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896B1 -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896B1
KR101638896B1 KR1020140017324A KR20140017324A KR101638896B1 KR 101638896 B1 KR101638896 B1 KR 101638896B1 KR 1020140017324 A KR1020140017324 A KR 1020140017324A KR 20140017324 A KR20140017324 A KR 20140017324A KR 101638896 B1 KR101638896 B1 KR 10163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tem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check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182A (ko
Inventor
배성익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8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시 관리자 또는 크루들로 하여금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에서의 이벤트, 즉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각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관리자 입력에 따라 상기 관리자 및 크루들에게 적절한 대응지시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비상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and Incident Managing}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시 관리자 또는 크루들로 하여금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에서의 이벤트, 즉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각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관리자 입력에 따라 상기 관리자 및 크루들에게 적절한 대응지시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비상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및 해양플랜트에 있어서 화재나 침수, 가스누출과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 및 크루들에게 알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규모가 큰 대형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경우 넓은 영역의 시설물들을 모두 감시할 수 있는 장비 및 인력이 부족하여 사소한 문제 발생에도 불구하고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대형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서의 비상상황을 미리 감지하기 위하여 CCTV, 화재감지기 등과 같은 사고 감지장치들을 구비하여 일어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비상상황을 사전에 감지하는 기술구성이 크게 발달되어 있는 것과 대비하여,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서의 긴급상황이 실제로 발생한 경우,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응프로토콜 또는 대응절차 등은 상대적으로 철저하게 갖추어지지 못한 사례가 많다. 즉, 선박에서 화재나 누수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선박의 전체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하게 지시를 내릴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아 해당 사고 구역 주변의 크루가 임의 판단에 따라 조치를 취하게 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내에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이를 활용하여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총괄적인 지시를 내릴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이 건 출원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8056호(선박의 음성 경보장치)가 존재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선박의 손상정보를 손상 정도와 형태에 따라 음성 경보를 통해 즉각적으로 전파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선박에서의 비상상황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발명이라는 점에서 이 건 출원발명과 일부 유사하나, 선행기술은 단순히 선박의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음성경보를 발동시킬 뿐, 해당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적인 절차정보, 즉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고 있어 여전히 상황 대응에 있어서의 체계성이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8056호 (2011.12.26.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선박에서의 특정 위험상황(이벤트) 발생시 관리자 또는 크루들로 하여금 빠른 대응을 가능케 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상황마다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체크리스트 형태로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및 크루에게 보다 적절하게 대응지시를 전달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전반적인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중앙제어장치를 활용함으로써 큰 규모의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상이라도 위험상황이 발생한 구역에 적절하게 대응지시를 명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 발생에 따른 관리자의 체크리스트 입력내역, 외부 출력장치로 전달된 대응지시명령 등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해 둠으로써 사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로 하여금 상황 발생시 확인해야 할 사항, 대응지시명령 등에 대해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개선된 대응방안을 설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중앙처리장치의 의사결정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발명의 카테고리들은 단어 그 자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살펴볼 기술 사상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링부; 선박 내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호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체크리스트 제공부; 관리자로부터 상기 체크리스트에 대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 관리자 입력에 따라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획득하고 이를 선박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대응지시부; 특정 이벤트 발생시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을 항목별로 나열한 체크리스트 및 상기 체크리스트의 항목과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부, 체크리스트 제공부, 입력부, 대응지시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이벤트 발생시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 또는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된 대응지시명령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로그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선박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 측으로 상기 대응지시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 대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대응실행부;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체크리스트 내 항목을 편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체크리스트 에디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응지시부는 대응지시명령 이외에 이벤트 종류, 대응소요시간, 이벤트 발생위치, 이벤트 대응용 장비위치, 이벤트 이미지 또는 관리자 코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부가하여 출력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선박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벤트 감지장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선박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선박의 내외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장치는 화재감지기, 누수감지기, 수압감지기, 빌지(bilge)감지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관리자 입력에 따른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선박 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이벤트 대응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벤트 대응장치는 수밀문(水密門), 미분무(HIFOG) 소화장치 또는 알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은 선박에서의 이벤트 발생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호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에 따라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획득하고 이를 선박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의사결정지원 방법은 이벤트 발생시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 또는 출력장치로 전달된 대응지시명령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의사결정지원 방법은 선박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 측으로 상기 대응지시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 대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은 이벤트 감지장치가 선박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중앙처리장치가,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 입력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출력장치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의사결정지원 방법은 중앙처리장치가 관리자 입력에 따른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이벤트 대응장치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서의 위험상황 발생시 관리자 또는 크루들로 하여금 빠른 대응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상황마다 확인 사항들을 체크리스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및 크루에게 상황에 맞는 대응지시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전반적인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큰 규모의 선박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구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지시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 발생시 관리자의 체크리스트 입력내역, 대응지시명령 등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해 두어 상황 종료 이후 관련 리포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에게 체크리스트, 대응지시명령 등을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의사에 따라 개선된 대응방안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관리자 또는 크루에게 표시되는 체크리스트 및 대응지시명령의 실제 구현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이벤트 발생 당시의 체크리스트, 대응지시명령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한 로그의 실제 기록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전체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벤트 감지장치, 중앙처리장치, 출력장치 및 이벤트 대응장치를 포함한다.
우선 이벤트 감지장치는 선박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벤트 감지장치란 더 구체적으로는 화재감지기, 누수감지기, 수압감지기, 빌지(bilge)감지기 등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와 관련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감지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장치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곳곳에 설치가 되어 있어 그 규모가 커지더라도 직접 인력이 투입될 필요 없이 용이하게 문제 상황을 감지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한편,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에 따른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선박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중앙처리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비상상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신호를 통해 판단하고, 발생한 상황별로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중앙처리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중앙처리장치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내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벤트 감지장치와 감지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 내에는 해당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장치의 고유번호, 이벤트 감지장치의 위치,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특정 이벤트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른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선박 내 화재감지기가 선박 특정 위치에서의 화재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 측으로 전송한 경우, 이를 수신한 중앙처리장치는 화재 발생시 확인해야 할 사항, 즉 화재 발생 구역이 크루 상주 구역인지 여부, 해당 구역에 소화장비가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 방화벽 차단이 가능한지 여부 등 화재 발생시 관리자가 확인하여야 할 사항들이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기재되어 있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체크리스트들에 대하여 관리자는 yes or no로 답을 입력함으로써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확인해 나가고, 중앙처리장치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다음 체크리스트 항목 또는 해당 체크리스트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체크리스트 항목 “화재 발생 구역이 크루 상주 구역인지 여부”에 대해 관리자가 yes 라는 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대응지시명령으로서 “크루 소개(疏開) 경보 발령”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경보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또 한편, 다음 체크리스트 항목으로서 “화재 발생 구역에서 크루가 모두 소개(疏開)하였는지 여부”가 관리자에게 제공되고 관리자가 이에 대해 yes라는 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대응지시명령으로서 “방화벽 차단”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신속하게 방화벽 차단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끔 해 준다.
한편, 이 때 상기 대응지시명령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내 구비된 별도의 이벤트 대응장치,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방화벽 차단장치 등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해당 이벤트 대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이벤트 대응장치에는 수밀문, 미분무 소화장치, 알람 등 선박 내 비상상황을 대비하여 구비된 모든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출력장치란 선박의 내외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을 관리자 또는 선박 내 크루에게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의 수단으로는 시각적, 청각적 이외 대응지시명령의 전달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중앙처리장치는 모니터링부, 체크리스트 제공부, 입력부, 대응지시부,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우선 모니터링부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앞서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상기 감지신호는 이벤트 감지장치의 고유번호, 이벤트 감지장치의 위치,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와 같은 이벤트 관련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체크리스트 제공부는 선박 내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호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크리스트 제공부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특정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입력부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체크리스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는 관리자로부터 체크리스트에 대한 응답으로서 yes or no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구현 형태는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일 수 있다.
한편, 대응지시부는 앞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획득하고, 이를 선박에 구비된 각각의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각 체크리스트의 항목들에는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아니할 수도 있으며, 상기 대응지시부는 오직 체크리스트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기능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대응지시부는 대응지시명령 이외에 이벤트 종류, 대응에 걸리는 예상 소요시간, 이벤트 발생위치, 이벤트 대응용 장비의 위치, 이벤트의 현장 이미지 또는 관리자의 코멘트 등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부가하여 출력장치에 전달함으로써 관리자 및 크루에게 이벤트에 관계된 보다 상세한 상황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에는 체크리스트 및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체크리스트란, 특정 이벤트 발생시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이 항목별로 나열된 리스트를 말하며, 대응지시명령이란 관리자 또는 크루가 취해야 할 행동강령, 또는 선박 내 구비된 이벤트 대응장치 측으로 전송될 구동 명령을 일컫는다.
한편, 중앙처리장치 내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 체크리스트 제공부, 입력부, 대응지시부 및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로그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그기록부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된 체크리스트 항목,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되거나 이벤트 대응장치로 직접 전달된 대응지시명령들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로그기록부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내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모든 과정들을 시간 순서에 따라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황에 대한 대응이 종료된 이후 대응 과정에서 미흡한 점은 없었는지, 적절하게 모든 대응이 이루어졌는지, 더 추가되어야 할 대응사항은 없는지 등에 대한 복기를 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로그기록부에 의해 생성된 로그의 실제 구현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대응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응실행부는 선박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 측으로 대응지시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 대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대응실행부는 단순히 중앙처리장치로 하여금 관리자에게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여 알릴 뿐만 아니라, 이벤트 대응장치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키게 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크루의 대응행위가 없더라도 자동적으로 상황에 대응을 할 수 있게끔 해 준다.
다만, 대응실행부가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이벤트 대응장치들은 사람의 판단 없이 구동시켜도 안전에 문제가 없는 장치들이어야 할 것이며, 가령 사람의 판단이 있어야만 후속 구동이 필요한 경우, 가령 화재 구역 내 크루가 모두 대피하였는지 확인을 거친 후 방화벽을 작동시켜야 하는 경우 등에는 대응실행부를 통한 자동 구동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체크리스트 에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 에디터는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체크리스트 내 나열된 항목별 확인사항들을 편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체크리스트 에디터는 관리자가 체크리스트 내 항목을 언제든지 편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부가적으로 필요한 체크리스트 항목을 추가해 넣거나 또는 불필요한 항목을 생략할 수 있게끔 해 준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리스트 에디터는 체크리스트 항목 뿐만 아니라 각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도 편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앞서 설명한 체크리스트 및 대응지시명령이 출력장치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실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의하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체크리스트는 현재 발생한 상황에 대응되는 항목들이 Ongoing Items로 출력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항목은 제목 및 항목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들은 대응지시명령과 매칭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응답에 따라 적절한 대응지시명령이 도 3에서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지원 방법은 이벤트 감지장치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서 발생한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한편, 감지신호를 수신한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른 이벤트와 대응되는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S120)하고, 관리자로부터 각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응답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관리자 입력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로 전달(S130)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출력장치는 상기 대응지시명령을 수신하여 관리자 또는 선박 내 크루에게 출력(S140)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관리자 입력에 따라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로 전송(S150)할 수도 있으며, 각 이벤트 대응장치는 상기 대응지시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S160)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이벤트 발생시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 또는 출력장치로 전달된 대응지시명령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S170)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한 의사결정지원 방법에 있어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앞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중앙처리장치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자세하게 기술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본 단락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중앙처리장치
110: 모니터링부
120: 체크리스트 제공부
130: 입력부
140: 대응지시부
150: 대응실행부
160: 로그기록부
170: 데이터베이스
180: 제어부
200: 이벤트 감지장치
300: 출력장치
400: 이벤트 대응장치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링부;
    선박 내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벤트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을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나열한 체크리스트를 호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체크리스트 제공부;
    관리자로부터 상기 체크리스트의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yes 또는 no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관리자 입력에 따라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을 획득하고 이를 선박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대응지시부;
    특정 이벤트 발생시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을 항목별로 나열한 체크리스트 및 상기 체크리스트의 항목과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부, 체크리스트 제공부, 입력부, 대응지시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해 yes 또는 no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의 다음 체크리스트 항목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을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시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 또는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된 대응지시명령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로그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박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 측으로 상기 대응지시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 대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대응실행부;
    를 더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체크리스트 내 항목을 편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체크리스트 에디터;
    를 더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지시부는 대응지시명령 이외에 이벤트 종류, 대응소요시간, 이벤트 발생위치, 이벤트 대응용 장비위치, 이벤트 이미지 또는 관리자 코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부가하여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처리장치.
  6. 선박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벤트 감지장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을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나열한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체크리스트의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yes 또는 no의 입력을 받으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해 yes 또는 no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의 다음 체크리스트 항목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을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선박의 내외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를 포함하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장치는 화재감지기, 누수감지기, 수압감지기 또는 빌지(bilge)감지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관리자 입력에 따른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선박 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이벤트 대응장치;
    를 더 포함하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대응장치는 수밀문(水密門), 미분무(HIFOG) 소화장치 또는 알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10. 중앙처리장치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서의 이벤트 발생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을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나열한 체크리스트를 호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리스트의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yes 또는 no의 입력을 받되,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해 yes 또는 no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의 다음 체크리스트 항목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을 선박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시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에 대한 관리자 입력 또는 출력장치로 전달된 대응지시명령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선박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 측으로 상기 대응지시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 대응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13. 이벤트 감지장치가 선박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중앙처리장치가, 이벤트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 대응을 위한 확인사항들을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나열한 체크리스트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체크리스트의 항목별로 프로토콜 순서에 따라 yes 또는 no의 입력을 받으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해 yes 또는 no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의 다음 체크리스트 항목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 체크리스트 항목에 매칭되는 대응지시명령을 하나 이상의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출력장치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사결정지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가 관리자 입력에 따른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대응지시명령을 하나 이상의 이벤트 대응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이벤트 대응장치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응지시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사결정지원 방법.
KR1020140017324A 2014-02-14 2014-02-14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24A KR101638896B1 (ko) 2014-02-14 2014-02-14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24A KR101638896B1 (ko) 2014-02-14 2014-02-14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82A KR20150096182A (ko) 2015-08-24
KR101638896B1 true KR101638896B1 (ko) 2016-07-12

Family

ID=5405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324A KR101638896B1 (ko) 2014-02-14 2014-02-14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930B1 (ko) 2022-08-23 2023-05-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오염 방지 사고 선박 긴급 구난 의사 결정 지원 기술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522B1 (ko) * 2016-03-31 2017-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코드화된 단축키를 이용한 사고시나리오기반 고속 대화형 선상사고대응 체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08Y1 (ko) 2006-01-27 2006-04-13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265686A (ja) 2008-04-21 2009-1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災害時行動支援システム及びシナリオ作成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056B1 (ko) * 2003-05-07 2005-09-21 서경종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110138056A (ko) 2010-06-18 2011-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음성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08Y1 (ko) 2006-01-27 2006-04-13 현대글로벌콘트롤 주식회사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265686A (ja) 2008-04-21 2009-1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災害時行動支援システム及びシナリオ作成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930B1 (ko) 2022-08-23 2023-05-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오염 방지 사고 선박 긴급 구난 의사 결정 지원 기술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82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EP3270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displaying site safety metrics
US10847011B2 (en) Gas detector for detecting multiple gases
JP2007241631A (ja) ビル監視システム
JP2006290446A (ja) タンク防災システム
CN105654656A (zh) 安全管理系统和手持设备
KR101638896B1 (ko)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4143584U (zh) 宿舍火灾监视与疏散系统
JP2008007308A (ja) 地震発生時の作業報告システム
KR20140057443A (ko) 선박의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감시 방법
JP6656593B2 (ja) 安全計装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安全計装システム
KR20140057442A (ko) 선박의 가스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경보 감시 방법
US10672257B2 (en) Method for securing fire-hazardous operations to be executed by a person
JP4708211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WO2013163657A1 (en) Wireless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1176608B1 (ko) 통합 화재 처리 장치
KR102266547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JP2009271891A (ja) 保守点検作業支援装置
JP2010020376A (ja) 遠隔監視故障時通報代行システム
JPH0581581A (ja) ワンマン就労監視アラーム装置
JP6334232B2 (ja) 点検支援装置および点検支援システム
KR102214190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US20240001168A1 (en) System and method of a ring architecture of a fixed piping system implemented within a safety system of a structure to continuously supply breathable air therewith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