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636B1 -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636B1
KR101905636B1 KR1020160182863A KR20160182863A KR101905636B1 KR 101905636 B1 KR101905636 B1 KR 101905636B1 KR 1020160182863 A KR1020160182863 A KR 1020160182863A KR 20160182863 A KR20160182863 A KR 20160182863A KR 101905636 B1 KR101905636 B1 KR 10190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ode
company
managing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957A (ko
Inventor
김곤
최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러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러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러스원
Priority to KR1020160182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산자원 관리 담당자와 유지보수업체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관리, 점검 관리, 장애 관리, 작업 관리 및 프로젝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그 수행 정도를 통계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복수의 전산자원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와 전산자원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유지보수업체가 이용하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접속하는 관리자 모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가 접속하도록 유지보수업체 각각에 할당된 업체별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자 모드에는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업체별 모드에는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METHOD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COMPUTER-RESOURCES}
본 발명은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산자원 관리 담당자와 유지보수업체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관리, 점검 관리, 장애 관리, 작업 관리 및 프로젝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그 수행 정도를 통계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산자원의 관리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와 같은 전산자원을 이용하는 조직의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전산자원의 관리는 전산자원의 자산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자산 관리, 전산자원의 장애를 체크하고 해소하는 장애 관리, 전산자원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수행하는 점검 관리, 전산자원에 대한 신규 설치나 증설 등과 같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프로젝트 관리 및 장애 처리나 점검 등의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등이 있다.
통상, 전산자원의 관리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거나 관리자가 있더라도 외부 유지보수업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산자원 관리는 수대의 관리대상 자원을 대상으로 하기때문에 시간과 경비 등의 문제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1770호(전산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9076호(전산자원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2248호(전산자원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과 같이 원격으로 전산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관리자가 수대의 관리대상 전산자원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여야 하고 직접 수행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유지보수업체에 전산자원 관리를 맡기는 경우에도 장애 등이 발생될 때마다 여전히 관리를 맡기는 업무 및 유지보수업체에 의해 수행된 업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각종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같은 전산자원은 기업(조직)의 소중한 자산으로서, 전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산자원의 관리는 대부분 전산담당부서 또는 총무부서의 주관으로 형식적으로 실시하는 재물조사 수준에서 장비(전산자원)의 물품명, 사용부서(사용자) 정보가 관리되고 있을 뿐이고 이에 대한 정보가 유지보수업체와 원활하게 공유되지 않아 전산자원의 점검, 장애 해결 등의 관리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2370호(전산자원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는 전산자원의 재고나 변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산자원의 자체의 관리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전산자원의 유지보수는 별도의 업무로 분리되어 있어 전산자원의 전체적인 관리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1770호 : 전산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9076호 : 전산자원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2248호 : 전산자원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2370호 : 전산자원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산자원 관리 담당자와 유지보수업체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관리, 점검 관리, 장애 관리, 작업 관리 및 프로젝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그 수행 정도를 통계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복수의 전산자원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와 전산자원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유지보수업체가 이용하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접속하는 관리자 모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가 접속하도록 유지보수업체 각각에 할당된 업체별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자 모드에는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업체별 모드에는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상기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자산정보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산등록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는 점검을 등록하고 유지관리업체에 요청하는 점검요청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자산점검관리 기능과, 업체별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점검관리 기능과, 미점검 내역을 자산별과 업체별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점검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산의 장애 해결을 유지관리업체에 요청하는 장애등록관리 기능과, 전산자산의 장애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해결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별 장애 처리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 장애관리 기능과, 미처리된 장애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이력을 검색하고 조회하는 장애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는 수행이 필요한 작업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작업등록관리 기능과, 작업에 대한 진행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작업진행관리 기능과, 작업에 대한 이력을 검색 및 조회하는 작업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자산현황통계 기능과, 점검에 대한 현형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점검현황통계 기능과, 장애에 대한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장애현황통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는, 자산그룹을 등록하고 수정하며 관리하는 자산그룹관리 기능과, 업체별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업체관리 기능과, 업체별 담당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담당자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상기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는 요청된 점검에 대하여 담당자별 진행 단계를 관리하고 점검보고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점검요청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자산점검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의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점검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의 미점검 내역을 자산별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점검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는 해결이 요청된 장애에 대하여 담당자별 진행 단계를 관리하고 장애 해결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장애등록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가 처리를 수행하는 전산자산의 장애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해결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에 대한 장애 처리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 장애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에 의해 미처리된 장애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 장애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가 처리를 수행하는 장애 이력을 검색하고 조회하는 장애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는 수행을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작업계획서와 결과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작업등록관리 기능과,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진행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작업진행관리 기능과,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이력을 검색 및 조회하는 작업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는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자산현황통계 기능과,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점검에 대한 현형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점검현황통계 기능과,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장애에 대한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장애현황통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상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가 접속하는 담당자 모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담당자 모드에는 점검관리 담당자 모드, 장애관리 담당자 모드, 작업관리 담당자 모드, 통계열람 담당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산자원 관리 담당자와 유지보수업체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관리, 점검 관리, 장애 관리, 작업 관리 및 프로젝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그 수행 정도를 통계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관리자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유지보수업체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담당자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관리자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유지보수업체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담당자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여러 대의 컴퓨터 시스템(11',11",12)과 프로그램 등과 같은 전산자원을 운영하는 기업, 관공서 등과 같은 조직에서는 전산자원(10)을 총무부서나 전담 관리부서의 관리자가 관리를 담당한다. 아울러, 상기 전산자원(10)의 유지보수를 관리자가 직접 담당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대부분의 전산자원(10)의 유지보수를 유지보수업체나 시스템 엔지니어와 같은 유지보수 담당자가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유지보수업체나 유지보수 담당자가 유지보수업체 단말기(20,20')와 담당자 단말기(30,30')로 전산망(N)을 통해 전산자원(10)의 관리자의 접속 단말기(12)와 서로 접속하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2)를 통해 접속하는 관리자 모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가 유지보수업체 단말기(20,20')를 통해 접속하도록 유지보수업체 각각에 할당된 업체별 모드 및 상기 유지보수업체의 유지보수 담당자가 담당자 단말기(30,30')를 통해 접속하는 담당자 모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관리자 모드(M)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자 모드(M)에는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M1),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M2),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M3),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M4),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M5),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M6)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M1)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자산정보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산등록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자산정보관리 기능에는 자산현황정보를 검색하는 자산검색 기능을 포함한다.
자산등록관리 기능은 전산자산의 등록, 변경, 수정, 목록생성, 검색과 함께 자산정보를 엑셀 등의 파일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M2)는 점검을 등록하고 유지관리업체에 요청하는 점검요청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자산점검관리 기능과, 업체별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점검관리 기능과, 미점검 내역을 자산별과 업체별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점검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M3)는 전산자산의 장애 해결을 유지관리업체에 요청하는 장애등록관리 기능과, 전산자산의 장애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해결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별 장애 처리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 장애관리 기능과, 미처리된 장애현황을 표와 그래프 형태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이력을 검색하고 조회하는 장애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장애등록관리 기능은 자산내 장비를 선택하여 유지보수업체에 장애점검을 목록을 제공하며 요청한다.
상기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M4)는 수행이 필요한 작업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작업등록관리 기능과, 작업에 대한 진행 현황을 표나 그래프 형태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작업진행관리 기능과, 작업에 대한 이력을 검색 및 조회하는 작업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M5)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자산현황통계 기능과, 점검에 대한 현형을 일자별로 검색하고 출력하는 점검현황통계 기능과, 장애에 대한 현황을 일자별로 검색하고 출력하는 장애현황통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M6)는 자산그룹을 등록하고 수정하며 관리하는 자산그룹관리 기능과, 업체별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업체관리 기능과, 업체별 담당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담당자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유지보수업체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업체별 모드(R)에는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R1),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R2),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R3),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R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R1)는 요청된 점검 및 이미 스케쥴러에 등록된 점검에 대하여 업체별/담당자별 진행 단계를 관리하고 점검보고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점검요청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자산점검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의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점검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의 미점검 내역을 자산별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점검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R2)는 해결이 요청된 장애에 대하여 담당자별 진행 단계를 관리하고 장애 해결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장애등록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가 처리를 수행하는 전산자산의 장애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해결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에 대한 장애 처리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 장애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에 의해 미처리된 장애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 장애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가 처리를 수행하는 장애 이력을 검색하고 조회하는 장애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R3)는 수행을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작업계획서와 결과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작업등록관리 기능과,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진행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작업진행관리 기능과,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이력을 검색 및 조회하는 작업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R4)는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자산현황통계 기능과,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점검에 대한 현형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점검현황통계 기능과,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장애에 대한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장애현황통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의 담당자 모드의 기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담당자 모드(E)에는 점검관리 담당자 모드(E), 장애관리 담당자 모드(E), 작업관리 담당자 모드(E), 통계열람 담당자 모드(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담당자 모드(E)의 점검관리 담당자 모드(E), 장애관리 담당자 모드(E), 작업관리 담당자 모드(E), 통계열람 담당자 모드(E)는 각각 상기 업체별 모드(R)의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R1),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R2),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R3),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R4)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산자산
11,11' 전산장비
12 관리자 단말기
20,20' 유지보수업체 단말기
30,30' 담당자 단말기

Claims (4)

  1. 복수의 전산자원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와 전산자원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유지보수업체가 이용하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접속하는 관리자 모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지보수업체가 접속하도록 유지보수업체 각각에 할당된 업체별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자 모드에는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되,
    상기 자산관리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자산정보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산등록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점검관리 관리자 모드는 점검을 등록하고 유지관리업체에 요청하는 점검요청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자산점검관리 기능과, 업체별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점검관리 기능과, 미점검 내역을 자산별과 업체별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점검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장애관리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산의 장애 해결을 유지관리업체에 요청하는 장애등록관리 기능과, 전산자산의 장애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해결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별 장애 처리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 장애관리 기능과, 미처리된 장애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이력을 검색하고 조회하는 장애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작업관리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산에 대한 점검이나 전산자산에 대한 장애 해결에 필요한 작업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작업등록관리 기능과, 작업에 대한 진행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작업진행관리 기능과, 작업에 대한 이력을 검색 및 조회하는 작업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통계열람 관리자 모드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자산현황통계 기능과, 점검에 대한 현형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점검현황통계 기능과, 장애에 대한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장애현황통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환경관리 관리자 모드는, 자산그룹을 등록하고 수정하며 관리하는 자산그룹관리 기능과, 업체별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업체관리 기능과, 업체별 담당자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담당자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업체별 모드에는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되,
    상기 점검관리 업체별 모드는 요청된 점검에 대하여 담당자별 진행 단계를 관리하고 점검보고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점검요청관리 기능과, 전산자원에 대한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자산점검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의 점검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점검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의 미점검 내역을 자산별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점검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장애관리 업체별 모드는 해결이 요청된 장애에 대하여 담당자별 진행 단계를 관리하고 장애 해결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장애등록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가 처리를 수행하는 전산자산의 장애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장애관리 기능과, 장애 해결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에 대한 장애 처리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업체별 장애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에 의해 미처리된 장애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미처리 장애관리 기능과, 해당 업체가 처리를 수행하는 장애 이력을 검색하고 조회하는 장애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작업관리 업체별 모드는 수행을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작업계획서와 결과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작업등록관리 기능과,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진행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작업진행관리 기능과, 요청받은 작업에 대한 이력을 검색 및 조회하는 작업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통계열람 업체별 모드는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전산자원에 대한 자산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자산현황통계 기능과,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점검에 대한 현형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점검현황통계 기능과, 해당 업체가 담당하는 장애에 대한 현황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장애현황통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가 접속하는 담당자 모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담당자 모드에는 점검관리 담당자 모드, 장애관리 담당자 모드, 작업관리 담당자 모드, 통계열람 담당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KR1020160182863A 2016-12-29 2016-12-29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KR10190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63A KR101905636B1 (ko) 2016-12-29 2016-12-29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63A KR101905636B1 (ko) 2016-12-29 2016-12-29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57A KR20180077957A (ko) 2018-07-09
KR101905636B1 true KR101905636B1 (ko) 2018-10-08

Family

ID=6291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863A KR101905636B1 (ko) 2016-12-29 2016-12-29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704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플러스원 에스.에이.에이.에스를 이용한 전산자원에 대한 서비스 수준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250B1 (ko) 2022-09-14 2022-11-03 김형식 운영관리 솔루션 시스템 및 빅데이터 분석 방법
KR102463251B1 (ko) 2022-09-14 2022-11-03 김형식 위탁업체의 운영관리 평가 정량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981B1 (ko) * 2008-06-12 2010-10-29 박장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981B1 (ko) * 2008-06-12 2010-10-29 박장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704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플러스원 에스.에이.에이.에스를 이용한 전산자원에 대한 서비스 수준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57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5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reconciliation in an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US8863224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protection resources
US116695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KR101905636B1 (ko) 전산자원 통합 유지관리 방법
US20190116178A1 (en) Application error fingerprinting
CN111614696A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网络安全应急响应方法及其系统
US11693371B2 (en) Potential replacement algorithm selection based on algorithm execution context information
US20190303112A1 (en) Replacement algorithm selection platform
US11700255B2 (en) Feedback framework
CN112288400A (zh) 多系统数据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8087087B1 (en) Management of computer security events across distributed systems
US20070282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nagement With a Directory Service Tool Box
KR101811430B1 (ko) It 자산 통합 관리 장치
US10175968B2 (en) Software catalog information management
US20100145921A1 (en) Information management inventory
US20090112704A1 (en) Management tool for efficient allocation of skills and resources
CN113919757B (zh) 基于工作流的待办事项处理人匹配方法及处理系统
US20230261877A1 (en) Blockchain-based collaborative maintenance platform
US11632375B2 (en) Autonomous data source discovery
CN112015623A (zh) 报表数据处理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40143809A1 (en) Service and system integration
von Faber Taxonomy
JP2020166504A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アクセス方法
CN114416155A (zh) 一种自动化运维的统一配置管理系统
WO2023016641A1 (en) Handling of logged restricted information based on tag syntax al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