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547B1 -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547B1
KR102266547B1 KR1020210005181A KR20210005181A KR102266547B1 KR 102266547 B1 KR102266547 B1 KR 102266547B1 KR 1020210005181 A KR1020210005181 A KR 1020210005181A KR 20210005181 A KR20210005181 A KR 20210005181A KR 102266547 B1 KR102266547 B1 KR 10226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ous
leakage
terminal means
central control
dangerous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to KR102021000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산재해 있는 다수의 위험시설물에 대한 위험물 유출감지 및 대응조치를 중앙에서 종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위험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를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에 송신하는 경보수단(10), 상기 위험시설물에 근무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타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에 자동으로 송신하는 단말수단(20) 및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여부를 수신하고 그 대응조치를 발령하는 중앙관제센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위험물 유출 시 최초의 상황전파 및 대응조치 발령 이후에도 상황추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상황변화에 적극 대응토록 지시함으로써 위험물 유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MONITOR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본 발명은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재해 있는 다수의 위험시설물에 대한 위험물 유출감지 및 대응조치를 중앙에서 종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위험시설물’은 위험물을 저장, 취급 및 사용하는 시설물 및 설비 일체를 뜻한다.
근래에 들어 가정용이나 산업용 제품들의 기능이 고도화·다양화되는 추세에 맞춰 신소재의 합성, 소재의 표면처리, 세정 등의 여러 공정에 다양한 위험물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수많은 위험시설물이 전국각지에 산재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위험물로는 산화성 물질, 가연성 물질, 발화성 물질 및 인화성 물질 등의 다양한 물질이 있고, 이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많으며, 화재,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어서 외부로 유출될 경우 그 피해가 우려되므로 관련 법규에 따라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 그렇지만 천재지변이나 예기치 않은 설비의 고장이나 파손 등에 의해 위험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도 있으므로, 위험시설물에는 위험물 유출을 빠르게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조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감지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05호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에는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에서 누수나 누출이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거나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위험물을 원격으로 감시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773호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는 원거리에 마련된 위험설비, 상기 위험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 상기 위험설비를 감지하는 감시부, 외부 제어신호와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반과 감시부를 제어하고, 제어반과 감시부의 결과를 송출하는 무선중계기,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무선중계기와 통신하는 관제서버 및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험시설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294호 ‘재난상황 전파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는 재난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재난 감지장치, 재난 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재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대응 매뉴얼을 추출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 신호와 재난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재난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재난 전파 관제 서버 및 재난 전파 관제 서버로부터 재난 상황 전파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난 상황 전파 데이터를 전파하는 재난 전파 장치를 포함하는 재난상황 전파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위험물 유출 감지 시스템은 위험물의 유출을 원격지에서 감시하여, 위험물 유출 시 상황을 전파하고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만 제시되어 있을 뿐 위험물 유출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부족하고, 위험물 센서의 오류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05호(2017. 9. 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773호(2015. 11. 1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294호(2018. 6. 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험물 유출 시 최초의 상황전파 및 대응조치 발령 이후에도 상황추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상황변화에 적극 대응토록 지시함으로써 위험물 유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물 감지용 센서의 고장이나 오작동과 같은 오류에 대비하여 확인과정을 통해 센서의 오류에 대비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은, 위험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를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로 송신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30)로부터 위험물 유출에 따른 대응조치를 수신하는 경보수단(10); 상기 위험시설물에 근무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타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로 자동으로 송신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30)로부터 위험물 유출에 따른 대응조치를 수신하는 단말수단(20); 및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여부를 수신하고 그 대응조치를 발령하는 중앙관제센터(30)를 포함하는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상기 단말수단(2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대응조치 발령 이후의 상기 단말수단(20)들의 위치 변동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대응조치에 대한 상기 단말수단(20) 소지자의 반응을 확인하며, 상기 반응에 대응한 후속조치를 상기 단말수단(2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험시설물 주변지역을 위험시설물과 인접하여 위험물 유출사고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제1구역(51), 상기 제1구역(51) 외측에 위치하고 위험물 유출사고에 따른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제2구역(52) 및 상기 제2구역(52) 외측에 위치하고 위험물 유출사고로부터 안전한 제3구역(53)으로 구분하여 위험물 유출사고 관리에 활용하되,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대피 지시를 받은 위험시설물 근무자가 소지한 관계자용 단말수단 및 일반용 단말수단의 위치변동을 파악하여 상기 단말수단이 제1구역(51) 또는 제2구역(52) 내에서 소정시간 이상 위치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수단(20)을 소지한 근무자에게 신속히 대피하도록 촉구하는 경보음을 전송하고, 경보음에도 불구하고 위치 변동이 없으면 대피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로 구조대를 파견하도록 다른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의 초점이 고정된 상태로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유독가스 등에 의한 중독 위험을 경고하고, 경고에도 불구하고 상기 영상의 초점에 변동이 없으면 해당 단말수단의 위치로 구조대를 파견하도록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10)으로부터 위험물 유출상황을 수신한 중앙관제센터(30)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험물이 유출된 위험시설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제1구역(51) 내에서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소지한 위험물관계자를 2인 선정하여 당해 위험시설물로 출동하도록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상기 2인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으로부터 위험물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수단(10)의 감지결과와 비교하며, 상기 3개의 감지결과 중 2개 이상의 감지결과가 위험물 유출로 나타나면 위험물 유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험물의 유출이 상기 경보수단(10)에서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에 의해 먼저 감지된 경우에는, 추가로 다른 관계자용 단말수단 하나를 위험물이 유출된 위험시설물로 출동하도록 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2개의 감지결과를 비교하여 2개의 감지결과가 위험물 유출로 나타나면 위험물 유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10) 또는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에 의해 감지된 위험물 가스의 농도가, 상기 위험물 가스에 의해 인명피해, 폭발 또는 화재가 예상되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최소한의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보기를 통해 당해 위험시설물 현장에 경보를 발령하고, 누출된 액상 위험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단시설을 구동하는 차단부(103) 및 환기시설을 구동하는 환기부(109)를 작동시킨 후에 중앙관제센터(30)에 위험물 유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험시설물에서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위험물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위험시설물 현장 근무자에 대한 경보, 중앙관제센터 등에 대한 상황전파, 중앙관제센터의 사고 대응조치 지령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대응조치의 실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제함으로써 위험물 유출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물 감지용 센서의 오류에 대비하여 복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결과를 검증토록 함으로써 위험물 감지용 센서의 오류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재난 상황 전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보수단 본체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앙관제센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그룹화 된 구역들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를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에 송신하는 경보수단(10), 상기 위험시설물에 근무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타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에 송신하는 단말수단(20),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여부를 수신하고 그 대응조치를 발령하는 중앙관제센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보수단(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위험물의 누출을 감지하는 누액센서(11), 누액경보기(12), 누액표시기(13), 유출된 액상 위험물의 증발가스 또는 기체상태 위험물의 유출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14), 가스경보기(15), 가스표시기(16) 및 경보수단(10)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액센서(11) 및 가스센서(14)는 위험시설물에서 관리중인 위험물의 종류, 상태 등의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상기 위험물 감지에 적합한 센서로서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기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 위험물 유출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맞춰 주기적으로 감지결과를 경보수단(10) 본체로 전송하며, 위험물 유출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주기에 상관없이 즉각 감지결과를 경보수단(10) 본체로 전송한다.
상기 누액경보기(12) 및 가스경보기(15)는 위험물의 유출 상황을 현장 근무자 등에게 경고하는 것이며, 누액표시기(13) 및 가스표시기(16)는 해당 위험물의 명칭, 물성, 유출량 또는 농도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경보수단(10) 본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2), 위치추적부(101), 차단부(103), 디스플레이(104), 스피커(105), 마이크(106), 통신부(108) 및 환기부(10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경보수단(1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위험물의 유출 감지에 따른 경보, 상황전파 및 응급조치를 실행하고, 위치추적부(101)는 위험시설물에 장착되어 해당 위험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어부(102)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GPS수신기를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위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103)는 유출된 액상 위험물이 흘러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벽을 구동하는 구성요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104)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장치이며, 통신부(108)는 제어부(102)를 상기 누액센서(11), 누액경보기(12), 가스센서(14), 가스경보기(15),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환기부(109)는 유출된 액상 위험물의 증발가스 또는 유출된 위험물 가스가 폭발 또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경우에 당해 위험시설물이 설치된 건물 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환기설비를 구동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위험시설물 주위에 설치된 풍향·풍속계로부터 현장의 풍향 및 풍속정보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30)에 송신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해가스의 확산 속도 및 범위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수단(20)은 ‘위험시설물에 근무하는 위험물 취급자, 위험물 관리자, 안전관리자 및 위험시설물의 유지보수 담당자’이하 ‘위험물관계자’라 한다)가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이하 ‘관계자용 단말수단’이라 한다)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 위치추적부(21), 통신부(23), 디스플레이(24), 스피커(25), 마이크(26) 및 감지부(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2)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위험물의 유출 감지, 경보, 상황전파 및 중앙관제센터의 대응조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위치추적부(21)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에 장착되어 해당 단말수단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어부(22)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GPS수신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08)는 제어부(22)를 상기 경보수단(10), 다른 관계자용 단말수단 및 중앙관제센터(3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디스플레이(24)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장치이며, 상기 감지부(28)는 당해 위험시설물에서 관리중인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액상 위험물의 증발가스 또는 기체상태 위험물의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센서 및 주위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험물관계자’를 제외한 위험시설물 근무자들의 개인 소유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전에 중앙관제센터(30)에 등록하도록 하고, 위험물 유출사고 발생 시에는 상기 등록된 개인 소유 휴대용 단말기(이하 ‘일반용 단말수단’이라 한다)를 위험물 유출사고에 따른 상황전파, 대피 지시 및 유관기관에 대한 신고 지시 등 중앙관제센터(30)의 상황전파 및 대응조치 사항을 수신하는 단말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센터(30)는 위험물 유출사고 발생 시에는 상기 일반용 단말수단에 구비된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등록 시에 소유자의 동의를 얻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지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위험시설물 또는 광범위한 지역 내에 산재하는 다수의 위험시설물의 위험물 유출에 따른 감지 및 대응조치를 종합적으로 통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위험시설물의 위험물 유출사고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안전한 원격지에 설치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2), 통신부(33), 디스플레이(34), 스피커(35) 및 마이크(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2)는 중앙관제센터(3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경보수단(10) 및 관계자용 단말수단으로부터 위험물 유출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대응조치를 지시하며, 통신부(33)는 제어부(32)를 상기 경보수단(10), 관계자용 단말수단 및 일반용 단말수단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디스플레이(34)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장치이다.
이하에서는 경보수단(10),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 관계를 살펴본다.
먼저, 경보수단(10)의 누액센서(11) 및 가스센서(14)는 위험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맞춰 위험물의 감지상태를 경보수단(10)의 제어부(102)로 송신하되, 위험물 유출이 감지되면 즉시 경보신호와 함께 위험물의 유출량 또는 농도를 제어부(102)로 송신한다.
상기 경보수단(10)의 제어부(102)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위험물 유출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유출량 또는 유출가스의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은 위험물 유출에 따른 위험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되, 인명피해, 폭발 또는 화재가 예상되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최소한의 유출량 또는 농도를 상기 기준으로 설정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① 상기 누액경보기(12) 및 가스경보기(15)를 통해 현장에 경보를 발령하고, ② 차단부(103) 또는 환기부(109)를 구동시키며, ③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에 위험물 유출상황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위험물 유출상황 메시지에는 위험시설물의 명칭, 위치, 위험물 유출 감지일시, 유출된 위험물의 양 또는 농도, 대응 조치사항 및 현장의 풍향 및 풍속을 포함시킨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위험물 유출정도가 상기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① 및 ③의 조치사항을 실행한 후 위험물관계자 또는 중앙관제센터(30)의 대응조치 지시를 대기한다.
상기 경보수단(10)으로부터 위험물 유출상황을 수신한 중앙관제센터(30)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위치를 파악하여 당해 위험시설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제1구역(51) 내에서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소지한 위험물관계자를 2인 선정하여 당해 위험시설물로 출동하도록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한다. 이때 상기 제1구역(51) 내에 위험물관계자가 없을 경우 제2구역(52) 및 제3구역(53)의 순서로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소지한 위험물관계자가 있는지 검색한다.
상기 제1구역(51)은 위험시설물의 위험물 유출사고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구역 위주로 설정되고, 제2구역(52)은 직접적인 피해는 예상되지 않으나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구역 위주로 설정되며, 제3구역(53)은 안전구역 위주로 설정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0)로부터 출동명령을 수신한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소지한 위험물관계자는 위험물 유출사고가 발생한 위험시설물로 긴급 출동하되, 당해 위험시설물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기 전에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감지부(28)에 구비된 센서 및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상기 위험시설물에 접근하면, 상기 감지부(28)는 위험물 가스의 농도를 계측하거나 위험시설물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22)가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센터(30)로 송신하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24)에 출력하여 상기 위험물관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위험물관계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감지결과를 수신한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상기 경보수단(10)의 감지결과와 상기 2개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감지결과를 비교한다. 이때 3개의 감지결과 중 2개 이상의 감지결과가 위험물 유출로 나타나면 위험물 유출로 판정하여 후속 대응조치를 실행토록 한다. 또한, 경보수단(10)의 감지결과만 위험물 유출로 나타나고 상기 2개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감지결과는 위험물 유출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경보수단(10)의 오류로 판정하여, 경보수단(10)에 의해 조치된 사항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상기 경보수단(10)에 대한 점검을 실시토록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통해 위험물관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위험물 유출에 따른 중앙관제센터(30)의 대응조치는, ① 위험시설물 근무자 전원에 대하여 관계자용 단말수단 및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한 상황전파, 대피 지시 및 전체 단말수단(20)의 위치추적 개시, ② 경보수단(10)의 제어부(102)를 통해 구동되지 않은 차단부(103) 및 환기부(109)의 구동 ③ 현장의 풍향 및 풍속을 고려하여 위험물가스의 시간대별 확산범위를 예측하여 전체 단말수단(20)에 대피 위치 전파 ④ 고장 또는 파손된 위험시설물을 복구하기 위해 유지보수 담당자로 구성된 응급복구팀 출동을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 ⑤ 상기 위험물 유출상황 메시지 및 위험물가스의 시간대별 예상 확산범위를 해당지역 소방서 및 지방자치단체의 민방위 담당부서에 직접 신고하거나 신고하도록 상기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 ⑥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 및 일반용 단말수단의 위치 변동 추이로부터 근무자의 대피상황을 파악하여 대피가 지연되는 근무자에게 신속한 대피를 촉구하고, 응급복구팀의 출동상황을 파악하며, 응급복구팀이 소지한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의 초점이 고정된 상태로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유독가스 등에 의한 중독 위험을 경고하고, 경고에도 불구하고 변동이 없으면 해당 위치로 구조대를 파견하도록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한다. 이때 상기 소정시간은 당해 위험시설물에서 관리중인 위험물가스의 유해성을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이다. 또한, 대피 지시를 받은 근무자의 단말수단(20)이 제1구역(51) 또는 제2구역(52) 내에서 소정시간 이상 위치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해당 단말수단(20)을 소지한 근무자에게 신속히 대피하도록 알리는 경보음을 전송하고, 경보음에도 불구하고 위치 변동이 없으면 대피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로 구조대를 파견하도록 다른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한다.
또한, 위험물의 유출이 관계자용 단말수단에 의해 먼저 감지된 경우에는, 위험물 유출을 감지한 당해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제외한 1대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추가로 출동하도록 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나머지 절차는 상기 경보수단(10)에 의해 위험물 유출이 감지된 경우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상황 전파 및 대응조치가 실행된다. 다만, 위험물 유출정도가 상기 기준 이상으로 판정되어 차단부(103) 및 환기부(109)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관제센터(30)의 지시에 따라 경보수단(10)의 제어부(102)가 실행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경보수단 11: 누액센서
12: 누액 경보기 13: 누액 표시기
14: 가스센서 15: 가스 경보기
16: 가스 표시기 20: 단말수단
21: 위치추적부 22: 제어부
23: 통신부 24: 디스플레이
25: 스피커 26: 마이크
30: 중앙관제센터 32: 제어부
33: 통신부 34: 디스플레이
35: 스피커 36: 마이크
101: 위치추적부 102: 제어부
103 : 차단부 104 : 디스플레이
105: 스피커 106 : 마이크
108: 통신부 109: 환기부

Claims (6)

  1. 위험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를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로 송신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30)로부터 위험물 유출에 따른 대응조치를 수신하는 경보수단(10); 상기 위험시설물에 근무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타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0)로 자동으로 송신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30)로부터 위험물 유출에 따른 대응조치를 수신하는 단말수단(20); 및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여부를 수신하고 그 대응조치를 발령하는 중앙관제센터(30)를 포함하는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상기 단말수단(2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대응조치 발령 이후의 상기 단말수단(20)들의 위치 변동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대응조치에 대한 상기 단말수단(20) 소지자의 반응을 확인하며, 상기 반응에 대응한 후속조치를 상기 단말수단(20)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시설물 주변지역을 위험시설물과 인접하여 위험물 유출사고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제1구역(51), 상기 제1구역(51) 외측에 위치하고 위험물 유출사고에 따른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제2구역(52) 및 상기 제2구역(52) 외측에 위치하고 위험물 유출사고로부터 안전한 제3구역(53)으로 구분하여 위험물 유출사고 관리에 활용하되,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대피 지시를 받은 위험시설물 근무자가 소지한 관계자용 단말수단 및 일반용 단말수단의 위치변동을 파악하여 상기 단말수단이 제1구역(51) 또는 제2구역(52) 내에서 소정시간 이상 위치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수단(20)을 소지한 근무자에게 신속히 대피하도록 촉구하는 경보음을 전송하고, 경보음에도 불구하고 위치 변동이 없으면 대피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로 구조대를 파견하도록 다른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의 초점이 고정된 상태로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유독가스 등에 의한 중독 위험을 경고하고, 경고에도 불구하고 상기 영상의 초점에 변동이 없으면 해당 단말수단의 위치로 구조대를 파견하도록 일반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10)으로부터 위험물 유출상황을 수신한 중앙관제센터(30)는 관계자용 단말수단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험물이 유출된 위험시설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제1구역(51) 내에서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소지한 위험물관계자를 2인 선정하여 당해 위험시설물로 출동하도록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을 통해 지시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상기 2인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으로부터 위험물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수단(10)의 감지결과와 비교하며, 상기 3개의 감지결과 중 2개 이상의 감지결과가 위험물 유출로 나타나면 위험물 유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위험물의 유출이 상기 경보수단(10)에서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관계자용 단말수단에 의해 먼저 감지된 경우에는, 추가로 다른 관계자용 단말수단 하나를 위험물이 유출된 위험시설물로 출동하도록 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2개의 감지결과를 비교하여 2개의 감지결과가 위험물 유출로 나타나면 위험물 유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10) 또는 상기 관계자용 단말수단에 의해 감지된 위험물 가스의 농도가, 상기 위험물 가스에 의해 인명피해, 폭발 또는 화재가 예상되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최소한의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보기를 통해 당해 위험시설물 현장에 경보를 발령하고, 누출된 액상 위험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단시설을 구동하는 차단부(103) 및 환기시설을 구동하는 환기부(109)를 작동시킨 후에 중앙관제센터(30)에 위험물 유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KR1020210005181A 2021-01-14 2021-01-14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KR10226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181A KR102266547B1 (ko) 2021-01-14 2021-01-14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181A KR102266547B1 (ko) 2021-01-14 2021-01-14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547B1 true KR102266547B1 (ko) 2021-06-18

Family

ID=7662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181A KR102266547B1 (ko) 2021-01-14 2021-01-14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5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61B1 (ko) * 2010-03-22 2010-11-02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차단기능을 갖는 공기환기순환장치
KR101567773B1 (ko) 2013-12-30 2015-11-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0788A (ko) * 2014-07-18 2016-01-28 함준혁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4105B1 (ko) 2015-06-24 2017-09-04 문희정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872294B1 (ko) 2017-10-25 2018-06-29 부산광역시 재난 상황 전파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90933A (ko) * 2017-02-03 2018-08-14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61B1 (ko) * 2010-03-22 2010-11-02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차단기능을 갖는 공기환기순환장치
KR101567773B1 (ko) 2013-12-30 2015-11-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0788A (ko) * 2014-07-18 2016-01-28 함준혁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4105B1 (ko) 2015-06-24 2017-09-04 문희정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20180090933A (ko) * 2017-02-03 2018-08-14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2294B1 (ko) 2017-10-25 2018-06-29 부산광역시 재난 상황 전파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82B1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46829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19176B1 (ko)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A2644511C (en) Method for evacuating buildings divided into sections
US10643080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mage processing-based work force safety
CN103744357A (zh) 一种实验室安全无线监控方法及系统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Sharma et al. Response to a fire incident in the operation room: A cautionary tale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66547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TWM616363U (zh) 廠房管理系統
KR101763448B1 (ko)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EP4270344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US10672257B2 (en) Method for securing fire-hazardous operations to be executed by a person
KR101638896B1 (ko)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6738A (ko) 질식사고 예방시스템
TWM623133U (zh) 廠房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