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981B1 -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981B1
KR100990981B1 KR1020080055414A KR20080055414A KR100990981B1 KR 100990981 B1 KR100990981 B1 KR 100990981B1 KR 1020080055414 A KR1020080055414 A KR 1020080055414A KR 20080055414 A KR20080055414 A KR 20080055414A KR 100990981 B1 KR100990981 B1 KR 100990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enu
facility
compu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247A (ko
Inventor
박장호
Original Assignee
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호 filed Critical 박장호
Priority to KR102008005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98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에 따라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고,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시설물 관련정보,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여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해당 내용을 처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업무의 전산화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관리업무의 전문성 및 과학성을 제고하며, 투명한 시설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넷, 단말기, 시설물 관리, 보수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network-based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nd system thereto}
본 발명은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빌딩, 학교, 아파트 등의 각종 시설물의 이해 당사자들 간에 인트라 넷(intra-net)을 구축하고, 시설물 관리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이다.
개방형 네트워크인 인터넷은 기본적인 문자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는 등 전자 우편, 파일 전송, WWW(World Wide Web)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의 확산 및 이용에 따른 새로운 디지털 혁명 속에서 인텔리전트 빌딩, 사이버아파트, 홈네트워크, BTL(Build Transfer Lease) 시설 등 관리대상 건축시설물은 고층화 대형화 디지털네트워크 시스템화되고, 1980년대 이후 주거용 아파트 및 상업용 빌딩 등은 급속한 양적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사후관리에 대한 전문적 기술적 개발은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시설물의 사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주택관리법 등의 관련법이 제정되고 있고, 인터넷 디지털정보화 시대에 관리시설물의 공급과 수요 및 이용주체 등은 시설물관리 운영에 대하여 경제적 과학적 전문성과 다양한 통합 정보서비스 등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는 각종 시설물 관리방법은, 사업시행사, 건축시공사, 시설운영사, 주무관청, 관리사무소, 평가위원회, 각종 용역업체 등 이해관계자 별로 통합하지 못하고 초기에 수행되던 관리방법과 관리기술을 그대로 답보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비용과 사회적 간접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국내의 부동산 및 시설물 관리시장이 개방되면서 외국의 부동산관리업체 등은 글로벌 자본과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관리영역을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부동산 및 시설물 관리업은 과다한 경쟁과 영세성으로 인하여 관리운영의 기술적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빌딩, 학교. 아파트 등의 각종 시설물의 이해 당사자(사업시행사, 건축시공사, 시설운영사, 주무관청, 관리사무소, 평가위원회, 일반이용자, 각종 용역업체 등) 간에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인트라 넷)을 구축하고, 시설물 관리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영자 측에서 건물정보, 도면정보, 건축보수정보, 시설정보, 전자결재정보 등을 각종 시설물의 이해 당사자들에게 제공하여 웹상에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업무의 전산화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페이지 모드와 관리자 모드를 별도로 구성하여 일반이용자들은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정보, 사업정보, 민원신청, 하자신청, 유지보수신청, 질문 등을 자유롭게 기재하고, 사업관계자들은 관리자 모드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수된 정보의 처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시설 운영에 필요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이 구축되어 있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에 따라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고,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데이터,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와; 시설물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제공받아 열람하고, 시설물 사용에 따른 불편사항, 하자, 민원을 신청하며, 불편사항, 하자, 민원의 처리결과를 확인하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와; 시설물 점검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며, 전자결재를 통한 문서 수, 발신, 접수된 민원, 하자신청에 따라 신속한 하자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그 처리결과를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복수의 시행/시공사 컴퓨터와; 시설물의 통합적인 점검상태 및 관리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된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위원이 입력하는 평가데이터를 서버 컴퓨터로 제공하는 복수의 평가위원회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시설물의 관리정보를 토대로 종합적인 관리계획의 수립 및 지시를 수행하는 복수의 운영사 컴퓨 터; 및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시설물의 정보를 토대로 관리상태 및 점검상태를 확인하며, 서버 컴퓨터로부터 시설물 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복수의 주무관청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은, (1) 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와; (2) 서버 컴퓨터는, (1) 단계에서 신규회원가입을 수행하는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3) 서버 컴퓨터는, (1) 단계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는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이 입력하는 아이디, 패스워드의 로그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원 로그인을 진행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와; (4) 서버 컴퓨터는,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시설물 관련정보,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및 (5) 서버 컴퓨터는, (4) 단계를 통해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 하여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해당 내용을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각종 시설물의 이해 당사자들이 웹상에서 개별적인 시설물 현황, 관리운영 업무처리, 감독 평가 등을 손쉽게 처리함으로써, 관리업무의 전산화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시설물 통합관리를 통해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관리업무의 전문성 및 과학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투명한 시설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시설물 일반이용자들은 홈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업의 기본적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시설물 사용에 따른 불편사항이나 민원 등을 홈페이지를 통해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위원회는 다른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시설물의 통합적인 점검상태 및 관리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성과평가를 통해 시설물의 관리상태를 웹상에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시행사, 건축시공사, 각종 용역업체 등은 시설물 점검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결재를 통한 문서 수, 발신, 접수된 하자신청 등을 통해 신속한 하자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운영사는 각 시설물별 관리상태를 개별적, 종합적으로 감시, 통제하여 운영의 질을 높이고, 프로그램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지시함으로써 최상의 건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무관청 은 시설물의 관리상태 및 점검상태를 종합하여 볼 수 있으며, 시설운영사로부터 건물 상태를 주기적으로 웹상으로 보고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100),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200), 복수의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복수의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복수의 운영사 컴퓨터(500), 복수의 주무관청 컴퓨터(600) 등으로 구성된다.
서버 컴퓨터(100)는 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이 구축되어 있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200), 복수의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복수의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복수의 운영사 컴퓨터(500), 복수의 주무관청 컴퓨터(600)의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을 수행하고, 신규회원가입된 각 이해 당사자들의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며,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 컴퓨터(100)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 컴퓨터(200),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운영사 컴퓨터(500), 주무관청 컴퓨터(600)로 제공하고,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운영사 컴퓨터(500), 주무관청 컴퓨터(600)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제공한 이후, 각 사용자 컴퓨터(200),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운영사 컴퓨터(500), 주무관청 컴퓨터(600)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데이터,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200)는 각 시설물에 속한 사용자(예를 들어, 학교의 경우 학생, 교사, 일반 건축물의 경우 입주자)들이 사용하는 컴퓨터로서, 시설물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제공받아 열람하고, 시설물 사용에 따른 불편사항, 하자, 민원을 서버 컴퓨터(100)로 신청하며, 불편사항, 하자, 민원의 처리결과를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제공받아 확인한다.
복수의 시행/시공사 컴퓨터(300)는 각 시설물의 유지, 보수, 보안, 환경, 위생 등을 담당하는 시행사, 시공사, 관련 용역업체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로서, 시설 물 점검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며, 전자결재를 통한 문서 수, 발신, 접수된 민원, 하자신청에 따라 신속한 하자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그 처리결과를 서버 컴퓨터(100)로 전송한다.
복수의 평가위원회 컴퓨터(400)는 각 시설물의 유지, 보수, 보안, 환경, 위생 등의 관리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위원(예를 들어, 각 시설물의 대표자)들이 사용하는 컴퓨터로서, 서버 컴퓨터(100)에 구축되어 있는 시설물의 통합적인 점검상태 및 관리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서버 컴퓨터(100)에서 제공된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위원이 입력하는 평가데이터를 서버 컴퓨터(100)로 전송한다.
복수의 운영사 컴퓨터(500)는 서버 컴퓨터(100)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물의 관리정보를 토대로 종합적인 관리계획의 수립 및 지시를 수행한다.
복수의 주무관청 컴퓨터(600)는 서버 컴퓨터(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시설물의 정보를 토대로 관리상태 및 점검상태를 확인하며,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시설물 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다.
이때 상술한 서버 컴퓨터(100)는, 신규회원으로 등록하는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별로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정보, 사업정보, 민원신청, 하자신청, 유지보수신청, 질문에 대한 내용을 확인, 기재할 수 있는 홈페이지 모드와, 홈페이지에 접수된 정보의 확인, 처리,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업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 모드로 구분하여 이용권한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홈페이지 모드는 각 시설물의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되고, 관리자 모 드는 각 시설물의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에게 부여되며, 홈페이지 모드 또는 관리자 모드로 권한이 설정된 이해 당사자들은 관련된 시설물의 정보에만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 컴퓨터(100)는, 각 이용권한에 따라 홈페이지 모드의 경우 시설물 소개, 민원접수, 하자보수 신청, 공지사항, 관리운영계획, 평가, 참여마당/동호회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그리고 각 이용권한에 따라 관리자 모드의 경우 전자문서, 건물관리, 시설관리, 보수/이력관리, 자산관리, 도면관리, 민원관리, 하자보수관리, 행정업무, 기술업무, 참여마당, 홈피관리, 통합관리, 성과확인, 성과평가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운영사 컴퓨터(500), 주무관청 컴퓨터(600)로 제공한다.
또한, 서버 컴퓨터(100)는 시공/시행사 측의 현장 관리자들이 소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PDA)와 통신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자료의 수집, 컴퓨터의 데이터 저장 단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업무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100)에서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이 신규회원가입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한다(S10).
S10 단계에서 통신 접속된 각 사용자 컴퓨터(200), 시행/시공사 컴퓨터(300),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운영사 컴퓨터(500), 주무관청 컴퓨터(600)로부터 신규회원가입이 선택되면, 서버 컴퓨터(100)에서는 해당 컴퓨터로 신규회원가입을 위한 소정의 양식 페이지를 제공하고(S20), 양식 페이지에 따라 각 시설물의 이해 당사자들이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 관련 시설물 정보 등의 데이터를 토대로 신규회원가입을 처리한다(S30). 그리고 신규회원가입을 수행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S40),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0).
S40 단계의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은,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정보, 사업정보, 민원신청, 하자신청, 유지보수신청, 질문에 대한 내용을 확인, 기재할 수 있는 홈페이지 모드와, 홈페이지에 접수된 정보의 확인, 처리,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업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 모드로 구분된다. 홈페이지 모드는 각 시설물의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되며, 관리자 모드는 각 시설물의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에게 부여된다. 홈페이지 모드와 관리자 모드로 권한이 설정된 이해 당사자들은, 관련된 시설물의 정보에만 접근이 가능하다.
S10 단계에서 통신 접속된 각 사용자 컴퓨터(200), 시행/시공사 컴퓨 터(300), 평가위원회 컴퓨터(400), 운영사 컴퓨터(500), 주무관청 컴퓨터(600)로부터 회원 로그인이 수행되면, 서버 컴퓨터(100)에서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는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이 입력하는 아이디, 패스워드의 로그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원 로그인을 진행하고(S60),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한다(S70).
이때 서버 컴퓨터(100)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각 이해 당사자들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제공할 때, 각 이용권한에 따라 홈페이지 모드의 경우 시설물 소개, 민원접수, 하자보수 신청, 공지사항, 관리운영계획, 평가, 참여마당/동호회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관리자 모드는 전자문서, 건물관리, 시설관리, 보수/이력관리, 자산관리, 도면관리, 민원관리, 하자보수관리, 행정업무, 기술업무, 참여마당, 홈피관리, 통합관리, 성과확인, 성과평가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한다.
홈페이지 모드로 제공되는 메뉴는, 시설물 소개 및 홍보내용 확인을 위한 시설물 소개 메뉴와, 민원, 하자보수 신청과 처리결과 확인을 위한 민원접수 및 하자보수 신청 메뉴와, 시설물 이용주체별 공지사항 확인을 위한 공지사항 메뉴와, 운영사 관리운영업무 공지 및 홍보를 위한 관리운영계획 메뉴와, 평가위원회 업무공지 및 홍보를 위한 평가 메뉴와, 시설물 이용신청, 지역주민 및 일반 이용자 커뮤니티 형성, 의견제안 및 시설물 만족도평가 확인을 위한 참여마당/동호회 메뉴 등 이 있다.
그리고 관리자 모드로 제공되는 메뉴는, 운영사, 시행/시공사, 주무관청 상호간의 공문 수, 발신을 처리하는 전자문서 메뉴와, 건물의 동, 층, 실의 상세정보 확인을 위한 건물관리 메뉴와, 시설물의 상세정보 및 이력관리를 위한 시설관리 메뉴와, 시설물의 보수이력 및 시설이력 관리를 위한 보수/이력관리 메뉴와, 건물 내 보유한 집기비품, 공구장비, 수목, 저장품의 자산 및 시설의 세부내역 관리를 위한 자산관리 메뉴와, 공종별, 시설별 도면 관리, 리비전 관리를 위한 도면관리 메뉴와, 민원 접수 및 처리를 위한 민원관리 메뉴와, 하자접수 및 처리, 시공사 인계, 실시간 하자처리과정 관리를 위한 하자보수관리 메뉴와, 스케줄, 연간관리계획, 인사관리, 민원/하자관리를 위한 행정업무 메뉴와, 작업일지, 점검일지, 외부위탁업체 관리를 위한 기술업무 메뉴와, 시설물 이용신청, 운영 콜센터에 접수된 업무 처리를 위한 참여마당 메뉴와, 각 이해 당사자들의 홈페이지 편집/가공/수정을 위한 홈피관리 메뉴와, 시설물별, 번들링별, 지역별 시설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메뉴와, 주무관청, 평가위원회의 성과 확인을 위한 성과확인 메뉴와, 평가위원회의 평가 수행을 위한 성과평가 메뉴 등이 있다.
S70 단계를 통해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한 이후, 서버 컴퓨터(100)에서는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80).
판단 결과 이해 당사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서버 컴퓨터(100)에서 는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시설물 관련정보,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업무관리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경우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데이터, 시행/시공사의 경우 하자보수 신청내역 확인, 불편사항/민원 확인, 평가위원회나 주무관청의 경우 각 시설물 관리상태 정보 등)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선택된 메뉴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경우 민원신청, 하자보수 신청 등)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한다(S90).
이후 서버 컴퓨터(100)에서는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메뉴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메뉴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면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110).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에 따른 각 메뉴별 상세동작을 나타낸 도 3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각 이해 당사자들이 서버 컴퓨터(1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 메뉴에 대하여 설명한다.
홈페이지 모드 권한으로 서버 컴퓨터(100)를 이용하는 각 시설물의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일반적인 시설물 소개 메뉴, 민원접수 및 하자보수 신청 메뉴, 공지사항 메뉴, 관리운영계획 메뉴, 평가 메뉴, 참여마당/동호회 메뉴 등을 이용하게 되며, 시설물 정보, 공지내용, 평가내용 등을 확인하고, 민원이나 하자보수 등을 신청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과 같은 일반적인 메뉴이므로 이들 메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리자 모드 권한으로 서버 컴퓨터(100)를 이용하는 각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의 경우, 일반 사용자들과는 달리 각 시설물의 관리를 직접적으로 수행하고, 관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의 확인, 처리결과 입력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각 메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문서 메뉴는 운영사, 시행/시공사, 주무관청 상호간의 공문 수, 발신을 처리하는 메뉴로서, 그룹웨어 기능을 통해 결재의 단순화와 업무의 신속성을 확보하며, 번들링별로 묶여진 외부기관과 공문 수, 발신을 온라인을 통해 직접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세부 메뉴를 살펴보면 각종 기안작성을 통한 내부 결제를 위한 기안작성 메뉴와, 공문의 작성, 내부 결재 후 외부로의 공문 발신을 위한 공문작성 메뉴와, 회계처리의 간소화를 위해 지출결의서 작성을 지원하는 지출결의서 메뉴 등으로 구성된다. 기안작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결재라인을 선택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서상에 기안을 작성하고, 작성된 기안은 결재라인을 통해 결재 대기자에 의해 결재 처리되거나, 보류된다. 공문작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결재라인을 선택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서상에 공문을 작성하고, 작성된 공문은 결재라인을 통해 결재 대기자에 의해 결재 처리되거나, 보류되고, 결재가 완료되면 문서 발송을 수행하여 공문 수신자가 이를 접수하며, 전송된 공문은 문서발송대장에 자동으로 보관된다. 지출결의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결재라인을 선택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는 지출결의서 상에 내용을 작성하고, 작성된 지출결의서는 결재라인을 통해 결재 대기자에 의해 결재 처리되거나, 보류되며, 결재가 완료된 지출결의서는 자금담당자에게 전달된다.
건물관리 메뉴는 건물의 동, 층, 실의 상세정보 확인을 위한 메뉴로서, 시설물을 건물, 동, 층, 실별로 나누어 각각의 상세정보를 해당 시설 선택시 화면상에 표시되며, 각각의 시설물 위치를 클릭할 경우 그 위치값에 해당하는 도면, 건축보수이력, 시설보수이력, 자산정보가 화면에 상호 연동되도록 표시하여 하나의 화면상에서 각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세부 메뉴를 살펴보면 건물 전체의 일반현황, 건축개요, 보험정보 및 사진정보 등을 상세하게 나타낸 건물정보 메뉴와, 임대면적, 공용면적, 방수재료, 외부마감재 등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동정보 메뉴 및 층정보 메뉴와, 실용도, 실면적, 임대면적, 실관리자 등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실정보 메뉴 등으로 구성된다. 건물정보 메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건물의 건축보수이력, 시설보수이력, 자산정보, 도면정보, 보험정보, 시설정보 등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수정할 수 있다. 동정보 메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건물정보에서 동을 선택하면, 해당 동의 시설정보, 건축보수이력, 시설보수이력, 자산정보, 도면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 상세정보 확인 후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층정보 메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건물정보와 동정보에서 층을 선택하면, 해당 층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해당 층 정보를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실정보 메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건물정보, 동정보, 층정보를 통해 실을 선택하면, 해당 실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해당 실 정보를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시설관리 메뉴는 시설물의 상세정보 및 이력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건축물에 관련된 각종 시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운영사에서 설정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하여 관리자가 시설의 확인, 수정, 삭제를 수행하도록 하며, 지역별, 대분류별, 예산별, 검색어별로 자유롭게 검색하여 예상정보 및 대처방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관리자, 일반 관리자, 관리소장의 직책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에 접근하는 권한이 다르고, 운영사측에서 전체 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설정하므로 실제 관리자들은 위치값에 따른 시설의 정보 및 위치에 따른 시설물의 보수이력을 언제든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소분류에 대한 상세 정보의 확인, 수정, 삭제만을 수행하면 된다.
보수/이력관리 메뉴는 건축물의 보수이력 및 시설의 보수이력 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관리자들이 건축물을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건물보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그 정보를 분석, 가공하여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건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보수이력 메뉴와, 시설물의 보수이력 정보를 입력하여 시설물 이력에 대한 상세정보 및 시설물의 내구연한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보수이력 메뉴로 구성된다. 건축보수이력 메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건축보수에 대한 상세 이력정보를 기간별, 위치별, 공종별, 예산별 등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검색을 통해 위치별로는 어느 위치에서 가장 많은 보수이력이 행하여졌고, 예산별로는 어떠한 예산이 건축물 보수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건축보수 이력을 새로 입력 하려면 추가를 선택하여 수정할 수 있다. 시설보수이력 메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보수이력과 마찬가지로 관리자가 시설보수에 대한 상세 이력정보를 기간별, 위치별, 시설분류별, 예산별 등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검색을 통해 위치별로는 어느 위치에서 가장 많은 시설보수가 행하여졌고, 예산별로는 어떠한 예산이 시설보수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인건비, 재료비, 잡비 등의 상세공사내역을 확인하여 운영의 투명성 및 관리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자산관리 메뉴는 건물 내 보유한 집기비품, 공구장비, 수목, 저장품의 자산 및 시설의 세부내역 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자산분류, 시설물 내의 위치(동, 층, 실)별로 자산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자산의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고, 감가상각기간, 감가상각방법 등을 연동시켜 차후 회계에 반영하도록 하며, 자산을 새로 구입하여 정보를 입력할 경우 자산추가를 통해 자산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도면관리 메뉴는 공종별, 시설별 도면 관리, 리비전 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준공 도면을 건축, 구조, 전기, 기계 등 용도별로 나누어 등록하고, 언제든지 검색을 통해 확인, 수정, 추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된 도면은 다운로드할 수 있고, 건물정보에서 각 위치값별로 도면을 등록하여 건물정보와 상호 연동하도록 하며, 도면을 업로드할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민원관리 메뉴는 민원 접수 및 처리를 위한 메뉴로서,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된 일반 사용자들의 민원을 관리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답변,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시설물의 관리자는 해당 시설물의 민원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운영사, 주무관청 등에서는 전체 시설물이 종합적인 민원 처리상태 및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 사용자들의 민원이 접수되면, 관리자는 접수된 민원을 종류별, 처리상태별, 신청일별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고, 민원의 처리결과를 공개/비공개로 선택하여 답변할 수 있고, 공개시에는 홈페이지 민원리스트에 답변이 공개되며, 비공개시에는 민원인들에게 메일로 답변이 전송된다.
하자관리 메뉴는 하자접수 및 처리, 시공사 인계, 실시간 하자처리과정 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일반 사용자들은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시설물에 하자가 있을 경우 신청할 수 있으며, 시설 관리자들은 접수된 하자와 시설관리를 하면서 발생한 하자를 직접 입력하여 하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 사용자가 하자를 신청하거나 또는 관리자 메뉴에서 관리자가 직접 하자를 신청하면, 하자를 담당하는 관리자는 접수된 하자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이에 대한 답변을 수행하며, 하자 처리를 위하여 시공/시행사 측에 하자내용을 전달하여 시공/시행사 측에서 하자를 완료하도록 한다. 이러한 하자관리의 진행상황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행정업무 메뉴는 스케줄, 연간관리계획, 인사관리, 민원/하자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관리자들이 행정업무에 필요한 항목만을 구성하며, 스케쥴 관리 메뉴, 직원명부 메뉴, 직원근태현황 메뉴 등으로 구성된다. 스케쥴 관리 메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년, 월, 일별로 스케쥴을 작성하고, 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며, 제목, 내용 등을 입력하여 스케쥴표로 나타나도록 한다. 직원명부 메뉴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근무자, 입사일자, 검색어를 통해 현재 종사하고 있는 근무자들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직원이 새로 입사하거나 퇴사하는 경우 직원추가를 통해 직원의 입퇴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직원근태현황 메뉴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기술업무의 작업일지와 연동되는 메뉴이며, 작업일지에서 근무자의 근태현황, 즉 출근, 결근, 조퇴 등의 정보를 매일 입력하면 근태현황이 연계되어 출근부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관리자들은 근무자들의 근태현황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다.
기술업무 메뉴는 작업일지, 점검일지, 외부위탁업체 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운영에 필요한 법정일지 및 각종 측정일지를 공종별 또는 주기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일지 메뉴, 일지 메뉴, 에너지관리 메뉴 등으로 구성된다. 작업일지 메뉴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직원들의 근태상태를 체크하고, 금일 보수/이력사항, 민원/하자사항이 있으면 자동으로 화면상에 확인할 수 있다. 일지 메뉴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들은 월별, 일별 현황을 확인한 후 불량이나 이상이 있는 경우 보수위치, 조치 내용에 대한 불량 및 보수내용을 입력하여 일지작성을 수행하도록 한다. 에너지관리 메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전기, 난방, 수도, 가스 등의 에너지관리에 대한 내용을 선택하여 에너지현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참여마당 메뉴는 시설물 이용신청, 운영 콜센터에 접수된 업무 처리를 위한 메뉴로서, 시설물이용신청 메뉴와 의견제안 메뉴 등으로 구성된다. 시설물이용신청 메뉴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통해 시설물이용을 신청하면, 관리자는 해당 시설물이용신청 내역을 확인하여 시설물이용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의견제안 메뉴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통해 시설물에 관련된 각종 의견제안 내용을 입력하면, 관리자는 해당 의견제안 내용을 확인한 후 제안된 의견에 대하여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홈피관리 메뉴는 각 이해 당사자들의 홈페이지 편집/가공/수정을 위한 메뉴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홈페이지의 메뉴별 내용을 운영사, 주무관청, 시행/시공사가 각각의 특성에 맞게 직접 편집/가공하는 메뉴이다. 이렇게 가공/편집된 내용을 저장하면 그 변동사항이 자동으로 홈페이지에 반영되며, 언제든지 각 환경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통합관리 메뉴는 시설물별, 번들링별, 지역별 시설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메뉴로서, 민원관리, 하자관리, 행정업무, 기술업무 등의 세부 메뉴 중 운영사가 통합적으로 확인해야 할 메뉴들을 총체적으로 구성한 화면이다. 운영사는 이 메뉴를 통하여 사업별, 번들링별, 지역별, 기간별 등 그 조건에 따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사업의 상세 내용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출근부의 경우 운영사는 전체 사업별 출근 인원 상태를 종합적으로 볼 수 있으며, 일지의 경우 각 일지에 따라 작성되지 않은 사업장은 화면상에 알람표시가 나타나 운영사는 즉시 그 사항을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일지를 작성함으로써 업무 누락을 사전에 예방조치할 수 있다.
성과확인 메뉴는 주무관청, 평가위원회의 성과 확인을 위한 메뉴로서, 행정관리 및 기술업무가 운영사에 적합하게 세팅이 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일지, 건축일지, 설비일지, 전기일지, 에너지, 경비방재, 환경일지 등이 완벽하게 작성되어 졌는지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출력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운영사는 출력물을 통해 성과보고서를 완성할 수 있으며, 출력 이전에 오타나 운영사의 입장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수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한다.
성과평가 메뉴는 평가위원회의 평가 수행을 위한 메뉴로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각각의 번들링별로 성과평가표를 생성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위원이 성과평가표를 토대로 민원/하자, 보수이력, 일지 등의 내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성과평가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에 따른 각 메뉴별 상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서버 컴퓨터
200 : 사용자 컴퓨터
300 : 시행/시공사 컴퓨터
400 : 평가위원회 컴퓨터
500 : 운영사 컴퓨터
600 : 주무관청 컴퓨터

Claims (12)

  1. (1) 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 또는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2)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1) 단계에서 신규회원가입을 수행하는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별로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정보, 사업정보, 민원신청, 하자신청, 유지보수신청, 질문에 대한 내용을 확인, 기재할 수 있는 홈페이지 모드와, 홈페이지에 접수된 정보의 확인, 처리,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업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 모드로 구분되는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3)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1) 단계에서 회원 로그인을 수행하는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이 입력하는 아이디, 패스워드의 로그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원 로그인을 진행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4) 상기 서버 컴퓨터는,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시설물 관련정보,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및
    (5)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4) 단계를 통해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여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해당 내용을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설정되는 상기 홈페이지 모드는 각 시설물의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되며,
    상기 관리자 모드는 각 시설물의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에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홈페이지 모드와 관리자 모드로 권한이 설정된 이해 당사자들은,
    관련된 시설물의 정보에만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각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할 때,
    각 이용권한에 따라 홈페이지 모드의 경우 시설물 소개, 민원접수, 하자보수 신청, 공지사항, 관리운영계획, 평가, 참여마당/동호회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관리자 모드는 전자문서, 건물관리, 시설관리, 보수/이력관리, 자산관리, 도면관리, 민원관리, 하자보수관리, 행정업무, 기술업무, 참여마당, 홈피관리, 통합관리, 성과확인, 성과평가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모드로 제공되는 페이지의 각 메뉴는,
    시설물 소개 및 홍보내용 확인을 위한 시설물 소개 메뉴와, 민원, 하자보수 신청과 처리결과 확인을 위한 민원접수 및 하자보수 신청 메뉴와, 시설물 이용주체별 공지사항 확인을 위한 공지사항 메뉴와, 운영사 관리운영업무 공지 및 홍보를 위한 관리운영계획 메뉴와, 평가위원회 업무공지 및 홍보를 위한 평가 메뉴와, 시설물 이용신청, 지역주민 및 일반 이용자 커뮤니티 형성, 의견제안 및 시설물 만족도평가 확인을 위한 참여마당/동호회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드로 제공되는 페이지의 각 메뉴는,
    운영사, 시행/시공사, 주무관청 상호간의 공문 수, 발신을 처리하는 전자문서 메뉴와, 건물의 동, 층, 실의 상세정보 확인을 위한 건물관리 메뉴와, 시설물의 상세정보 및 이력관리를 위한 시설관리 메뉴와, 시설물의 보수이력 및 시설이력 관리를 위한 보수/이력관리 메뉴와, 건물 내 보유한 집기비품, 공구장비, 수목, 저장품의 자산 및 시설의 세부내역 관리를 위한 자산관리 메뉴와, 공종별, 시설별 도면 관리, 리비전 관리를 위한 도면관리 메뉴와, 민원 접수 및 처리를 위한 민원관리 메뉴와, 하자접수 및 처리, 시공사 인계, 실시간 하자처리과정 관리를 위한 하자보수관리 메뉴와, 스케줄, 연간관리계획, 인사관리, 민원/하자관리를 위한 행정업무 메뉴와, 작업일지, 점검일지, 외부위탁업체 관리를 위한 기술업무 메뉴와, 시설물 이용신청, 운영 콜센터에 접수된 업무 처리를 위한 참여마당 메뉴와, 각 이해 당사자들의 홈페이지 편집/가공/수정을 위한 홈피관리 메뉴와, 시설물별, 번들링별, 지역별 시설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메뉴와, 주무관청, 평가위원회의 성과 확인을 위한 성과확인 메뉴와, 평가위원회의 평가 수행을 위한 성과평가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8. 시설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이 구축되어 있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을 포함한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들의 신규회원가입에 따라 각 시설물별 이해 당사자별로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정보, 사업정보, 민원신청, 하자신청, 유지보수신청, 질문에 대한 내용을 확인, 기재할 수 있는 홈페이지 모드와, 홈페이지에 접수된 정보의 확인, 처리, 시설물 관리에 소요되는 업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 모드로 구분되는 서비스 이용범위에 대한 권한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권한에 따른 메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 로그인을 수행한 이해 당사자의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고, 이용권한에 따른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확인한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메뉴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페이지를 해당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각 이해 당사자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각종 신청 데이터 및 문의 데이터, 신청 내용의 처리결과 데이터, 업무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
    시설물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제공받아 열람하고, 시설물 사용에 따른 불편사항, 하자, 민원을 신청하며, 불편사항, 하자, 민원의 처리결과를 확인하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
    시설물 점검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며, 전자결재를 통한 문서 수, 발신, 접수된 민원, 하자신청에 따라 신속한 하자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그 처리결과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복수의 시행/시공사 컴퓨터;
    시설물의 통합적인 점검상태 및 관리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된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위원이 입력하는 평가데이터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제공하는 복수의 평가위원회 컴퓨터;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시설물의 관리정보를 토대로 종합적인 관리계획의 수립 및 지시를 수행하는 복수의 운영사 컴퓨터; 및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시설물의 정보를 토대로 관리상태 및 점검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시설물 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복수의 주무관청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모드는 각 시설물의 일반 사용자에게 부여되고,
    상기 관리자 모드는 각 시설물의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에게 부여되며,
    홈페이지 모드 또는 관리자 모드로 권한이 설정된 이해 당사자들은 관련된 시설물의 정보에만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각 이용권한에 따라 홈페이지 모드의 경우 시설물 소개, 민원접수, 하자보수 신청, 공지사항, 관리운영계획, 평가, 참여마당/동호회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며,
    각 이용권한에 따라 관리자 모드의 경우 전자문서, 건물관리, 시설관리, 보수/이력관리, 자산관리, 도면관리, 민원관리, 하자보수관리, 행정업무, 기술업무, 참여마당, 홈피관리, 통합관리, 성과확인, 성과평가 메뉴가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당 시행/시공사, 운영사, 평가위원회, 주무관청 컴퓨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현장 관리자들이 소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직접 처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080055414A 2008-06-12 2008-06-12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9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414A KR100990981B1 (ko) 2008-06-12 2008-06-12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414A KR100990981B1 (ko) 2008-06-12 2008-06-12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247A KR20090129247A (ko) 2009-12-16
KR100990981B1 true KR100990981B1 (ko) 2010-10-29

Family

ID=4168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414A KR100990981B1 (ko) 2008-06-12 2008-06-12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98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15B1 (ko) * 2011-05-19 2014-08-29 주식회사 하나은행 부동산 신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7957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플러스원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KR20200027685A (ko)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27686A (ko)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200031246A (ko) 2018-09-14 2020-03-24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10070650A (ko)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소림기계설비 하자 보수 시스템
KR102475675B1 (ko) * 2021-06-14 2022-12-08 김병수 네트워크 및 IoT 기반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1561B1 (ko)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인공지능 기반 시설관리를 위한 인력 파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8179B1 (ko) 2022-04-18 2023-06-28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장치
KR20230097485A (ko) 2021-12-24 2023-07-03 (주) 지오씨엔아이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50B1 (ko) * 2012-04-18 2014-03-28 (주)참슬테크 공동주택 단지의 양방향 하자 처리 인증 방법과 그에 따른 양방향 하자 처리 인증 장치
KR101475287B1 (ko) * 2012-10-15 2014-12-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06384B1 (ko) * 2013-04-01 2015-04-02 제이예스주식회사 클라우드형 건물 관리 방법
KR101631544B1 (ko) * 2014-06-26 2016-06-27 (주)유퍼스트경영컨설팅 부동산 임대 관리 시스템
KR101719712B1 (ko) * 2014-12-03 2017-04-04 (주)유퍼스트경영컨설팅 부동산 임대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KR101683441B1 (ko) * 2016-05-26 2016-12-07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2034681B1 (ko) * 2017-12-04 2019-10-21 서종목 건물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16647B1 (ko) * 2019-02-15 2021-02-17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민원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57343B1 (ko) * 2019-10-21 2021-05-26 김정규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방법 및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시스템
KR102313872B1 (ko) * 2020-11-27 2021-10-18 주식회사 디비엔텍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3차원 공간 객체 가시화 방법 및 장치
KR102281802B1 (ko) * 2021-01-11 2021-07-27 (주)에스엠종합관리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358946B1 (ko) * 2021-05-07 2022-02-08 김현금 공동주택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54172B1 (ko) * 2022-08-08 2022-10-14 주식회사 와이즈엠시스템즈 화면 개발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15B1 (ko) * 2011-05-19 2014-08-29 주식회사 하나은행 부동산 신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7957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플러스원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KR101905636B1 (ko) * 2016-12-29 2018-10-08 주식회사 플러스원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KR20200027685A (ko)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27686A (ko)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200031246A (ko) 2018-09-14 2020-03-24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10070650A (ko)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소림기계설비 하자 보수 시스템
KR102475675B1 (ko) * 2021-06-14 2022-12-08 김병수 네트워크 및 IoT 기반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7485A (ko) 2021-12-24 2023-07-03 (주) 지오씨엔아이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8179B1 (ko) 2022-04-18 2023-06-28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장치
KR102511561B1 (ko)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인공지능 기반 시설관리를 위한 인력 파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247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81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Lam et al. Determinants of successful design-build projects
Biesenthal et al. The role of ostensive and performative routine aspects in dynamic capability deployment at different organizational levels
US20190220936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US20050102152A1 (en) Commercial real estate property management system
KR101683441B1 (ko) 모바일 기반의 준공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N102122373A (zh) 基于网络的实施门户网站的自动化系统和方法
CN102945519A (zh) 一种银行内部工作审批流程管理系统
Fikri Mohamed et al. Potential for improving site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Sidawi Management problems of remote construction projects and potential IT solutions; The case of kingdom of Saudi Arabia
Kirby et al. Improvements in design review management
KR100815603B1 (ko)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Janné et al. Construction logistics in urban development projects–learning from, or repeating, past mistakes of city logistics?
CN112085225A (zh) 一种用户侧电力设备的运维系统及方法
JP2007087074A (ja) 携帯端末を使用した工程管理システム
KR101793053B1 (ko) 인턴 육성 통합관리시스템
Han et al. Evaluation of CITIS as a collaborative virtual organization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alem et al. Project management practi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Obi et al. Low-cost housing: A cost management model for process integration and evaluation
CN115358706A (zh) 一种基于政务业务协同技术的跨域通办方法及支撑系统
KR102285541B1 (ko) 온라인을 통한 건축심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사전 자문 중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Lee et al.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ntexts on EDI controls
Chen et al. An empirical model for decision‐making on ISO 14000 acceptance in the Shanghai construction industry
Sidawi et al. The use of advanced computer based management systems by large Saudi companies for managing remote construction projects
KR20030049652A (ko) 임대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