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136A -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136A
KR20220142136A KR1020210048504A KR20210048504A KR20220142136A KR 20220142136 A KR20220142136 A KR 20220142136A KR 1020210048504 A KR1020210048504 A KR 1020210048504A KR 20210048504 A KR20210048504 A KR 20210048504A KR 20220142136 A KR20220142136 A KR 2022014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spection
module
health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467B1 (ko
Inventor
도병국
Original Assignee
도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병국 filed Critical 도병국
Priority to KR102021004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사업장별 특성에 맞게 안전점검내용을 설정하고, 사업장이 안전점검내용에 적합한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안전교육, 협의체이행확인, 수급인안전공문, 합동안전보건점검, 수급인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를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전검사를 실시할 사업장의 기본정보,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업장관리모듈; 점검항목별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 점검내용 및 점검항목을 관리 할 수 있는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 점검항목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 안전교육을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조회할 수 있는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 안전보건업무와 관련된 안전관리 서류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 안전관리에 관련된 지시사항을 작성할 수 있는 안전관리파일모듈; 및 관리자가 점검항목을 확인하고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점검결재모듈을 포함하는 능동형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A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능동형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사업장별 특성에 맞게 안전점검내용을 설정하고, 사업장이 안전점검내용에 적합한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안전교육, 협의체이행확인, 수급인안전공문, 합동안전보건점검, 수급인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를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과 본사와는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본사에서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예를 들면 작업장의 환경, 위험요소, 안전표시 등을 실시간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대부분의 작업현장에서는 근무 인력이나 시간 변동이 심해 비용정산 과정에서도 손실이 발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현장과 본사간의 신속한 정보 공유가 불가능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바코드나 RFID 카드 사용을 도입하였으나 단순히 작업자의 출퇴근 기록만 관리하기 때문에 활용도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고 작업생산성 또한 저하시키고 있었다.
또한, 작업현장은 많은 중장비들이 쉴 새 없이 움직이며 작업을 하고 있으며, 낭떠러지와 웅덩이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안전점검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시 신속한 위치파악이 힘들어 인명피해가 확대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CCTV를 장착하여 현장 내 위험지역을 감시하기 위한 장비로서 사용했지만, CCTV 고정 설치와 한정된 시야 때문에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니터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에는 RFID를 이용하여 작업자 고유의 ID코드와 근무상태정보를 결합하여 특정 주파수로 무선 송신하도록 안전모의 소정 위치에서 감지센서를 구동시키도록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종래 기술은 별도의 전원 및 네트워크 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비용의 부가시설로 이한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통합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10-1245359호(2013.03.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점검내용을 실시간격에 따라 일일안전점검, 월간안전점검, 특별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으며, 점검장소 및 내용에 따라, 기본안전점검, 장비안전점검, 업무용차량안전점거므, 소방안전점검, 건물안전점검, 시설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점검내용을 지정하여, 작업자가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을 이용하여 스스로 안전점검을 시행할 수 있는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은 안전검사를 실시할 사업장의 기본정보,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업장관리모듈; 점검항목별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 점검내용 및 점검항목을 관리 할 수 있는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 점검항목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 안전교육을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조회할 수 있는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 안전보건업무와 관련된 안전관리 서류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 안전관리에 관련된 지시사항을 작성할 수 있는 안전관리파일모듈; 및 관리자가 점검항목을 확인하고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점검결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사업장관리모듈,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 안전관리파일모듈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각 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는 통합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관리모듈은 사업장의 주소를 포함한 사업장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지정 및 정보입력을 할 수 있는 기본정보등록부, 및 안전관리를 실시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점검의 시작일자 및 종료일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검장소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사업장별 특성에 맞게 안전점검내용을 설정하고, 사업장이 안전점검내용에 적합한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안전교육, 협의체이행확인, 수급인안전공문, 합동안전보건점검, 수급인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를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의 사업장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의 점검항목현황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4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의 점검내용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의 점검내용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8은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을 도시한 도면 ,
도 10은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의 상세정보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11은 안전관리파일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안전점검결재모듈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의 사업장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도 2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의 점검항목현황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4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의 점검내용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의 점검내용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8은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의 상세정보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11은 안전관리파일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안전점검결재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관리모듈(100),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200),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300),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400),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500),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600), 안전관리파일모듈(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업장관리모듈(100)은 기본정보등록부(110) 및 점검장소등록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본정보등록부(110)는 사업장의 주소를 포함한 사업장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지정 및 정보입력을 할 수 있다.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는 복수인이 지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에 따라 열람할 수 있는 항목 및 점검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점검장소등록부(120)는 안전관리를 실시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점검의 시작일자 및 종료일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장소는 사무실, 창고, 지게차, 업무용차량, 작업장을 포함하여 점검이 필요한 장소의 유형이 설정되어 있어 점검장소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업장관리모듈(100)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는 통합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200)은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점검내용 리스트를 전송받아 각 점검종류에 따른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점검내용은 점검의 실시 간격에 따라 일일안전점검, 월간안전점검, 특별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으며, 점검 장소 및 내용에 따라 기본안전점검, 장비안전점검, 업무용차량안전점검, 소방안전점검, 건물안전점검, 시설안전점검을 포함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일일안전점검항목에는 작업을 수행할때 필요한 정리상태, 안전표시상태, 장비운영등이 포함될 수 있고, 월간안전점검항목에는 매일 점검할 필요는 없지만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여야할 필요가 있는 소방안전점검, 건물안전점검, 시설물 안전점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300)은 각 사업장별로 점검장소, 점검종류 및 점검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400)은 사업장별 점검내용 및 점검항목을 관리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사업장 점검장소별로 어떠한 점검이 이루어졌는지, 점검내용에서 양호한 건수와 미흡한 건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점검내용이 미흡한지 확인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는 사업장관리모듈(100),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200),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300),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400),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500),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600), 안전관리파일모듈(700)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각 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500)은 각각의 사업장별로 안전교육을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조회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업장별로 안전교육, 협의제이행확인, 수급인안전공문, 합동안전보건점검, 수급인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 시행상황을 조회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600)은 안전교육, 협의제이행확인, 수급인안전공문, 합동안전보건점검, 수급인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의 이행여부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서류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안전관리파일모듈(700)은 안전관리에 관련된 지시사항을 작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전점검결재모듈(800)은 관리자가 점검항목을 확인하고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등록모듈 및 이상상황등록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도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는 통합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통합관리서버는 사용자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수집된 정보를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상황 발생 패턴과 이상 상황 발생 패턴에 따른 대처 방식의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데이터추출모듈과 데이터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유효데이터를 획득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상상황의 발생원인, 발생 빈도, 유형 등의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 통합관리서버의 데이터추출모듈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추출모듈은 이상 상황 발생 시간, 장소, 유형, 수습 시간, 및 원인을 포함하는 이상 상황 현황을 수집하여 데이터화한다.
데이터분석모듈은 데이터추출모듈로 데이터화 된 각각의 이상 상황에 대해 공통된 현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효데이터를 추출하고,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송출한다.
일례로, 10:00 경 밀링 머신 작업대에서 칩이 비산되어 작업자의 눈이 피해를 입은 이상상황 A 발생, 11:00 경 밀링 머신 작업대에서 작업자의 장갑이 끼여 작업자의 손이 피해를 입은 이상상황 B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데이터추출모듈에서는 시간(A 10:00 / B 12:00), 장소(A 밀링 머신 / B 밀링머신), 유형(A 인사사고 / B 인사사고), 수습 시간(미정), 원인(A 칩의 비산 / B 기기로 장갑 말림)을 데이터화 하고, 이를 데이터분석모듈(12)에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오전 시간대에 밀링머신의 인사사고 발생률이 높다"는 유효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밀링머신의 관리나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관리서버는 상기의 방식으로 수집된 정보를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상황 발생 패턴과 이상 상황 발생 패턴에 따른 대처 방식의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보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하는 안전 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등록모듈, 이상상황등록모듈, 이상상황확인모듈, 수신현황모듈, 이상상황대처보고모듈, 대처보고수신모듈, 가중치적용모듈, 위험도표시모듈, 및 수신확인요청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등록모듈부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등록모듈은 이름, 근무팀,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인적사항, 최초설치일자, 및 관리자 또는 일반사용자로 구분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권한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합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일례로, 일반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에서는 이상상황에 대해 보고 등록만 가능하고, 이상 상황에 대한 보고는 관리자로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에서만 수신할 수 있도록 운영할 수 있다.
이상상황등록모듈은 인명피해, 장비이상을 포함하는 이상 상황을 구분하고, 이상 상황 발생 일시, 등록자, 발생 위치, 발생 경위, 및 사진을 포함하는 이상 상황 정보를 통합관리서버에 등록하며, 각 이상 상황에 대해 특정 담당 관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발생한 특정 이상 상황에 대해 이상상황등록모듈로 등록할 때, 사용자등록모듈에서 관리자로 등록된 사용자단말기 중, 이상 상황 해결과 관련된 부서의 관리자로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고, 이상 상황에 대한 보고는 관리자로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로 수신하도록 하지만, 이후의 이상 상황 수습에서는 설정에 따라 담당 관리자나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보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상황확인모듈은 이상상황등록모듈로 등록된 이상 상황 정보를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후 수습에 대한 알림등록 받을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상황 발생 후, 등록되어 해당 내용을 수신하였더라도, 그 이후의 수습과정에 관하여는 수신받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어 무분별한 알람을 방지하도록 한다.
수신현황모듈은 이상상황등록모듈로 등록된 특정 이상 상황에 대해 각 수신자별 수신여부와 수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상황대처보고모듈은 이상상황등록모듈로 등록된 이상 상황에 대해 보고자, 보고 대상자, 수습 일시, 수습 대처 내용을 포함하는 수습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합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이상상황대처보고모듈을 통해 등록된 수습정보가 통합관리서버에 등록되어 통합관리서버에서 이상 상황에 대한 수습 정보를 분석하여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고 빅데이터 기반으로 데이터를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통합관리서버는 상기의 방식으로 수집된 정보를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상황 발생 패턴과 이상 상황 발생 패턴에 따른 대처 방식의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보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하는 안전 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대처보고수신모듈은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이상상황대처보고모듈로 등록된 수습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보고 대상자를 변경하거나 보고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고 대상자는 앞서 기재했던 것과 같이 관리자,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고, 특정하여 이상 상황 수습 과정에 대한 보고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가중치적용모듈은 데이터분석모듈로 수신한 유효데이터 중, 상관 관계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분석모듈로 분석 시 데이터를 정제하도록 한다.
일례로, 10:00 경 밀링 머신 작업대에서 칩이 비산되어 작업자의 눈이 피해를 입은 이상상황 A 발생, 11:00 경 밀링 머신 작업대에서 작업자의 장갑이 끼여 작업자의 손이 피해를 입은 이상상황 B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데이터추출모듈(11)에서는 시간(A 10:00 / B 12:00), 장소(A 밀링 머신 / B 밀링머신), 유형(A 인사사고 / B 인사사고), 수습 시간(미정), 원인(A 칩의 비산 / B 기기로 장갑 말림)을 데이터화 하고, 이를 데이터분석모듈에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오전 시간대에 밀링머신의 인사사고 발생률이 높다"는 유효데이터를 추출하여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기의 가중치적용모듈을 통해 가중치를 적용하되 "오전 시간대"와 "인사사고"의 상관관계에서 0.5를 적용하고, "밀링머신"과 "인사사고"의 상관관계에서 2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오전 시간대에 발생하는 인사사고에 관하여는 0.5의 가중치를 두어 상관관계도가 낮고, 밀링머신에서 발생하는 인사사고에 대해서는 2의 가중치를 두어 상관관계도가 높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관리서버에서 데이터분석모듈로 분석 시 정제된 데이터를 수득할 수 있다.
위험도표시모듈은 데이터분석모듈과 가중치적용모듈로 추출되어 정제된 유효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장을 도식화한 시각자료에 이상 상황 발생률이 높은 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제공한다.
수신확인요청모듈은 수신현황모듈로 수신현황을 조회하되, 이상상황등록모듈로 등록된 특정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에서 설정 시간 이내에 수신확인이 불가할 경우, 통합관리서버로 요청하여 해당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로 수신확인을 요구하는 알림 서비스를 진행하거나 통합관리서버에서 해당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위치가 가까운 타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수신 확인을 요청 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사업장정보입력단계(S100), 점검항목설정단계(S200), 점검내용입력단계(S300). 안전보건업무입력단계(S400), 확인 및 결재단계(S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업장정보입력단계(S100)에서는 사업장관리모듈(100)의 기본정보등록부(110)에 사업장의 주소를 포함한 사업장의 기본정보 및 관리자, 관리감독자 지정 및 정보입력을 한다.
또한, 점검장소등록부(120)에 안전관리를 실시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점검의 시작일자 및 종료일자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된다.
점검항목설정단계(S200)에서는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점검내용 리스트를 전송받아 각 점검종류에 따른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다.
점검내용은 점검의 실시간격에 따라 일일안전점검, 월간안전점검, 특별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으며, 정검 장소 및 내용에 따라 기본안전점검, 장비안전점검, 업무용차량안전점검, 소방안전점검, 건물안전점검, 시설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다.
각 점검종류에 따라 지정된 점검내용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된다.
점검내용입력단계(S300)은 점검항목설정단계(S200)에서 지정되어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된 점검내용을 전송받아 사업장별로 지정된 점검내용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점검자가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점검내용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된다.
안전보건업무입력단계(S400)는 안전보건에 관련된 안전교육, 협의체이행확인, 수급인안전공문, 합동안전보건점검, 수급인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에 관련된 서류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된 관련서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된다.
확인 및 결재단계(S500)는 점검내용입력단계(S300)에서 입력된 점검내용 및 안전보건업무입력단계(S400)에서 입력된 안전보건에 관한 서류를 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으며, 확인하여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업장관리모듈 200 -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
300 -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 400 -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
500 -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 600 -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
700 - 안전관리파일모듈

Claims (3)

  1. 안전검사를 실시할 사업장의 기본정보,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업장관리모듈;
    점검항목별 점검내용을 지정할 수 있는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 점검내용 및 점검항목을 관리 할 수 있는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 점검항목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
    안전교육을 포함한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조회할 수 있는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
    안전보건업무와 관련된 안전관리 서류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
    안전관리에 관련된 지시사항을 작성할 수 있는 안전관리파일모듈; 및
    관리자가 점검항목을 확인하고 안전보건업무 시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점검결재모듈
    을 포함하는,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업장관리모듈, 안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점검내용관리모듈, 사업장별점검내역확인모듈, 안전보건업무시행관리모듈, 안전보건업무시행등록모듈, 안전관리파일모듈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각 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는 통합관리서버
    를 더 포함하는,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사업장관리모듈은
    사업장의 주소를 포함한 사업장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지정 및 정보입력을 할 수 있는 기본정보등록부, 및
    안전관리를 실시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점검의 시작일자 및 종료일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검장소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10048504A 2021-04-14 2021-04-14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0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04A KR102507467B1 (ko) 2021-04-14 2021-04-14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04A KR102507467B1 (ko) 2021-04-14 2021-04-14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36A true KR20220142136A (ko) 2022-10-21
KR102507467B1 KR102507467B1 (ko) 2023-03-07

Family

ID=8380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504A KR102507467B1 (ko) 2021-04-14 2021-04-14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80B1 (ko) * 2023-05-15 2023-10-30 (주) 중흥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570B1 (ko) 2023-04-12 2023-10-17 박찬배 자동화 기계설비의 통합안전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557A (ko) * 2003-06-25 2005-01-07 안영국 일정기능을 갖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370775B1 (ko) * 2013-09-25 2014-03-06 김영도 기업 맞춤식 안전관리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483925B1 (ko) * 2014-11-25 2015-01-20 이요훈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50126276A (ko) * 2014-05-02 2015-11-11 환단기술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110264A (ko) * 2018-03-20 2019-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지도 기반의 안전 점검 체크리스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26675B1 (ko) * 2020-08-20 2021-03-11 와이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557A (ko) * 2003-06-25 2005-01-07 안영국 일정기능을 갖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370775B1 (ko) * 2013-09-25 2014-03-06 김영도 기업 맞춤식 안전관리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26276A (ko) * 2014-05-02 2015-11-11 환단기술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3925B1 (ko) * 2014-11-25 2015-01-20 이요훈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90110264A (ko) * 2018-03-20 2019-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지도 기반의 안전 점검 체크리스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26675B1 (ko) * 2020-08-20 2021-03-11 와이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80B1 (ko) * 2023-05-15 2023-10-30 (주) 중흥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467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113B2 (ja) 作業現場管理システム
KR20220142136A (ko)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WO2005089087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ntralized emergency management
US20190213525A1 (en) Compliance scoring system and method for hydrocarbon wellsites
KR102287225B1 (ko) 전자근로계약을 위한 비콘 기반 노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481223B1 (ko)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US200502733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mployee productivity, attendance and safety
US20100332293A1 (en)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KR20220133620A (ko)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KR20210113103A (ko)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20200043306A (ko) 작업장 안전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107610261B (zh) 一种能够进行工地进退场管理的系统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9232A (ko) 원전 건설 안전보건환경관리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방법
KR102382649B1 (ko)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592275B1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496668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및 안전 사고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595680B1 (ko)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KR102620064B1 (ko)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세이프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nha IT-enabled safety management framework in 3Indian mines.
KR102532723B1 (ko)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Szabó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safety risk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