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46B1 -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46B1
KR102049446B1 KR1020190046200A KR20190046200A KR102049446B1 KR 102049446 B1 KR102049446 B1 KR 102049446B1 KR 1020190046200 A KR1020190046200 A KR 1020190046200A KR 20190046200 A KR20190046200 A KR 20190046200A KR 102049446 B1 KR102049446 B1 KR 102049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ork
worker
care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Priority to KR102019004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46B1/ko
Priority to PCT/KR2020/005099 priority patent/WO20202139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현장의 작업 결과물과, 실제 작업자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관리, 감독의 효율화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일용근로자의 작업경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용근로자의 경력관리를 효율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WORK HISTORY OF TEMPORARY WORKER USING CONSTRUCTION FLOW MANAGEMENT}
본 발명은 작업관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의 인력은 일용직(日傭職)의 형태로 고용되어 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용직은 통상 사무직과는 달리, 일당을 받는 노동자나 고용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노동자를 가리킨다. 일용직은 임시직, 계약직과는 또다른 고용의 형태이며, 최근 법개정을 통해 최저임금의 상승, 건강보험의 가입자격 완화 등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일용직의 처우가 많이 개선되고 있지만, 고용형태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비용지급구조, 회사차원의 복지혜택 등을 누리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일용직과 구별되는 정규직(正規職)은 일반해고가 불가능한 전일제(Full-time) 근로직을 의미한다. 건설회사에 채용된 정규직 근로자는 일용직과는 달리 고용안정성이 유지되며, 회사에 소속되어 다양한 복지혜택이 부여된다. 아울러, 근속연수가 증가하게 되면 승진 및 경력인정에 따른 임금인상 등이 가능하게 되므로 일용직에 비하여 유리하다.
고용의 안정성과, 근속연수의 증가에 따른 경력인정의 방식은 일용직과 정규직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일용근로자의 경우는 임시직, 계약직의 경우와 비교할 때 자신의 작업 수행경력에 대한 경력을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력에 따른 합리적 보수 산정이 어렵다.
건설회사의 경우 대단위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설의 수주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동안 많은 자본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실질적인 현장 작업인력을 정규직의 형태로 고용하는 것은 큰 부담이다.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인력보다는 작업을 관리, 감독하는 인력을 정규직의 형태로 채용하여 회사조직을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설회사 측이 일용근로자의 경력을 일일이 관리하여 경력을 인정해 주는 것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건설회사의 정규직 등이 현장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일용직 근로자를 관리하게 되지만, 적은 인원으로 전체 건설현장을 완벽히 관리하고 특정 일용근로자의 경력인정을 위한 작업인정 내역을 완벽히 산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작업장소, 작업내용, 작업시기 등을 작업 후 즉시 특정하기 어려운 건설현장의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도 스스로의 경력을 정리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일용근로자가 직접 자신의 작업내용을 정리하여 이력사항으로 정리하더라도 공신력이 낮아 이를 경력인정의 자료로 직접 활용기에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실질적으로 건설현장의 작업에 대한 관리, 감독 책임은 건설회사측에게 있다 보니, 일용근로자에게 이러한 보고의무를 부과하더라도 정확한 업무내용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건설사 직원이 직접 작업장을 찾아다녀야 한다. 정작 작업을 한 일용근로자는 작업이 마쳐지면 퇴근하게 되고, 건설사 직원들이 일일이 작업현장을 찾아다니며 일용근로자들이 작업한 내용을 촬영하여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건설사 직원들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이 마쳐진 후 현장을 점검하게 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직접 작업현장을 확인하더라도 정작 어느 일용근로자가 해당현장의 작업을 수행하였는지는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므로 관리, 감독의 한계가 있다.
숙련된 노동자는 이직(離職)을 통해서 숙련된 작업 커리어(career)에 따른 인센티브(incentive)를 얻기를 희망하고, 일반적으로 회사의 경우 숙련된 경력직을 채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용근로자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경력사항을 정확히 입증하기 위한 자료가 입수되기 어렵다 보니, 합리적인 보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용근로자를 채용하는 건설사의 입장에서도 경력인정을 확인하거나 또는 인정하기 위한 근거가 부족하다 보니, 어떤 일용근로자를 어느 작업에 활용해야 할 지 고민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일용근로자에게 경력에 따른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며 건설현장을 관리, 감독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건설현장의 작업내용을 정확히 관리, 감독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일용근로자의 작업경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용근로자의 경력관리를 효율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로부터 송신된 제1 일용근로자의 통신용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청약데이터관리부(112)가 신상데이터를 기초로 제1 일용근로자에게 작업청약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가 작업청약데이터를 수신한 제1 일용근로자로부터 작업승낙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계약관리부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작업승낙데이터를 제1 건설회사에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작업지시관리부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로부터 수신한 작업지시데이터를 제1 일용근로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가 제1 건설회사로부터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결과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일용근로자에게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푸시알람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푸시알람신호를 수신한 제1 일용근로자로부터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결과검증부가 작업지시데이터와 수신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매칭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작업지시데이터 또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는 작업장소, 작업방법, 작업환경 또는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결과검증부에 의하여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검증에 의하여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일용근로자 또는 제1 일용근로자와 인접한 거리에 있는 제3 일용근로자에게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재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재전송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결과검증부에 의하여 검증에 의하여 매칭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서비스서버의 경력데이터관리부가 검증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와 제1 일용근로자의 신상데이터를 매칭하여 제1 경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력데이터관리부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경력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련의 서브데이터 중 제1 건설회사의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제1 건설회사로 송신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로부터 서브데이터로부터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의 제거 또는 편집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경력데이터관리부가 제1 경력데이터에서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 또는 편집하여 제1 일용근로자에 대한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건설회사로부터 제1 일용근로자의 이력데이터의 열람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력데이터관리부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결과검증부는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상기 제1 일용근로자에 의해 수집된 것인지를 확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건설현장의 작업 결과물과, 실제 작업자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관리, 감독의 효율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일용근로자의 작업경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용근로자의 경력관리를 효율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5G,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건설회사(120), 제3 건설회사(130), 제1 일용근로자(140), 제3 일용근로자(150) 또는 기타 사용자 등은 상술한 통신 방법에 대한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사용자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5G 또는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의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서비스서버는 데이터송수신부, 작업청약데이터관리부(112), 작업계약관리부(113), 작업지시관리부(114),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115), 작업결과검증부(116)와 경력데이터관리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송신된 제1 일용근로자(140)의 통신용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청약데이터관리부(112)가 신상데이터를 기초로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작업청약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예를 들면, 제1 일용근로자(140)는 개인화된 사용자 기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신상데이터를 제1 건설회사(12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상데이터에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통신용식별데이터(예: 법률상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용식별데이터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개인화된 장비인 사용자기기에 이용되는 데이터로서 종래 상용화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사용자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수신된 작업청약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청약데이터를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송신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의 작업청약에 대한 수락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통신용식별데이터는 제1 일용근로자(140)가 소속된 제3의 협력회사(용역회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일용근로자(140)의 개인화된 장비인 사용자기기는 제1 일용근로자(140)가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의 생체데이터(예: 홍채데이터, 지문데이터, 망막데이터, 혈관데이터, 음성데이터 등)를 이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로부터 송신된 작업청약데이터는 동적이미지,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송신될 수 있고, 제1 일용근로자(140)는 자신의 사용자 기기를 통해 작업청약데이터를 열람하고 이에 대한 승낙여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건설회사(120)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송수신부(111)가 작업청약데이터를 수신한 제1 일용근로자(140)로부터 작업승낙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계약관리부(113)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작업승낙데이터를 제1 건설회사(120)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S120).
예를 들면, 제1 일용근로자(140)는 자신이 작업청약 조건을 만족하며, 이를 이행할 수 있다는 의사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청약데이터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를 제1 일용근로자(140)로부터 서비스서버로 송신하게 되며, 제1 건설회사(120)에 수락의 의사표시가 전송되어 작업계약이 성립될 수 있다.
상기 작업청약에 대한 수락의 의사표시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사용자 기기상에서 입력된 동적이미지, 이미지,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서 제1 일용근로자(140)임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일용근로자(140)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작업계약관리부(113)를 통해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승낙데이터를 제1 건설회사(120)측으로 송신하여 작업계약이 성립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의 작업지시관리부(114)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수신한 작업지시데이터를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30).
작업승낙데이터가 제1 건설회사(120)에 도달하게 되어, 작업청약에 따른 내용으로 작업계약이 성립되면, 서비스서버의 작업지시관리부(114)는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수신한 제1 일용근로자(140)가 수행할 작업에 대한 계획, 작업방법, 작업장소, 작업시간, 작업 시 주의사항 등 작업에 필요한 정보를 작업지시데이터로 생성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서버의 작업지시관리부(114)는 제1 건설회사(120) 이외의 제3 건설회사(130) 등의 경우 작업과 관련한 다양한 니즈가 존재하므로 이를 제1 일용근로자(140) 등에게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를 송부함으로써 작업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지시관리부(114)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형식에 따라 작업방법, 작업장소, 작업시간, 작업 시 주의사항 등 작업에 필요한 정보를 작업지시데이터로 가공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송수신부(111)가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결과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115)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푸시알람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40).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은 일(day), 월(month) 또는 시·분·초 등의 간격에 따라 시간단위로 쪼개어 관리되거나 또는 관리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서비스서버의 작업지시관리부(114)를 통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작업결과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 또는 즉시 이를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알려 작업 수행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115)는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푸시알림신호를 발송할 수 있으며, 푸시알림신호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사용자 기기를 통해 제1 일용근로자(140)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푸시알림신호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사용자기기에서 변환된 데이터이거나 또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115)가 생성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푸시알람신호를 수신한 제1 일용근로자(140)로부터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결과검증부(116)가 작업지시데이터와 수신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매칭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50).
이때 서비스서버의 작업결과검증부(116)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개인화된 장비인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제1 일용근로자(140)의 생체데이터(예: 홍채, 지문, 음성 등)를 이용하여 실제 작업자가 제1 일용근로자(140)이 맞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일용근로자(140)는 작업수행 중의 결과 또는 작업수행 완료 후의 결과를 동적이미지, 이미지, 텍스트, 소리 또는 냄새 형태의 데이터 등 작업수행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작성하여 서비스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수행 결과와 관련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한 일용근로자는 자신의 통신용식별데이터를 이용하는 자신의 사용자기기를 통해 직접 작업내용을 촬영하고, 그 촬영물(동적이미지, 이미지 등)은 통신용식별데이터에 포함된 일용근로자의 실명과 함께 서비스서버로 송신되어 작업수행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된다.
건설현장의 경우 다양한 위험요인이 문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유독가스의 유출이 의심되는 작업현장 또는 작업상황 등을 고려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가 위험상황을 직접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수행 중의 결과 또는 작업수행 완료 후의 결과를 전송받아 이를 작업수행결과데이터로 생성, 가공 또는 편집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의 작업결과검증부(116)가 제1 일용근로자(140)로부터 송신받은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소정의 조건에 따라 구비된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지 검증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제1 일용근로자(140)의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작업지시데이터 또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는 작업장소, 작업방법, 작업환경 또는 작업시간 등에 대한 작업조건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작업조건데이터의 예를 들면, 기상환경(눈이온다; 비가온다; 매우덥다; 매우춥다; 건조하다; 습하다 등), 작업장소에 관한 특이사항 (예: 그늘이진다; 그늘이 없다; 시끄럽다; 조용하다; 미끄럽다 등), 작업대상 등에 대한 특이사항 (예: 거칠다; 끈적거린다 등) 등 구체적인 작업정보가 포함됨으로써 구체적인 현장상황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작업 상황의 관리, 감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제1 일용근로자(140)의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작업수행 장소의 조건이 매우 시끄럽거나 또는 매우 밝은 환경인 경우, 소리 또는 빛에 의한 푸시알림신호가 제1 일용근로자(140)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없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일용근로자(140) 등이 서비스서버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 데이터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특히,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 등이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 제1 일용근로자(140)의 안전 등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작업결과검증부(116)에 의하여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검증에 의하여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115)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 또는 제1 일용근로자(140)와 인접한 거리에 있는 제3 일용근로자(150)에게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재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재전송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용근로자(140)와 제3 일용근로자(150)의 위치정보는 작업현장 내에 구비된 위치식별장치(예: wifi, beacon, Bluetooth 등을 이용한 위치확인 장치) 또는 GPS 신호를 통해 서비스서버로 전송되어 가공, 편집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일용근로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일용근로자(140)와 인접한 제3 일용근로자(150) 또는 이들과 인접한 또다른 제3 일용근로자(150)에게 제1 일용근로자(140)의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음을 알림으로써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일용근로자(140), 제3 일용근로자(150a) 또는 또다른 제3 일용근로자(150b)에 의하여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재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재전송신호가 발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이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서비스서버의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115)는 제1 건설회사(120)에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 등으로 정의된 소정의 이상징후발생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작업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설회사(120)는 언제든지 제1 일용근로자(140)의 작업을 관리, 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결과검증부(116)에 의하여 검증에 의하여 매칭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서비스서버의 경력데이터관리부(117)가 검증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와 제1 일용근로자(140)의 신상데이터를 매칭하여 제1 경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용근로자의 경우, 자신이 작업한 이력 등을 문서화하는 등의 결과물로 관리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서비스서버의 경력데이터관리부(117)는 제1 일용근로자(140)가 작업한 것으로 검증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제1 일용근로자(140)의 제1 경력데이터로 생성함으로써 제1 일용근로자(140)의 경력 등이 용이하게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력데이터는 서비스서버의 경력데이터관리부(117)에 의해 저장, 가공, 편집되어 제1 일용근로자(140) 등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제3 건설회사(130)의 열람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건설회사(120)는 현장작업 내용과 관련하여 비밀유지의무를 갖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노하우로서 관리되어야 하는 작업공정 등을 포함하여 지시를 내려야 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경력데이터관리부(117)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1 경력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련의 서브데이터 중 제1 건설회사(120)의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제1 건설회사(120)로 송신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용근로자의 경우 자신이 작업한 이력을 또다른 제3 건설회사(130)에 제시하고 작업계약을 맺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단계에 의하여 제1 건설회사(120)에 민감한 영업비밀 등이 제1 일용근로자(140)의 이력사항에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제1 건설회사(120)의 지적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120)로부터 서브데이터로부터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의 제거 또는 편집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경력데이터관리부(117)가 제1 경력데이터에서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 또는 편집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에 대한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용근로자가 수시로 건설현장을 옮겨 다녀도, 현장작업 이력이 경력으로 정리되어 축적될 수 있다. 아울러, 일용근로자의 통신용식별데이터를 이용하므로 작업현장의 작업내용에 대한 가짜 작업이력이 만들어질 수 없다. 아울러, 일용근로자의 현장작업 결과물이 동적이미지, 이미지 등으로 저장되어 일용근로자의 전문성에 대한 홍보(PR)가 가능할 수 있어 이점이 있다.
제1 일용근로자(140)는 스스로 구직활동을 전개할 수 있으나, 제1 일용근로자(140)의 이력사항에 매칭되는 또다른 제3 건설회사(130)를 탐색하기에는 시간, 비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경력데이터관리부(117)는 제1 일용근로자(140)로부터 스케쥴(예: 현재 작업에 참여하고 있음; 일정기간 휴식이 필요함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경력데이터관리부(117)는 이를 통해 제1 일용근로자(140)가 다른 작업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제1 일용근로자(140)로부터 열람승인에 관한 승낙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자의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자의 경우, 제1 일용근로자(140)를 필요로하는 개인 또는 용역회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특히 제3 건설회사(130)와 직접 작업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제3 건설회사(130)에 제1 일용근로자(140)의 이력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의 경력데이터관리부(117)는 제1 일용근로자(140)의 이력사항을 제3 건설회사(130)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의 형태로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3 건설회사(130)로부터 제1 일용근로자(140)의 이력데이터의 열람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력데이터관리부(117)가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일용근로자(140)가 직접 구직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소모하지 않고 이력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건설회사로부터 송신된 제1 일용근로자의 통신용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의 작업청약데이터관리부가 상기 신상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일용근로자에게 작업청약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가 상기 작업청약데이터를 수신한 제1 일용근로자로부터 작업승낙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의 작업계약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작업승낙데이터를 상기 제1 건설회사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작업지시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건설회사로부터 수신한 작업지시데이터를 상기 제1 일용근로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가 상기 제1 건설회사로부터 상기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결과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의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일용근로자에게 상기 작업지시데이터와 매칭되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푸시알람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푸시알람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일용근로자로부터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의 작업결과검증부가 상기 작업지시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매칭되는지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결과검증부에 의하여 상기 검증에 의하여 매칭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의 경력데이터관리부가 상기 검증된 작업수행결과데이터와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신상데이터를 매칭하여 제1 경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결과검증부는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상기 제1 일용근로자에 의해 수집된 것인지를 확인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생체데이터는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홍채데이터, 지문데이터, 망막데이터, 혈관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시데이터 또는 작업수행결과데이터는 작업장소, 작업방법 또는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결과검증부에 의하여 작업수행결과데이터가 상기 검증에 의하여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작업수행결과데이터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일용근로자 또는 상기 제1 일용근로자와 인접한 거리에 있는 제3 일용근로자에게 작업수행결과데이터를 재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재전송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력데이터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력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련의 서브데이터 중 상기 제1 건설회사의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상기 제1 건설회사로 송신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건설회사로부터 상기 서브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의 제거 또는 편집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경력데이터관리부가 상기 제1 경력데이터에서 상기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 또는 편집하여 상기 제1 일용근로자에 대한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건설회사로부터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이력데이터의 열람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력데이터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3 건설회사열람용 이력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결과검증부는 상기 제1 일용근로자의 생체데이터를 상기 제1 건설회사로부터 미리 수신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10. 삭제
KR1020190046200A 2019-04-19 2019-04-19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KR10204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00A KR102049446B1 (ko) 2019-04-19 2019-04-19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PCT/KR2020/005099 WO2020213956A1 (ko) 2019-04-19 2020-04-16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00A KR102049446B1 (ko) 2019-04-19 2019-04-19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446B1 true KR102049446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200A KR102049446B1 (ko) 2019-04-19 2019-04-19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446B1 (ko)
WO (1) WO202021395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56A1 (ko) * 2019-04-19 2020-10-22 (주)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KR102532723B1 (ko) 2022-06-22 2023-05-12 이건희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KR20230127455A (ko) * 2022-02-25 2023-09-01 박경호 데이터 수신자의 권한에 따라 편집된 면접 데이터를 제공하는 면접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394A (ko) * 2001-09-25 2003-04-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가입자 망 유지보수방법
KR20130094465A (ko) * 2012-02-16 2013-08-26 장현철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45670B1 (ko) * 2017-02-08 2017-06-27 김동관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1907964B1 (ko) *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63442B1 (ko) * 2018-06-05 2019-03-28 안선희 P2p 기반 전문인력매칭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46B1 (ko) * 2019-04-19 2019-11-27 주식회사 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394A (ko) * 2001-09-25 2003-04-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가입자 망 유지보수방법
KR20130094465A (ko) * 2012-02-16 2013-08-26 장현철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45670B1 (ko) * 2017-02-08 2017-06-27 김동관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1907964B1 (ko) *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63442B1 (ko) * 2018-06-05 2019-03-28 안선희 P2p 기반 전문인력매칭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56A1 (ko) * 2019-04-19 2020-10-22 (주)건설인이인정받는사회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KR20230127455A (ko) * 2022-02-25 2023-09-01 박경호 데이터 수신자의 권한에 따라 편집된 면접 데이터를 제공하는 면접 플랫폼 시스템
KR102607570B1 (ko) * 2022-02-25 2023-11-29 박경호 데이터 수신자의 권한에 따라 편집된 면접 데이터를 제공하는 면접 플랫폼 시스템
KR102532723B1 (ko) 2022-06-22 2023-05-12 이건희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56A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4334B2 (en) System for updating a calendar or task status in home care scheduling via telephony
US20180182179A1 (en)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ecurity patrolling operations
KR102049446B1 (ko) 건설현장 작업관리를 통한 노동자의 경력관리 방법
US8407279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US20140137219A1 (en) Automatically generating challenge questions inferred from user history data for user authentication
US11423164B2 (en) Multiple electronic signature method
CN104662547A (zh) 移动应用管理
WO201512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al of personnel attendance
US9866569B2 (en) Individual-specific content management
US20150302362A1 (en) Time tracking device and method
CA2905183C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ture capture
US20180247276A1 (en) Workflow management with location temporal and biometric information
US2013030453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ork schedules
JP2011191964A (ja) 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ワークフロー管理装置
Gan et al. 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implementation: An investigation of its impact on work processes and employee perception
US202102556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778434B2 (en) Smart login method using messenger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US20200042950A1 (en) Workplace activity tracking and locator method and system
TWM569449U (zh) Smart attendance system and its mobile device
WO2021137753A1 (en)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the same
KR20210053149A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129312A (ja) 渉外営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8025894A (ja) 配達管理方法、及び、配達管理システム
CN115170087A (zh) 任务数据的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35694A (zh) 巡检任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