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723B1 -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723B1
KR102532723B1 KR1020220075942A KR20220075942A KR102532723B1 KR 102532723 B1 KR102532723 B1 KR 102532723B1 KR 1020220075942 A KR1020220075942 A KR 1020220075942A KR 20220075942 A KR20220075942 A KR 20220075942A KR 102532723 B1 KR102532723 B1 KR 10253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ork
worker
sit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희
Original Assignee
이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희 filed Critical 이건희
Priority to KR102022007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자신의 아이디, 패스워드로 접속하여 작업일자, 작업위치, 작업종목, 마감일정, 사고여부, 작업종료를 포함하는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건설현장 작업자가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작업내용을 수신 받아 저장하며, 수신 받은 상기 작업내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접속된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작업자의 근무정보를 관리하는 작업자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건설현장의 공사진행율을 수집하고 공사기간을 관리하는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과, 상기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에서 분석된 공사기간을 통해 총 공사기간을 분석하는 공사기간 분석모듈 및 상기 건설현장에 입출입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입출차량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 관리 서버; 상기 현장 관리 서버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작업내용을 검토한 후 작업자 단말기로 작업지시 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는 작업내용에서 외부업체 추가 작업, 건설 자재 요청, 하자 보수 지시를 포함하는 협력업체 정보를 수신 받아 처리하는 협력업체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A site management system that applies the work management for each construction site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공사종목별 업무 상태, 진행율, 공사기간 등 시공별 업무 관리의 체계성과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 또는 토목과 연관된 대규모 건설 공사는 발주처(공사주 또는 건축주)가 입찰을 통하여 시공자를 모집하고, 다수의 시공자가 제출하는 입찰 서류를 검토하여 낙찰 선정 조건에 맞는 최적의 시공자를 선택하여 공사를 발주한다.
위와 같은 통상의 건설 공사의 입찰에 참여하는 시공자는 대형 시공 회사(이하 "시공사"로 표기함)이며, 시공사는 입찰 서류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공사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참여 회사(용역 또는 협력 업체) 예를 들면, 설계사무소, 중소 시공업체 등을 선정하여 합사를 만들고 이 합사에서 입찰에 요구되는 공사 계획과 관련된 입찰 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여기서 "합사"라는 용어는 공사 시공의 책임자인 시공사와 참여 회사들의 합동사무실을 의미한다. 시공사는 각 참여 회사별로 업무를 부여하여 감독하고, 참여 회사는 주기적으로 중간 결과를 보고한다. 그리고 시공사는 중간 결과를 취합하여 최종 입찰 서류를 작성한 후 발주처에 제출하여 입찰을 완료한다.
전술한 환경에서 공사 입찰에 요구되는 입찰 서류는 해당 공사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사 기간, 공사계획, 공사 인력, 공사 비용, 설계 도면 등 엄청난 분량의 자료가 요구된다. 입찰 공고가 개시되면 입찰 서류제출 기일까지 소정의 기간이 주어지고, 입찰에 참여하는 다수의 시공사 중에서 입찰 서류 제출 기한 동안 그 공사의 입찰 조건에 부합되는 최적의 공사 계획을 얼마나 잘 수립하느냐에 따라서 최종 낙찰자 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건설현장에서는 담당자가 시공이 진행 중인 각 현장을 방문하여 문서 작성 또는 사진 촬영 등을 수행하여 각 현장의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한다. 건설현장에서 순찰 등으로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담당자가 현장사무실에 돌아와서 정보를 재가공하거나 정리하여 관리시스템에 업로드해야 한다. 하지만 자료가 방대한 경우 이러한 관리 방법은 매우 번거로우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 현장과 본사와는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본사에서 건설 현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관리, 예를 들면 노무자의 개인정보, 출퇴근, 급여, 안전 관리 및 건설 자재 정보 등의 전반적인 정보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간 관리 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즉, 공사 현장의 소정 장소에 노무자의 출퇴근을 기록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각 노무자에 대한 출퇴근을 체크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시스템은 노무자의 출퇴근 정보만을 단순히 그 공사 현장에서만 체크할 있어서 노무자에 대한 출퇴근 정보를 실시간으로 본사에서 체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불필요한 인건 비용이 지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건설 현장에서 노무자가 안전 사항을 위반하는 경우, 단순히 관리자는 주의 사항만을 지적할 뿐이어서 노무자가 어떤 안전 사항을 얼마나 자주 위반하는 지에 대한 전반적인 통합 자료를 작성할 수 없어 빈번히 발생하는 노무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고, 이에 의거하여 인적, 물적 사고로 인한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즉 건설 자재의 주문 내용에 따라 건설자재가 공사 현장의 지정 장소에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였는지, 또는 수량 및 품질이 일치하는지 등의 전반적인 건설 자재에 대한 물류 정보를 본사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모바일기기, GPS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거나 실시간 작업보고서 작성을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GPS 기술은 실내에서는 활용하기 어렵고, 오차범위가 넓어 건축물의 세부적인 부재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높이에 따른 위치 검색이 어렵기 때문에 건축 프로젝트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GPS 이외에 센서나 무선랜 등에 기반하여 실내에서의 모바일기기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이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의 생활은 편리하고 빠르게 진행되어 가고 있으며, 그 중 정보통신의 발전은 생활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 건설이라는 분야에서는 각 현장의 일련의 과정과 공정이 진행되는 상황을 한눈에 알기가 힘들다.
일반적으로 건설업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건설 현장에서는 현장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계측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시공 중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대비하여 안전사고 예상 지역 또는 위험한 포인트에 계측 센서를 설치하여 이상 거동 및 미세한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위험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은 센서의 이상신호(데이터)만 감지하여 위험을 확인하기 때문에 이상신호의 원인 파악에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건설현장의 인력은 일용직(日傭職)의 형태로 고용되어 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용직은 통상 사무직과는 달리, 일당을 받는 노동자나 고용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노동자를 가리킨다. 일용직은 임시직, 계약직과는 또 다른 고용의 형태이며, 최근 법개정을 통해 최저임금의 상승, 건강보험의 가입자격 완화 등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일용직의 처우가 많이 개선되고 있지만, 고용형태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비용지급구조, 회사차원의 복지혜택 등을 누리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일용직과 구별되는 정규직(正規職)은 일반해고가 불가능한 전일제(Full-time) 근로직을 의미한다. 건설회사에 채용된 정규직 근로자는 일용직과는 달리 고용안정성이 유지되며, 회사에 소속되어 다양한 복지혜택이 부여된다. 아울러, 근속연수가 증가하게 되면 승진 및 경력인정에 따른 임금인상 등이 가능하게 되므로 일용직에 비하여 유리하다.
한편, 실질적으로 건설현장의 작업에 대한 관리, 감독 책임은 건설회사측에게 있다 보니, 일용근로자에게 이러한 보고 의무를 부과하더라도 정확한 업무내용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건설사 직원이 직접 작업장을 찾아다녀야 한다. 정작 작업을 한 일용근로자는 작업이 마쳐지면 퇴근하게 되고, 건설사 직원들이 일일이 작업현장을 찾아다니며 일용근로자들이 작업한 내용을 촬영하여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건설사 직원들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이 마쳐진 후 현장을 점검하게 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직접 작업현장을 확인하더라도 정작 어느 일용근로자가 해당현장의 작업을 수행하였는지는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므로 관리, 감독의 한계가 있다.
숙련된 노동자는 이직(離職)을 통해서 숙련된 작업 커리어(career)에 따른 인센티브(incentive)를 얻기를 희망하고, 일반적으로 회사의 경우 숙련된 경력직을 채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용근로자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경력사항을 정확히 입증하기 위한 자료가 입수되기 어렵다보니, 합리적인 보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용근로자를 채용하는 건설사의 입장에서도 경력인정을 확인하거나 또는 인정하기 위한 근거가 부족하다 보니, 어떤 일용근로자를 어느 작업에 활용해야 할 지 고민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일용근로자에게 경력에 따른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며 건설현장을 관리, 감독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KR 10-1829169호 KR 10-2004206호 KR 10-0330810호 KR 10-0597985호 KR 10-2008-0079713호 KR 10-1255950호 KR 10-2049446호 KR 10-2039334호 KR 10-2225243호 KR 10-236057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 환경과 공사 종목이 수행되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직접적인 현장 업무를 통해 수행되는 공사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공사 완공율의 신뢰성과 안정적인 건설현장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설현장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사종목별 공사 진행율, 작업 현황, 소요 공사 기간 등을 세부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건설사와 건축주, 협력업체 등 전체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자신의 아이디, 패스워드로 접속하여 작업일자, 작업위치, 작업종목, 마감일정, 사고여부, 작업종료를 포함하는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건설현장 작업자가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작업내용을 수신 받아 저장하며, 수신 받은 상기 작업내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접속된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작업자의 근무정보를 관리하는 작업자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건설현장의 공사진행율을 수집하고 공사기간을 관리하는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과, 상기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에서 분석된 공사기간을 통해 총 공사기간을 분석하는 공사기간 분석모듈 및 상기 건설현장에 입출입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입출차량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 관리 서버; 상기 현장 관리 서버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작업내용을 검토한 후 작업자 단말기로 작업지시 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는 작업내용에서 외부업체 추가 작업, 건설 자재 요청, 하자 보수 지시를 포함하는 협력업체 정보를 수신 받아 처리하는 협력업체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현장 관리 서버는, 건설현장에 출입하는 차량 운전자(작업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검출부와, 상기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되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입출 차량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검출부는 하나의 작업자 단말기이며, 상기 차량 운전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에서 출려되는 QR 코드나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입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관리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수행하는 공사종목별로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분류하는 작업그룹 분류부와, 상기 작업그룹 분류부에서 분류된 공사종목별 업무진행율을 산출하는 작업그룹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사기간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공사 완공일이 지연될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마감일정 단축 요청 메세지를 제공하고, 공사 완공일이 단축될 경우 다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희망 휴무 요청 메세지를 제공하여 작업자로부터 희망 휴무자를 선정한 후 최종 휴무자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공사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공사 업무의 효율성과 공사 기간 단축, 작업자 관리 등을 통해 전반적으로 건설현장의 모든 업무를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사종목별로 진행율, 작업현황, 작업지시, 소요기간, 담당 작업자 관리, 차량관리 등 세부적인 업무 내용을 시스템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 서버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의 출력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기의 출력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자신의 아이디, 패스워드로 접속하여 작업일자, 작업위치, 작업종목, 마감일정, 사고여부, 작업종료를 포함하는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건설현장 작업자가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작업내용을 수신 받아 저장하며, 수신 받은 상기 작업내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접속된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작업자의 근무정보를 관리하는 작업자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건설현장의 공사진행율을 수집하고 공사기간을 관리하는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과, 상기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에서 분석된 공사기간을 통해 총 공사기간을 분석하는 공사기간 분석모듈 및 상기 건설현장에 입출입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입출차량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 관리 서버; 상기 현장 관리 서버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작업내용을 검토한 후 작업자 단말기로 작업지시 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는 작업내용에서 외부업체 추가 작업, 건설 자재 요청, 하자 보수 지시를 포함하는 협력업체 정보를 수신 받아 처리하는 협력업체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은, 건설현장의 공사 작업내용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공사의 효율성과 작업자 관리, 안전관리, 입출입 차량 등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종합 공사 업무를 일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관리 시스템은, 건설현장 작업자들이 사용하는 다수의 작업자 단말기(100)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작업내용 정보를 수신 받아 관리 및 저장하는 현장 관리 서버(200) 및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작업내용 정보를 총 관리하는 건설 책임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는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각각의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으며, 당일 작업 시작 전 자신의 작업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작업을 시작하며 작업정보는 온라인망을 통해서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에 송신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는 스마트 단말기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내용을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고 있으며, 최초 접근 시에는 회원가입을 통해 현장 작업자로써 인증 절차를 거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는 작업내용을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작업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입력하면, 이를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에 수신 받아 저장 및 관리하게 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를 운영하는 현장 관리자는 작업내용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작업자로 별도의 작업지시를 하거나 실시간 작업내용을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작업내용을 수신하고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작업자의 작업 범위나 작업위치, 작업종목(공사종목), 작업마감 일정, 사고여부, 특이사항, 요청사항 등을 접수 받아 관리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따라 각각의 작업자 단말기는 공사종목에 대응하는 작업자 아이디(ID)를 가지고 있으며, 공사종목별로 작업이 할당된 작업자 아이디를 통해 공사종목별 작업내용을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 시공 작업자에 대한 작업자 아이디와 전기설비 작업자 아이디가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 할당되며,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는 작업자 아이디를 통해 공사종목별 작업자를 관리하고 이에 따른 공사종목의 작업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아래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 서버의 상세도이다.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서 크게 작업자 관리, 공사진행율 관리, 공사기간, 관리, 건설현장에 출입하는 차량 입출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한다.
우선, 작업자 관리를 위해 작업자 관리모듈(210)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 관리모듈(210)에서는 작업자명, 작업내용, 근무일정을 포함하는 작업자 근무 내용을 일괄적으로 관리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공사종목별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그룹화 하여 공사종목별 그룹을 통해 관리함으로써, 공사종목에 대한 현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작업자 관리모듈(210)에 작업자 관리를 공종(공사종목)별 관리를 위한 작업그룹 분류부(211)와 작업그룹 산출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그룹 분류부(211)는 공사종목마다 작업하는 작업자들을 그룹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창호 시공 작업자, 전기설비 작업자, 소방설비 작업자, 인테리어 작업자와 같이 공사종목별로 작업자를 분류할 수 있다. 작업자 분류는 작업 인원수, 작업내용, 작업 마감일 등의 작업내용을 분류하며, 금일 작업 인원수, 익일 작업 인원수, 총 투입 인원수 등을 분류함으로써 작업자를 통합 관리하게 된다.
상기 작업그룹 산출부(212)는 상기 작업그룹 분류부(211)에 분류된 내용을 기반으로 공사종목별로 작업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창호 시공 작업자 인원수와 작업 범위, 작업 내용에 따라 해당 창호 시공 작업이 언제까지 완료될 수 있는지, 또는 진행율은 어디까지인지를 분석하게 되는데, 상기 작업그룹 산출부(212)는 작업그룹별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 관리모듈(210)은 공사종목별로 작업그룹을 분류하는 작업그룹 분류부(211)와 분류된 정보를 기초로 작업정보를 산출하는 작업그룹 산출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공사종목별로 작업업무를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공사진행율 수집모듈(220)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받은 작업내용을 통해 작업자별 공사진행율과 상기 작업자 관리모듈에서 산출된 작업그룹별 공사진행율을 수집하게 된다. 즉, 작업자별 공사진행율, 작업그룹별 공사진행율을 수집하여 저장하며, 상기 공사진행율 수집모듈(220)에 수집된 공사진행율 정보를 상기 공사기간 관리모듈(230)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공사기간 관리모듈(230)은 상기 공사진행율 수집모듈(2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제공받아 전체 공사기간을 관리하며, 이와 더불어 공사기간 분석모듈(240)에서는 상기 공사기간 정보를 통해 예상 완공일, 지연 예상기간, 단축 예상기간 등의 예측 기간을 분석하게 된다.
상기 공사기간 분석모듈(240)에서 분석된 예측 기간을 통해 완공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예상보다 완공일이 지연될 경우 해당 작업그룹에 인력을 추가 투입할 수 있으며, 완공일이 충분할 경우 비용 절감을 위해서 작업자 투입을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사기간 분석모듈(240)에서 분석된 공사기간 예측정보를 활용하여 완공일을 관리하고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공사기간 정보를 작업자별 또는 작업그룹별 분석함으로써 공사기간 산출을 통해 완공일을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현장 업무를 관리 감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으로 건설현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입출 차량 관리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관리를 위해서는 건설현장 출입부측으로 차량 검출부(2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 검출부(251)를 통해 입출차되는 차량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입출 차량 관리모듈(25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차량 검출부(251)는 별도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QR 코드나 바코드 등의 인식 정보를 통해 검출하고 차량을 관리하며,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운전자도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전에 차량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입력한 후 부여된 작업자 아이디를 부여받아야 하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QR 코드나 바코드를 통해 출입 관리자에게 제시하는 것으로 입출차를 관리한다.
상기 차량 검출부(251)를 통해 인식된 입출차(운전자 정보 포함) 정보는 상기 입출 차량 관리모듈(250)에서 입출차 시간, 차량 종류, 적재 물건 정보, 반출 물건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건설 현장 내 차량 입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자 단말기의 출력 화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작업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써, 작업자 단말기에는 작업자가 작업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최초 회원 가입을 진행하여야 하며, 가입을 완료하면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에서는 작업자별 정보를 입력받은 후 작업자 아이디를 부여한다.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작업자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작업자는 작업 시작 전에 작업일자, 작업위치, 작업종목, 마감일정, 사고여부, 특이사항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작업내용 정보 입력을 마치면, 해당 작업내용은 상기 현장 관리 서버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내용 정보를 수신 받은 실시간 관리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해당 작업자에게 작업지시 메세지나 특이사항, 전달사항, 안내사항 등에 대한 다양한 메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기의 출력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관리자 단말기 출력 예시이나, 또 다르게는 별도의 현장 상황 모니터링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출력 화면으로 설명하면, 현장 통합 관리 시스템에는 건설 공정 전체 현황과 위치별 현황, 작업자별 현황, 종목별 현황, 완공 예정일, 공사 지연 비율 등과 같은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관리자는 현장 정보를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장 관리 서버에서 구성되는 작업자 관리모듈(210), 공사진행율 수집모듈(220), 공사기간 관리모듈(230), 공사기간 분석모듈(240), 입출 차량 관리모듈(250)을 통해 분석되는 정보를 통합하여 모니터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업무 진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작업현장을 통합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 단말기(100)로 작업지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사종목별로 진행율과 작업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목별 업무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완공일이 지연될 경우 작업자를 증원하거나 작업자별 마감일 단축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완공일이 단축이 예상될 경우는 작업자 단말기로 희망 휴무 여부를 요청받아 투입 작업자를 유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인건비 절감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협력업체 단말기(300)는 자재 납품처, 용역 업체 등에 해당 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협력업체란 사전에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 등록된 업체에 해당되는 것이며,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300)는 현장 관리 서버(200)에서 요청된 정보를 수신 받아 대응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작업자 단말기(100)를 통해 자재 요청, 용역 요청, 전문가 요청, 하자 보수 등에 대한 내용이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경우 해당 내용을 송신하면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내용에 해당하는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300)로 내용을 전달하여 조치가 이루어지고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협력업체 단말기(300)는 해당 업무가 발생할 경우 상기 현장 관리 서버(200) 측으로 결제를 요청하거나 업무 수행 가능 여부, 업무 범위 확인, 작업 완료 후 결재 승인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공사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공사 업무의 효율성과 공사 기간 단축, 작업자 관리 등을 통해 전반적으로 건설현장의 모든 업무를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사종목별로 진행율, 작업현황, 작업지시, 소요기간, 담당 작업자 관리, 차량관리 등 세부적인 업무 내용을 시스템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작업자 단말기
200 : 현장 관리 서버
210 : 작업자 관리모듈
211 : 작업그룹 분류부
212 : 작업그룹 산출부
220 : 공사진행율 수집모듈
230 : 공사기간 관리모듈
240 : 공사기간 분석모듈
250 : 입출차량 관리모듈
251 : 차량 검출부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협력업체 단말기

Claims (3)

  1.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자신의 아이디, 패스워드로 접속하여 작업일자, 작업위치, 작업종목, 마감일정, 사고여부, 작업종료를 포함하는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작업내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건설현장 작업자가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작업내용을 수신 받아 저장하며, 수신 받은 상기 작업내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접속된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작업자의 근무정보를 관리하는 작업자 관리모듈과, 상기 작업내용을 통해 건설현장의 공사진행율을 수집하고 공사기간을 관리하는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과, 상기 공사진행율 수집모듈과 공사기간 관리모듈에서 분석된 공사기간을 통해 총 공사기간을 분석하는 공사기간 분석모듈 및 상기 건설현장에 입출입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입출차량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 관리 서버;
    상기 현장 관리 서버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작업내용을 검토한 후 작업자 단말기로 작업지시 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는 작업내용에서 외부업체 추가 작업, 건설 자재 요청, 하자 보수 지시를 포함하는 협력업체 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협력업체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현장 관리 서버는 건설현장에 출입하는 차량 운전자(작업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검출부와,
    상기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되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입출 차량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검출부는 하나의 작업자 단말기이며, 상기 차량 운전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QR 코드나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입출 차량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작업자 관리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수행하는 공사종목별로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분류하는 작업그룹 분류부와,
    상기 작업그룹 분류부에서 분류된 공사종목별 업무진행율을 산출하는 작업그룹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사기간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공사 완공일이 지연될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마감일정 단축 요청 메세지를 제공하고, 공사 완공일이 단축될 경우 다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희망 휴무 요청 메세지를 제공하여 작업자로부터 희망 휴무자를 선정한 후 최종 휴무자로 결정하는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75942A 2022-06-22 2022-06-22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KR10253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42A KR102532723B1 (ko) 2022-06-22 2022-06-22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42A KR102532723B1 (ko) 2022-06-22 2022-06-22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723B1 true KR102532723B1 (ko) 2023-05-12

Family

ID=8638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42A KR102532723B1 (ko) 2022-06-22 2022-06-22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723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810B1 (ko) 1999-05-28 2002-04-01 최현애 건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상에서 건설관련 자재목록을 이용한 시공에 관한 검색과 주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97985B1 (ko) 2004-03-12 2006-07-06 주식회사 두올테크 네트워크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9713A (ko) 2007-02-02 2008-09-02 주식회사 비씨엠피 건설 공사의 입찰 수주를 위한 시공사 입찰 정보 관리시스템 및 시공사 입찰 정보 관리 방법
KR101255950B1 (ko) 2011-06-13 2013-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4465A (ko) * 2012-02-16 2013-08-26 장현철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32447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건설주식회사 Bim기반의 작업공간 간섭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9169B1 (ko) 2017-06-02 2018-02-19 신태용 건축 건설 현장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건축 건설 현장관리 어플리케이션
KR102004206B1 (ko) 2017-11-30 2019-10-01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39334B1 (ko) 2019-04-25 2019-11-27 김용진 건설현장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49446B1 (ko) 2019-04-19 2019-11-27 주식회사 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KR102225243B1 (ko) 2019-05-20 2021-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 무인관리시스템 및 무인관리방법
KR20210142455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원메딕스인더스트리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KR102351250B1 (ko) * 2021-03-16 2022-01-14 (주)엘다임 건설 현장 관리 방법
KR102360573B1 (ko) 2019-11-05 2022-0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810B1 (ko) 1999-05-28 2002-04-01 최현애 건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상에서 건설관련 자재목록을 이용한 시공에 관한 검색과 주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97985B1 (ko) 2004-03-12 2006-07-06 주식회사 두올테크 네트워크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9713A (ko) 2007-02-02 2008-09-02 주식회사 비씨엠피 건설 공사의 입찰 수주를 위한 시공사 입찰 정보 관리시스템 및 시공사 입찰 정보 관리 방법
KR101255950B1 (ko) 2011-06-13 2013-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4465A (ko) * 2012-02-16 2013-08-26 장현철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32447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건설주식회사 Bim기반의 작업공간 간섭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9169B1 (ko) 2017-06-02 2018-02-19 신태용 건축 건설 현장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건축 건설 현장관리 어플리케이션
KR102004206B1 (ko) 2017-11-30 2019-10-01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49446B1 (ko) 2019-04-19 2019-11-27 주식회사 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KR102039334B1 (ko) 2019-04-25 2019-11-27 김용진 건설현장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25243B1 (ko) 2019-05-20 2021-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 무인관리시스템 및 무인관리방법
KR102360573B1 (ko) 2019-11-05 2022-0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KR20210142455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원메딕스인더스트리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KR102351250B1 (ko) * 2021-03-16 2022-01-14 (주)엘다임 건설 현장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03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CN112508417A (zh) 一种基于bim技术的民航专业工程总承包项目管理系统
US20200042915A1 (en) Collabo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management utilizing shared computing platforms
AU20212694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destructive testing involving remotely located expert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N111461517A (zh) 一种规划实验室工作流的智能信息系统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667252A (zh) 一种企业风险管控平台系统
CN112288903A (zh) 一种打卡系统、方法和设备
CN113780998A (zh) 一种工程项目执行实施一体化信息管理方法
KR20210113103A (ko)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6815B1 (ko)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20020041390A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32723B1 (ko)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KR102146545B1 (ko)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639832B (zh) 一种电梯信息安全管理系统及方法
WO2013181719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KR102595680B1 (ko)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Sinha IT-enabled safety management framework in 3Indian mines.
Szabó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safety risk management
KR20040057068A (ko)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Dehai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US11818801B2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risk relationship senso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