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802B1 -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802B1
KR102281802B1 KR1020210003471A KR20210003471A KR102281802B1 KR 102281802 B1 KR102281802 B1 KR 102281802B1 KR 1020210003471 A KR1020210003471 A KR 1020210003471A KR 20210003471 A KR20210003471 A KR 20210003471A KR 102281802 B1 KR102281802 B1 KR 10228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uilding management
management integrated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석
노희석
송명준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종합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종합관리 filed Critical (주)에스엠종합관리
Priority to KR102021000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을 이용하여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건물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관리비, 하자보수, 인테리어, 홍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리서비스를 요청하는 회원단말; 및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으로 요청된 관리서비스와 관련된 관련정보를 상기 건물관리와 계약된 외부업체의 단말들로부터 요청 및 제공받은 후, 회원자격요건에 따른 관리서비스만을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System that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building management}
본 발명은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건물 내에 구획된 각 영역의 임대에 관련된 정보, 건물 내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정 보, 건물 출입 및 보안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임대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건물 내 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가 오프 라인 상에서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있고, 여러 관리 항목들이 산발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열람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건물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가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임대인들이 이를 열람하기 위하여 관리자를 직접 방문해야 하고 열람을 원하는 서류를 찾기 위해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36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시스템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을 이용하여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건물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관리비, 하자보수, 인테리어, 홍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리서비스를 요청하는 회원단말; 및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으로 요청된 관리서비스와 관련된 관련정보를 상기 건물관리와 계약된 외부업체의 단말들로부터 요청 및 제공받은 후, 회원자격요건에 따른 관리서비스만을 필터링하여 제공하고, 제공한 관리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회원단말로 청구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하자소송의뢰를 수신하면, 해당 건물의 하자요건을 분석한 후, 분석된 하자요건이 하자소송의 요건에 부합하면, 제휴된 법률대리인 정보를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은 건물하자소송과 관련된 판례정보로부터 사건번호, 승소 및 패소 소송대리인 식별정보, 인용된 판례를 나타내는 인용판례 식별 정보, 해당 심급에 대한 심급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승소 및 패소 소송대리인 식별정보를 기초로 소송대리인별로 평가점수를 결정하여 제공하고, 상위에 랭크된 소송대리인 별 대리인 수수료에 대한 약식정보를 해당 소송대리인에게 요청하여 수집한 후, 수집한 수수료 비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AI 법률 검색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업체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과 계약된 하자/보수용역업체, 인테리어 업체, 기타 설비업체, 부동산 중개업체, 법률중개업체, 광고대행업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회원(건물 소유주)이 등록한 건물에 입주한 입주자들에게 회원을 대신하여 관리비 청구 및 대리수납하고, 입주자 별 관리비 미납분에 대한 통계치를 기간별로 산출하여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회원(임차인)이 등록한 물건(상가, 오피스텔, 아파트, 빌라 중 어느 하나)으로 청구된 관리비의 집행내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주변 상권에 대한 광고주를 모집하고, 모집된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를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건물하자보수를 요청하면, 상기 건물하자와 관련된 보수업체 정보를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공용부 문제를 의뢰받으면, 관련 담당자의 단말로 방문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부동산 거래를 요청받으면, 상기 회원단말이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 위치와 인접한 제휴된 부동산 중개업자와 1:1 상담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면, 집합건물법, 주택법, 공동주택관리법, 표준관리규약내용에 의거하여 건물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안들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리비가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건물에 대한 관리비를 수납, 대납 처리할 수 있고, 건물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의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관리 통합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의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100)은 회원단말(200) 및 통합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회원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건물관리 통합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건물관리 통합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회원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할 것이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소유 또는 임대한 건물과 관련된 관리정보(하자수리/보수, 광고홍보, 인테리어, 건물소송, 임대분양 등)를 통합처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로서, 사용자가 등록한 건물의 하자/보수/수리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요청 및 요청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건물하자소송에 필요한 전문변호사 선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건물관리비의 통계, 처리, 대납 등에 대한 건물관리비용 사후처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건물 내부 인테리어 공사와 관련된 업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건물임대료를 정산처리하는 임대료 정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통해 입주절차 서류를 등록/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사예약, 중도금대출 상환, 분양대금/옵션대금 완납, 선수관리비 납부, 입주증 발급/열쇠불출, 관리자 동반 시설물검침, 시설물확인서 작성과 관련된 서류를 등록 후, 서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아파트, 빌라, 상가 등)의 입주자 및 소유주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의 이용가입에 필요한 필수정보(예컨대, 개인정보, 임대차계약서 등)를 제공할 수 있고,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회원승인에 따른 회원 ID 및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여기서, 회원정보는 개인정보, 거주 또는 비거주하는 건물지번(동, 호, 도로 등), 건물종류, 관리비 정산대상(건물번호), 함께 살고있는 거주자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대상건물의 하자보수를 요청 및 하자보수업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하자보용역 업체로부터 하자보수 수리에 대한 비용 및 처리일자에 대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이용하여 건물의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한 건물관리정보(예컨대, 관리비 고지서, 보수공사, 각종 공지사항)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활동가능한 커뮤니티의 개설승인을 받은 후, 동일 단지 또는 동일 동에 입주한 입주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개설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주변시설물, 부동산 거래, 교통정보, 이사, 인테리어, 관공서 등의 편의 시설정보를 검색 및 검색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회원(건물 소유주)이 등록한 건물에 입주한 입주자들에게 회원을 대신하여 관리비 청구 및 대리수납하고, 입주자 별 관리비 미납분에 대한 통계치를 기간별로 산출하여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상기 회원(임차인)이 등록한 물건(상가, 오피스텔, 아파트, 빌라 중 어느 하나)으로 청구된 관리비의 집행내역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회원이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주변 상가, 상권, 시설에 대한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회원이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공용부 및 세대내부(전유부) 문제 및 관련 담당자의 방문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부동산 거래를 요청할 수 있고,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 위치와 인접한 제휴된 부동산 중개업자와 1:1 상담채널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건물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는 단말로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상기 회원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300)는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으로 요청된 관리서비스와 관련된 관련정보를 상기 건물관리와 계약된 외부업체의 단말들로부터 요청 및 제공받은 후, 회원자격요건에 따른 관리서비스만을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관리 통합 서버(300)는 관리비 통합처리부(310), 광고 대행부(320), 용역업체 관리부(330), 건물비용 처리부(340), 법률서비스부(350), 건물집행서비스부(360), 부동산 거래 중개부(370) 및 플랫폼 제공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비 통합처리부(310)는 회원이 등록한 소유 또는 임대건물에서 발생하는 관리비 내역을 계상하여 제공하고, 회원이 임차인의 경우, 관리비 수납, 대납 업무를 지원하고, 또한, 미납분에 대한 내역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관리비 통합처리부(310)는 회원이 건물 소유주 일 경우, 회원단말(200)에서 등록한 건물 내의 세대별 부과되는 관리비 내역을 회원단말로 제공할 수 있고, 회원이 임차인 일 경우, 해당 임대건물에 대한 관리비 내역을 회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대행부(320)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의 인근주변의 시설물, 상가에 대한 광고홍보를 대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광고대행부(320)는 외부단말에서 지정한 광고홍보지역 및 광고 홍보물을 제공받으면, 상기 광고홍보지역에서 접속된 회원의 단말에 광고 홍보물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광고대행부(320)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주변 상권에 대한 광고주를 온라인으로 모집하고, 모집된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를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역업체 관리부(330)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과 계약된 용역업체를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용역업체는 건물시설관리와 계약된 업체일 수 있다. 또한, 회원이 등록한 건물의 인근 주변 설비업체, 인테리어 업체, 하자/보수 업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법률서비스부(340)는 회원단말(200)로부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하자소송의뢰를 수신하면, 해당 건물의 하자요건을 분석한 후, 분석된 하자요건이 하자소송의 요건에 부합하면, 제휴된 법률대리인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건물집행서비스부(350)는 회원단말(200)로부터 건축물의 공용부 및 전유부(세대내부) 문제를 의뢰받으면, 관련 담당자의 단말로 공용부 문제해결을 위한 방문지시를 요청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 거래 중개부(370)는 부동산 거래중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회원이 부동산 거래 중개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한 건물 인근에 위치한 공인중개업소의 단말로 회원이 매매/매입/임대/임차하고자 하는 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 거래 중개 인터페이스(16)는 임대인이 소유하거나 또는 가족이 소유하거나 또는 친척이 소유하는 매물의 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매물구분, 매물종류, 금액 등)을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한 매물의 매물번호, 매물정보, 권리분석관리, 권리분석등록상태, 매물취소/계약완료 표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랫폼 제공부(380)는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10)은 건물관리비 인터페이스(11), 광고대행 인터페이스(12), 용역업체 인터페이스(13), 법률서비스 인터페이스(14), 건물집행 인터페이스(15), 부동산 거래중개 인터페이스(16), 건물하자/보수 인터페이스(17) 및 민원서비스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한다.
건물관리비 인터페이스(11)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 호수에 대한 일, 월, 년에 대한 관리비 납부여부, 미납여부 등을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건물관리비 인터페이스(11)는 임대인 및 임차인으로 회원을 분류하며, 임대인 항목의 경우, 가령, 건물주의 경우, 등록한 건물에 포함된 전체호수 별로 계상된 관리비가 회원이 등록한 계좌로 입금되었는 지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임차인 항목의 경우, 등록한 건물의 호수 및 건물주의 계좌번호를 제공하고, 해당 계좌번호로 납입한 월별 관리비 내역을 관리한다.
또한 건물관리비 인터페이스(11)는 회원에게 제공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료를 관리비에 합산한 합산값을 제공한다.
가령, 회원이 건물하자를 보수 하기 위하여 건물하자보수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건물하자보수업체를 연결 및 건물하자보수업체의 공사수수료를 관리비에 합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원이 소유 또는 임대한 건물 주변의 설비업체 또는 인테리어업체 또는 기타 업체와의 1:1 온라인(통신) 연결을 요청할 경우, 1:1 연결중계 비용을 관리비에 합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대행 인터페이스(12)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의 인근주변의 시설물에 대한 광고홍보물을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용역업체 인터페이스(13)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과 제휴되거나 또는 용역대상으로 등록된 건물하자보수, 건물인테리어, 건물주변시설과 관련된 시설업체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법률서비스 인터페이스(14)는 건물하자소송과 관련한 법률절차, 판례, 법률대리인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서비스 인터페이스(14)는 AI 법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AI 법률 검색 서비스는 건물하자소송과 관련된 판례정보로부터 사건번호, 승소 및 패소 소송대리인 식별정보, 인용된 판례를 나타내는 인용판례 식별정보, 해당 심급에 대한 심급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서비스 인터페이스(14)는 승소 및 패소 소송대리인 식별정보를 기초로 소송대리인별로 평가점수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서비스 인터페이스(14)는 상위에 랭크된 소송대리인별 대리인 수수료에 대한 약식정보를 해당 소송대리인에게 요청하여 수집한 후, 수집한 수수료 비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소송대리인별 수수료 비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물집행 인터페이스(15)는 건축물의 공용부의 문제발생 또는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회원으로부터 공용부의 문제점 및 긴급상황에 대한 내용을 접수하고, 접수된 공용부의 문제점 및 긴급상황과 관련된 관리 담당자에게 방문호출 서비스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건물집행 인터페이스(15)는 건물집행과 관련된 건물집행 서비스의 종류 및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 거래중개 인터페이스(16)는 월세, 전세, 매매 등에 대한 부동산 거래 물건을 등록하고, 등록한 건물 인근에 위치한 공인중개업소의 단말로 회원이 매매/매입/임대/임차하고자 하는 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 거래중개 인터페이스(16)는 임대인이 소유하거나 또는 가족이 소유하거나 또는 친척이 소유하는 매물의 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매물구분, 매물종류, 금액 등)을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한 매물의 매물번호, 매물정보, 권리분석관리, 권리분석등록상태, 매물취소/계약완료 표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물하자/보수 인터페이스(17)는 건물의 중대한 하자가 발생될 경우, 해당 건물과 제휴된 설비업체 또는 해당 건물 인근 주변에 위치한 하자보수업체의 연락처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참고로, 건축물은 일반적인 소비재와 달리 긴 생애주기를 가지므로 생애주기 동안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유지관리 활동을 통해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의 효율적 유지관리는 직접적으로 주민들의 삶의 질과 직결 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공동주택 관리비의 비중이 만만치 않으므로 다수의 사람들은 공동주택 의 임대 또는 구입을 선택할 때 관리비 부담수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공동주택의 유지관리 비용에서, 개별 가구에 소요되는 비용은 개별적으로 부담하게 되지만, 공용부분의 유지관리 비용은 공동주택 단지 주민들 이 함께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공용관리비 산정에 대한 문제는 주민들의 관심도가 높고 민감한 사항이다. 하지만, 공동주택의 형태가 복잡화, 다양화되어 단지 규모나 관리방식, 부대시설 수준 등 공동주택의 관리비에 영향을 주는 항목이 다양해져 적정한 공용관리비 산정 및 예측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과거의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공동주택에 예측되는 공용관리비를 추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축물의 운영특성을 고려하여,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공용관리비 추산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면, 집합건물법, 주택법, 공동주택관리법, 표준관리규약내용에 의거하여 건물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안들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리비가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건물에 대한 관리비를 수납, 대납 처리할 수 있고, 건물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건물관리 통합 시스템
200: 회원단말
300: 건물관리 통합 서버
310: 관리비 통합처리부
320: 광고 대행부
330: 용역업체 관리부
340: 법률서비스부
350: 건물집행서비스부
360: 부동산 거래 중개부
370: 플랫폼 제공부

Claims (9)

  1.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을 이용하여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건물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관리비, 하자보수, 인테리어, 홍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리서비스를 요청하는 회원단말; 및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으로 요청된 관리서비스와 관련된 관련정보를 상기 건물관리와 계약된 외부업체의 단말들로부터 요청 및 제공받은 후, 회원자격요건에 따른 관리서비스만을 필터링하여 제공하고, 제공한 관리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회원단말로 청구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에 대한 하자소송의뢰를 수신하면, 해당 건물의 하자요건을 분석한 후, 분석된 하자요건이 하자소송의 요건에 부합하면, 제휴된 법률대리인 정보를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은
    건물하자소송과 관련된 판례정보로부터 사건번호, 승소 및 패소 소송대리인 식별정보, 인용된 판례를 나타내는 인용판례 식별 정보, 해당 심급에 대한 심급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승소 및 패소 소송대리인 식별정보를 기초로 소송대리인별로 평가점수를 결정하여 제공하고, 상위에 랭크된 소송대리인 별 대리인 수수료에 대한 약식정보를 해당 소송대리인에게 요청하여 수집한 후, 수집한 수수료 비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AI 법률 검색 서비스를 지원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업체는
    회원이 등록한 건물과 계약된 하자/보수용역업체, 인테리어 업체, 기타 설비업체, 부동산 중개업체, 법률중개업체, 광고대행업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회원(건물 소유주)이 등록한 건물에 입주한 입주자들에게 회원을 대신하여 관리비 청구 및 대리수납하고, 입주자 별 관리비 미납분에 대한 통계치를 기간별로 산출하여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건물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회원(임차인)이 등록한 물건(상가, 오피스텔, 아파트, 빌라 중 어느 하나)으로 청구된 관리비의 집행내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주변 상권에 대한 광고주를 모집하고, 모집된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를 상기 건물관리 통합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건물하자보수를 요청하면, 상기 건물하자와 관련된 보수업체 정보를 상기 회원단말로 제공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의 공용부 문제를 의뢰받으면, 관련 담당자의 단말로 방문을 지시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관리 통합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부동산 거래를 요청받으면, 상기 회원단말이 등록한 소유건물 또는 임대건물 위치와 인접한 제휴된 부동산 중개업자와 1:1 상담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03471A 2021-01-11 2021-01-11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28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71A KR102281802B1 (ko) 2021-01-11 2021-01-11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71A KR102281802B1 (ko) 2021-01-11 2021-01-11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02B1 true KR102281802B1 (ko) 2021-07-27

Family

ID=7712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471A KR102281802B1 (ko) 2021-01-11 2021-01-11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510B1 (ko) * 2022-08-22 2023-12-11 아트리움컨설턴트(주)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시 출입제어 및 하자보수 접수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916A (ko) * 2003-07-12 2005-01-21 한의수 부동산 거래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9247A (ko) * 2008-06-12 2009-12-16 박장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33689B1 (ko) 2012-07-17 2013-02-15 (주)델타온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
KR20140068526A (ko) * 2012-11-28 2014-06-09 김정현 주거 생활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 서비스 중개 방법
KR101506384B1 (ko) * 2013-04-01 2015-04-02 제이예스주식회사 클라우드형 건물 관리 방법
KR102047019B1 (ko) * 2019-02-28 2019-11-20 (주)에스엠종합관리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6089B1 (ko) * 2020-06-17 2020-12-04 (주)코아브릿지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916A (ko) * 2003-07-12 2005-01-21 한의수 부동산 거래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9247A (ko) * 2008-06-12 2009-12-16 박장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33689B1 (ko) 2012-07-17 2013-02-15 (주)델타온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
KR20140068526A (ko) * 2012-11-28 2014-06-09 김정현 주거 생활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 서비스 중개 방법
KR101506384B1 (ko) * 2013-04-01 2015-04-02 제이예스주식회사 클라우드형 건물 관리 방법
KR102047019B1 (ko) * 2019-02-28 2019-11-20 (주)에스엠종합관리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6089B1 (ko) * 2020-06-17 2020-12-04 (주)코아브릿지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510B1 (ko) * 2022-08-22 2023-12-11 아트리움컨설턴트(주)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시 출입제어 및 하자보수 접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0869B2 (ja) 担保価値審査装置、担保価値審査プログラム及び融資システム
US2007002773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geographically dispersed properties
US20150235333A1 (en) Relocation, property rental, purchase, and management facilitation
KR102296941B1 (ko) 건물 임대분양 및 사후관리 통합처리 시스템
KR101693354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150278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ing community shared vehicles based on amenity value of shared vehicle programs
KR20130021741A (ko) 금융 기관의 사업장 평가를 이용하는 대출 여신 심사 시스템 및 대출 여신 심사 방법
KR20200090563A (ko) 부동산 허위/중복 매물 방지 및 안심 거래 서비스 시스템
KR102281802B1 (ko)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JP2014142710A (ja) 不動産賃貸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Buteau et al. Emerging insights from digital solutions in financial inclusion
US201502789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ng community shared vehicles based on amenity value of shared vehicle programs
KR20210016982A (ko) 인터넷을 통한 상가 분양 정보 제공시스템
CN110648223A (zh) 一种核给大额业务额度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631544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시스템
KR20090056345A (ko) 부동산 관련 매매/분양/임대정보 실시간 온라인서비스프랜차이즈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542605B1 (ko)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1140550A (ja) 不正検出装置、外国人就労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外国人就労者の不正労働の検出方法。
KR20210001029A (ko)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Tontisirin et al. Measuring transit accessibility benefits and their implications on land value capture: a case study of the Bangkok Metropolitan Region
Roux Land registration use: Sales in a state-subsidised housing estate in South Africa
KR20230151840A (ko) 부동산 등기 분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6305A (ko) 네트워크 기반의 부동산 중개 매칭 방법
JP6418427B1 (ja) 民泊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民泊管理支援方法
Albalate et al. Misinformation and misperception in the market for p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