아이디카드를 스캔하였으면 '서버로 데이터 보내기' 버튼을 눌러 업무 투입시간을 전송한다.
한편, 노무자가 다른 단위작업으로 이동하거나 단위작업을 마치면 휴대용 단말기로 노무자의 아이디카드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업무종료시간을 서버로 전송한다. 만약, 단위작업에 있어 투입 및 종료시간을 스캔하지 않고 퇴근하였을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게 되며, 오류로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나게 된다.
단위작업 실적물량 측정(629)은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팀 또는 단위작업 전체의 실적물량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상의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하는 것이다. 물량 입력시 단위작업명이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상단에 표현되고, 단위작업 다운로드시 서버로부터 전달 받아온 해당일에 대한 단위작업 예정물량과 전일 실적물량을 편집박스로 보여준다. 현장관리자는 전송받은 해당 단위작업, 예정물량, 전일 실적물량을 참고하여 금일 실적물량을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하면 '실절물량 DB'에 저장된다. 여기서, 물량입력은 수량이 명확히 표현되는 것은 단위로서 수량을 직접 입력하고, 수량이 명확히 표현되지 않은 것은 백분율(%)로 표현하여 입력한다. 수량으로 직접 입력할 경우에는 입력값이 금일 실적물량이 되며, 현재까지의 전체 누적실적물량은 "전일 전체 누적 실적물량 + 금일 실적물량"값이 된다. 그리고 실적물량을 백분율(%)로 입력 시에는 입력값은 금일까지 전체 누적물량(%)이 되며, 금일 실적물량(%)은 "금일까지 전체 누적물량(%)-전일까지 전체 누적물량(%)"이다. 수량과 백분율의 상호관계는 금일까지 전체 실적물량(수량)을 "예정물량×측정값(%)"로 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노무자의 출퇴근시간, 단위작업별 노무 투입 및 작업시간, 단위작업별 실적 물량측정 등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노무관리, 생산성관리, 공정관리를 수행하며 다양한 정보와 보고양식을 제공한다.
1. 노무관리(단계 609)
노무관리단계에서는 바코드리더기/생체인식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노무자의 출퇴근시간, 단위작업별 노무자 투입 및 작업시간, 실적물량을 수집하고 이를 가공하여 출력점검, 출역현황, 작업시간관리, 장비관리, 노무비관리, 노무비대장,물량노무비관리, 관리자 경력관리, 팀경력관리 등 다양한 형식의 노무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표(table)형식으로 출력되는 출역점검 화면의 예로서, 건설현장에 출역하고 있는 노무자를 전체, 직영, 외주로 분류하여 각 노무자의 신상정보(소속, 직위, 구분, 아이디, 인 타임, 아웃타임, 근무시간, 공수)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출역점검표에는 출역관리장치(생체인식기/바코드리더기)에 의해 측정된 노무자별 출퇴근시간이 자동으로 표시되며 공수는 출퇴근시간이 있으면 기본적으로 1의 값이, 출퇴근시간이 없으면 0의 값이 기본으로 산정된다. 또한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추가근무여부에 따라 공수를 1.5 및 0.5로 수정할 수 있다. 출역시간은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의 차로 구해지며, 출역정보 DB와 노무자 DB, 직원정보 DB, 단위작업 DB, 단위작업 시간 DB로부터 출역점검 테이블이 생성되어 출역정보 DB에 저장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역현황 테이블 화면의 예로서, 출역현황 테이블은 출역정보 DB에서 날짜별로 출역노무자 ID를 검색하여 각 소속별로 카운팅하여 일별, 주별, 월별, 팀별 소계 및 누계 화면으로 출력된 것이다. 이러한 출역현황 테이블은 노무자의 출역현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보여주며 출역정보 DB와 직원정보 DB, 노무자정보 DB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 관리 테이블 화면의 예이다. 노무비 관리 테이블은 노무자 DB와 출역정보 DB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는데, 각 출역 노무자 아이디에 따라 일별 공수의 누계를 기간별로 구한 후 노무 금액을 산정한다. 여기서, 노무금액은 "노무단가×공수 누계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노무비관리는 직영 및 외주별로 노무자에 대한 신상정보와 해당 작업일수 및 누계값, 단가 및 노무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대장 화면의 예이다. 노무비대장에는 소속, 직위, 구분, 직종, ID, 이름, 노무단가, 공수누계, 공제액(갑근세, 주민세, 고용보험), 실수령액 등이 표시되어 있다. 공사를 진행하면서 일일 노무비용이 계산되지만 실제 노무비용은 업체별로 월별 또는 2주를 기준으로 하여 지정된 날짜에 노무비용을 정산하여 지급한다. 따라서 노무비대장은 산정 노무비용에 대하여 각종 세금을 공제한 실 수령액을 표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량 노무비 화면의 예이다. 물량 노무비용은 외주비용의 일부분으로서 외주 노무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물량 노무비용은 공수(시간) 개념의 노무비와는 다르게 실적 물량에 의해 산정된다. 따라서, 물량 노무비는 단위작업 DB와 팀정보 DB, 실적 물량 DB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가지고 "실적 물량 x 외주 계약 단가"로 산정한다. 예를 들면,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대하여 물량 계약을 M2 당 4,000원에 체결했고, 8월 21일부터 25일 까지 400M2의 실적을 구축한다면 이는 시간에 관계없이 물량 노무비용은 400 x 4,000 = 1,600,000 원이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용 비교 화면의 예로써, 도 14에서의 일일 노무 단가비용과 도 15의 물량노무비용에 대한 비교 화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대부분이 일일 노무단가 비용보다 물량노무비용의 금액이 크게 나타나지만 작업의 진행사항과 팀관리를 위하여 노무단가에 의한 노무비용과 물량 계약에 의한 노무비용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와 같이, 노무단가에 의한 노무비용이 201만원, 물량 계약에 의한 노무비용은 180만원일 경우, 이를 맡은 작업팀은 작업조건의 악화나 그 외의 사정에 의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거나 물량 단가에 의한 계약단가가 너무 적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무단가에 의한 노무비용이 물량 노무비용 보다 큰 경우에는 비고란에 그 원인을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고 관리하도록 하여 작업 팀에 대한 원활한 유동성을 확보하게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관리 화면의 예로서, 장비 운전자 ID와 단위작업 시간 DB의 해당 노무자 ID를 서로 연결하여 단위작업별로 투입된 장비의 가동 시간을 파악하는 것이다. 장비사용이 비교적 큰 작업은 장비 임대비용과 유류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장비의 가동 시간을 파악하여 장비에 투입되는 비용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운전자의 ID를 작업시작전과 시작후에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장비의 가동시간을 파악하고 투입되는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경력관리 화면의 예로서, DB에 축적된 관리자의 경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사한 방식으로 팀별 경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의 일반적인 정보와 수행한 프로젝트에 대한 근무기간, 담당 업무, 공기내 완공 여부, 예산 내 완공 여부 등을 표현하여 보다 현실적인 경력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2. 생산성 관리(단계 610)
본 발명에 따라 생산성 모듈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은 다음 표 2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기능
생산성정보 단위작업 생산성 지표 생산성지수 단일물량의 작업진행현황을 파악
생산성효율 진행현황을 백분율로 파악
기능공/조공분석 기능공/조공 생산성지수 기능공과 조공별로 생산성 파악
기능공/조공 생산성지수 실적자료 축적
자원분석 1인당 생산성 개인의 생산성을 파악
원당 생산성 원가의 생산성을 파악
자원 히스토그램 단위작업의 일변 노무자 투입현황을 시각화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생산성 모듈은 생산성정보(단위작업의 생산성 분석지표, 기능공/조공 분석, 자원분석), 생산성 정보 활용방안(클레임 대비 근거 자료)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생산성 정보의 중분류인 단위작업 생산성 지표는 생산성 지수와 생산성 효율로 구분하고, 기공/조공 분석은 기공/조공의 생산성 지수와 기공/조공의 투입비 및 물량분석으로 구분하며, 자원분석은 1인당 생산성, 원당 생산성, 자원 히스토그램으로 다시 세분화 되어 소분류로 분류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 지수 출력화면의 예이다. 생산성 지수는 단위작업을 기준으로 서버에서 단위작업 DB정보, 물량 DB 정보, 작업시간 DB 등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하여 산정된다. 즉, 생산성지수를 구하기 위해 단위작업 DB로부터 단위 작업명, 작업코드, 예정물량, 예정작업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물량정보 DB로부터 작업코드, 날짜, 금일 실적물량, 누적 실적 물량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시간 DB로부터 작업코드, 날짜, 금일 작업시간, 누적작업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작업코드를 중심으로 단위작업에 대한 생산성 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예정 생산성은 프로젝트 초기에 입력되거나 프로젝트가 일정 기간 지났을 경우의 실적 노무시간과 실적 물량의 비에 의해 산정된다. 또한, 금일 생산성 지수는 휴대용 단말기로 측정한 금일 작업시간과 금일 실적 물량의 비에 의해 산출되고, 누적 생산성 지수는 금일까지 누적된 작업시간과 실적물량의 비에 의해 산출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 효율을 출력하는 화면의 예이다.
앞서 설명한 생산성 지수는 물량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작업시간이 소요 되었는가를 지수로서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현장관리자가 일반적인 공정계획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기에는 수월하나 계획 대비 실적이 향상 또는 저하되었는지에 대한 자료로써 명확하게 제시하기에는 미흡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0에서는 생산성 지수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생산성 효율을 표현함으로써 현장 관리자가 단위작업에 대하여 변화되는 생산성을 이해하기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생산성 효율은 생산성 지수 DB로부터 단위작업명, 작업코드, 날짜, 예정 생산성 지수, 금일 생산성 지수, 누적 생산성 지수에 대한 데이터들을 가공하는 것으로, 100을 예정생산성의 기준으로 할 때, 금일 생산성효율은 예정 생산성 지수와 금일 생산성 지수의 비에 100을 곱하여 산정되고, 누적 생산성 효율은 예정 생산성 지수와 금일 생산성 지수의 비에 100을 곱하여 산정된다. 도 20의 생산성 효율 화면에서와 같이 회사명, 현장명, 단위작업명을 기준으로 화면 상단에는 테이블 형식의 날짜별 예정 생산성, 금일 생산성, 누적 생산성에 대한 효율이 표현된다.또한, 화면 하단에는 상단 테이블에 나타나는 값을 시각화한 것으로 횡축은 기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생산성 효율에 대하여 100을 기준으로 나타내어 각 기간별로 예정 생산성 효율, 금일 생산성 효율, 누적 생산성 효율을 상호 비교하는 그래프를 제시한다. 여기서, 시각화한 그래프 형식은 도 20과 같은 막대 형식 또는 꺽은선 형식으로 표현 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생산성효율은 여러 형태의 선과 색으로 표현이 가능케 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옵션 기능을 제공 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공 및 조공별 생산성 지수를 출력하는 화면의 예로서, 노무자를 기공과 조공별로 각각 구분하여 생산성 지수를 구한 것이다. 노무자 ID를 기본키로 단위작업에 투입된 기공과 조공의 작업시간을 질의(Query)하여 각각에 대한 생산성 지수 및 시각화한 그래프를 표현한다. 여기서, 기공/조공 생산성 지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 DB로부터 날짜와 금일 작업시간, 누적 작업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노무자 DB로부터는 노무자 ID, 기공/조공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실적물량 DB로부터 날짜, 금일 실적물량, 누적 실적 물량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기공/조공별 금일 및 누적 생산성으로 산정하게 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단에는 금일과 누적 생산성에 대하여 기공 및 조공별 생산성 지수가 테이블 형식으로 표현되고, 하단에는 4가지 항목(기능공의 금일 및 누적, 조공의 금일 및 누적 생산성 )의 생산성 지수가 시각화된 그래프로 표현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대하여 기공 및 조공의 평균 투입인원 및 작업량에 대한 출력 화면의 예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위작업별 작업조, 작업조에 따른 일일 생산이 가능한 실적물량, 평균 투입작업시간, 관련 노무자의 인건비에 관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으로, 기존에 미흡했던 국내의 건설 생산성 자료 구축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생산성 자료는 노무자 DB로부터 노무자 ID와 직종에 대한 데이터를, 물량 DB로부터 금일과 누적 실적물량 데이터를, 작업시간 DB로부터 금일 및 누적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정보들에 대하여 단위작업을 기준으로 질의(Query)를 통해 산정된다. 여기서, 단위작업의 기공 및 조공의 평균 투입인원 및 작업량의 선정은 단위작업을 기준으로 평균치와 최소치, 최대치와 관한 사항을 도출하고, PERT 기법을 이용하여 기대치를 산정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있어 인당생산성을 출력하는 화면의 예로서, 단위작업을 기준으로 노무자 1인당 작업 가능한 생산성을 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금일 1인당 생산성은 단위작업의 금일 실적물량과 투입된 노무자수 총합의 비이며, 누적 1인당 생산성은 누적 실적물량과 투입된 누적 노무자수 총합의 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있어 투입되는 비용에 대한 원당 생산성을 나타내는 출력화면의 예로서, 건설 시공 주체가 단위작업을 수행하는 팀의 생산성을 비용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단위작업 DB의 누적 노무비와 금일 노무비, 물량 DB의 금일과 누적 실적 물량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일 원당 생산성과 누적 원당 생산성이 산정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단위작업에 투입되는 노무자의 수를 히스토그램 형식으로 출력하는 화면의 예로서, 자원 히스토그램은 작업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노무자 투입 현황을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현장관리자가 인적 자원 투입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단위작업에 있어 투입되는 인원이 현저히 감소했을 경우, 현장관리자가 해당 단위작업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나 팀에게 문의를 하여 단위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3. 공정관리(단계 611)
공기지연에 대한 클레임 대비 근거자료의 확보와 진도관리를 하기 위한 공정관리의 분류항목은 다음 표 3과 같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기능
공정관리 클레임 대비 근거자료 지연사유 및 조치사항 입력 클레임에 대비한 자료확보
생산성저하비용 산정 생산성저하비용 산정방법 제시
진도관리 진도율 산정 단위작업의 진도율 산정
실적 예상일수 산정 진도율에 따른 단위작업 예상완료일 수 파악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공정관리는 공기 지연에 대한 클레임 대비 근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위작업의 지연 사유 및 조치사항 입력과 생산성 저하 비용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진도관리를 위해서는 진도율 및 실적 예상일 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된 생산성 저하비용을 나타내는 화면의 예로서, 생산성 저하비용은 생산성지수 DB로부터 금일 및 누적 생산성지수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오고 작업시간 DB로부터 금일 작업시간 데이터를, 실적물량 DB로부터 실적 물량 데이터를 받아 이를 가공하여 산정된다. 또한, 생산성 저하가 발생한 기간에 대하여 정상적인 기간과 비교하여 실적 생산성지수와 저하비용을 산정한다. 이는단위작업에 대하여 지연이 발생함으로써 클레임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현장관리자가 지연사유 및 조치사항에 관한 근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에 있어 진도율을 파악할 수 있는 출력 화면의 예이다. 진도율은 단위작업에 대하여 완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생산성 지수 DB의 예정 생산성 지수 및 누적 생산성 지수 데이터, 단위작업 DB의 예정 작업시간과 누적 작업시간 데이터를 가지고 산정한다. 여기서, 예정 생산성지수와 누적 생산성지수의 비에 누적 시간을 곱하여 달성작업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예정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100을 곱하게 되면 진도율이 산정된다. 도 27에서와 같이 메뉴바에서 진도율을 선택하고, 회사명, 현장명을 선택하면 현재까지 진행중인 단위작업에 대한 진도율 관련 정보가 출력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라 단위작업체계를 구성하는 바차트 형식의 출력화면 예로서, 단위작업체계는 트리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관련사항을 표현하는 화면과 단위공정의 기간을 셀 형식으로 표현하는 공정표를 가지고 있다. 먼저, 단위작업 체계를 트리구조로 작성하고, 각각의 단위작업에 대하여 작업 관련 사항을 기입한다. 여기서, 작업관련 항목은 코드, 공종, 단위작업명 및 시작일, 종료일, 작업기간, 선후행 작업관련 사항, 물량을 기입하게 되어 있다. 작업 일수는 셀을 직접 선택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단위작업 정보가 생성되며, 날짜별로 해당되는 단위작업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짜들은 일, 주, 월 단위로 각각 표현될 수 있으며, 도 29와 같이 간트차트(Gantt Chart) 형식의 공정표로도 출력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진도율에 따른 공정표 양식을 표현하는 출력화면의 예이다. 도 29의 차트에 따르면, 현장관리자가 현재의 추세대로 프로젝트가 진행될 경우에 향후 공사 완료 시점과 각각의 단위작업이 영향을 받는 작업일수에 대하여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한다. 화면에 나타나고 있는 공정표 양식은 간트차트 양식으로 표현되는데, 화면의 세로방향으로는 단위작업 항목들이 열거되며 가로 방향으로는 작업 날짜들이 표현되고 있다. 여기서, 각 단위작업을 표현하는 바(bar)들은 예정 바와 실적 바를 가지고 있으며, 예정 바는 공정계획 초기에 작성되고 실적 바는 공사 진행에 따라 생성된다. 또한, 단위작업의 실적 바들은 상호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고, 날마다 진행되는 진도율에 따라 자동으로 바들의 크기가 변환이 가능케 되며 작업 진행 실적에 따라 예상되는 작업종료 시점을 알 수 있게 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보고서 양식으로서, 출역일보, 작업일보, 장비일보, 생산성일보 등 그 날의 현장 상황을 다양하게 자동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역일보는 노무자 DB에서의 노무자 신상정보와 출역관리 장치에서 측정된 노무자의 출퇴근 시간에 의하여 출역정보 DB가 생성되어 노무단가를 고려한 출역일보 보고서 양식이 자동 출력된다. 작업일보는 노무자 DB에서의 노무자 신상정보와 각 단위작업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전일과 금일로 나누어 투입 노무자와 실적물량을 표현하는 보고서 양식이 자동 출력된다.
장비일보는 단위작업별로 투입되는 장비 운전자 ID를 휴대용 단말기로 측정하여 장비 가동시간과 유류비 단가, 장비비 단가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는 보고서양식이 자동 출력된다. 생산성 일보는 작업시간 DB, 실적물량 DB, 생산성지수 DB 등에서 나타나는 데이터를 가지고 단위작업에 있어 작업시간, 물량, 생산성 지수에 대하여 예정, 금일, 누적으로 나누어 각각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클레임 사항에 대한 근거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위작업(구체적인 공정단위)까지 정확한 투입인원과 실적을 계량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노무자관리정보 및 생산성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확한 공정관리가 가능하다.

Claims (21)

  1. 현장 PC에서 단위작업 정보 및 노무자, 장비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 후, 출역관리 장치에서는 노무자의 출역현황을 수집하고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단위작업 투입노무자, 작업시간, 실적 물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가공하고 자동으로 노무관리, 생산성관리, 공정관리가 상호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게 하는 건설통합관리 시스템.
  2. 각 노무자마다 부여되는 아이디가 저장된 아이디카드;
    상기 아이디카드의 아이디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수단과 무선통신기능이 구비되어, 상기 독출수단으로 상기 아이디 카드에 수록된 아이디를 자동으로 읽어 단위작업에 대한 해당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서버측과 통신하여 일일 진행사항을 표시하며 진척도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각 휴대용 단말기에 단위작업에 대한 일일 작업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각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각 노무자의 출입시간을 체크하여 노무관리정보와 생산성관리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노무자의 출퇴근을 체크하기 위한 출역관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역관리장치는 지문인식기, 정맥인식기, 바코드 리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는 무선랜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카드는 정직원 및 기술직 노무자에게 부여되는 일반카드와 일용직 노무자에게 부여되는 더미카드로 구분되고, 바코드가 인쇄된 플라스틱 카드나 스마트카드, IC카드중 어느 하나인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관리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현장에 설치되는 현장PC와 통신망을 통해 현장PC와 연결된 본사 서버로 이루어지고,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출역일보, 작업일보, 단위작업의 공정표 등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관리시스템.
  9.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위작업에 대한 노무자 투입정보와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작업의 진척도를 산출한 후 향후 단위작업에 대한 예상 소요일과 실제 소요일을 비교하여 바형식이나 차트형식 등으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관리시스템.
  10. 단위작업을 정의하고 단위작업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노무자를 정의하고 노무자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위작업을 위주로 공정계획을 수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 일일 단위작업을 다운로드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단위작업장의 노무자의 투입시간을 체크하고, 실적물량을 산출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각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각 단위작업의 노무자 투입시간과 실적물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통합관리방법은 노무자의 출퇴근 현황을 출입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2. 제10항 혹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은 작업분류체계(WBS)코드 혹은 시설분류체계(FBS)코드를 조합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트리구조형식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3. 제10항 혹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실적물량을 수량이나 백분율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4. 제10항 혹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처리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 및 출입관리장치로부터 수집된 각 단위작업에 대한 노무자 투입시간 및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노무자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노무자 관리단계; 상기 노무자 관리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된 실적 물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산성을 산출하는 생산성 산출단계; 상기 생산성 산출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작업의 공사진척도와 향후 공사일정을 산출하는 공정관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무자관리단계는 노무자의 출역현황을 체크하여 출역정보테이블을 제공하는 단계와, 노무비를 산출하여 노무비대장을 제공하는 단계와, 물량노무비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장비관리를 통한 장비비용 산정을 제공하는 단계와, 기술노무자의 경력사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성 산출단계는 소정의 식에 따라 계획 생산성지수와 누적 생산성지수, 금일 생산성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생산성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성 효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기공 및 조공별로 생산성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및 조공별로 생산성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단위작업의 평균 투입인원과 작업 가능한 물량을 산정하여 국내의 건설생산성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성 지수는 인당 생산성 지수와 원당 생산성 지수로 구분되고, 상기 인당 생산성 지수는 실적물량을 투입인원으로 나누어 구하고, 상기 원당 생산성지수는 실적물량을 단위작업 계약총액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통합관리방법은, 생산성 저하비용을 산출하고, 지연사유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성 저하비용은 생산성 저하기간을 선택하여 소정식에 따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관리단계는 소정 식에 따라 진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소정 식에 따라 공사 예상일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정표 양식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바를 생성하고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방법.
KR1020020008154A 2002-02-15 2002-02-1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30068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154A KR20030068661A (ko) 2002-02-15 2002-02-1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154A KR20030068661A (ko) 2002-02-15 2002-02-1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661A true KR20030068661A (ko) 2003-08-25

Family

ID=3222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154A KR20030068661A (ko) 2002-02-15 2002-02-15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661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42A (ko) * 2002-08-23 2004-02-27 빌딩닥터그룹(주)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0144B1 (ko) * 2005-05-30 2007-07-18 삼성물산 주식회사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0824702B1 (ko) * 2007-08-28 2008-04-28 (주)한일에스티엠 원격 공사관리 시스템
KR100844467B1 (ko) * 2007-10-22 2008-07-07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09048275A2 (en) * 2007-10-11 2009-04-16 Inha-Industry Partnership Institute 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using rfid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450425Y1 (ko) * 2008-02-11 2010-10-01 김기도 아이스크림 흘림 받침대
KR101054525B1 (ko) * 2008-12-04 2011-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집배 업무 성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1003B1 (ko) * 2008-06-17 2015-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통합작업 관리시스템의 작업자 일별 시수 입력및 개인별 능률표 작성방법
KR101944847B1 (ko) * 2017-10-30 2019-02-01 건설근로자공제회 공공기관과 연계된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63442B1 (ko) * 2018-06-05 2019-03-28 안선희 P2p 기반 전문인력매칭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129B1 (ko) * 2018-02-08 2019-08-14 (주)경한소프트웨어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KR102028558B1 (ko) 2019-04-16 2019-10-04 박진호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7866A (ko) * 2018-08-09 2020-02-19 김태상 Dcs 생산성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1611A (ko) * 2019-03-19 2020-09-29 김재영 컴퓨터로 구현되는 캘린더를 이용한 근로자 근태 및 업무 관리기능과 공사현장 관리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CN113052573A (zh) * 2021-04-28 2021-06-29 华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基于bim的风电场数字化建设管理系统
KR102297794B1 (ko) * 2021-05-06 2021-09-03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공사 현황 관리 장치
KR102438757B1 (ko)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20220161698A (ko) * 2021-05-31 2022-12-07 나수미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장비와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건설장비 중계시스템
KR20230114390A (ko) 2022-01-25 2023-08-01 김지훈 차량 및 자재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42A (ko) * 2002-08-23 2004-02-27 빌딩닥터그룹(주)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0144B1 (ko) * 2005-05-30 2007-07-18 삼성물산 주식회사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0824702B1 (ko) * 2007-08-28 2008-04-28 (주)한일에스티엠 원격 공사관리 시스템
WO2009048275A2 (en) * 2007-10-11 2009-04-16 Inha-Industry Partnership Institute 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using rfid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WO2009048275A3 (en) * 2007-10-11 2009-06-18 Inha Ind Partnership Inst 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using rfid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984514B1 (ko) * 2007-10-11 2010-09-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기반 rfid를 이용한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
KR100844467B1 (ko) * 2007-10-22 2008-07-07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0450425Y1 (ko) * 2008-02-11 2010-10-01 김기도 아이스크림 흘림 받침대
KR101491003B1 (ko) * 2008-06-17 2015-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통합작업 관리시스템의 작업자 일별 시수 입력및 개인별 능률표 작성방법
KR101054525B1 (ko) * 2008-12-04 2011-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집배 업무 성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847B1 (ko) * 2017-10-30 2019-02-01 건설근로자공제회 공공기관과 연계된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1129B1 (ko) * 2018-02-08 2019-08-14 (주)경한소프트웨어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KR101963442B1 (ko) * 2018-06-05 2019-03-28 안선희 P2p 기반 전문인력매칭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7866A (ko) * 2018-08-09 2020-02-19 김태상 Dcs 생산성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1611A (ko) * 2019-03-19 2020-09-29 김재영 컴퓨터로 구현되는 캘린더를 이용한 근로자 근태 및 업무 관리기능과 공사현장 관리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KR102028558B1 (ko) 2019-04-16 2019-10-04 박진호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8757B1 (ko)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CN113052573A (zh) * 2021-04-28 2021-06-29 华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基于bim的风电场数字化建设管理系统
KR102297794B1 (ko) * 2021-05-06 2021-09-03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공사 현황 관리 장치
KR20220161698A (ko) * 2021-05-31 2022-12-07 나수미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장비와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건설장비 중계시스템
KR20230114390A (ko) 2022-01-25 2023-08-01 김지훈 차량 및 자재의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866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통합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Ghalayini et al. An integrated dynam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improving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US7283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CN108898360A (zh) 一种电力工程智慧工地综合管控信息系统
US20130275187A1 (en) Work measurement toolkit
US20120221379A1 (en) Facility control system (fcs) to manage assets and products
US20060031840A1 (en) Real time monitoring manufacturing scheduling and control
EP0954813A1 (en) Strategic management system
CN113780998B (zh) 一种工程项目执行实施一体化信息管理方法
Kumar et al. A review of IoT applications in supply chain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US20090125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Work Orders
Ikediashi et al.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design and build projects in Nigeria
Tenah Construction personnel role and information needs
US20080059279A1 (en) Network-based business proces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businesses
JPH03268098A (ja) ビルメンテナンス管理システム
JP2021144756A (ja) プロジェクト計画策定システム
WO2015157792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6195903A (ja) ラインの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収集端末装置
CN116630082A (zh) 生产资源的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60026053A1 (en) Goal tender system and method
Musinszki Innovations and cost systems trends and ways in the cost accounting
JP5503172B2 (ja) 労務管理システム
KR20210041148A (ko) Qr코드를 이용한 건설공정 자동관리 시스템
Oh et al. An application of PDA and barcode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JP2019067386A (ja) 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