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455A -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455A
KR20210142455A KR1020200059303A KR20200059303A KR20210142455A KR 20210142455 A KR20210142455 A KR 20210142455A KR 1020200059303 A KR1020200059303 A KR 1020200059303A KR 20200059303 A KR20200059303 A KR 20200059303A KR 20210142455 A KR20210142455 A KR 2021014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rse
work
vitality
information
work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103B1 (ko
Inventor
한상호
한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메딕스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메딕스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메딕스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05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1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호사단말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는 제1 단계와,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와,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Method for Creating Roster for Nurse}
본 발명은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호사단말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고,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하면,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고,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도록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간호사를 만족시키는 간호사 근무표를 작성하기란 쉽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경험이 많은 수간호사가 근무표를 작성하고 있는데, 여러 간호사들의 경험, 피로도 등 간호사별 내적 외적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근무표를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근무표 작성 시 또는 작성 전에 여러 간호사의 상황을 심도있고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근무표를 작성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호사단말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고,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한 후,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고,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은, 간호사단말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는 제1 단계와,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와,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은, 휴무 예정일, 근무 예정일, Day, Evening, Night 근무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활력정보는, 과거 근무 형태별 누적 피로도, 생리현상, 우울지수, 수면지수, 스트레스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간호사단말로 생체활력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간호사단말로부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하여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를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질의 정보는, 간호사의 피로도를 확인 또는 추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피로도 관련 측정 지수 또는 지표 또는 설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간호사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활력정보는, 맥박, 혈압, 심박수, 운동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근무 조건과 상기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무 조건은, 개인 근무 조건 및 공통 근무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인 근무 조건은, 간호사 별 경력, 숙련도, 연차개수, 업무종류, 근무 선호도, 개인별 오프 최소값, 지난 근무 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근무 조건은, 요일별 Day, Evening, Night 근무자수, 지정근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동일 병동 그룹에 소속된 간호사별 지난 근무 내역을 분석하는 단계와,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간호사별 휴무 가능 일수, 지정 근무와, 생체활력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중치 부여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와, 도출된 가중치 부여 정보에 따라 간호사별 근무 배정을 위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분석된 지난 근무 내역을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간호사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특정 일자의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어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 조정 대상인 간호사 무선단말로 상기 특정 일자에 대한 휴무 예정일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간호사 무선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무 예정일을 포함하는 희망 근무 일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희망 근무 일정을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보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간호사별 개인성향정보를 등록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인성향정보는, 취미, 선호 지역, 친한 동료 간호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병동 그룹의 간호사에 대하여 생성된 근무표를 근거로,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휴무 예정일이 하루 이상 겹치는 간호사를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간호사의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근무 피로도와, 산출된 생체활력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무 피로도 및 생체활력도와 기 등록된 개인성향정보를 근거로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와, 확인 또는 추출된 개인 추천 컨텐츠를 상기 간호사의 간호사단말 및 상기 간호사가 지정한 동료 간호사의 간호사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호사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피로 요소들을 고려하여 간호사들의 생체활력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생체활력도를 고려하여 간호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근무표를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를 생성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를 생성하기 위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방법에 따른 근무표 생성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 제공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를 생성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고,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한 후,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고,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하는 기능과,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근무표 생성을 위한 생체활력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수신된 질의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활력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특정 일자의 희망 휴무 일정이 중복되어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특정 일자의 희망 휴무 일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과, 변경된 희망 휴무 일정을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간호사별 개인성향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동일 병동 그룹의 간호사에 대하여 생성된 근무표를 근거로 확인 또는 추출된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간호사단말(130)과,
간호사가 착용하며, 하나 이상의 생체활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운영서버(100)로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간호사단말(무선단말)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앱이 설치되는 웨어러블장치(135)와,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과,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는 기능과,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130)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기능과,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기능과, 동일 병동 그룹의 간호사에 대하여 생성된 근무표를 근거로,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호사단말(130)은 간호사(수간호사 및 일반 간호사 포함)가 이용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유선망에 연결된 컴퓨터,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과, 무선망에 연결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호사단말(135)은 상기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하는 기능과,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근무표 생성을 위한 생체활력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수신된 질의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활력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앱(Application)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 간호사단말(130)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간호사단말(130)에 설치된 앱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35)는 상기 간호사가 착용하며, 상기 간호사의 생체활력정보 측정을 위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심박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생체활력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간호사 무선단말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앱(Application)(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웨어러블장치(135)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웨어러블장치(135)에 설치된 앱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110)와, 간호사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정보 산출부(115)와,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근무표 생성부(120)와,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12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는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100)를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무 조건은 개인 근무 조건 및 공통 근무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인 근무 조건은 간호사 별 경력, 숙련도, 연차개수, 업무종류, 근무 선호도, 개인별 오프 최소값, 지난 근무 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근무 조건은 요일별 Day, Evening, Night 근무자수, 지정근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130)로부터 간호사별 개인성향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성향정보는 취미, 선호 지역, 친한 동료 간호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생성부(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산출부(115)는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135)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이 수신되면,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은 휴무 예정일, 근무 예정일, Day, Evening, Night 근무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활력정보는 과거 근무 형태별 누적 피로도, 생리현상, 우울지수, 수면지수, 스트레스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산출부(115)는 상기 간호사단말(135)로 생체활력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간호사단말(135)로부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하여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의 정보는 간호사의 피로도를 확인 또는 추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피로도 관련 측정 지수 또는 지표 또는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정보에는 Fatigue Assessment Scale(FAS), Brief Fatigue Inventory(BFI), Fatigue Impact Scale(FIS), Fatigue Scale(FS), Fatigue Severity Scale(FSS), Fatigue Symptom Inventory(FSI),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MAF),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MFI-20), Multidimensional Fatigue Symptom Inventory(MFSI), Myasthenia Gravis Fatigue Scale(MGFS), Parkinson’s Fatigue Scale(PFS), Pearson & Byars Fatigue Feeling Checklist(PBFFC), Piper Fatigue Scale (PFS),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FS-R), Rhoten Fatigue Scale(RFS), Schedule of Fatigue and Anergia (SOFA), Schwartz Cancer Fatigue Scale (SCFS), The Visual Analog Fatigue Scale(VAS-F)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간호사의 피로도를 확인 또는 추측하기 위하여, 상기 Fatigue Assessment Scale(FAS)는 괴로움, 잦은 피로감, 낮에 적은 활동량, 일상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량, 육체적 지침, 새로운 일에 대한 어려움, 명확하게 생각하는 것의 어려움, 무기력감, 정신적 지침, 집중력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rief Fatigue Inventory(BFI)는 어제 피로도, 어제 최대 피로도, 어제 피로도의 영향 정도, 일반적인 활동, 기분, 걷기, 일반적인 업무(가사업무), 교제, 삶의 즐거움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atigue Impact Scale(FIS)는 의식(피곤함), 무기력함(책임감), 동기결여, 지구력, 결정(판단력), 끝내는 것의 어려움(판단력), 생각하는 시간 오래 걸림(판단력), 육체 활동의 제한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atigue Severity Scale(FSS)는 무기력, 운동 후 피로감, 잦은 피로감, 약한 신체적 기능, 문제 발생, 지구력, 직무 유지 어려움(책임감 저하), 업무력, 업무, 가정, 사회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atigue Symptom Inventory(FSI)는 지난 주 낮 최고 피로도, 지난 주 낮 최저 피로도, 지난 주 평균 피로도, 현재 피로도, 지난 주 활동 후 피로감, 지난 주 준비 시 피로감, 지난 주 일반적 활동의 피로감, 지난 주 집중 시 피로감, 지난 주 교제 시 피로감, 지난 주 피로함이 삶의 즐거움에 끼치는 영향, 지난 주 피로함이 감정에 끼치는 영향, 지난 주 최대 피로한 날, 지난 주 피로도 평균 수치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MAF)는 피로도 정도, 최대 피로도 정도, 고통의 정도, 가사, 요리, 세면, 옷, 업무, 교제, 성관계, 레저, 오락활동, 쇼핑, 심부름, 걷기, 걷기 외 운동, 지난 주 피곤함 정도, 지난 주 피곤함 변화량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MFI-20)은 건강함, 감당할 수 있는 체력적인 일, 기분, 만족감, 피곤함, 일의 양, 생각, 감당할 수 있는 체력적인 일, 일에 대한 두려움, 일의 양, 집중도, 피로도, 집중력, 체력, 계획하는 일, 의지력, 포기,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ultidimensional Fatigue Symptom Inventory(MFSI)는 땀, 성욕, 가슴 통증, 좌절감, 서툼, 기억, 제한된 사회활동, 목, 의사소통, 짜증, 어깨 통증, 마무리 작업, 근육 통증, 간단한 작업의 어려움, 머리 무거움, 앉는데 어려움, 기억력, 나쁜 기분, 좋은 기분, 활기참, 긴장, 편안함, 배변활동, 혼란스러움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arkinson’s Fatigue Scale(PFS)는 낮 휴식, 삶의 제한성, 잦은 피로감, 업무력, 지침, 제한된 사회생활, 마무리 작업, 중압감, 일의 양, 일생생활, 피곤함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he Visual Analog Fatigue Scale(VAS-F)는 실증, 졸림, 나른함, 피곤함, 지침, 기운이 넘침, 활동적, 활력, 효율적, 생기, 지침, 기진맥진, 기다림, 움직임, 집중, 의사소통, 눈 감음, 누움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산출부(115)는 상기 간호사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135)로부터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활정보는 맥박, 혈압, 심박수, 운동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는 상기 정보 산출부(115)를 통해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가 산출되면,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는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근무 조건과 상기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는 동일 병동 그룹에 소속된 간호사별 지난 근무 내역을 분석하고, 상기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간호사별 휴무 가능 일수, 지정 근무와, 생체활력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중치 부여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도출된 가중치 부여 정보에 따라 간호사별 근무 배정을 위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하고,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분석된 지난 근무 내역을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하고,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간호사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는 특정 일자의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어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 조정 대상인 간호사 무선단말로 상기 특정 일자에 대한 휴무 예정일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간호사 무선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무 예정일을 포함하는 희망 근무 일정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희망 근무 일정을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보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25)는 상기 근무표 생성부(120)를 통해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가 생성되면, 동일 병동 그룹의 간호사에 대하여 생성된 근무표를 근거로,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부(125)는 휴무 예정일이 하루 이상 겹치는 간호사를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간호사의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근무 피로도와, 산출된 생체활력도를 확인하여, 상기 근무 피로도 및 생체활력도와 기 등록된 개인성향정보를 근거로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여, 상기 간호사의 간호사단말 및 상기 간호사가 지정한 동료 간호사의 간호사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를 생성하기 위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에서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고,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하면,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간호사의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여기서 상기 근무 조건은 개인 근무 조건 및 공통 근무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인 근무 조건은 간호사 별 경력, 숙련도, 연차개수, 업무종류, 근무 선호도, 개인별 오프 최소값, 지난 근무 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근무 조건은 요일별 Day, Evening, Night 근무자수, 지정근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호사의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한다(205).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135)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이 수신되면(210), 상기 간호사단말(135)로 생체활력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제공한다(215). 여기서,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은 휴무 예정일, 근무 예정일, Day, Evening, Night 근무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간호사단말(135)로부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하여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가 수신되면(220),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한다(225). 여기서, 상기 생체활력정보는 과거 근무 형태별 누적 피로도, 생리현상, 우울지수, 수면지수, 스트레스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의 정보는 간호사의 피로도를 확인 또는 추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피로도 관련 측정 지수 또는 지표 또는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질의 정보에는 Fatigue Assessment Scale(FAS), Brief Fatigue Inventory(BFI), Fatigue Impact Scale(FIS), Fatigue Scale(FS), Fatigue Severity Scale(FSS), Fatigue Symptom Inventory(FSI),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MAF),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MFI-20), Multidimensional Fatigue Symptom Inventory(MFSI), Myasthenia Gravis Fatigue Scale(MGFS), Parkinson’s Fatigue Scale(PFS), Pearson & Byars Fatigue Feeling Checklist(PBFFC), Piper Fatigue Scale (PFS),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FS-R), Rhoten Fatigue Scale(RFS), Schedule of Fatigue and Anergia (SOFA), Schwartz Cancer Fatigue Scale (SCFS), The Visual Analog Fatigue Scale(VAS-F)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간호사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135)로부터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활정보는 맥박, 혈압, 심박수, 운동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방법에 따른 근무표 생성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가 산출된 이후, 상기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동일 병동 그룹에 소속된 간호사별 지난 근무 내역을 분석한다(300a).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간호사별 휴무 가능 일수, 지정 근무와, 생체활력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중치 부여 정보를 도출하고(305a), 상기 도출된 가중치 부여 정보에 따라 간호사별 근무 배정을 위한 가중치를 부여한다(310a).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간호사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참조하여,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한다(315a).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한다(300b).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분석된 지난 근무 내역을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한다(305b).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선정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참조하여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한다(310b).
도면3C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한다(300c).
그리고, 상기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간호사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하고(305c), 상기 선정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참조하여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한다(310c).
도면3D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특정 일자의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300d).
만약, 중복되는 근무 일정이 있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일정 조정 대상 간호사를 확인한다(305d).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간호사 무선단말로 상기 특정 일자에 대한 휴무 예정일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310d), 상기 간호사 무선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무 예정일을 포함하는 희망 근무 일정디 수신되면(315d), 상기 수신된 희망 근무 일정을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보정하여 생성한다(320d).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 제공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가 생성된 이후, 해당 병동 그룹의 간호사 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130)로부터 간호사별 개인성향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400). 여기서, 상기 개인성향정보는 취미, 선호 지역, 친한 동료 간호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한 개의 청구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청구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휴무 예정일이 하루 이상 겹치는 간호사가 식별되면(405), 상기 식별된 간호사의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근무 피로도와 산출된 생체활력도를 확인한다(41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근무 피로도 및 생체활력도와 기 등록된 개인성향정보를 근거로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고(415), 상기 간호사의 간호사단말 및 상기 간호사가 지정한 동료 간호사의 간호사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한다(420).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그룹 생성부 115 : 정보 산출부
120 : 근무표 생성부 125 : 컨텐츠 제공부
130 : 간호사단말 135 : 웨어러블 장치

Claims (15)

  1. 간호사단말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간호사의 근무 일정이 결정되는 근무표 작성을 위한 병동 별 간호사 그룹을 생성하는 제1 단계;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희망 근무 일정을 입력받아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을 제공한 간호사 별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희망 근무 일정은,
    휴무 예정일, 근무 예정일, Day, Evening, Night 근무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활력정보는,
    과거 근무 형태별 누적 피로도, 생리현상, 우울지수, 수면지수, 스트레스지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간호사단말로 생체활력정보에 대한 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간호사단말로부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하여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를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질의 정보는,
    간호사의 피로도를 확인 또는 추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피로도 관련 측정 지수 또는 지표 또는 설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간호사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간호사 별 하나 이상의 생체활력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체활력정보를 근거로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활력정보는,
    맥박, 혈압, 심박수, 운동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근무표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무 조건을 설정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근무 조건과 상기 희망 근무 일정과 간호사 별 생체활력도를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 조건은,
    개인 근무 조건 및 공통 근무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근무 조건은,
    간호사 별 경력, 숙련도, 연차개수, 업무종류, 근무 선호도, 개인별 오프 최소값, 지난 근무 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근무 조건은,
    요일별 Day, Evening, Night 근무자수, 지정근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동일 병동 그룹에 소속된 간호사별 지난 근무 내역을 분석하는 단계;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간호사별 휴무 가능 일수, 지정 근무와, 생체활력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중치 부여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가중치 부여 정보에 따라 간호사별 근무 배정을 위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분석된 지난 근무 내역을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동일 일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간호사가 입력한 희망 근무 일정 중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중복되는 휴무 예정일이 확인되는 경우, 간호사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근거로 해당 일자에 휴무할 우선 순위 간호사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특정 일자의 휴무 예정일이 중복되어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 조정 대상인 간호사 무선단말로 상기 특정 일자에 대한 휴무 예정일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간호사 무선단말로부터 변경된 휴무 예정일을 포함하는 희망 근무 일정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희망 근무 일정을 근거로 해당 병동 그룹의 근무표를 보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병동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간호사단말로부터 간호사별 개인성향정보를 등록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성향정보는,
    취미, 선호 지역, 친한 동료 간호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동일 병동 그룹의 간호사에 대하여 생성된 근무표를 근거로, 간호사별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휴무 예정일이 하루 이상 겹치는 간호사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간호사의 지난 근무 내역 분석을 통한 근무 피로도와, 산출된 생체활력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무 피로도 및 생체활력도와 기 등록된 개인성향정보를 근거로 개인 추천 컨텐츠를 확인 또는 추출하는 단계;
    확인 또는 추출된 개인 추천 컨텐츠를 상기 간호사의 간호사단말 및 상기 간호사가 지정한 동료 간호사의 간호사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KR1020200059303A 2020-05-18 2020-05-18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KR10237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03A KR102376103B1 (ko) 2020-05-18 2020-05-18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03A KR102376103B1 (ko) 2020-05-18 2020-05-18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455A true KR20210142455A (ko) 2021-11-25
KR102376103B1 KR102376103B1 (ko) 2022-03-21

Family

ID=7874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03A KR102376103B1 (ko) 2020-05-18 2020-05-18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23B1 (ko) * 2022-06-22 2023-05-12 이건희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929A (ja) * 2000-11-10 2002-05-24 Api:Kk 勤務表作成システム
JP2005234852A (ja) * 2004-02-19 2005-09-02 Hns:Kk 勤務シフト管理装置及び勤務シフト管理プログラム
JP2012185645A (ja) * 2011-03-04 2012-09-27 Toshiba Tec Corp 勤務シフト作成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5064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성향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2916A (ko) * 2017-10-17 2019-04-25 (주)씨앤코 근로자 작업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929A (ja) * 2000-11-10 2002-05-24 Api:Kk 勤務表作成システム
JP2005234852A (ja) * 2004-02-19 2005-09-02 Hns:Kk 勤務シフト管理装置及び勤務シフト管理プログラム
JP2012185645A (ja) * 2011-03-04 2012-09-27 Toshiba Tec Corp 勤務シフト作成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5064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성향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2916A (ko) * 2017-10-17 2019-04-25 (주)씨앤코 근로자 작업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23B1 (ko) * 2022-06-22 2023-05-12 이건희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103B1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1852B (zh) 睡眠改善系统以及使用该系统的睡眠改善方法
JP2022101641A (ja) ウェルネスタスクの生成、表示、追跡に係るシステム、方法、非一時的なマシン可読媒体
EP3446247A1 (en) Apparatus and methodologies for personal health analysis
US20170206328A1 (en) Healthcare server, healthcare server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1821699A (zh) 涉及脑计算机接口的改进
US11097097B2 (en) System amd method for individualizing neuromodulation
KR102421379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심리 상태 케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210118322A1 (en) Digital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Treating Myopia
EP3144875A1 (en) Emotion and mood data input, display, and analysis device
CN107077711A (zh) 特性评价装置、特性评价系统、特性评价方法和特性评价程序
KR102376103B1 (ko) 간호사를 위한 근무표 생성 방법
JP6482708B1 (ja) ユーザに適するサプリメント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3196415A (zh) 用于预测视觉相关参数随时间的演变的方法和装置
CN113261067A (zh) 建立用于预测视觉相关参数随时间的演变的模型的方法和装置
JP2018011720A (ja) ストレス判定装置、ストレス判定方法、及び、ストレス判定プログラム
Isaksson et al. Desire of use: A hierarchical decomposition of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on mobility of by blind and low-vision individuals
US20210254996A1 (en) Habit improving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8088966A (ja) 気分推定システム
US20210241651A1 (en) Habit improving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108238B2 (ja) ウェルビーイング値推定システム
EP3497665A1 (en) Intelligent grouping of peers in motivational programs
JP2022077621A (ja) ポイント表示システム
Stark et al. Repercussions of negatively selective migration for the behavior of non-migrants when preferences are social
Rick et al. WorkingAge: Smart Working Environments for AllAges
WO2022137496A1 (ja) 運動動作分析システム、運動動作分析方法および運動動作分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