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068A -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068A
KR20040057068A KR1020020083516A KR20020083516A KR20040057068A KR 20040057068 A KR20040057068 A KR 20040057068A KR 1020020083516 A KR1020020083516 A KR 1020020083516A KR 20020083516 A KR20020083516 A KR 20020083516A KR 20040057068 A KR20040057068 A KR 2004005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upervision
client
management
hos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설마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설마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설마당
Priority to KR102002008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7068A/ko
Publication of KR2004005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068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시공 현장에서 공사비를 관리하는 적산업무 및 착공부터 준공까지 감독되는 감리업무에 대해 네트워크 환경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시스템에 회원을 가입하여 해당 공사를 입력하면, 그 공사에 관계된 발주자, 시공자, 시공 하청업자 및 감리자는 본 시스템을 통하여 공사 과정의 전 업무를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을 갖는 제어부를 구축하고 발주자, 시공자, 시공 하청업자, 관리자 및 해당관청의 담당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여 적산 및 감리업무를 일체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통일성과 신뢰도를 높이며, 또한 적은 인원으로 적산 및 감리업무를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의 불투명하고 비리로 인해 부실공사의 원인이 되는 건축시공의 관행을 개선하였으며, 건축시공현장의 공정에 따라 공사 진행의 모든 자료를 함께 공유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Integration and superintendence managing system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in the network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시공 현장에서 자재 투입 및 공정 진척에 따라 변동되는 공사비를 관리하는 적산업무 및 착공부터 준공까지 감리자에 의해 공사 진행동안 감독되는 감리업무에 대해 네트워크 환경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시스템에 회원을 가입하여 해당 공사를 입력하면, 그 공사에 관계된 발주자, 시공자, 시공 하청업자 및 감리자는 본 시스템을 통하여 공사 과정의 전 업무를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은 많은 시간, 인력, 비용이 투자되는 업무로서, 그 관리 여하에 따라 공사의 완성도 뿐만 아니라 공사 비용도 큰 차이가 나는 대규모 종합 프로젝트 업무 영역이다.
건설 업무 실무는 공사 진행에 따라 자재비, 임금 및 기타 소요 비용을 공사비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적산업무 및 그 적산업무에 의한 공사의 진척도 또는 공종에 따라 감리를 받음으로써 수행되는 감리업무로 구성되며, 이들 두 개의 업무는 공사 진행의 특정 시점마다 제대로 시공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감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건설 시공 관리 면에서 불가분의 관계이며 공사의 전 공정 과정에 있어서 현재의 진행 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기준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해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가 이루어졌었고, 이와 같은 종래의 업무 환경은 부실 공사, 인력 낭비, 공사비 증가 등과 같은 손해를 야기시켰으며 결과적으로는 불법 비리의 업무 환경으로 인해 건설 후진국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그 이유로서는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변수들의 발생으로 인해 사람의 수작업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며, 워낙 대규모의 사업이다 보니깐 그 관리상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없어 임시 방편적인 해결만으로 업무를 수행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우리 나라의 건설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건설 업무를 전산화 하고자 하는 수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각각의 소단위로 전산화가 이루어져 서로 간에 일치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각 현장에는 발주자, 시공자, 시공 하청업자, 감리자 등이 있으며 이들은 견적 방법, 공사 감리, 공사비 집행 등이 제 각각임에 따라 각종 집계도 차이가 발생하여 공사 지연, 부실 공사, 인력 낭비 등의 문제점은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건설 시공 관리에 있어서 체계화되기 못하고 비효율적인 관리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은 건설 업무 실무에 있어서 투명성 있고경제적인 건설 시공 업무의 새로운 모델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모든 공사현장에서 시행되는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는 공사현장 및 공사명만 다를 뿐이지 그 처리과정 및 산출물은 어느 공사에서나 공통적이기 때문에 특정 공사에 종속적이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업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스템을 공유하여 자신의 개별 공사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설 시공 현장에서의 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은 공사 과정에 따라 발생하는 적산 및 감리 관리 업무를 통합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관리를 일체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공사별로 공사에 참여하는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들이 공사 계획, 진척, 결과에 관한 자료를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공유하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적산 및 감리 관리 공정을 인력을 절감시키며 투명성있게 처리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에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처리하는 적산관리의 업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처리하는 감리관리의 업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운영방법의 순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웹페이지의 화면 캡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스템 2 : 호스트서버
3 : 발주자 클라이언트PC 4 : 시공자 클라이언트PC
5 :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 6 : 감리자 클라이언트PC
7 : 해당관청 담당자 클라이언트PC 21 : 제어부
22 : 통신부 23 : 데이터베이스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사용자에 대한 개별 공사별로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들의고유 계정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갖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외부 클라이언트PC와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 개별 공사별로 건설적산및 감리업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을 갖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건설관리 호스트서버;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접속하여 공사지, 공사기간, 공사명 등을 포함하는 기본 공사정보를 입력하여 공사를 발주하는 발주자 클라이언트PC; 상기 발주자 클라이언트PC를 통한 공사 발주에 따라 공사 진행을 총괄하는 상기 호스트서버를 관리하며 건물별, 공종별, 날짜별 적산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공자 클라이언트PC; 상기 시공자 클라이언트PC를 통해 계획된 공사진행에 따라 시공 결과에 따른 공사수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 상기 시공자 클라이언트PC 및 상기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를 통해 진행되온 공사 진행에 따른 공정관리 적산업무와 연계되어 해당 공정별 감리 데이터를 입력하는 감리자 클라이언트PC; 및 공사 완료 후, 상기 호스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데이터를 토대로 감리 보고서가 작성되면 상기 호스트서버에서 송신한 상기 감리 보고서를 수신하는 해당관청의 담당자 클라이언트PC로 이루어져, 건설 시공 현장의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는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에 의해 통합되고, 상기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의 클라이언트PC 들에 의해 상기 호스트서버의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는, 상기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이 공종별, 건물별, 시공 하청업체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는, 상기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이 감리업무에 대하여 감리 계약에서부터 준공까지의 전 과정을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업무일지, 주요자재승인, 검수, 공종별 검측서류, 중간보고서 등에 대하여 발주자, 감리자, 시공자 및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 PC간에 전자화된 서류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 사용자에 대한 개별 공사별로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들의 고유 계정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갖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운영방법으로서, (1)사용자가 통신부를 통해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접속하면 회원으로 가입받고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2)사용자로부터 공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적산업무, 감리업무, 또는 적산 및 감리업무 중 어느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3)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라 그 공사에 관계되는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에 대한 클라이언트PC 계정 생성을 요청받고, 이들 계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4)상기 클라이언트PC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트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PC 들에 대하여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을 갖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 서비스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회원가입을 통해 공사정보, 이용서비스 및 클라이언트PC계정을 입력받고,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개별 공사별로 건설 시공 현장의 공사 진행 과정을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들이 중앙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접속하여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함에 따라 공사비 관리 및 감리업무가 체계적이고 책임있는 공사의 진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며 더 나아가 부실 공사 방지 및 신뢰도 높은 건축 시공으로 인해 종래의 부패되고 비효율적인 건축 공사의 관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에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의 구조도이고, 도 3은 그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처리하는 적산관리의 업무 흐름도이고, 도 4는 그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처리하는 감리관리의 업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운영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그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웹페이지의 화면 캡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1)의 구성도로서 중앙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를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발주자클라이언트PC(3), 시공자 클라이언트PC(4),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5), 감리자 클라이언트PC(6), 해당관청 담당자 클라이언트PC(7)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구조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사용자중에서 어느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공사를 입력했을 때, 그 공사에 관계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PC들로 구성되는 환경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건설업체 A사는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회원 가입을 통해 자신이 시공하는 아파트 단지 공사에 대한 적산관리 및 감리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 개인 시공업자B는 회원 가입을 통해 20층짜리 주상복합건물에 관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을 이용하고자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통해 기본적인 공사정보를 입력하면 그 공사와 관련한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PC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발주자 클라이언트PC(3)는 본 시스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에 접속하여 보다 상세하게 공사명 및 공사 위치 등의 공사 정보를 입력하여 발주를 시키면, 시공자 클라이언트 PC(4)에서는 공사 진행과 함께 적산업무를 한다.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6)는 실제로 공사를 수행함에 따른 공사진행 상황을 입력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각 공종이 끝날 때마다 주기적으로 감리자 클라이언트PC(6)에서 감리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공종별 공사 진행에 따른 적산 관리 업무와 병행하여 이루어진 감리업무는 그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정부 부처인 해당 관청의 담당자 클라이언트PC(7)로 보고가 접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1)에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통신부(22)는 외부 클라이언트PC와 송수신을 담당하며, 클라이언트PC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21)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23)를 참조하여 적산 및 감리업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에서 처리하는 적산관리의 업무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적산관리업무는 크게 1.견적작업(물량산출), 2.실행예산관리, 3.기성관리(외주자재), 4.정산관리로 나뉘어진다. 견적작업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공사분류에 따라서 제어부(21)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에서는 윈도우즈의 GUI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입력한 공사에 해당하는 건물 그림을 생성하며, 그 건물의 층, 부위에 따른 수량정보를 기입하여 견적작업을 수행한다. 실행예산관리에서는 공사 진행에 따라 건설공사비를 구성하며 예산작성의 기준을 관리하며, 예산 및 계약 내역 관리를 수행한다. 기성관리에서는 외주업체에 대한 노무/기성관리를 수행하며 지급자재 관리를 수행한다. 정산관리에서는 설계변경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는 적산업무의 흐름은 최종적으로 공사관리를 통한 손익분석,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에서 처리하는 감리관리의 업무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감리업무는 크게 1.감리계약, 2.착공단계, 3.시공단계, 4.정산관리로 나뉘어진다. 감리계약은 감리업무를 생성시키는 단계로서 건물의 시공과 관련한 법규 준수 사항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건설기술관리법, 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 주택건설촉진법, 건축사법, 전력기술관리법, 소방법, 정보통신공사법에 기초하여 진행된다. 착공단계에서는 업무How, 설계도서검토 작업이 진행된다. 시공단계에서는 실제로 단위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품질관리시험, 자재승인/검수, 검측요청/확인, 안전/환경관리 작업이 수행된다. 정산관리단계에서는 마무리 작업으로서 예비준공검사, 사용검사, 유지관리/인수인계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이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는 감리업무의 흐름은 업무의 투명, 효율성을 제고하며, 건설 시공의 시간, 원가, 절감 효과가 있다. 특히 이 감리업무는 특정 공사에 종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체계적 감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 감리업무의 통합 데이터베이스화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운영방법의 순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회원가입 접수단계(S10)에서 사용자는 호스트서버(2)에 접속하여 그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에 가입하고, 사용자 회원가입정보 저장단계(S11)에서 제어부(21)의 제어하에 통신부(22)를 통해 들어오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23)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이용서비스 접수단계(S20)에서 사용자가 적산업무, 감리업무 또는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선택하면, 사용자 이용서비스정보 저장단계(S21)에서 사용자의 이용서비스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이용서비스 지정에 따라 공사에 관련한 기초 정보가 정해지면, 그 공사에 참여할 클라이언트PC 계정에 대해서 입력받는다.
사용자 클라이언트PC 계정 접수단계(S30)에서 해당 공사에 참여하게 될 클라이언트 PC들의 사용자ID, 암호, 작업권한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호스트서버(2)는 사용자 클라이언트PC 계정정보 저장단계(S31)에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 계정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 서비스 제공단계(S40)에서 통신부(22)를 통해 입력되는 클라이언트PC의 요청 사항에 대하여 제어부(21)의 제어하에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3)를 참조하며 사용자에게 적산관리 및 감리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웹페이지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본 화면 구성은 출원인이 앞으로 서비스를 시작하게 될 www.gsmadang.net에서 시험적으로 운영하게 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서비스 제공 사이트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PC로서 로그인을 한 후, 전산관리 업무 및 감리관리 업무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건설관리 호스트서버(2)에서 제공하게 될 서비스에 대한 과금표를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중앙의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을 갖는 제어부를 구축하고 발주자, 시공자, 시공 하청업자, 관리자 및 해당관청의 담당자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통일성과 신뢰도를 높이며, 또한 적은 인원으로 적산 및 감리 관리 업무를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의 불투명하고 비리로 인해 부실 공사의 원인이 되는 건축 시공의 관행을 개선하였으며, 건축 시공 현장의 발주에서 준공 완료까지 네트워크를 통해 공사 진행의 모든 자료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을 절감시키며 투명성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수 사용자에 대한 개별 공사별로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들의 고유 계정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갖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외부 클라이언트PC와 송수신을 하는 통신부, 개별 공사별로 건설적산 및 감리업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을 갖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건설관리 호스트서버;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접속하여 공사지, 공사기간, 공사명 등을 포함하는 기본 공사정보를 입력하여 공사를 발주하는 발주자 클라이언트PC;
    상기 발주자 클라이언트PC를 통한 공사 발주에 따라 공사 진행을 총괄하는 상기 호스트서버를 관리하며 건물별, 공종별, 날짜별 적산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공자 클라이언트PC;
    상기 시공자 클라이언트PC를 통해 계획된 공사진행에 따라 시공 결과에 따른 공사수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
    상기 시공자 클라이언트PC 및 상기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PC를 통해 진행되온 공사 진행에 따른 공정관리 적산업무와 연계되어 해당 공정별 감리 데이터를 입력하는 감리자 클라이언트PC; 및
    공사 완료 후, 상기 호스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데이터를 토대로감리 보고서가 작성되면 상기 호스트서버에서 송신한 상기 감리 보고서를 수신하는 해당관청의 담당자 클라이언트PC로 이루어져,
    건설 시공 현장의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는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에 의해 통합되고, 상기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의 클라이언트PC 들에 의해 상기 호스트서버의 적산업무 및 감리업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는,
    상기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이 공종별, 건물별, 시공 하청업체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는,
    상기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이 감리업무에 대하여 감리 계약에서부터 준공까지의 전 과정을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업무일지, 주요자재승인, 검수, 공종별 검측서류, 중간보고서 등에 대하여 발주자, 감리자, 시공자 및 시공 하청업자 클라이언트 PC간에 전자화된 서류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4. 복수 사용자에 대한 개별 공사별로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들의 고유 계정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갖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운영방법으로서,
    (1)사용자가 통신부를 통해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 접속하면 회원으로 가입받고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2)사용자로부터 공사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적산업무, 감리업무, 또는 전산 및 감리업무 중 어느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3)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라 그 공사에 관계되는 발주자, 시공자, 하청업체, 감리자 및 행정관청의 관리자에 대한 클라이언트PC 계정 생성을 요청받고, 이들 계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4)상기 클라이언트PC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트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PC 들에 대하여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을 갖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 서비스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회원가입을 통해 공사정보, 이용서비스 및 클라이언트PC계정을 입력받고, 상기 건설관리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운영방법.
KR1020020083516A 2002-12-24 2002-12-24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40057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16A KR20040057068A (ko) 2002-12-24 2002-12-24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16A KR20040057068A (ko) 2002-12-24 2002-12-24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068A true KR20040057068A (ko) 2004-07-02

Family

ID=3734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516A KR20040057068A (ko) 2002-12-24 2002-12-24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06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85B1 (ko) * 2006-05-19 2008-08-06 유한회사 삼일회계법인 지능형 상시 감사 시스템 및 감사 방법
KR101395665B1 (ko) * 2013-05-01 2014-05-15 서울특별시 통합 건설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400425B1 (ko) * 2012-09-06 2014-05-30 주식회사 한국첨단기술경영원 기술 및 경영컨설팅의 경매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21156B1 (ko) * 2015-11-18 2017-04-10 이종석 온라인 건축 및 건축물 판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120991A (ko) * 2019-04-10 2020-10-23 주식회사 씨엠엑스 클라우드 기반의 건설현장 정보 다자간 공유 시스템
KR102317476B1 (ko) * 2020-11-05 2021-10-25 쌍용건설 주식회사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공사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85B1 (ko) * 2006-05-19 2008-08-06 유한회사 삼일회계법인 지능형 상시 감사 시스템 및 감사 방법
KR101400425B1 (ko) * 2012-09-06 2014-05-30 주식회사 한국첨단기술경영원 기술 및 경영컨설팅의 경매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395665B1 (ko) * 2013-05-01 2014-05-15 서울특별시 통합 건설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721156B1 (ko) * 2015-11-18 2017-04-10 이종석 온라인 건축 및 건축물 판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120991A (ko) * 2019-04-10 2020-10-23 주식회사 씨엠엑스 클라우드 기반의 건설현장 정보 다자간 공유 시스템
KR102317476B1 (ko) * 2020-11-05 2021-10-25 쌍용건설 주식회사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공사의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81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9589243B2 (en) Field management and mobile inspection
CN110599007A (zh) 项目进度管理系统
US109909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bile workers
KR101683441B1 (ko)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WO2021256699A1 (ko)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0815603B1 (ko)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Yang et al. Leveraging blockchain for scaffolding work management in construction
KR20040057068A (ko) 네트워크 환경의 건설적산 및 감리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102146545B1 (ko)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CN110880096B (zh) 一种建筑工程多方协同办公系统
JP3373844B1 (ja) 建設工事工程管理システム及び建設工事工程管理方法及び建設工事工程管理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建設工事工程管理用サーバ装置
KR20020008644A (ko) 실시간 건설관리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방법
CN110782198A (zh) 一种网页端轨道交通设备监造信息控制平台及其实现方法
KR20190142561A (ko) 집합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U2493596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ической эксплуатацией зданий, сооружений
KR20210148833A (ko) 개인용 직영 공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10096355A (ko)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의사결정시스템
KR20030049652A (ko) 임대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akagawa Real time performance information system using mobile phone
CN109657743B (zh) 排水设施的数据处理方法和系统
KR100872594B1 (ko) 인터넷을 통한 현장일보 작성으로 관리되는 공사비정산방법
KR102532723B1 (ko)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CN111415215B (zh) 电网工程建设施工装备共享服务平台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