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05B1 -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2605B1 KR102542605B1 KR1020230005898A KR20230005898A KR102542605B1 KR 102542605 B1 KR102542605 B1 KR 102542605B1 KR 1020230005898 A KR1020230005898 A KR 1020230005898A KR 20230005898 A KR20230005898 A KR 20230005898A KR 102542605 B1 KR102542605 B1 KR 102542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housing
- management
- residence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heatin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9305 tax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146 Pre-existi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79 co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19 fig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52 pri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92 so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06Q50/30—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의 신청을 수신하며 대상을 선정하여 전송하는 지자체 서버,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하고,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 따라 발생하는 유지비를 일괄납부하며, 주택성능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지자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받아 게재하는 공공지원안내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유지비를 조회한 후 일괄납부되도록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로 청구하는 일괄납부관리부,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등급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성능진단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저층주거지의 주택성능진단, 유지비일괄납부, 공공지원사업안내, 주택관리업체 중개 및 지역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심의 노후 주거지에서 발생하는 주거환경의 질적인 차이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시설, 양질의 기반시설, 사회서비스시설, 문화시설의 소외에서 오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차이는 건축물과 기반시설의 노후, 범죄와 안전문제, 공동체 해체 등 지속적으로 지역쇠퇴 가속화 과정을 겪고 있는 정비사업 해제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주거환경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해제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비구역 해제지역 관리지침에서는 대안재생사업, 소규모 정비사업, 지원사업 등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지만, 해제지역의 대부분은 관리방안이 마련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에서는 생활편의시설에서 소외되어 있는 노후 주거지의 생활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일상생활의 편익을 증진시키고자, 생활기반시설 공급의 최저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이때, 주택관리업무를 대행하거나 연식 및 내외장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레벨을 설정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410928호(2022년06월23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469351호(2022년11월22일 공고)에는, 중소형 공동주택 건물종류 및 관리이력에 따라 관리항목을 추출하고, 관리항목별 시설항목에 기초하여 관리주기를 결정하며, CCTV로 촬영된 관리객체이미지를 모니터링한 후 이미지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항목별 작업스케줄에 대응하여 매칭여부를 확인하며, 항목별 작업이미지, 작업스케줄 및 공동관리비를 정산하는 구성과, 관리대상주택에 대한 정원정보, 연식정보, 환경정보 및 데크정보를 획득하고, 외장관리레벨 및 내장관리레벨을 결정하며, 방제보안레벨, 외장관리레벨 및 내장관리레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관리비용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공사업체가 이미 결정된 후에 관리항목을 지정하고 수리를 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일 뿐, 공사업체를 중개하거나 정부 및 지자체의 도시재생뉴딜사업 및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안내하고 제공하는 구성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에도 내외장관리를 수행하고 있지만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 또는 공동주택과 같이 상하수도, 전기비, 난방비 등을 종합하여 관리 및 청구하는 구성이 아니다. 저층주거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일반주거지역 중에서도 4층 이하의 단독ㆍ다세대ㆍ연립주택으로 구성된 지역, 주거지를 형성하는 구역으로, 주거생활 측면에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인데, 노후 저층주거지를 보존하기 위해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개정으로 주거환경관리사업이 도입된 후, 이를 근거로 저층주거지 재생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은 이러한 사업이 시행되는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층주거지의 주택관리를 수행할 때 주택관리서비스를 중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주택성능을 진단해주고, 각 지자체의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안내 및 신청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비를 일괄확인 및 납부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층주거지의 주택의 기본정보를 동, 층 및 호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구축하고, 주택의 소유자 및 거주자 정보를 전기가스수도 사용량, 관리비 및 임차료, 개보수이력, 국세 및 지방세 납부정보로 수집함으로써 연계하며, 주택 및 거주특성을 진단한 후 유지비 일괄확인납부, 주택성능진단, 주택관리서비스 중개, 공공지원사업 확인 및 신청, 동네 커뮤니티를 포함하는 주택관리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집합주택관리를 저층주거지에서도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주택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의 신청을 수신하며 대상을 선정하여 전송하는 지자체 서버,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하고,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 따라 발생하는 유지비를 일괄납부하며, 주택성능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지자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받아 게재하는 공공지원안내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유지비를 조회한 후 일괄납부되도록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로 청구하는 일괄납부관리부,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등급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성능진단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저층주거지의 주택의 기본정보를 동, 층 및 호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구축하고, 주택의 소유자 및 거주자 정보를 전기가스수도 사용량, 관리비 및 임차료, 개보수이력, 국세 및 지방세 납부정보로 수집함으로써 연계하며, 주택 및 거주특성을 진단한 후 유지비 일괄확인납부, 주택성능진단, 주택관리서비스 중개, 공공지원사업 확인 및 신청, 동네 커뮤니티를 포함하는 주택관리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집합주택관리를 저층주거지에서도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주택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주택관리단말(4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거주지 또는 소유지를 입력하고, 저층주거지의 주택성능진단을 출력하며, 각종 공과금 및 세금을 포함하는 유지비를 일괄납부하며, 공공지원사업을 안내받고, 주택관리업체를 검색 및 신청하며, 동네(지역)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소유자 또는 거주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자체 서버(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택관리단말(400)로부터 주택관리 종류, 위치, 가격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유지 또는 거주지를 입력받고,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성능진단, 유지비일괄합산 및 납부 서비스, 공공지원사업안내, 주택관리업체 중개 및 지역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하여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가 사용자 단말(100)의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 위치한 경우, 원격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관리이력정보를 수집한 후, 주택화재보험 또는 부동산 중개에 이용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은,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활편의 서비스 또는 주택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택관리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주택관리단말(400)은, 위치, 상호, 가격 등의 정보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 및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생활편의 서비스 또는 주택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택관리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는,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지자체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신청을 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신청조건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대상자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신청한 경우,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원격에서 제어 또는 현장에 기사를 요청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공지원안내부(310), 사용자등록부(320), 일괄납부안내부(330), 성능진단부(340), 주택관리중개부(350), 정보구축부(360), 실시간모니터링부(370), 주택원격관리부(380), 원격제어부(390), 위험알림부(391), 관리이력활용부(393), 보험중개부(395) 및 동네커뮤니티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로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은,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지자체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공지원안내부(310)는, 지자체 서버(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받아 게재할 수 있다. 지자체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 지자체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의 신청을 수신하며 대상을 선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에 따라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여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도시 조성을 비전으로 3대 전략과 5대 과제를 설정하여 착수되었다. 이중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정비는 도시재생뉴딜의 첫 번째 목표이자 추진과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가로주택정비 등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공공지원, 공적임대주택 공급, 마을관리협동조합, 터새로이사업 등의 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에서 제시한 주거지역 재생수단에 따른 단계별 재생과정은 국비 등을 마중물로 활용하여 기초생활인프라, 공적임대주택 등 공공시설을 정비하는 1 단계와, 소규모 정비사업, 집수리 등 민간차원의 자율적인 정비를 하는 2 단계로 구분된다. 이어 3 단계로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 마을관리협동조합 등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마을 경영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자율적인 주거환경 정비 단계에서 사업성이 양호한 수도권 지역 및 지방 일부 대도시에서는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이 가능하지만, 사업성이 열악한 지방 중소도시는 정비사업을 통한 철거 및 신축이 어려우므로 집수리 및 주택효율 개선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주거기본법에 따르면 국민은 물리적 및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인간단운 주거생활을 영위할 권리를 가지며(법제2조), 국가 및 지자체가 주거환경을 정비하고 노후주택을 개량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법제14조). 또한,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에 따른 도시재생목표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생활복지구현과 쾌적하고 안전한 정주환경 조성을 제시하는 등의 정부 정책은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보편적인 공간복지 실현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및 제도적 배경 하에 도시재생법에 따라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쇠퇴지역의 노후주택에 대해서는 경관 및 환경개선과 같은 공익적 효과를 고려하여 집수리를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집수리 지원사업의 지원범위추진절차 등을 담은 별도의 도시재생뉴딜 사업지 내 노후 저층주거지 재생을 위한 집수리사업 지원 가이드라인이 신설되었는데, 집수리사업 지원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집수리 지원은 주택의 외부에 한하여 호당 최대 주거급여 수선유지급여의 대보수 금액 한도 내에서 지원하되, 주민 자부담율은 10%로 규정하고 있다. 비용 집행방식은 지방자치단체가 구매(계약)한 현물로만 지원이 가능하며, 지자체가 집주인에게 집수리 비용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식(민간자본보조)은 금지하고 있다. 이때 건물 외부 보수비용을 지원하며, 옥외 공간 수리는, 담장, 대문, 마당(녹화 및 포장공사 한정) 등 경관개선효과를 고려하여 지원하고, 대보수 금액은 2021년 기준 최대 1,241 만원이다. 이 외에도, 지자체별로 성능개선, 주거복지, 친환경지원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지원사업이 존재하는데, 주민들은 이를 잘 모르고 신청을 하지 못하거나, 조건이 까다로워서 대상자 적격 조건을 모두 검토하지 못하는 경우, 알았지만 빠르게 신청하지 못해서 마감이 되는 등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공공지원안내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각 카테고리별로 성능개선, 집수리지원, 주거복지, 친환경사업 등으로 나누어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공공지원사업의 경우 대상자 및 기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할 때 자신이 대상이 되는지 또는 되지 않는지를 일일이 살펴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지원안내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소유지 또는 거주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주택의 정보를 추출한 후 대상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신청가능한 공공지원사업만을 추출한 후 안내해줄 수 있다. 정렬(Sorting)은 임박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100)의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관리이력 등을 기반으로 가장 필요한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우선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거주지이자 소유지가 40 년된 주택이라고 가정하고, 주택관리이력을 확인한 결과 2000 년에 담장을 새로 지은 이후 수리보수이력이 없다고 가정한다.
현재를 기준으로 20 년이 도과된 노후 담장의 수리나 보수를 지원하는 공공지원사업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소득분위 등이 대상자에 적합하다고 가정하면, 담장은 외부 도로와 인접한 담장으로 무너질 경우 사용자는 물론 일반 시민의 안전에 위협이 되므로, 담장 개보수 사업을 우선하여 출력해줄 수도 있다. 또, 사용자의 전기요금이 동일 평수 주택의 평균치보다 웃도는 상태에서 주택태양광지원사업이 진행중이고, 건축물의 용도가 단독주택인 경우에만 보조금 지원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소유지의 용도가 단독주택인 경우, 사용자에게 주택태양광지원사업을 안내해줄 수도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의 소유지의 주택관리이력정보에 보일러를 설치한지 10 년이 도과되었다고 기재되어 있고, 현재 친환경보일러 보조금 사업이 진행중이라면, 친환경보일러로 변경하는 경우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소유주에게 제공되는 공공지원사업 외에도 거주자의 월세를 지원하거나 1인가구의 집수리를 지원하는 등의 다양한 정부 보조금 또는 지자체 지원사업이 존재하므로, 마감임박순 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신청 및 접수창구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으로 일원화하여 B2G(Business to Government) 연계와 함께 각 주민 및 시민의 신청 접근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등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유한 주택에서 거주하는 경우에는 소유지 및 거주지일 수도 있고, 소유지와 거주지가 다른 경우에는 소유지와 거주지를 각각 입력받을 수도 있다. 거주지가 임차한 주택일 경우 임대차의 정보도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기관 서버(미도시)에 본인인증을 하는 경우 정보구축부(360)에서 후술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마이데이터(MyData) 제도를 통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에 본인인증 및 마이데이터 수집에 동의를 하는 경우, 거주지 또는 소유지의 건축물 정보는 물론, 임차료, 국세, 지방세 등 다양한 정보를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마이데이터는 금융 분야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 부동산, 정보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각종 세금, 임대차 관련 정보, 공과금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다.
일괄납부관리부(330)는,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유지비를 조회한 후 일괄납부되도록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청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 따라 발생하는 유지비를 일괄납부할 수 있다. 이때,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공과금, 예를 들어, 전기비, 수도세, 가스비, 재산세, 주민세 등을 월별로 일괄납부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할 수 있다.
성능진단부(340)는,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등급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주택성능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주택성능진단이란, 기본진단 및 추가진단으로 나뉘어지는데, 기본진단은 각종 원격검침 등으로 수집되는 전기, 온수, 수도, 난방 및 가스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에너지성능등급, 준공년도에 기반한 노후도 및 가치평가결과에 따른 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직접 사람이 안전진단과 같이 진단하지 않고 주어지는 자료만으로 진단한 결과이다. 10 등급 또는 5 등급을 기준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등급이 낮을수록 또는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노후도는 준공년도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가치평가는 이하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m2 당 가격으로 제공된다.
이때, 구조지수, 용도지수, 위치지수 등은 미리 구조별 등급이나 지수를 설정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지의 구조, 용도 및 위치에 따라 매핑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고, 경과연수별잔가율도 미리 경과연수별로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에 따라 준공년도만 대입하면 나오는 숫자이다. 또, 개별건물의 특성에 따른 조정률도 각 건물별로 조정률이 매핑되어 있으므로 추출하여 모두 곱해주면 가치평가금액이 m2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평 단위로도 환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가치평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건물의 가치평가는 대상물건의 성격, 평가목적 또는 조건에 따라 감정평가의 기본적인 3 방식이라 불리는 원가방식, 비교방식, 수익방식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원가방식이란 대상물건의 재조달원가에 감가수정을 하여 대상물건의 가액을 산정하는 감정평가방법으로, 이에 의해 산정된 가치를 적산가액이라 한다. 이에 비해, 비교방식은 시장성에 근거하며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과 가치의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대상물건 가치를 산정한다. 수익방식은 투자측면에서 수익과 가치의 상호관계를 통해 가치산정을 수익가액에 근거하는 것으로 높은 수익성이 요구되는 임대건물에 주로 적용된다.
주택관리중개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주택관리서비스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주택관리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400)과 사용자 단말(100) 간을 중개할 수 있다. 이때 주택관리서비스는 생활편의서비스와 시설수리서비스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도 4f와 같이 전자는 [생활을 더 편리하게] 탭으로, 후자는 [고치고 수리하자] 탭으로 나누고, 그 탭 내에서도 하위메뉴로 전자의 경우 공용청소, 세탁, 방범, 재활용수거, 방역 및 가정도우미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긴급보수, 안전점검, 성능진단, 간단수리, 경량보수, 인테리어, 리모델링, 개보수상담 및 주택보험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주택관리중개부(350)는, 각 하위메뉴별 주택관리단말(400)의 주택관리업체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 탭 및 하위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각 탭 및 하위메뉴에 대응하는 주택관리업체를 리스트업하여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와 주택관리업체 간을 중개할 수 있다. 중개는 결제까지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여 주택관리업체에서 서비스를 완료한 후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택관리서비스를 모두 완료했는지, 하자는 없는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확인한 후 관리비용이 주택관리단말(400)로 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구축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소유지 또는 거주지를 입력하는 경우,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관 서버로부터 건축물대장정보, 부동산종합공부, 연속지적도, 도로명주소, GIS건물통합정보, 용도지역 및 건축물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구축하고,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전기가스수도 사용량, 관리비, 임차료, 개보수 이력, 국세 및 지방세 납세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와 연계할 수 있다. 이때, 건축물대장정보는 국토교통부의 건축물대장정보 서비스(https://www.data.go.kr)나, 건축행정시스템인 세움터(https://cloud.eais.go.kr) 또는 민원24(http://www.egov.go.kr)를 통해 수집할 수 있고, 부동산종합공부는 민원24나 국토교통부의 일사편리(http://www.kras.go.kr)를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연속지적도는 국토교통부의 공공데이터포털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도로명주소는 주소정보누리집(https://www.juso.go.kr), GIS건물통합정보, 용도지역 및 건축물에너지 정보는 마찬가지로 국토교통부의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 전기가스수도 사용량은 전력공사, 가스공사, 지역난방공사, 상수도사업본부 등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데, 서울시의 경우 전기가스수도난방 사용량의 정보가 흩어져있던 것을 통합한 에너지정보 플랫폼을 오픈하였으므로 이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또, 임차료 및 관리비는 주택임대차신고제 도입으로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https://rtms.molit.go.kr)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개보수 이력의 경우 DB화가 법제화되지 않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별도로 수집해야 한다. 국세 및 지방세 납세정보는 국세청(https://www.nts.go.kr) 위택스 또는 홈택스에 사용자 단말(100)의 본인인증 후 마이데이터를 넘겨받는 형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
실시간모니터링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신청하는 경우, 주택에너지성능 진단, 수도세스마트원격검침, 전기요금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검침, 및 도시가스무선원격검침을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모니터링부(370)의 실시간모니터링은 원격검침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노후 저층주거지의 경우 원격검침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실시간 모니터링은 불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스마트 홈 설비, 예를 들어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IoT 기반으로 각 가정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최근 수도검침도 스마트 원격검침으로 변경하고 있는 추세인데, 스마트 원격검침으로의 교체가 늦어지는 경우, IoT 기기를 부착하여 수도전기가스 등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주택원격관리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를 원격지에서 수집한 후,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에 이상 데이터가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수도전기가스 등의 사용량이 평균 패턴보다 높은 이상치(Outlier)가 발생하는 경우, 원격으로 관리자 단말(600)로 안내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도 안내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의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가 설치된 경우,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인 원격제어기기, 원격검침시스템, 감지기, 전자출입시스템, 차량출입시스템 및 무인택배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600)에서 원격으로 수신 및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기는, 주택내부 및 외부에서 가스, 조명, 전기 및 난방, 출입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이고, 원격검침시스템은, 주택내부 및 외부에서 전력, 가스, 난방, 온수, 수도 등의 사용량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하는 시스템이며, 감지기는, 화재, 가스누설, 주거침입 등 세대 내의 상황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기기이고, 전자출입시스템은, 비밀번호나 출입카드 등 전자매체를 활용하여 출입 및 주차장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차량출입시스템은, 주택에 출입하는 차량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이고, 무인택배시스템은, 물품배송자와 거주자 간 대면없이 택배화물, 등기우편물 등 배달물품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밖에도 영상정보처리기기, 전자경비시스템 등 홈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설치되는 시스템 또는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의 원격제어기기와 월패드(WallPad)가 연결된 경우, 최근 발생한 월패드 해킹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정책관리(Policy Management) 솔루션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용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마스터(Master)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사용자 정책관리(Policy Management) 솔루션은, 원격제어기기의 방화벽 및 VPN 정책을 설정하고, 원격제어기기 방화벽 및 VPN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원격제어기기의 로그를 관리하는 솔루션일 수 있다.
<커버로스 인증>
스마트 홈의 가구 내, 월패드를 통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인증은 자동화에 따른 번거로운 절차일 수 있다. 하지만 인증이 없이 누구나 가구 내에만 있다는 조건만으로 사용이 자유롭게 될 경우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증의 의미는 내부 공격자로부터 월패드와 같은 컨트롤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호가 목적이다. 간단한 인증만으로도 다양한 내부 공격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유(Shared)공격과 이미 인가된 자로 등록된 가구 구성원 및 관리자 공격에도 효과적이다. 월패드의 하루 사용 시간을 고려해본다면, 인증기술의 적용은 월패드 뿐만 아니라, 단지 내 관리 서버에 대해 인증성(Authentication)과 안전성(Stability), 접근 통제성(Access Control), 투명성(Transparent), 신뢰성(Reliable)을 제공한다. 그리고 커버로스(Kerberos) 인증은 이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이 암호화를 통한 기밀성을 제공함으로써, MITM(Man In The Middle)공격과 같은 가로채기(Intercept) 공격유형에 효과적이다. 또한 임의 접속이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아래 암호화 및 티켓을 통해 세션(Session)마다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대응 효과가 크다.
수학식 2는 월패드를 사용하는 사용자 로그온 마다 한 번씩 진행되는데, 식별인증정보는 암호화키를 통해 티켓과 함께 암호화되어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발급받는다. 이는 MITM 공격에 대응한다.
수학식 3은 서비스 유형마다 한 번씩 진행되는데, 이를 통해 티켓 서버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자와의 공개키를 발급받아 특정 서비스에 대해 인증 확인이 가능해 월패드의 과금 서비스에 대한 관리 서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수학식 4는 서비스 세션마다 한 번씩 진행되는데, 티켓을 통해 세션마다의 인증 수행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연결이 가능하다. 이때, TGS는 인증승인서버(Ticket Granting Server), AS는 인증서버, V는 서버, ADc는 C의 네트워크 주소, C는 클라이언트, Kv는 AS와 V가 공유하는 비밀 암호화키, IDc는 C에 있는 사용자의 식별자, IDv는 V의 식별자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원격제어기기의 해킹 등을 막고 사용자 인증을 강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험알림부(391)는,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기반으로 위험알림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주택성능진단은, 전기, 온수, 수도, 난방 및 가스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에너지성능등급, 준공년도에 기반한 노후도 및 가치평가결과에 따른 진단을 포함하는 기본진단과, 소음관련등급, 구조관련등급, 환경관련등급, 생활환경관련등급 및 화재소방관련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결과를 포함하는 추가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서울특별시도시재생지원센터를 통하여 서울에너지진단기술원에서 주택성능진단 시범사업을 진행했는데, 서울가꿈주택사업과 연계하여 노후주택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도록 주택의 진단에서부터, 맞춤형 집수리 제안, 시공관리까지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한 사례가 있다. 이와 같이, 추가진단의 경우, 예를 들어, 열화상카메라로 벽, 지붕, 바닥 등 집안 내부에 손실되는 열을 파악하여 어느 부분이 취약하고 얼마나 단열성능이 부족한지 등을 파악할 수도 있고, 단열재의 성능저하와 창호의 두께와 기밀성이 문제라면, 단열재와 창문을 공사를 추천해줄 수도 있다. 열관류율을 측정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진단하며 기밀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도 있고, 공공지원사업이 진행중이라면 이 공공지원사업을 안내해줄 수도 있으며 주택관리단말(400)과의 연계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음관련등급, 구조관련등급, 환경관련등급, 생활환경관련등급 및 화재소방관련등급의 경우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대한 규칙 [별지 제1호 서식]에 맞춘 이하 표 1 내지 표 5와 같은 진단을 실시할 수도 있다.
성능항목 | 성능등급 |
1. 경량충격음 차단성능 | |
2. 중량충격음 차단성능 | |
3. 세대 간 경계벽의 차음성능 | |
4. 교통소음(도로, 철도)에 대한 실내외소음도 | |
5. 화장실 급배수 소음 |
성능항목 | 성능등급 |
1. 내구성 | |
2. 가변성 | |
3. 수리용이성 |
성능항목 | 성능등급 |
1. 에너지성능 | |
2. 에너지모니터링 및 관리지원장치 | |
3. 신재생에너지 이용 | |
4. 저탄소 에너지원 기술의 적용 | |
5. 빗물관리 | |
6. 물 사용량 모니터링 |
성능항목 | 성능등급 |
1. 대중교통의 근접성 | |
2.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 |
3. 방범안전시설 |
성능항목 | 성능등급 |
1. 감지 및 경보설비 | |
2. 제연설비 | |
3. 내화성능 | |
4. 수평피난거리 | |
5. 복도 및 계단 유효너비 | |
6. 피난설비 |
관리이력활용부(393)는,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GIS건물통합정보를 기반으로 주택관리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주택화재보험 또는 부동산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주택관리이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택관리이력정보는, 주택건축의 기본정보, 도면정보, 점검정보, 공사이력정보, 사진정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리모델링에 관한 서류, 도면 및 사진을 포함하는 기록정보이다. 주택건축의 기본정보는, 주택이나 단지의 면적, 세대수, 건축면적, 바닥면적, 건폐율 및 용적률을 포함하는 건축정보이다. 부동산거래에서 주택관리이력정보를 매수자 또는 임차인이 확인하고 매수 또는 임차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하거나, 매도자인 경우에는 유지관리영수증 등을 첨부하는 경우 양도소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력관리를 위한 사진 등을 사용자 단말(100)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때, 양도소득세의 필요경비로 인정되는 경우와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나누어보면 이하 표 6과 같다.
[자본적 지출] 필요경비 인정되는 경우 (양도 부동산의 용도변경, 개량 또는 이용편의를 위하여 지출한 비용) |
[수익적 지출] 필요경비 인정되지 않는 경우 |
① 아파트베란다샷시비 | ① 벽지, 장판 교체비용 |
② 홈오토설치비 | ② 싱크대, 주방기구 교체비용 |
③ 건물의 난방시설을 교체한 공사비 | ③ 외벽 도색작업 |
④ 방확장 등의 내부시설개량 공사비 | ④ 문짝이나 조명 교체비용 |
⑤ 보일러 교체비 | ⑤ 보일러 수리비용 |
⑥ 자바라 및 방범창 설치비용 | ⑥ 옥상 방수공사비 |
⑦ 사회통념상 지불된 것으로 인정되는 발코니샷시 설치대금 | ⑦ 하수도관 교체비 |
⑧ 자본적지출에 해당하는 인테리어비용 등 | ⑧ 오수정화조설비 교체비 |
⑨ 타일 및 변기공사비 | |
⑩ 파손된 유리 또는 기와의 대체 | |
⑪ 재해를 입은 자산의 외장복구 및 도장, 유리의 삽입 | |
⑫ 화장실공사비, 마루공사비 |
이미 지출된 필요경비에 대한 비용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고,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하여 주택관리단말(400)을 중개받고 필요경비에 대응하는 주택관리업체를 고용한 경우, 주택관리업체의 주택관리단말(400)로부터 각 공사비의 내역서 및 첨부해야 할 서류를 발급하도록 요청하고,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주택관리이력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며, 이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자신의 주택을 매도할 때 제공하면서 수수료를 요청할 수도 있다.
<주택 생애주기 관리>
건물의 유지관리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준공 후 기능이나 성능을 보전하기 위한 사전점검, 보수, 개량 및 수선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사전에 유해요인을 제거하고 손상부분을 복원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한다. 이처럼 건물의 기능 및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건물요소의 수선과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수선 및 교체주기와 건물 성능 수준은 이미 데이터베이스화된 상태이다. 건물의 준공 직후의 성능을 100%라고 가정했을 때, 물리, 환경 등 다양한 영향요인으로 인해 성능수준은 점차 저하된다. 저하된 성능수준을 회복하고 일정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복적인 수선이 요구되지만, 수선을 반복하더라도 이전 성능수준을 초과해서 회복하지는 못한다. 또한 기능이 일정수준의 성능저하가 발생할 경우에는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수선을 하지 않아 성능수준의 한계점에 도달할 경우에는 교체주기가 빨라진다. 이러한 수선과 교체는 건물의 수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반복되며, 이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선과 교체시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전국의 주택의 수선 및 교체시점을 빅데이터로 얻는 경우, 아파트와는 달리 관리되지 않았던 주택관리이력정보가 누적될 수 있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검증하는 경우, 주택의 소재, 구조, 재료, 면적, 준공년도 등에 따라 수선 및 교체시점을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공지원사업을 추천하거나 주택관리업체와 연결시켜주는 최적화 서비스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생애주기비용까지 예측 및 예산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실질 할인율>
생애주기비용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가치로서, 현재의 가치와 같지 않으므로 환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하여 할인율(Discount Rate)을 적용할 수 있고, 할인율은 물가상승률 고려하지 않은 명목 할인율(Nominal Discount Rate)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할인율(Real Discount Rate)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생애주기비용 예측에 실질 할인율을 이용할 수 있다. 실질 할인율은 명목 할인율에 물가상승률을 뺀 근사치이다. 실질 할인율은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수신금리(명목 할인율)와 소비자 물가 상승률에 기반할 수 있고, 최근 N 년간 실질 할인율을 산출할 수 있다.
<주택의 수선시기 예측>
상술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외에도 주택의 노후화 진행은 와이블 분포(Weibull Distribution)로 설명할 수 있는데, 와이블 분포형태의 함수는 밀도함수가 모두 실수에 걸쳐 정(+)으로 나타나는 연속된 함수로 나타난다. 와이블 분포를 시간에 따른 노후화의 모형으로 적용해서 누적 와이블분포(Cumulative Weibull Distribution)의 이론곡선으로 건축물 부재의 내용년수를 예측할 수도 있다.
보험중개부(395)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로부터 주택화재보험의 가입불가대상을 수집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주택화재보험을 신청할 때 가입불가대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주택화재보험의 가입불가대상이 아닌 경우, 주택관리이력정보를 전달한 후 산정된 보험료를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할 수 있다. 의료실손보험에서도 기왕증이 존재하는 경우 등 위험인수의 리스크가 커지는 경우 보험사에서는 보험가입을 거절하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주택화재보험에도 가입이 불가한 대상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화재위험이 높고 다양한 건물에 대한 보험회사의 인수 기피 등으로 화재보험에 가입하고 싶어도 가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건물의 소유자는 화재보험 가입을 위해 여러 보험회사에 가입 가능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으며, 화재위험이 높은 일부 건물은 보험회사의 계약기피로 화재보험 가입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주택의 건축물대장 등을 통하여 하나의 보험사 서버(미도시)로 가입신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정보제공동의 하에 마이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보험사 서버에서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입을 신청한 보험사의 인수가 어려운 계약인 경우 다른 보험사에서도 확인하고 인수가능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입을 신청한 보험사가 보험계약을 거절하더라도 다른 보험사가 조회시스템을 통해 신청정보를 확인한 후 화재보험 가입을 진행할 수 있어 보험 가입절차가 신속하고 편리해진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주택의 정보를 확인한 후 가능한 보험사의 보험상품만을 리스트업하여 추천하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동네커뮤니티부(397)는, 사용자 단말(100)의 소유지 또는 주거지를 인증하는 경우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동네커뮤니티에 엑세스권을 부여하고, 동네커뮤니티에 콘텐츠를 업로드, 검색 및 조회하도록 채널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동네커뮤니티에는 각 지역 및 동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나 행사를 안내해줄 수 있고, 지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새로 오픈한 가게가 있다면 지도 기반으로 안내하고 쿠폰을 제공하거나, 불편사항이 존재한다거나 하는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불편사항으로 접수된 건 중 좋아요 수가 많거나 공감해요 수가 많은 경우, 불편사항을 모아서 지자체 서버(5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은, 도 3b와 같은 저층주거지의 문제, 즉 주택관리의 어려움과 불편함에 대하여 도 3c와 같은 니즈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하도록 도 3d와 같이 주택 및 거주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주택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e와 같이 단순히 B2C 뿐만 아니라 B2G, G2C 등 사용자, 주택관리업체 및 지자체를 연결함으로써, 정부 및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공공지원사업에 대상자인지, 또 대상자라면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대상자가 아니라면 사용자의 주택을 관리할 수 있는 주택관리업체를 연결해주며, 대상자라고 할지라도 공공지원사업에서 지원하지 않는 수리의 경우에도 주택관리업체를 연결해주는 중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거주편의를 향상시키고 관리효율을 제고하며 주거환경을 개선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플랫폼은 도 3f와 같이 소유주, 임차인 및 공무원 등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 3g와 같은 적극적인 구매의사를 확인하고 도 3h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주택성능진단, 유지비일괄확인납부, 주택관리업체 중개, 공공지원사업 신청 및 커뮤니티 제공으로 도 3i 및 도 3j와 같은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도 3k와 같은 시장성을 확인한 후 도 3l과 같은 사회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에 도 3m과 같이 신축아파트의 스마트홈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일반 저층주거지의 주택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진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주택관리 지원 서비스와 바로 연계를 시키며, 임대차 거래지원을 통해 주택을 사고, 유지하고 매도하기까지 필요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n과 같이 집합건물에서는 필수로 관리되어야 하는 주택이력정보가 일반 저층주거지 주택에서는 관리되지 않는 점에 주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누적되는 주택이력정보를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통합관리하고, 이 주택이력정보를 지자체에서 계획을 세울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유주에게는 건물 생애주기에 따라 언제 어떠한 수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해줄 수 있고, 임차인에게는 주택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택관리업체로는 어떠한 잠재적 고객이 있는지를 안내해줌으로써, 소유주, 임차인, 지자체 및 주택관리업체가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도 3o와 같이 지속가능한 저층주거지의 가치를 높이고 생활 편의를 누릴 수 있도록 하고, 도 3p와 같이 비지니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4a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가칭, 누림)은, 도 4b와 같은 초기화면을 지나 도 4c와 같이 각 주택의 관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메인페이지에서 도 4d와 같이 관리비 납부, 주택성능진단, 서비스, 지원사업 및 커뮤니티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배치했다. 관리비는 수도전기가스 등 일괄납부할 수 있는 총 액이 표시되고, 납부일 D-Day를 그 옆에 표시하며, 하단에는 바로 납부하기를 두어 즉시 납부가 가능하도록 결제 페이지를 연계할 수 있다. 또, 중앙에는 주택성능진단 등급을 인포그래픽으로 표기하며 숫자로도 표기해줄 수 있고, 하단에는 3 개의 아이콘을 두어 서비스, 지원사업 및 커뮤니티에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배열하고, 하단 바(Bar)에는 홈, 마이, 알림, 동네앱 및 설정 등의 네비게이션을 둘 수 있다.
도 4e와 같이 주택성능진단에는 에너지등급을 제공하는데 우리마을 평균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를 할 수도 있고, 유사 주택과의 비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노후도는 준공년도를 기준으로 숫자를 카운트할 수 있고, 해당 준공년도에 어떠한 설계가 의무사항이었는지 등을 안내해줄 수 있다. 또, 도 4f와 같이 가치평가 금액을 m2 단위로 표시해줄 수 있고, 도 4g와 같이 전기, 온수, 수도, 난방 및 가스에 대한 사용량을 전달, 전년 등과 비교하여 사용패턴을 안내해줄 수 있다. 또 도 4h와 같이 사용량 평균을 막대 그래프로 월별로 표시해줄 수 있고, 전년 사용량과 비교를 통하여 현재 에너지를 많이 쓰고 있는지 또는 적게 쓰고 있는지 등을 안내해줄 수 있다. 도 4i와 같이 상세 명세서를 표시해줄 수도 있고 도 4j와 같이 결제수단을 선택한 후 또는 등록해두었다면 바로 납부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4k와 같이 다양한 주택관리서비스를 중개해줄 수도 있는데, 도 4l과 같은 [생활을 더 편리하게] 탭과 도 4m과 같은 [고치고 수리하자] 탭으로 나누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하위메뉴를 두어 각각의 주택관리업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사용자가 찾기 쉽게 배치를 할 수 있다. 또 도 4n과 같이 공공지원사업을 단순히 업로드만 해두는 것이 아니라, 도 4o와 같이 우리집 지원가능사업만 보기 메뉴를 통하여 대상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필터링 및 정렬해주는 구성도 존재한다. 도 4o의 하단과 같이 각 지원사업을 태그로 분류하여 성능개선, 집수리지원, 주거복지 및 친환경 등으로 나누어 리스트업할 수 있다.
도 4p와 같이 우리집 지원가능한 사업만 보기를 눌렀을 때, 사용자가 거주하거나 소유한 주택이 위반건축물이고, 위반건축물은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목록이 있다면, 이는 제거되어 보여지지 않는다. 또 공고일 기준 공시가격이 개별단독주택 기준 6 억 5 천만원을 초과하면 대상이 아닌데, 사용자의 주택 공시가격이 공고일 기준으로 조회했을 때 6 억 5 천만원을 초과했다면 이 또한 필터링되어 보여지지 않는다. 이렇게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지원가능한 사업만을 사용자가 일일이 각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조회하지 않아도, 또 자신이 자격자인지를 일일이 대조해보지 않아도 지원가능한 사업을 추출할 수 있고, 바로 신청할 수 있다. 이때 도 4q와 같이 가능한 사업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로 출력해줄 수 있다. 도 4r 및 도 4s와 같이 동네행사 및 이벤트를 화면의 상단 영역의 지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해줄 수 있다. 또 화면의 하단 영역에는 [함께해요], [홍보해요], [불편해요] 등의 태그를 선택하면 도 4t와 같이 이 메뉴에 업로드된 글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자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받아 게재한다(S5100).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S5200),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유지비를 조회한 후 일괄납부되도록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로 청구한다(S5300).
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등급으로 표시하여 제공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의 신청을 수신하며 대상을 선정하여 전송하는 지자체 서버;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 따라 발생하는 유지비를 일괄납부하며, 주택성능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지자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업로드받아 게재하는 공공지원안내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 상기 소유지 또는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유지비를 조회한 후 일괄납부되도록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청구하는 일괄납부관리부, 상기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등급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성능진단부,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주택관리서비스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주택관리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택관리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을 중개하는 주택관리중개부, 상기 주택성능진단의 결과를 기반으로 위험알림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GIS건물통합정보를 기반으로 주택관리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주택화재보험 또는 부동산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주택관리이력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이력활용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지원안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성능개선, 집수리지원, 주거복지 및 친환경사업의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안내하고,
대상자 및 기간이 한정된 공공지원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소유지 또는 거주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주택의 정보를 추출하고, 대상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신청가능한 공공지원사업만을 추출한 후 안내하며, 상기 소유지 또는 거주지의 주택관리이력을 기반으로 가장 필요한 공공지원사업 정보를 우선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며,
상기 주택관리서비스는,
생활편의서비스와 시설수리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택성능진단은,
전기, 온수, 수도, 난방 및 가스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에너지성능등급, 준공년도에 기반한 노후도 및 가치평가결과에 따른 진단을 포함하는 기본진단과, 소음관련등급, 구조관련등급, 환경관련등급, 생활환경관련등급 및 화재소방관련등급에 따른 결과를 포함하는 추가진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관련등급은, 경량충격음 차단성능, 중량충격음 차단성능, 세대 간 경계벽의 차음성능, 교통소음에 대한 실내외소음도 및, 화장실 급배수 소음을 근거로 진단되고,
상기 구조관련등급은, 내구성, 가변성 및 수리용이성을 근거로 진단되고,
상기 환경관련등급은, 에너지성능, 에너지모니터링 및 관리지원장치, 신재생에너지 이용, 저탄소 에너지원 기술의 적용, 빗물관리 및, 물 사용량 모니터링을 근거로 진단되고,
상기 생활환경관련등급은, 대중교통의 근접성,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및, 방범안전시설을 근거로 진단되고,
상기 화재소방관련등급은, 감지 및 경보설비, 제연설비, 내화성능, 수평피난거리, 복도 및 계산 유효너비 및, 피난설비를 근거로 진단되며,
상기 노후도는, 준공년도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상기 가치평가는, 건물신축가격기준액, 구조지수, 용도지수, 위치지수, 경과연수별잔가율 및 개별건물의 특성에 따른 조정률 간의 곱으로 제곱미터당 가격으로 산출되며,
상기 주택관리이력정보는,
주택건축의 기본정보, 도면정보, 점검정보, 공사이력정보, 사진정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리모델링에 관한 서류, 도면 및 사진을 포함하는 기록정보이고,
상기 주택건축의 기본정보는,
주택이나 단지의 면적, 세대수, 건축면적, 바닥면적, 건폐율 및 용적률을 포함하는 건축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5898A KR102542605B1 (ko) | 2023-01-16 | 2023-01-16 |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5898A KR102542605B1 (ko) | 2023-01-16 | 2023-01-16 |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2605B1 true KR102542605B1 (ko) | 2023-06-13 |
Family
ID=8676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5898A KR102542605B1 (ko) | 2023-01-16 | 2023-01-16 |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26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1422B1 (ko) * | 2023-08-24 | 2024-01-30 | 성우종합관리 주식회사 | 시설 관리 및 주택 임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6222A (ko) * | 2003-05-07 | 2004-11-16 | (주)빅트레이드 |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 평가 서비스방법 |
JP2017016564A (ja) * | 2015-07-06 | 2017-01-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2165157B1 (ko) * | 2019-07-29 | 2020-10-13 | 손성일 | 빅데이터 기반 건물 화재보험 자동 가입 시스템 및 방법 |
KR102342390B1 (ko) * | 2020-12-29 | 2021-12-24 | (주)동현기술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388461B1 (ko) * | 2021-10-27 | 2022-04-21 | 윤의진 | 재개발 및 재건축을 위한 종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410928B1 (ko) * | 2021-11-22 | 2022-06-23 | 주식회사 싸리비 | 중소형 공동주택 관리 대행 방법 및 시스템 |
KR102469351B1 (ko) * | 2020-12-03 | 2022-11-22 | 김정수 | 주택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
2023
- 2023-01-16 KR KR1020230005898A patent/KR102542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6222A (ko) * | 2003-05-07 | 2004-11-16 | (주)빅트레이드 |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 평가 서비스방법 |
JP2017016564A (ja) * | 2015-07-06 | 2017-01-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2165157B1 (ko) * | 2019-07-29 | 2020-10-13 | 손성일 | 빅데이터 기반 건물 화재보험 자동 가입 시스템 및 방법 |
KR102469351B1 (ko) * | 2020-12-03 | 2022-11-22 | 김정수 | 주택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KR102342390B1 (ko) * | 2020-12-29 | 2021-12-24 | (주)동현기술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388461B1 (ko) * | 2021-10-27 | 2022-04-21 | 윤의진 | 재개발 및 재건축을 위한 종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410928B1 (ko) * | 2021-11-22 | 2022-06-23 | 주식회사 싸리비 | 중소형 공동주택 관리 대행 방법 및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1422B1 (ko) * | 2023-08-24 | 2024-01-30 | 성우종합관리 주식회사 | 시설 관리 및 주택 임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6089B1 (ko) |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 |
Potsiou | Policies for formalization of informal development: Recent experience from southeastern Europe | |
KR102542605B1 (ko) | 저층주거지 스마트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KR20190093375A (ko) | 부동산 위험도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 |
Schuetz | Teardowns, popups, and renovations: How does housing supply change? | |
JP2003006303A (ja) | 不動産評価方法、不動産情報管理方法、不動産情報記憶媒体及び不動産情報検索システム | |
CN116582566A (zh) |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园区管理平台 | |
KR102433980B1 (ko)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 |
US20040254830A1 (en) | Limited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s | |
KR102281802B1 (ko) | 건물관리 통합 서비스 시스템 | |
Ma et al. | Smart buildings and urban spaces | |
Yau et al. | Principle of selectivity in housing rehabilitation subsidies: Case study in Hong Kong | |
Mills et al. | Valuation of Green and High-performance Property: Commecial, Multi-family, and Institutional Properties | |
Conover et al. | Compliance Verification Path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Energy Codes | |
McKeown et al. | Service charge collection in multi-unit developments | |
Sundfors et al. | Sustainability Metrics and Property Value: The need for a standardized sustainability description | |
Magavern et al. | Affordable Housing Strategies for the City of Buffalo | |
Chen et al. | Exploring preference ranking for house transfer inspection using AHP | |
Ma et al. | The Overview of Smart Building Market and Potentials in Philippines | |
Baker | Creating Strategic Energy Management | |
Ikromova | Improving the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Buildings in Uzbekistan | |
Conselvan et al. | Article 9: MEPS and trajectories for progressive renovation | |
Chen et al. | District energy in cities initiative: Rapid assessments of five indian cities-Coimbatore | |
Rushton | NORTH WEST LEICESTERSHIRE DISTRICT COUNCIL COUNCIL–TUESDAY, 27 FEBRUARY 2018 | |
Thidevall et al. | Climate resilience certificates–a standardised assessment of climate risks in real est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