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29A -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29A
KR20210001029A KR1020190076442A KR20190076442A KR20210001029A KR 20210001029 A KR20210001029 A KR 20210001029A KR 1020190076442 A KR1020190076442 A KR 1020190076442A KR 20190076442 A KR20190076442 A KR 20190076442A KR 20210001029 A KR20210001029 A KR 2021000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rental
module
eviction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김현신
Original Assignee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29A/ko
Publication of KR2021000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대아파트와 같은 공동임대주택을 운영·관리하는 임대관리 시스템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은, 입주자의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 계약에 관한 업무,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 통계적 정보를 출력하는 업무를 수행하여 공동임대주택을 통합 관리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와,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의 작업을 웹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웹 GUI를 지원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콘솔, 및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입력에 의해 임대관리시스템 서버가 공동임대주택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Integrated Rental Hous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대아파트와 같은 공동임대주택을 운영·관리하는 임대관리 시스템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전부 또는 일부를 임차하여 사용하는 입주자의 경우, 건물의 임대료 및 관리비를 포함하는 사용료를 지급하게 된다.
입주자의 사용료 지급은 임대사업자의 입금계좌에 무통장 입금시키거나 직접 건물주에게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임대사업자는 임대건물을 청소하거나 하자가 있는 경우 이를 보수하는 등의 유지/보수 의무를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료를 수령 및 확인, 건물의 유지/보수 업무에 있어서, 임대사업자가 직접 모든 업무를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임대사업자가 임대건물을 하나 이상 소유하고 있는 경우, 임대사업자가 상기 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임대사업자는 각 임대건물에 관리사무소를 두고, 입주자의 관리 및 건물의 관리를 전문으로 수행하는 관리인을 고용하여 상기의 업무를 위임하게 된다.
그러나 하나의 건물에 입주해 있는 입주자의 사용료 지급일이 모두 동일하지 않아 사용료의 수령 및 확인에 곤란함이 있었다.
또한 임대사업자가 임대건물을 하나 이상 소유하는 경우, 각 건물의 관리인을 건물주가 다시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관리사무소가 없는 건물의 경우, 임대사업자로서는 건물의 관리를 직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입주자로서는 건물의 유지/보수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아 건물의 이용에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임대건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전문적으로 건물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시스템 또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최근 핵가족화의 발달로 인한 1인 가구의 증가, 문화 콘텐츠 산업 등의 다양한 서비스 산업의 발달에 따라 임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금리의 인하 등으로 인해 일정률 이상의 소득이 보장되는 임대사업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업자가 다수의 임대 공간을 확보하고 임대하여 수익을 발생시키는 임대사업의 규모 또한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부동산의 임대차계약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임대차 계약 관리 및 임대차 계약에 따른 임대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임대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임대 부동산에 대한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업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임대사업자들이 자신의 임대사업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번호 특2003-0049652(공개일자 2003년06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동임대주택의 입주 및 퇴거관리, 계약관리, 시설 및 환불관리,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통합현황조회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공동임대주택의 운영·관리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은, 입주자의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 계약에 관한 업무,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 통계적 정보를 출력하는 업무를 수행하여 공동임대주택을 통합 관리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서버;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의 작업을 웹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웹 GUI를 지원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콘솔; 및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입력에 의해 임대관리시스템 서버가 공동임대주택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의 OS는 Linux,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은 Maria DB,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는 Tomcat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로그인한 후 임대관리시스템 콘솔의 초기 화면은 전체 관리 항목에 대한 좌측의 오브젝트 트리와, 임대관리의 현황을 나타내는 우측의 대시보드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솔의 왼쪽 화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는 업무별 대상 항목을 각각 계층화된 트리 구조로 표시하며, 각 그룹별 최하위에는 실제 업무 화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는 임차인 현황조회, 세대 수 현황, 계약이력 통계 등 임대관리 현황을 요약 정리해서 보여주는 대시보드 모듈과,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입주 및 퇴거관리 모듈, 계약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관리 모듈,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는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 통계적 정보를 조회하는 통합현황조회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의 시설관리 모듈은 공동하자점검항목관리(마스터 데이터)에 정의된 공동항목과 점검주기 별로 공동시설을 점검하고 하자 발생시 보수를 요청하는 공동하자점검관리 기능과, 상기 공동하자점검관리에서 요청한 보수요청항목에 대해서 수리업체, 수리담당자, 수리일자, 수리비용을 지정하여 보수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하자보수관리 기능과, 입주점검관리에서 실시한 점검내용을 보여주고 그 이외에 발생한 하자내용을 보수요청을 통해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세대별하자보수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의 관리비 모듈은 관리비를 등록하고 계산하는 관리비관리 모듈, 징수대행 등록하고 계산하는 징수대행 모듈, 세대별 전기, 공용전기 사용량을 등록하고 계산하는 전기료관리 모듈, 세대별 수도, 공용수도료를 등록하고 계산하는 수도료관리 모듈, 관리비수납 및 출력, 관리비 퇴거 정산하는 관리비수납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현황조회 모듈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보여주지 않고 월별, 연별 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를 보여주되,
임대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세대정보, 관리대상임차인조회, 계약현황, 퇴거현황을 보여주는 임대차현황 모듈, 계약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입주대기자 관리, 공실 조회, 계약이력조회, 통지서 미발송 조회를 수행하는 계약현황 모듈, 수납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보증금현황, 임대료현황, 관리비현황을 보여주는 수납현황 모듈, 공실 현황과 연체세대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로 보여주는 임대현황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방법은, (a)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공실목록과 퇴거예정세대목록을 입주가능세대목록으로 하여, 동과 호수를 선택한 후 계약자 정보, 계약 정보, 보증금 입금예정일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경우 계약관리 모듈에서 신규계약을 등록하는 단계;
(b) 입주관리 모듈에서 보증금 및 예치금을 수납하면서 보증보험료 수납 및 입주서류를 확인하는 단계;
(c) 입퇴거관리 모듈의 입주처리관리, 입주관리 모듈의 입주세대등록과 입주점검관리, 계약관리 모듈의 입주자정보관리와 같은 입주처리과정을 거쳐 입주처리가 완료되는 단계;
(d) 계약만료기간이 도래하여 계약만료관리 모듈에서 만기도래통지서를 발송하여 갱신에 대한 답변을 받은 경우 갱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갱신계약을 신청하며, 보증금 인상 금액 납부를 통해서 갱신계약을 마무리하는 단계;
(e) 상기 만기도래통지서를 발송하여 만료데 대한 답변을 받은 경우 만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계약만료를 신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 이후에 퇴거현황조회 모듈의 퇴거현황조회, 퇴거관리 모듈의 퇴거서류관리와 퇴거점검관리, 환불관리 모듈의 환불관리, 입퇴거관리 모듈의 퇴거처리관리를 통해 퇴거가 완료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입주처리관리는 임대시작일 이후 임대가 가능한 계약자들의 입주처리를 하는 것으로, 입주처리가 가능한 세대들 중 입주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세대를 체크하고, 입주점검관리는 입주처리가 완료된 입주민이 입주하기 전에 세대별 유닛의 점검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입주민조회목록과 입주점검정보에서 양호와 불량으로 체크표시를 하며, 입주자정보관리는 계약자의 인적 사항 변경이 발생한 경우 계약자 정보를 수정하며, 입주세대등록은 계약자와 세대원들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단계에서 퇴거현황조회는 실제 퇴거예정인 입주세대의 현황을 알아보고 퇴거대상자의 동호세대의 입주가능 일을 변경하고, 퇴거서류관리는 퇴거예정세대와 퇴거완료세대를 대상으로 퇴거에 필요한 서류를 받으며, 퇴거점검관리는 퇴거예정세대의 퇴거전 퇴거사전점검과 퇴거본점검을 통해 하자보수요청을 확인하여 이를 통해 원상회복에 필요한 보수비용을 확인하며, 환불관리는 상기 퇴거점검관리가 끝난 경우 환불 처리하며, 퇴거처리관리는 당일 기준으로 사전점검여부, 본점검여부, 정산여부가 모두 처리된 경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c)단계 이후에 입주자가 중도해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중도해지를 신청하는 경우나, 입주자가 임대차계약서의 특약을 위반하여 강제퇴거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f)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공동임대주택의 입주 및 퇴거관리, 계약관리, 시설 및 환불관리,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통합현황조회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공동임대주택의 운영·관리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시스템 콘솔의 시작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시스템 콘솔의 오브젝트 트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 현황에 대한 요약 정보(대시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계약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및 입주서류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주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사신청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기도래 및 계약의 해지·해제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퇴거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1000)은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와 임대관리시스템 콘솔(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HTTP 프로토롤로 정보를 주고받는 인터넷(WWW)(4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1000)은 웹(WEB) 환경으로 구성되고,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의 OS(102)는 Linux,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104)은 Maria DB,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106)는 Tomcat을 사용한다.
또한, 모든 작업을 웹에서 할 수 있도록 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콘솔(web browser)(200)은 웹 GUI를 지원하는 HTML5로 구성된다.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의 DBMS(108)는 임대관리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를 데이터베이스(108a)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연동하는 쉘(Shell)(108b)을 구비하며,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매달 관리비를 납부해야 하는 경우 문자나 이메일(108c)을 통해 입주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 모듈(110),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입주 및 퇴거관리 모듈(120), 계약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관리 모듈(130),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는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140),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150), 통계적 정보를 조회하는 통합현황조회 모듈(160)을 구비한다.
상기 대시보드 모듈(110)은 임차인 현황조회, 세대 수 현황, 계약이력 통계 등 임대관리 현황을 요약 정리해서 보여준다.
상기 입주 및 퇴거관리 모듈(120)은 입주관리 모듈(122), 퇴거관리 모듈(124) 및 입퇴거관리 모듈(126)로 이루어지되, 입주관리 모듈(122)은 입주세대등록, 보증금수납, 관리비수납, 기타수납(예치금) 기타수납(보증보험수수료), 입주서류관리, 입주점검관리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고, 퇴거관리 모듈(124)은 퇴거서류관리, 퇴거점검관리에 관한 업무을 처리하며, 입퇴거관리 모듈(126)은 입주처리관리와 퇴거처리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계약관리 모듈(130)은 퇴거현황조회 모듈(132), 계약관리 모듈(134), 계약만료관리 모듈(136)로 이루어지되, 퇴거현황조회 모듈(132)은 퇴거현황조회와 대출금상환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생하고, 계약관리 모듈(134)은 신규계약, 신규계약정보변경, 입주자정보관리, 이사신청, 이사신청정보변경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은 만기도래관리, 갱신계약, 계약만료정보관리, 중도해지정보관리, 강제퇴거정보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140)은 시설관리 모듈(142)과 환불관리 모듈(144)로 이루어지되, 시설관리 모듈(142)은 공동하자점검관리, 공동하자보수관리, 세대별하자보수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환불관리 모듈(144)은 보증금 환불, 유보금 환불, 관리비예치금 환불 등 환불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150)은, 임대료관리 모듈(151), 관리비관리 모듈(152), 징수대행 모듈(153), 전기료관리 모듈(154), 수도료관리 모듈(155) 및 관리비수납 모듈(156)로 이루어진다.
임대료관리 모듈(151)은 임대료수납정보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관리비관리 모듈(152)은 일반관리비 종류에 따라 관리비등록(4Lv), 관리비등록(3Lv), 관리비등록(2Lv), 관리비계산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징수대행 모듈(153)은 세대별사용관리, 승강비용등록, 승강기비용계산, 징수대행등록, 징수대행계산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전기료관리 모듈(154)은 세대별전기사용량관리, 공동전기사용량관리, 공동전기계산, 기타전기청구금액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수도료관리 모듈(155)은 세대별수도사용량관리, 공동수도사용량관리, 공용수도계산, 기타수도청구금액관리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모듈로, 관리비수납 모듈은 관리비수납, 관리비출력, 관리비퇴거정산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통합현황조회 모듈(160)은 임대차현황 모듈(162), 계약현황 모듈(164), 수납현황 모듈(166) 및 임대현황표 모듈(168)로 이루어진다.
임대차현황 모듈(162)은 세대정보, 관리대상임차인조회, 계약현황, 퇴거현황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계약현황 모듈(164)은 입주대기자관리, 공실조회, 계약이력조회, 통지서미발송조회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수납현황 모듈(166)은 보증금현황, 임대료현황 모듈, 관리비현황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임대현황표 모듈(168)은 공실현황과 연체세대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임대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저장, 수정 및 삭제하는 경우나, 해당 메뉴나 항목을 선택 또는 더블클릭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술한 각 모듈에서 해당 내용을 수행하여 임대관리시스템 서버를 통해 임대관리나 주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거서비스는 입주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주거서비스 관련 앱을 설치하고,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인적사항(개인정보, 입주정보, 입주민정보)을 입력해서 회원으로 가입한 다음, 커뮤니티 서비스 예를 들어 단지 내의 예를 들어 키즈카페나 피트니스 센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순서도로서, 도 2a는 임대관리의 주요 업무인 신규 계약부터 퇴거 절차를 보여주며, 도 2b는 중도 해지와 이사 절차를 보여준다.
이 순서도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로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시스템 콘솔의 시작 화면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에서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의 호스트명 또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URL 접속하고,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면, 도 3과 같은 초기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초기 화면은 전체 관리 항목에 대한 좌측의 오브젝트 트리와 임대관리의 전반적인 현황을 나타내는 우측의 대시보드 화면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시스템 콘솔의 오브젝트 트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콘솔의 왼쪽 화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는 업무별 대상 항목을 각각 계층화된 트리 구조로 표시하며, 각 그룹별 최하위에는 실제 업무 화면이 배치된다.
여기서 업무별 대상 항목은 대시보드, 입주 및 퇴거관리, 계약관리, 시설 및 환불관리,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통합현황조회이다.
상기 대시보드 항목은 임대관리시스템의 전체 운영 현황을 요약해서 보여준다.
입주 및 퇴거관리 항목입주관리, 퇴거관리, 입퇴거관리 등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를 보여준다.
계약관리 항목은 퇴거현황조회, 계약관리, 계약만료관리 등 계약에 관한 업무를 보여준다.
시설 및 환불관리 항목은 시설관리, 환불관리 등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를 보여준다.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항목은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를 보여준다.
통합현황조회 항목은 임대차현황, 계약현황, 수납현황, 임대현황표 등 통계적 정보를 요약 정리해서 보여준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대관리 현황에 대한 요약 정보(대시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대시보드 모듈은 임차인현황조회, 계약이력통계로 구분하여 임대관리 현황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차인현황조회에서는 화면의 달력 창에 날자별(오늘 이후)로 발생한 임차인 현황을 보여주고, 세대수 현황 창을 클릭하면 도 6과 같이 연관된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세대수 현황에서 보여주는 내용은 입주세대수, 퇴거세대수, 만기도래통보 세대수, 사전점검 세대수, 보증금, 임대료, 관리비미납 세대수를 보여준다.
도 7과 같이 계약이력통계에서는 월간과 주간을 구분하여 계약이력, 입주이력, 퇴거이력, 공실이력수를 한 화면에서 그래프로 보여준다.
월간 그래프는 12개월을 보여주며, 주간 그래프는 12주를 보여준다.
도 7에서 공실이력 항목을 클릭해서 공실이력을 계약이력통계 그래프에서 제외하고 보여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계약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임대관리시스템 서버(100)에 접속한 상태에서 계약관리 모듈(134)의 동호정보관리(S802)로부터 전송받은 공실목록과 퇴거예정세대목록을 입주가능세대목록으로 하여, 신규 계약자와 함께 동과 호수를 선택한 후 계약자 정보, 계약 정보, 보증금 입금예정일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경우 계약관리 모듈(134)에서 신규계약을 등록하여(S202,S804), 신규계약이 완료된다.
여기서 신규계약정보에 대한 수정이나 변경이 없으면(S204,S806), 입주관리 모듈(122)에서 보증금 수납, 기타(예를 들어 예치금, 보증수수료) 수납을 완료하고 입주서류를 확인하여(S206,S810) 입력하고 저장하는 입주처리를 통해 관리한다(S208).
신규계약정보를 수정할 경우(S204,S806) 상기 계약관리 모듈(134)가 신규계약정보변경 화면에서 필요한 계약자정보 및 계약정보(임대시작일 및 종료일)를 수정한(S230,S808) 후, 입주관리 모듈(122)에서 보증금 수납, 기타(예를 들어 예치금, 보증수수료) 수납을 완료하고 입주서류를 확인하여(S206,S810) 입력하고 저장하는 입주처리를 통해 관리한다(S208).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및 입주서류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예를 들어 상기 S206단계와 S81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계약관리 모듈(134)에 의해 신규계약 또는 이사신청계약이 완료되거나, 계약만료관리 모듈에 의해 갱신계약이 완료된 상태에서(S902), 입주관리 모듈(122)에 의해 보증금 및 예치금이 순서에 관계없이 수납 만료일까지 수납이 완료되어야(S904,S906) 입주가 가능하고, 입주관리 모듈(122)에서의 보증보험료 수납(S908) 및 입주서류 확인(S910)은 입주 후에도 진행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주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신규계약 및 이사신청을 한 세대들의 보증금 및 예치금의 수납처리를 완료한(S1000) 후, 해당 세대들의 임대시작일 이후 입퇴거관리 모듈(126)의 입주처리관리(S208,S912,S1002), 입주관리 모듈(122)의 입주세대등록(S1008)과 입주점검관리(S1004), 계약관리 모듈(134)의 입주자정보관리(S1006)와 같은 입주처리과정을 거쳐 입주처리가 완료된다.
여기서 입주세대등록(S1008)은 입주처리 전 가능하고, 입주점검관리(S1004)와 입주자정보관리(S1006)는 입주처리 후에도 가능하다.
상기 입주처리관리(S1002)는 임대시작일 이후 임대가 가능한 계약자들의 입주처리를 하는 것으로,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화면에 출력된 입주처리가 가능한 세대들 중 입주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세대를 체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주점검관리(S1004)는 입주처리가 완료된 입주민이 입주하기 전에 세대별 유닛의 점검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원하는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화면에 출력된 입주점검을 진행해야 하는 세대를 보여주는 입주민조회목록(입주처리가 완료된 세대)과 입주민조회목록에서 선택한 동·호세대의 입주점검 상태를 보여주는 입주점검정보에서 양호와 불량으로 체크표시(√)를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주자정보관리(S1006)는 입주해 있는 모든 입주자의 정보를 보여주고 계약자의 인적 사항 변경이 발생한 경우 계약자 정보를 수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주세대등록(S1008)은 계약자의 정보뿐 아니라 세대원들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원하는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화면에 출력된 입주세대등록을 진행해야 하는 세대를 보여주는 입주세대목록(신규계약자 및 이사신청자, 입주자의 세대)과 입주세대의 정보(세대원 인적 사항, 차량정보, 출입카드)를 입력하는 입주세대상세정보에서 정보를 입력하여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사신청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이사신청은 입주자가 현재 살고 있는 동·호세대를 중도 해지하고, 새로 이사하려는 동·호세대를 신규로 계약하는 개념이다.
이사하려는 동·호세대가 입주하기 위해서는 이사신청 후 현재 살고 있는 동·호세대를 중도 해지한 후, 보증금 및 기타수납 정산을 완료하고 퇴거 처리를 마쳐야만 이사갈 동에 대한 보증금 수납이나 입주처리가 가능하다.
도 2b 및 도 11에서 이사신청하기(S1100) 절차는 계약관리 모듈(134)에서 입주자정보관리에서 제공된 데이터에 의해 이사신청이 가능한 모든 세대를 이사신청가능목록으로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상기 이사신청가능목록에서 이사를 원하는 세대를 선택하여 현재 계약내용과 계약정보를 보여주면, 이사를 원하는 동호세대 선택 후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 창이 실행되고, 이사신청 팝업 창에서 이사하려는 동·호의 정보를 입력하고 이사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이사신청이 완료된다(S270,S1102).
이사신청이 완료된 후 정보 수정이 필요한 경우(S278,S1104)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출력되는 이사신청을 완료한 입주자의 동·호수를 보여주는 이사신청목록, 대표자/유형/이름/전화번호/주소/이메일 등 이사신청자의 인적사항을 변경할 수 있는 계약자정보, 보증금/임대료/임대시작일/임대종료일/비고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계약정보, 보증금과 권리금의 항목에서 필요한 목록을 수정하여 이사신청정보변경을 한다(S280,S1106).
이후 도 2a의 S206단계(S282) 이후를 수행한다.
한편 도 2b에서 이사신청(S270)을 한 후, 이사하려는 동·호의 보증금을 이전 동·호의 보증금과 비교하여(S272) 증가한 경우 입주관리 모듈(122)에서 증가된 보증금을 수납하고(S274), 감소한 경우 환불관리 모듈(144)에서 감소한 보증금을 환불한다(S276).
이사신청정보변경의 수정한 정보를 저장 후 계약자 정보 및 계약정보(임대시작일 및 임대 종료일 등)의 수정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다시 수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기도래 및 계약의 해지·해제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도 2a와 같이 입주세대 중 계약만료기간이 도래(계약만료 전 6개월~3개월사이)되었거나(S214,S1200), 도 2b와 같이 중도 해지(S252) 또는 강제 퇴거하려는(S1202) 과정을 보여준다.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 만기도래관리(S1204)는 계약만료기간이 도래해서 만기도래통지서를 발송하여 통지서를 확인한 후 갱신 또는 만료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중도해지의 경우 입주자가 중도해지 신청시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 진행하게 되며, 강제퇴거는 임대차계약서의 특약을 위반하였을 경우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 진행한다.
만기도래관리 이후 각 상황에 따라 갱신계약(S1212), 계약만료정보관리(S1206), 중도해지정보관리(S1208), 강제퇴거정보관리(S1210)를 각각 수행한다.
상기 만기도래관리에서는 입주자들의 갱신 또는 퇴거에 대해 입력한다.
또한 임대차기간 만료 전에 중도해지 또는 강제퇴거에 대해 입력한다.
임대차기간만료 6개월전에서 3개월전인 임차인들에게 계약만료통지서를 보내고, 계약에 대한 갱신 또는 만료에 대한 답변을 받아 사용자 단말(300)에서 입력한다.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의 갱신계약(S1212)은 만기도래관리(S1204)에서 통지서답변을 갱신으로 선택한 동호세대를 갱신계약자 목록에 보여주면 갱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갱신계약을 신청하고, 갱신계약에서 갱신계약을 신청한 후 후속 절차로 보증금 인상 금액 납부(S1214)를 통해서 갱신계약이 마무리 된다.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의 계약만료정보관리(S1206)는 상기 만기도래관리(1204)에서 통지서답변을 만료로 선택한 동호세대를 계약만료자 목록에 보여주면 만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계약만료를 신청한다.
상기 계약만료정보관리(S1206)를 통해 계약만료를 신청하면 후속 절차로 도 13과 도 2a와 같은 환불관리, 퇴거서류관리, 퇴거점검관리 등의 절차를 거쳐서 퇴거절차를 실행한다.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의 중도해지정보관리(S1208)는 입주자가 중도해지 신청시 이를 신청한 동호세대를 중도해지자 목록에 보여주면, 중도해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중도해지를 신청한다.
상기 중도해지정보관리(S1208)에서 중도해지를 신청하면 후속 절차로 도 13과 도 2b와 같은 환불관리, 퇴거서류관리, 퇴거점검관리 등의 절차를 거쳐서 퇴거절차를 실행한다.
도 2b에서 퇴거 1개월 전에 중도해지를 신청한 경우(S252), 위약금 없이 중도해지가 등록되고(S254), 퇴거 1개월 전에 중도해지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S252), 위약금을 물고 중도해지가 등록된다(S256).
계약만료관리 모듈(136)에서의 강제퇴거정보관리(S1210)는 입주자가 임대차계약서의 특약을 위반하였을 경우 위반한 입주의 동호세대를 강제퇴거자 목록에 보여주면 강제퇴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강제퇴거를 진행한다.
상기 강제퇴거정보관리(S1210)에서 강제퇴거를 진행한 후 후속 절차로 도 13과 도 2b와 같은 환불관리, 퇴거서류관리, 퇴거점검관리 등의 절차를 거쳐서 퇴거절차를 실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퇴거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의 계약만료, 중도해지, 강제퇴거 등의 이유로 퇴거를 해야 하는 경우 퇴거처리절차는 퇴거현황조회 모듈(132)의 퇴거현황조회(S1302), 퇴거관리 모듈(124)의 퇴거서류관리(S1304), 퇴거점검관리(S1306), 환불관리 모듈(144)의 환불관리(S1308), 입퇴거관리 모듈(126)의 퇴거처리관리(S131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퇴거현황조회(S1302)는 실제 퇴거예정인 입주세대의 현황을 알아보고 퇴거대상자의 동호세대의 입주가능 일을 변경하는 것으로 퇴거대상자(계약만료정보관리, 중도해지정보관리, 강제퇴거정보관리의 퇴거신청을 완료한 세대) 중에서 퇴거할 세대(퇴거 신청서 제출일이 있는 입주세대)을 확인한다.
퇴거서류관리(S1304)는 퇴거예정세대(퇴거현황조회 목록)와 퇴거완료세대를 대상으로 퇴거에 필요한 서류를 받으며, 퇴거처리 완료(S1312) 후에도 퇴거서류를 받을 수 있다.
퇴거점검관리(S1306)는 퇴거예정세대(퇴거현황조회 목록)의 퇴거전 퇴거사전점검과 퇴거본점검을 통해 하자보수요청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원상회복에 필요한 보수비용을 확인한다.
상기 퇴거점검관리가 끝나면 환불관리(S1308)에서 환불 처리한다.
여기서 환불의 종류는 과오납환불, 기타수납환불, 보증금환불이 있다.
퇴거처리관리(S1310)는 당일 기준으로 사전점검여부, 본점검여부, 정산여부가 모두 처리된 경우 저장하며 이를 통해 퇴거처리를 완료한다(S1312).
이와 같은 퇴거처리 절차 중에서 퇴거점검관리(S1306)와 환불관리(S1308)만 처리해도 퇴거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고로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140)의 시설관리 모듈(142)은 입주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과 각 세대별 유닛에서 발생하는 시설들의 하자를 점검하고 보수한다.
공동하자점검관리는 공동하자점검항목관리(마스터 데이터)에 정의된 공동항목과 점검주기 별로 공동시설을 점검하고 하자 발생시 보수를 요청한다.
공동하자보수관리는 상기 공동하자점검관리에서 요청한 보수요청항목에대해서 수리업체, 수리담당자, 수리일자, 수리비용을 지정하여 보수작업을 실행한다.
세대별하자보수관리는 입주점검관리에서 실시한 점검내용을 보여주며 그 이외에 발생한 하자내용을 보수요청을 통해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150)은 관리비를 등록하고 계산하는 관리비관리 모듈(152), 징수대행 등록하고 계산하는 징수대행 모듈(153), 세대별 전기, 공용전기 사용량을 등록하고 계산하는 전기료관리 모듈(154), 세대별 수도, 공용수도료를 등록하고 계산하는 수도료관리 모듈(155), 관리비수납 및 출력, 관리비 퇴거 정산하는 관리비수납 모듈(156)로 구성된다.
관리비관리 모듈(152)은 일반관리비 종류에 따라 4레벨 관리비등록, 3레벨 관리비등록, 2레벨 관리비등록, 관리비계산 기능을 한다.
징수대행 모듈(153)은 세대별 사용관리, 승강기비용등록, 승강기비용계산, 징수대행등록, 징수대행계산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료관리 모듈(154)은 세대별 전기사용량관리, 공용전기사용량관리, 공용전기계산, 기타전기청구금액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수도료관리 모듈(155)은 세대별 수도사용량관리, 공용수도사용량관리, 공용수도계산, 기타수도청구금액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비수납 모듈(156)은 관리비수납, 관리비출력, 관리비퇴거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비관리 모듈(152)의 관리비계산, 징수대행 모듈(153)의 징수대행항목계산, 전기료관리 모듈(154)의 전기사용량계산, 수도료관리 모듈(155)의 수도사용량을 계산하여, 관리비수납 모듈(156)에서 4개의 관리비를 취합해서 관리비를 출력하고, 관리비를 수납한다.
통합현황조회 모듈(160)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보여주지 않고 월별, 연별 등으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를 보여준다.
상기 통합현황조회 모듈(160)은 임대차현황 모듈(162), 계약현황 모듈(164), 수납현황 모듈(166), 임대현황표 모듈(168)로 이루어진다.
임대차현황 모듈(162)은 임대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세대정보, 관리대상임차인조회, 계약현황, 퇴거현황을 보여준다.
계약현황 모듈(164)은 계약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입주대기자 관리, 공실 조회, 계약이력조회, 통지서 미발송 조회를 수행한다.
수납현황 모듈(166)은 수납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보증금현황, 임대료현황, 관리비현황을 보여준다.
임대현황표 모듈(168)은 공실 현황과 연체세대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로 보여준다.
다음 퇴거현황조회 모듈(132)의 대출금상환관리 기능은 입주세대가 은행으로부터 대출받은 금액과 대출금 납부 이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보증금을 정산할 때 대출금이 남아 있으면 대출금을 먼저 공제하고 보증금을 정산한다.
그리고 상기 임대료관리 모듈(151)의 임대료수납정보관리는 입주세대들의 보증금, 임대료, 연체료, 과오납금액 수납이력 등을 관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임대관리시스템 서버 200: 임대관리시스템 콘솔
102: OS 106: WAS
108: DBMS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입주자의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 계약에 관한 업무,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 통계적 정보를 출력하는 업무를 수행하여 공동임대주택을 통합 관리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서버;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의 작업을 웹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웹 GUI를 지원하는 임대관리시스템 콘솔; 및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입력에 의해 임대관리시스템 서버가 공동임대주택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의 OS는 Linux,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은 Maria DB,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는 Tomcat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로그인한 후 임대관리시스템 콘솔의 초기 화면은 전체 관리 항목에 대한 좌측의 오브젝트 트리와, 임대관리의 현황을 나타내는 우측의 대시보드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의 왼쪽 화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는 업무별 대상 항목을 각각 계층화된 트리 구조로 표시하며, 각 그룹별 최하위에는 실제 업무 화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관리시스템 서버는 임차인 현황조회, 세대 수 현황, 계약이력 통계 등 임대관리 현황을 요약 정리해서 보여주는 대시보드 모듈과, 입주와 퇴거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입주 및 퇴거관리 모듈, 계약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관리 모듈, 시설 하자보수와 환불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는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 임대료 수납과 관리비 수납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 통계적 정보를 조회하는 통합현황조회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및 환불관리 모듈의 시설관리 모듈은 공동하자점검항목관리(마스터 데이터)에 정의된 공동항목과 점검주기 별로 공동시설을 점검하고 하자 발생시 보수를 요청하는 공동하자점검관리 기능과, 상기 공동하자점검관리에서 요청한 보수요청항목에 대해서 수리업체, 수리담당자, 수리일자, 수리비용을 지정하여 보수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하자보수관리 기능과, 입주점검관리에서 실시한 점검내용을 보여주고 그 이외에 발생한 하자내용을 보수요청을 통해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세대별하자보수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비 및 임대료관리 모듈의 관리비 모듈은 관리비를 등록하고 계산하는 관리비관리 모듈, 징수대행 등록하고 계산하는 징수대행 모듈, 세대별 전기, 공용전기 사용량을 등록하고 계산하는 전기료관리 모듈, 세대별 수도, 공용수도료를 등록하고 계산하는 수도료관리 모듈, 관리비수납 및 출력, 관리비 퇴거 정산하는 관리비수납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현황조회 모듈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보여주지 않고 월별, 연별 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를 보여주되,
    임대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세대정보, 관리대상임차인조회, 계약현황, 퇴거현황을 보여주는 임대차현황 모듈, 계약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입주대기자 관리, 공실 조회, 계약이력조회, 통지서 미발송 조회를 수행하는 계약현황 모듈, 수납에 관한 누적정보나 통계정보로 보증금현황, 임대료현황, 관리비현황을 보여주는 수납현황 모듈, 공실 현황과 연체세대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로 보여주는 임대현황표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9. (a)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임대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공실목록과 퇴거예정세대목록을 입주가능세대목록으로 하여, 동과 호수를 선택한 후 계약자 정보, 계약 정보, 보증금 입금예정일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경우 계약관리 모듈에서 신규계약을 등록하는 단계;
    (b) 입주관리 모듈에서 보증금 및 예치금을 수납하면서 보증보험료 수납 및 입주서류를 확인하는 단계;
    (c) 입퇴거관리 모듈의 입주처리관리, 입주관리 모듈의 입주세대등록과 입주점검관리, 계약관리 모듈의 입주자정보관리와 같은 입주처리과정을 거쳐 입주처리가 완료되는 단계;
    (d) 계약만료기간이 도래하여 계약만료관리 모듈에서 만기도래통지서를 발송하여 갱신에 대한 답변을 받은 경우 갱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갱신계약을 신청하며, 보증금 인상 금액 납부를 통해서 갱신계약을 마무리하는 단계;
    (e) 상기 만기도래통지서를 발송하여 만료데 대한 답변을 받은 경우 만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계약만료를 신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 이후에 퇴거현황조회 모듈의 퇴거현황조회, 퇴거관리 모듈의 퇴거서류관리와 퇴거점검관리, 환불관리 모듈의 환불관리, 입퇴거관리 모듈의 퇴거처리관리를 통해 퇴거가 완료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입주처리관리는 임대시작일 이후 임대가 가능한 계약자들의 입주처리를 하는 것으로, 입주처리가 가능한 세대들 중 입주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세대를 체크하고, 입주점검관리는 입주처리가 완료된 입주민이 입주하기 전에 세대별 유닛의 점검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입주민조회목록과 입주점검정보에서 양호와 불량으로 체크표시를 하며, 입주자정보관리는 계약자의 인적 사항 변경이 발생한 경우 계약자 정보를 수정하며, 입주세대등록은 계약자와 세대원들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퇴거현황조회는 실제 퇴거예정인 입주세대의 현황을 알아보고 퇴거대상자의 동호세대의 입주가능 일을 변경하고, 퇴거서류관리는 퇴거예정세대와 퇴거완료세대를 대상으로 퇴거에 필요한 서류를 받으며, 퇴거점검관리는 퇴거예정세대의 퇴거전 퇴거사전점검과 퇴거본점검을 통해 하자보수요청을 확인하여 이를 통해 원상회복에 필요한 보수비용을 확인하며, 환불관리는 상기 퇴거점검관리가 끝난 경우 환불 처리하며, 퇴거처리관리는 당일 기준으로 사전점검여부, 본점검여부, 정산여부가 모두 처리된 경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입주자가 중도해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여 중도해지를 신청하는 경우나, 입주자가 임대차계약서의 특약을 위반하여 강제퇴거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f)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방법.
KR1020190076442A 2019-06-26 2019-06-26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42A KR20210001029A (ko) 2019-06-26 2019-06-26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42A KR20210001029A (ko) 2019-06-26 2019-06-26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29A true KR20210001029A (ko) 2021-01-06

Family

ID=7412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442A KR20210001029A (ko) 2019-06-26 2019-06-26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3548A (zh) * 2021-05-06 2021-08-27 重庆国科应用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写字楼租赁管理系统
KR102612510B1 (ko) 2022-08-22 2023-12-11 아트리움컨설턴트(주)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시 출입제어 및 하자보수 접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652A (ko) 2001-12-17 2003-06-25 오주실 임대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652A (ko) 2001-12-17 2003-06-25 오주실 임대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3548A (zh) * 2021-05-06 2021-08-27 重庆国科应用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写字楼租赁管理系统
KR102612510B1 (ko) 2022-08-22 2023-12-11 아트리움컨설턴트(주)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시 출입제어 및 하자보수 접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8508C (en) An online marketplace for moving and relocation services
US20180075555A1 (en) Mobile Platform for Legal Process
US2007002773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geographically dispersed properties
US781397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nd approving legal expenses
US20060036465A1 (en) Online interactive interface and automated processing for loan origination and underwriting
US200601294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eal estate property
US20010034675A1 (en) Legal expense tracking and approval methods and systems
CA2776229A1 (en) An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compulsory reporting of lease application adjudication decisions, ongoing tenancy histories and debtor collections
JP2007072614A (ja) 不動産賃貸借支援システム
KR101898045B1 (ko) 전세렌터카 운영 방법
US201002870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 estate loan administration
US7376573B1 (en) Claims data analysis toolkit
US8762234B2 (en) Duty and tax avoidance device and system
KR20210001029A (ko) 공동임대주택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19046192A (ja) 制御システム
JP6501435B1 (ja) 社内管理システム及び工事管理システム
JP4805597B2 (ja) アパート等のリフォーム管理方法
KR101878261B1 (ko) 임대사업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01026A (ko) 공동임대주택 입주 및 퇴거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130311384A1 (en) Lease deposit exemption policy
Blum State and Local Taxing Authorities: Taking More than their Fair Share of the Electric Information Age
Haas How do innovative banking channels reduce costs in downscaling?
KR102638193B1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부동산 임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23158758A (ja) 不動産管理装置、不動産管理方法、及び、不動産管理プログラム
KR100737640B1 (ko) 담보콜거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