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190B1 -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190B1
KR102214190B1 KR1020200095018A KR20200095018A KR102214190B1 KR 102214190 B1 KR102214190 B1 KR 102214190B1 KR 1020200095018 A KR1020200095018 A KR 1020200095018A KR 20200095018 A KR20200095018 A KR 20200095018A KR 102214190 B1 KR102214190 B1 KR 10221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ous
terminal
message
terminal means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근
Original Assignee
유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근 filed Critical 유종근
Priority to KR102020009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국 각지에 산재한 위험 시설물에 설치된 복수의 위험물 유출 경보수단 및 상기 위험 시설물에 근무하는 근무자들이 휴대하는 단말수단을 통신망으로 하나의 중앙관제센터에 연결하고,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으로부터 통보되는 위험물 유출정보를 종합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정하며, 그에 따라 자동 차단설비의 작동을 지시하거나 근무자에게 확인, 사고 수습 및 복구를 위한 현장 출동, 사고 전파 및 대피 등의 대응조치를 취하도록 구성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첫째 설비 구축비용이 감소하고, 둘째 센서의 오작동에 따른 문제가 해소되며, 셋째 자동 차단설비가 고장으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해당 시설 근무자가 신속히 출동하여 조기에 사고를 수습하고 긴급히 복구하며, 기타 인원들은 위험 시설물로부터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CENTRAL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본 발명은 ‘액상 화학물질, 가스, 기타 유해물질 등의 위험물’이하 ‘위험물’이라 한다)의 유출을 감지하고 통제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물 저장 및 취급 시설물’이하 ‘위험 시설물’이라 한다)에서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대응조치를 중앙통제소 또는 중앙관제센터에서 집중적으로 통제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 시설물에서 위험물의 유출을 원격 감지하여 통제하는 종래의 기술은 각 위험 시설물별로 장착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 및 이 센서로부터 위험물의 유출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대응조치를 지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위험물 유출 감지센서와 통제 서버를 일대일로 대응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05호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수단(110)으로 보호되는 위험물 저장조(100)에 저장된 위험물이 유출됨을 감지하는 위험센서부(200)에 의한 감지 정보를 컨트롤러부(300)를 통해 관리자에게 SMS 또는 이메일로 전송한다.
다른 선행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567773호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설비(100)를 제어하는 제어반(200)과 위험 설비(100)를 감시하는 감시부(300)가 무선중계기(4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500)에 접속되고, 제어반(200)의 제어 정보와 감시부(300)의 감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6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선행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771579호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건축물에 설치되어 단위 건축물 내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모듈, 센서모듈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관제 시스템부 및 센서모듈 또는 관제 시스템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U-City 통합운영센터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위험물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은 각 위험 시설물별로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 뿐만 아니라 위험물 유출 신호를 수신하고 대응조치를 지시하는 통제시스템도 함께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비 구축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위험물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은 위험물 유출 감지 센서의 고장이나 오류에 의해 사고신고가 이루어지더라도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책이 전무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위험 시설물의 자동 차단시설 등이 상기 위험물 유출 사고의 영향 등으로 자동 또는 원격 제어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위험 시설물에 근무하는 담당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사고 수습 및 복구 작업을 실시하고, 해당 시설물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사고 상황을 전파하여야 하나,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전무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05호(2017. 9. 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567773호(2015. 11. 1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71579호(2017. 8. 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이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 시설물들에 설치된 위험물 유출 감지수단들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위험물 유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대응조치를 지시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 시설물들에 설치된 위험물 유출 경보수단과 상기 위험 시설물의 근무자가 휴대하는 복수의 단말수단을 중앙의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에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상기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으로부터 위험물 유출 정보를 통보받고, 그에 따라 해당 위험 시설물의 자동화 된 차단장치를 제어하거나 해당 시설물의 근무자에게 사고의 확인, 현장 출동, 대피 및 사고 전파 등의 대응 조치를 실행토록 지시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 시설물로부터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유출 정보를 중앙통제소로 통보하는 복수의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통보된 위험물 유출 정보로부터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조치를 상기 감지수단에 대한 제어 메시지로 통지하는 중앙통제소;를 포함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 시설물로부터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유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하는 복수의 경보수단; 상기 위험 시설물의 위험물 유출을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신고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대응 조치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험 시설물의 근무자들이 휴대하는 복수의 단말수단; 및 상기 경보수단과 단말수단으로부터 통보된 위험물 유출 정보를 종합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조치를 상기 경보수단에 대하여는 제어 메시지로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수단에는 그 휴대자의 담당직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대응조치 사항을 통지하거나, 상기 경보수단에 대한 제어 메시지만을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수단에 대한 대응조치 사항만을 통지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소 또는 중앙관제센터는 소방서, 경찰서 등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화재, 전쟁 및 천재지변 등의 상황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화재 등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위험 시설물의 사고 발생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소는 상기 감지수단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감지수단의 위험물 유출 정보로부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수단으로 송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와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험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위험 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누액센서 또는 가스센서; 상기 중앙통제소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위험 시설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위험 시설물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벽을 가지는 차단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소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차단부의 스위치 및 차단벽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와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터치스크린 기능과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시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의 위험물 유출 정보로부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 및 대응조치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으로 송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와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험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부는,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험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사고 상황에 상응한 대응조치를 결정하는 대응 조치 모듈; 및 상기 경보수단 및 단말수단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 조치 모듈은 상기 단말수단에 위험 시설물로부터 대피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대피 조치 모듈; 상기 단말수단에 위험시설물에 대한 사고 상황을 확인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확인 조치 모듈; 상기 단말수단에 사고신고 된 위험 시설물로 사고 수습 및 복구 담당자가 출동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출동 조치 모듈; 및 상기 단말수단에 위험 시설물 주변에 위치하는 인원들 및 유관기관에 사고 발생을 전파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파 조치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위험 시설물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중앙관제센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위험 시설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위험 시설물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벽을 가지는 차단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차단부의 스위치 및 차단벽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와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터치스크린 기능과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의 제어부는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 상기 차단부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 상기 차단부의 차단벽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 상기 단말수단 또는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듈; 및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대응 조치로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중앙통제소 또는 중앙관제센터에서 전국 각지에 산재한 위험 시설물의 상태를 통보받아 관리하되, 위험 시설물의 상태 통보는 위험물 유출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경보수단과 해당 시설물의 근무자가 휴대한 단말수단으로 이원화하고, 경보수단이 감지한 위험물 유출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에는 근무자가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위험물 유출사고로 확인된 경우에는 자동 차단설비를 원격 제어하여 대응하거나, 해당 시설물 근무자에게 현장 출동, 사고 전파 및 대피 등의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첫째 설비 구축비용이 감소하고, 둘째 감지수단 또는 경보수단의 오작동에 따른 문제가 해소되며, 셋째 자동 차단설비가 고장으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해당 시설물 근무자가 신속히 출동하여 조기에 사고를 수습하고 긴급히 복구하며, 기타 인원들을 위험 시설물로부터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중앙 통제소와 감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중 대응 조치별로 분류된 단말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단말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중앙관제센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경보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수단, 중앙관제센터 및 경보수단별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 시설물 주위에 위치한 단말수단의 대응 조치를 구역별로 나누어 지정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수단, 중앙관제센터 및 경보수단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고신고 단말수단, 중앙관제센터 및 사고확인 단말수단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수단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후 조치를 지시하는 중앙관제센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위험물 유출에 대응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 각지에 산재한 위험 시설물에서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7)들과 상기 감지수단(17)들과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중앙통제소(38)로 구성되고, 위험물 유출을 감지한 감지수단(17)은 중앙통제소(38)로 위험물 유출을 통보하고, 상기 중앙통제소(38)는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감지수단(17)이 상기 위험물 유출이 발생한 위험 시설물에 대해 안전 조치를 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수단(1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 각지에 산재한 위험 시설물 중 화학물질 저장탱크(100A)에 설치되어 액상 화학물질의 유출을 감지하는 누액 센서(11) 또는 가스 설비(100B)에 설치되어 가스 유출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소(3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17)과 통신하는 통신부(33); 상기 통신부(33)를 통해 수신된 상기 감지수단(17)의 위험물 유출 정보로부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33)를 통해 상기 감지수단(17)으로 송신하는 제어부(32); 상기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36)와 스피커(35); 및 상기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2)는 대응 조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322); 및 대응 조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3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1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11, 14); 상기 중앙통제소(38)와 통신하는 통신부(108);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벽을 가지는 차단부(103); 상기 통신부(108)를 통해 상기 중앙통제소(38)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차단부(103)의 스위치 및 차단벽을 제어하는 제어부(102); 상기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106)와 스피커(105); 및 상기 제어부(22)에 의해 제어되며 터치스크린 기능과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는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감지수단(17)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22);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21);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앙통제소(38)는 소방서, 경찰서 등 유관기관(40)과 연계하여 화재, 전쟁 및 천재지변 등의 상황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화재 등의 영향으로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은 도 7의 도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험물 유출 중앙감지시스템은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 시설물(100A, 100B)로부터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유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31)로 통보하는 복수의 경보수단(10);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위험물 유출을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 신고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대응 조치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근무자들이 휴대하는 복수의 단말수단(20); 및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으로부터 통보된 위험물 유출 정보를 종합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조치를 상기 경보수단(10)에 대하여는 제어 메시지로 통지함과 동시에 단말수단(20)에는 그 휴대자의 담당직무 등을 고려하여 지정된 대응조치 사항을 통지하거나, 상기 경보수단(10)에 대한 제어 메시지만을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수단(20)별로 지정된 대응조치 사항만을 통지하는 중앙관제센터(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은 화학물질 저장탱크(100A), 가스설비(100B), 유해물질 저장탱크와 같은 위험물을 저장 관리하는 시설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수단(10)은 화학물질 저장탱크(100A)의 화학 물질 유출을 감지하는 누액센서(11); 누액센서(11)에 의해 감지된 화학 물질 유출을 경보하는 누액 경보기(12); 및 화학 물질 유출을 표시하는 누액 표시기(13);를 포함하거나 가스설비(100B)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센서(14); 가스센서(14)에 의해 감지된 가스 누출을 경보하는 가스 경보기(15); 및 가스 누출을 표시하는 가스 표시기(16);를 포함한다. 누액 표시기(13) 및 가스 표시기(16)는 해당 위험 시설물의 상태를 표시하지만 위험물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전송되는 위험물 유출 사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누액 경보기(12) 및 가스 경보기(15)는 중앙관제센터(31)에 의해 제어되어 위험물 유출 사고를 소리로 경보할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10)은 위험 시설물의 위험물 유출 또는 화재 사고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표시하며 경보음으로 알리고, 중앙관제센터(31)에 감지 결과를 전송한다. 중앙관제센터(31)는 경보수단(10)의 감지 결과와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를 종합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대응 조치로 위험 시설물에는 제어 명령을, 단말수단(20)에는 단말수단(20) 휴대자의 담당직무별로 설정된 직무명령을 전송한다. 직무명령에는 행동지침이 포함되는데, 상기 행동지침에는 확인(20b), 전파(20c), 대피(20d), 출동(20e)이 포함될 수 있고, 확인(20b)은 위험물 유출 등의 사고 상황을 해당 위험 시설물 담당자가 확인하는 것이고, 전파(20c) 및 대피(20d)는 해당 위험 시설물의 관리업무와 무관한 기타 인원들이 사고 상황을 전파하고 해당 사고지점으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며, 출동(20e)은 해당 위험 시설물의 운전 및 유지보수 담당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사고 수습 및 응급 복구를 실시하거나 유관기관 종사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화재 진압, 사고 피해의 지역사회 확산 방지 등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단말수단(20)은 정보 단말기로, 이동통신수단,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전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위험 시설물을 관찰하고 관찰 결과인 사고 발생 신고를 중앙관제센터(31)로 전화, 메시지 또는 앱 신고 버튼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상기 단말수단(20)이 사고신고 하는 정보를 중앙관제센터(31)에 연결된 단말수단(32)이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31)의 컴퓨터에 입력해서 중앙관제센터(31)가 단말수단(20)에 의해 신고된 정보를 분석해서 대응 조치를 결정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경보수단(10)의 고장으로 위험물 유출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정한다. 경보수단(10)의 감지 정보가 위험물 유출이고,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가 있을 때에는 위험물 유출 사고가 확실히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경보수단(10)의 감지 정보가 위험물 유출이고,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가 없을 때 또는 경보수단(10)의 감지 정보가 없고,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가 있을 때에는 단말수단(20)에 확인 대응을 지시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단말수단(20)을 휴대한 인원의 담당직무별로 대응 조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휴대 인원이 화학물질 담당자이면 화학물질 유출 사고에 대한 확인 및 화학 경보수단의 제어가 지시되고, 가스 담당자이면 대응 조치로 가스 유출 사고에 대한 확인 및 가스 경보수단의 제어가 지시되며, 다른 직무의 담당자이면 대응 조치로서 대피 및 전파가 지시된다.
중앙관제센터(31)는 대피가 지시된 단말수단(20)의 음향기기(37)를 제어해서 강제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고, 단말수단(20)을 휴대한 인원은 경보음을 듣고 사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출동이 지시된 단말수단(20)에는 일회성의 경보음 출력이 발생하고, 이후에는 경보음이 비활성화 되어 출동하는 사용자가 경보음에 의해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앙관제센터(31)는 경보수단(1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해서 경보수단(10)이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명령에는 위험 시설물 동작 제어 또는 표시기의 사고 표시를 포함한다.
위험 시설물에 설치되는 경보수단(10)에 있어, 건물에는 화재경보기(50C)가 설치되어 화재경보를 중앙관제센터(31)로 통보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유관기관인 소방서, 경찰서 등 유관기관(40)에 설치된 전파수단과 연계하여 화재, 전쟁 및 천재지변 등의 발생 상황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화재 등에 의해 위험 시설물에 예상되는 사고에 대비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상기 유관기관(40)의 전파수단은 통신망에 접속된 컴퓨터, 통신 단말기, 전화, 정보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상기 전파수단과 데이터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되어서 사고 신고와 대응 조치 열람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단말수단(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시설물(100A, 100B)에서 발생한 사고를 신고하는 단말수단(20a) 및 상기 사고신고를 접수한 중앙관제센터(31)가 상기 사고 신고에 대응하여 지시하는 사고의 확인(20b), 상황 전파(20c), 대피(20d) 및 관계자의 현장 출동(20e) 지시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고, 이는 단말수단(20)을 휴대한 인원의 담당직무 및 사고신고 된 위험 시설물(100A, 100B)과 해당 단말수단(20)의 이격된 거리 등을 고려하여 중앙관제센터(31)가 지정한다.
본 발명의 단말수단(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수단(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추적부(21); 다른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1)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23);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는 스피커(25)와 마이크(26); 사용자가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사고 발생을 입력하면 해당 단말수단(2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근접한 위험 시설물(100A, 100B)을 선택하며, 선택된 위험 시설물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위험물 유출 정보와 함께 중앙관제센터(31)로 전송하는 제어부(22); 및 사고신고 입력버튼과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사고신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222); 및 사고신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수단(20) 및 경보수단(1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33);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어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는 스피커(35)와 마이크(36); 단말수단(20)으로부터 사고가 발생한 위험 시설물 정보를 획득하면 해당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필요한 대응 조치를 지시하는 제어부(32); 및 단말수단(20) 및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대응 조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322); 및 대응 조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32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보수단(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시설물(10A, 100B)에서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11, 14);,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어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는 스피커(105)와 마이크(106);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위험 시설물(100A, 100B)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차단부(103); 중앙관제센터(31)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08); 위험 시설물(10A, 100B)의 위험물 유출정보와 상기 위험 시설물(10A, 100B)의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센터(31)로 통보하고,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차단부(103)를 제어하거나 위험물 유출 경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02); 및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제어 프로그램 및 해당 경보수단(1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22);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수단, 중앙관제센터 및 경보수단별 제어부의 세부 구성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수단의 제어부(22)는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사고신고를 입력하는 신고 입력 모듈(2221); 단말수단(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추적 모듈(2222); 다른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1)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전송 모듈(2223); 다른 단말수단(20) 및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수신 모듈(2224); 및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모듈(22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부(32)는 단말수단(20) 및/또는 경보수단(1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수신 모듈(3221); 사고가 발생한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필요한 대응 조치를 지시하는 대응 조치 모듈(3222); 및 단말수단(20) 및/또는 경보수단(10)으로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듈(3223);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조치 모듈(3222)은 단말수단(20)에 위험 시설물(10A, 100B)로부터 대피를 지시하는 대피 조치 모듈(32221); 단말수단(20)에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사고 확인을 지시하는 확인 조치 모듈(32222); 단말수단(20)에 사고신고 된 위험 시설물(100A, 100B)로 출동을 지시하는 출동 조치 모듈(32223); 단말수단(20)에 위험 시설물(100A, 100B) 주변의 인원들에게 사고 발생을 전파하도록 지시하는 전파 조치 모듈(322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의 제어부(102)는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10221); 차단부(103)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10222); 차단부(103)의 차단벽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10223); 중앙관제센터(31)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듈(10224); 및 중앙관제센터(31)의 제어 메시지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모듈(10225);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위험 시설물 주위에 위치한 단말수단을 구역별로 나누어 지정한 예시도로서, 중앙관제센터(31)는 사고가 발생한 위험 시설물(100A, 100B)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이내의 구역을 제1구역(51)으로 설정하고 제1구역(51)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에 대하여 신고단말(20a) 및 확인단말(20b)로 지정하며, 상기 제1구역(51) 외측에 소정 반경의 제2구역(52)을 설정하고 제2구역(52)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에 대하여 전파단말(20c)로 지정하며, 상기 제2구역(52) 외측에 제3구역(53)을 설정하고 제3구역(53)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에 대하여 대피단말(20d) 등으로 지정하되, 출동단말(20e)은 해당 단말수단(20)을 휴대한 사용자의 담당직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지정한다. 즉, 해당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운전,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등의 직무담당자가 휴대한 단말수단(20)을 출동단말(20e)로 지정한다. 또한, 중앙관제센터(31)는 신고단말(20a), 확인단말(20b), 전파단말(20c), 대피단말(20d) 및 출동단말(20e)로 지정된 단말수단(20)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변화를 추적해서 대응 지시에 대한 단말수단(20)의 반응을 확인하고, 확인된 반응에 대응한 차후 조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중앙관제센터(31)는 위험 시설물(100A, 100B)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의 분포상황 및 위험물 유출로 인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제1구역(51) 내지 제3구역(53)으로 설정하고, 각 구역에 속하는 단말수단에 대응 조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구역(51)은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근접하는 소정의 반경 범위 내에 속하는 구역이고, 제2구역(52)은 제1구역(51)보다 크고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위험물 유출에 의해 주변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역이며, 제3구역(53)은 제2구역(53) 보다 크고 위험물 유출로 인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역이다.
도 14는 본 발명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인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위험물 유출 사고를 발견한 단말수단 휴대자가 단말수단(20a)에 사고신고를 입력하면(S10), 해당 단말수단(20a)의 제어부는 해당 단말수단(20a)의 위치를 감지하고(S20), 감지된 위치에 근접한 위험 시설물(100A, 100B) 정보를 획득하며(S30),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위치, 유출 정보 및 시설물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중앙관제센터(31)로 전송한다(S40).
그에 따라 중앙관제센터(31)는 상기 신고단말(20a)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S50),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신고 정보를 획득하며(S60), 해당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필요한 대응 조치를 지시하는(S70) 메시지를 경보수단(10) 및/또는 단말수단(20)으로 전송한다(S80).
또한,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 주변에 위치한 단말수단(20)들은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S90),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대응 조치를 획득하여(S100), 획득된 대응 조치를 실행하고(S110), 경보수단(10)은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S120),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대응 조치를 획득하여(S130), 대응 조치에 따라 차단부를 제어하고(S140), 경보를 발생하며(S150), 중앙관제센터(31)로 경보수단(1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160).
도 15는 본 발명의 단말수단과 중앙관제센터의 동작 흐름도로서, 단말수단(20)으로부터 신고된 정보에 의해서는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정할 수 없어 단말수단(20)에 확인조치를 지시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보인 것이다.
즉, 중앙관제센터(31)가 단말수단(20)으로부터 사고신고 메시지를 수신하고(S50),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신고 정보를 획득하여(S60) 판단하였으나 위험물 유출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사고신고 된 위험 시설물(100A, 100B)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b)에 위험물 유출 여부를 다시 확인토록 지시하는 조치를 결정하고(S160), 상기 확인 조치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70).
그에 따라 단말수단(20)은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S180), 수신된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조치를 획득하고(S190), 획득된 조치사항을 디스플레이(24) 및/또는 스피커(25)를 통해 해당 단말수단(20) 사용자에게 통지하고(S200), 상기 사용자가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사고 확인 결과를 입력하면(S200), 입력된 사고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중앙관제센터(31)로 전송한다(S210).
그리고 중앙관제센터(31)는 단말수단(20)으로부터 사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S50), 사고 확인 메시지로부터 사고 확인 정보를 추출하고(S220), 추출된 사고 확인 정보에 상응하는 대응 조치를 결정하되(S230),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설치된 경보수단(10)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들에 결정된 바에 따라 차단, 출동, 전파 및 대피 조치 등의 실행을 지시한다(S240).
도 16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수단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후 조치를 지시하는 중앙관제센터의 동작 흐름도인데, 본 발명의 단말수단(20) 중 대피지시를 받은 대피단말(20d)은 기 설정된 시간마다 당해 단말수단(20d)의 위치를 감지하여(S20),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중앙관제센터(31)로 전송하고(S40),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상기 단말수단(2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S50),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변화를 추적하고(S250), 추적된 위치 변화에 반영된 단말수단(20)의 대응 조치 반응을 확인하고(S260), 반응에 대한 차후 조치를 생성하고(S270), 생성된 차후 조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70). 예를 들어, 대응 조치 반응의 확인은 대피단말(20d)의 경우 상기 대피단말(20d)의 위치가 제3구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당해 대피단말(20d)을 휴대한 사용자가 대피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당해 대피단말(20d)의 위치가 제3구역을 벗어나지 못한 경우에는 당해 대피단말(20d)을 휴대한 사용자가 대피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차후 조치로서 구급반이 출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에서 위험물 유출을 감지한 경우의 동작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17)으로부터 위험물 유출이 감지되면(S310), 중앙통제소(38)는 감지수단(17)에 내장된 센서(11, 14)의 종류를 판단하여 유출된 위험물 종류를 판정하고(S320), 유출된 위험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다음(S330) 해당 위험물에 대응한 대응 조치를 출력한다(S340). 예를 들어, 유출된 위험물이 가스인 경우,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은 가스 종류에 대응한 대응 조치를 관할 소방서의 서버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각종 단말기에 대응 조치를 전송하고, 소방관이 대응할 수 있도록 소방관 단말기에 표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경보수단
11: 누액센서
12: 누액 경보기
13: 누액 표시기
14: 가스센서
15: 가스 경보기
16: 가스 표시기
17: 감지수단
20: 단말수단
20a: 신고단말
20b: 확인단말
20c: 전파단말
20d: 대피단말
20e: 출동단말
21: 위치 추적부
22: 제어부
23: 통신부
24: 디스플레이
25: 스피커
26: 마이크
31: 중앙관제센터
32: 제어부
33: 통신부
34: 디스플레이
35: 스피커
36: 마이크
40: 유관기관
100A: 화학물질 저장탱크
100B: 가스설비
101: 위치 추적부
102: 제어부
103: 차단부
104: 디스플레이
105: 스피커
106: 마이크
108: 통신부
221: 프로세서
222: 메모리
321: 프로세서
322: 메모리
2221: 신고 입력 모듈
2222: 위치 추적 모듈
2223: 메시지 전송 모듈
2224: 메시지 수신 모듈
2225: 경보 모듈
3221: 메시지 수신 모듈
3222: 대응 조치 모듈
3223: 메시지 전송 모듈
10221: 메시지 수신 모듈
10222: 스위치 모듈
10223: 차단 모듈
10224: 메시지 전송 모듈
10225: 경보 모듈
32221: 대피 조치 모듈
32222: 확인 조치 모듈
32223: 출동 조치 모듈
32224: 전파 조치 모듈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국 각지에 산재한 복수의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설치되어 위험물 유출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위험물 유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31)로 통보하는 복수의 경보수단(10);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위험물 유출을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 신고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대응 조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근무자들이 휴대하는 복수의 단말수단(20); 및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으로부터 통보된 위험물 유출 정보를 종합하여 위험물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조치를 상기 경보수단(10)에 대하여는 제어 메시지로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수단(20)에는 그 휴대자의 담당직무 및 사고신고 된 위험 시설물(100A, 100B)과 해당 단말수단(20)의 이격된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된 대응조치 사항을 통지하는 중앙관제센터(31);를 포함하되,
    중앙관제센터(31)는 경보수단(10)의 감지 정보가 위험물 유출이고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가 있을 때에는 위험물 유출 사고가 확실히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경보수단(10)의 감지 정보가 위험물 유출이고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가 없을 때 또는 경보수단(10)의 감지 정보가 없고 단말수단(20)의 사고 신고가 있을 때에는 단말수단(20)에 확인 대응을 지시하고,
    중앙관제센터(31)는 단말수단(20)의 휴대자가 화학물질 담당자이면 화학물질 유출 사고에 대한 확인 및 화학 경보수단의 제어를 지시하고, 가스 담당자이면 대응 조치로 가스 유출 사고에 대한 확인 및 가스 경보수단의 제어를 지시하며, 다른 직무의 담당자이면 대응 조치로서 대피 및 전파를 지시하고,
    중앙관제센터(31)는 사고가 발생한 위험 시설물(100A, 100B)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 이내의 구역을 제1구역(51)으로 설정하고 제1구역(51)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에 대하여 신고단말(20a) 및 확인단말(20b)로 지정하며, 상기 제1구역(51) 외측에 소정 반경의 제2구역(52)을 설정하고 제2구역(52)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에 대하여 전파단말(20c)로 지정하며, 상기 제2구역(52) 외측에 제3구역(53)을 설정하고 제3구역(53)에 위치하는 단말수단(20)에 대하여 대피단말(20d)과 출동단말(20e)로 지정하되, 해당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운전,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의 직무담당자가 휴대한 단말수단(20)을 출동단말(20e)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감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소방서, 경찰서를 포함하는 유관기관(40)과 연계되어 화재, 전쟁 및 천재지변을 포함하는 비상 상황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비상 상황의 영향으로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감지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31)는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과 통신하는 통신부(33); 상기 통신부(33)를 통해 수신된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의 위험물 유출 정보로부터 위험물의 유출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 및 대응조치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33)를 통해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으로 송신하는 제어부(32); 상기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36)와 스피커(35); 및 상기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31)의 제어부(32)는,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3221);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대한 정보 및 사고 상황에 상응한 대응조치를 결정하는 대응 조치 모듈(3222); 및 상기 경보수단(10) 및 단말수단(20)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듈(3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조치 모듈(3222)은 상기 단말수단(20)에 위험 시설물(100A, 100B)로부터 대피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대피 조치 모듈(32221); 상기 단말수단(20)에 위험시설물(100A, 100B)에 대한 사고 상황을 확인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확인 조치 모듈(32222); 상기 단말수단(20)에 사고가 신고된 위험 시설물(100A, 100B)로 사고 수습 및 복구 담당자가 출동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출동 조치 모듈(32223); 및 상기 단말수단(20)에 위험 시설물(100A, 100B) 주변에 위치하는 인원들 및 유관기관에 사고 발생을 전파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파 조치 모듈(32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10)은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에 설치되어 위험물의 유출을 감지하는 센서(11, 14); 상기 중앙관제센터(31)와 통신하는 통신부(108);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위험 시설물(100A, 100B)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벽을 가지는 차단부(103); 상기 통신부(108)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차단부(103)의 스위치 및 차단벽을 제어하는 제어부(102); 상기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며 음성 및 음향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106)와 스피커(105); 및 상기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며 터치스크린 기능과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10)의 제어부(102)는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10221); 상기 차단부(103)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10222); 상기 차단부(103)의 차단벽을 제어하는 차단 모듈(10223); 상기 단말수단(20) 또는 상기 중앙관제센터(31)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모듈(10224); 및 상기 중앙관제센터(31)의 대응 조치로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모듈(10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KR1020200095018A 2020-07-30 2020-07-30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KR10221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18A KR102214190B1 (ko) 2020-07-30 2020-07-30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18A KR102214190B1 (ko) 2020-07-30 2020-07-30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190B1 true KR102214190B1 (ko) 2021-02-08

Family

ID=7456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018A KR102214190B1 (ko) 2020-07-30 2020-07-30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1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1567773B1 (ko) 2013-12-30 2015-11-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771579B1 (ko) 2015-02-09 2017-08-29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KR101774105B1 (ko) 2015-06-24 2017-09-04 문희정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20200076918A (ko) * 2018-12-20 2020-06-30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미터 안전차단 서비스 방법 및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1567773B1 (ko) 2013-12-30 2015-11-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771579B1 (ko) 2015-02-09 2017-08-29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KR101774105B1 (ko) 2015-06-24 2017-09-04 문희정 원격 감시 제어 가능한 위험물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20200076918A (ko) * 2018-12-20 2020-06-30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미터 안전차단 서비스 방법 및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82B1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US9792808B2 (en) Alert system with zoning using wireless portable detectors and a central station
KR102023851B1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CN105185062A (zh) 用于位置标记总人数会计的系统和方法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JP6227060B2 (ja) 支援システム
KR102214190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KR102333989B1 (ko) 위험물 유출 감지 중앙 감시 관리 시스템
KR200100869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JP2015095033A (ja) 支援システム、支援装置、端末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66547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JP6112820B2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163833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3967934B2 (ja) 通報の取消方法報知機能を備えた通報装置
JP2009271891A (ja) 保守点検作業支援装置
JP6486513B2 (ja) 支援システム
JP6282910B2 (ja) 支援システム
JP6553779B2 (ja) 支援システム
KR20150096182A (ko)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6571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KR102543102B1 (ko) 디지털 트윈 기술에 기초한 안전 사고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467350B1 (ko) 하수관거공사 관리 시스템
JP2020052910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