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620A -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620A
KR20220133620A KR1020210038947A KR20210038947A KR20220133620A KR 20220133620 A KR20220133620 A KR 20220133620A KR 1020210038947 A KR1020210038947 A KR 1020210038947A KR 20210038947 A KR20210038947 A KR 20210038947A KR 20220133620 A KR20220133620 A KR 20220133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struction site
item
risk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21003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3620A/ko
Publication of KR2022013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서버의 프로세서를 통해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위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점검 결과를 전달 받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의 위치가 상기 위험 영역 근방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CONSTRUCTION SITE SAFTY CONTROL SYSTEM USING VIDEO ANALYSIS TECHNOLOGY}
본 발명은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설물을 설치, 유지, 보수하는 각종 건설 현장은 수많은 중장비들과 함께 근로자들이 모여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복잡하고 시끄러운 작업 환경을 가지고 있다.
건설 현장은 작업자의 사소한 실수에도 안전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며, 건설 장비들이 인접한 공간에서는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 개개인에 대한 안전교육 외에는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그 대신 소수의 현장 관리자가 현장의 모든 작업 과정을 관리 감독하지만, 수시로 변화하는 현장의 위험 요인들을 파악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그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단순히 건설 현장의 지리적, 작업 특성에 따라 근로자가 가서는 안 되는,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으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장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안전 대책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감독자들이 발견해내는 사고 위험 항목들을 안전하게 관리 및 처리할 수 있는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관리 감독자들이 소지한 각종 장치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 또는 이미지를 전달받음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근로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관리 감독자, 처리 담당자와 업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위험 항목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 점검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험 항목에 설치된 장치와 근로자 단말 사이의 통신 데이터를 기초로 위험 알람을 제공해 줌으로써, 유효한 알람만을 제공해주며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관리 감독자의 단말에서 획득된 건설 현장의 이미지에서 위험 항목을 예측함으로써, 위험 항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위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점검 결과를 전달 받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의 위치가 상기 위험 영역 근방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비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영역은,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된 위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서 해당 비콘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유지하거나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장 조치 결과의 적합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기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위험 항목의 점검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점검 횟수에 따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위험 알림 횟수, 주기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이미지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해당 이미지와 함께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위험 영역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비콘 장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비콘 장치 등록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위험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점검 결과를 전달 받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 위치가 상기 위험 영역 근방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비콘 장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험 영역은,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된 위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서 해당 비콘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유지하거나 해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장 조치 결과의 적합 여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기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위험 항목에 대한 점검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점검 횟수에 따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위험 알림 횟수, 주기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이미지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이미지와 함께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위험 영역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비콘 장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비콘 장치 등록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내 근로자들의 위치와 실시간으로 설정되는 위험 항목의 위치를 기초로 위험 항목에 대한 경고 알람을 생성하는 바, 근로자들의 안전을 상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내 근로자들이 상시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과 비콘 장치를 통해서 위험 항목에 대한 경고 알람을 생성함으로써,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근로자들이 쓰는 안전모에 장착된 단말이 아닌, 개인 단말을 이용하므로 위험 상황이 발생할 시, 근로자들을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위험 항목을 예측할 수 있는 건설 현장 관리 모델을 수립함으로써, 관리 감독이 능숙하지 못한 담당자 또는 처리 담당자도 안전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예측 결과를 통해 위험 항목에 대한 관리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를 통해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속에서 위험 항목을 검출함으로써, 관리 감독자들이 보기 힘든 영역까지 점검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아울러, 무인 항공기 이용을 통해 인력 낭비를 줄이고, 인명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 내에서 안전 점검 결과를 전달하고, 검토 결과를 주고 받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제 시스템에서 비콘 장치를 활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a는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에 출력되는 건설 현장 관리용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해석의 명확함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제 시스템 내에서 안전 점검 결과를 전달하고, 검토 결과를 주고 받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을 관리 감독하는 안전 관리 서버(10) 및 다수의 근로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이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에 의해 다수의 건설 현장을 관리 감독할 수 있으며, 근로다 단말(20)로 근로자들이 실제로 건설 현장을 둘러보며 점검한 내용들을 입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근로자 단말(20)에 설치되어 실행되거나, URL, 이미지 코드 등을 통해 별도의 설치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을 위해 필요한 위험 항목 등록, 위험성 평가 회의록, 일일/일상 점검 활동 보고서, 부적합 보고서 작성, 시정 지시 요구서 작성용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건설 현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권한 별로 서로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다수의 근로자 단말(20)들이 입력하는 안전 점검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담당하는 근로자들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0)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촬영한 건설 현장 내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를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안전 관리 서버(10)는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건설 현장을 방문 점검하고 있는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0)는 근로자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금일 건설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를 토대로 위험 현장 영역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거나, 근로자 단말(20)로부터 위험 현장 영역에 배치된 비콘(beacon)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근로자 단말(20)로 위험/경고 알람을 송신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점검 결과는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 이미지와 중점 관리 항목 또는 안전 주의 요소에 대한 검토 내용, 조치가 필요한 위험 항목의 실제 현장 조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근로자들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을 1차 점검하고, 근로자들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2차 점검이 필요한 위험 항목을 선정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점검 활동이 누락되거나, 조치가 미흡하여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20)은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에 참여하는 근로자들이 소지한 단말로서,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로자들이 수행한 안전 점검 결과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 단말(20)은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장치 또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항공기는 근로자의 조작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지정된 영역을 순회하며,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근로자 단말(20)이 무인 항공기인 경우, 안전 관리 서버(10)는 근로자 단말(20)로부터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는 이를 통해 건설 현장 내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서버(10)는 위험 항목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무인 항공기가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근로자 단말(20)은 근로자의 업무 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리 담당자가 제3 단말(300)을 통해 작성한 안전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는 안전 관리 서버(10)와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관리 감독자가 제2 단말(200)을 통해 작성한 점검 결과는 안전 관리 서버(10)와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로 전달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20)은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로자들이 수행한 위험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 조치 결과를 포함하는 안전 점검 결과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점검 결과에 대한 상위 근로자들의 답변(예. 보고서 제출 승인, 조치 완료)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안전 관리 서버(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설 현장을 종합 관리할 수 안전 관리 서버(10)는 메모리(11), 통신 인터페이스(12) 및 프로세서(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는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건설 현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는 건설 현장의 공종 별로 업무를 담당하는 근로자 정보, 금일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근로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근로자 정보는 건설 현장을 영역 별로 감독하는 관리 감독자와 위험 항목을 처리하는 처리 담당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1)는 건설 현장에서 다루는 모든 공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종은 기초 공사, 콘크리트 공사, 창호 공사, 방수 공사, 전기 공사 등과 같이 공사를 종류 별로 구분한 것으로서, 메모리(11)는 공종 명칭과 함께 공종 별 식별코드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수신된 위험 항목에 대한 정보, 건설 현장 내 위험 영역 및 안전 점검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항목에 대한 정보는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 이미지, 담당 비콘 장치 등을 포함하고, 안전 점검 결과는 위험 항목을 처리한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른 위험 영역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는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예측할 수 있는 건설 현장 관리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는 건설 현장 관리 모델을 통해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미지에서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모리(11)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는 안전 관리 서버(10)와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모리(11)는 근로자 단말(20)로 위치 정보에 따른 위험 항목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근로자 단말(20)로부터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안전 점검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20)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 접근하는 어느 하나의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은 위험 항목에 대한 접근 금지 정보 또는 비콘 장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 감독자의 단말(20)이 무인 항공기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2)는 건설 현장에 대한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12)는 건설 현장을 다각도에서 볼 수 있는 무인 항공기의 경우에는, 건설 현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세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는 건설 현장에 방문한 근로자 단말(20)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비콘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근로자 단말(20)로 근처 영역의 접근 금지를 알리는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20)로부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 감독자의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12)는 위험 항목에 대한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 담당자에게 두 번의 안전 점검 확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메모리(11) 및 통신 인터페이스(12)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 관리 서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11)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근로자에게 건설 현장의 위험 요소들을 알려주고, 건설 현장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3)가 건설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제 시스템에서 비콘 장치를 활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a는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에 출력되는 건설 현장 관리용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S110),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위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120). 여기서,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은 관리 감독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 외에도 무인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의 경우, 프로세서(13)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건설 현장에 대한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건설 현장에는 각종 위험 항목이 존재하고 있으며, 해당 영역을 담당하는 관리 감독자는 제2 단말(200)을 통해 위험 항목에 대한 점검/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관리 감독자는 제2 단말(200)을 통해 안전 관리 서버(1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안전 점검 결과를 송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는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을 설정하여 메모리(11)에 저장할 수 있다.
S120 단계 이후,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 또는 점검 결과를 전달 받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 위치가 위험 영역 근방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위험 영역 근방이란 위험 항목에 대한 특성에 따라 상이한 거리 값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는 공종 별로 주로 발생하게 되는 안전 사고의 종류(예. 시설물 낙하, 미끄럼, 추락 등)를 확인하고, 확인된 종류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게 될 거리의 기준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건설 현장의 작업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 S110 내지 S130 단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면서, 새롭게 발생하는 위험 항목에 대한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근로자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는 S13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어느 하나의 근로자 단말(20)도 위험 영역 근방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S110 내지 S130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S110, NO).
이와는 반대로, S13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어느 하나의 근로자 단말(20)의 위치가 위험 영역 근방일 경우, 해당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S140, YES). 예를 들어, 프로세서(13)는 도 6a과 같이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시각적 알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도 6b와 같이 안전 관리 서버(10)를 관리하는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로 위험 항목 근방에 어떠한 근로자가 접근하였는지 알람(63)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 단말(20)은 시각적 알림 외에도 진동, 소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알람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으며, 알람의 하단에는 위험 영역을 촬영한 시각 정보(61)와 현재 건설 현장을 관리 감독하고 있는 근로자 정보(62)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는 비콘 장치를 이용하여 위험 영역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부터 위험 영역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해당 위험 영역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비콘 장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5c와 같이 프로세서(13)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 비콘 장치 등록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부터 비콘 장치의 등록 정보 또는 비콘 장치의 활성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11)에 비콘 장치의 위치 정보를 위험 영역에 대한 정보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d와 같이, 현재 건설 현장 내에 있는 처리 담당자가 비콘 장치가 존재하는 위험 영역으로 근접하는 경우, 비콘 장치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제3 단말(300)은 이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의 프로세서(13)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제3 단말(30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는 근로자 단말(20)의 위치 정보나 근로자 단말(20)이 수신한 비콘 장치 정보를 토대로 위험 영역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처리 담당자에 의해 조치 처리가 완료된 위험 영역에 한해서는 알람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조치 처리의 완료 여부는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과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c와 같이,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항목이 발견된 공종, 위치, 위험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안전 대책, 해당 부분을 담당하는 협력 업체 정보 등에 대한 점검 결과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이 위험 항목에 근방에 위치하는 경우, 도 6e와 같은 위험 항목에 대한 알림을 송신함과 동시에, 위험 요인과 개선 대책에 대한 정보(64)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세서(13)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부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 전달한 뒤, 제2 단말(200)로부터 현장 조치 결과의 접합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300)과 관리 감독자의 단말(200) 간의 정보 교환을 중개하면서, 위험 항목에 대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항목에 대한 정확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현장 조치 결과를 기초로 위험 항목이 처리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프로세서(13)는 위험 항목에 배치된 비콘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유지하거나 해지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유지한다는 것은 메모리(11)에 건설 현장 내 위험 영역에 대한 목록에서 해당 비콘 장치 정보를 그대로 저장해두는 것으로 이해되거나, 비콘 장치의 활성화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해지의 경우 그 반대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는 위험 항목의 처리 전/후 이미지를 학습하여, 건설 현장 내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는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또는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3)는 근로자 단말(2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에 위험 항목이 존재하는지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관리 감독자는 제2 단말(200)을 통해 공종 리스트(71) 내에서 현재 점검 중인 건설 현장의 공종을 선택하고, 사진 첨부 아이콘(72)을 선택하여 건설 현장의 사진을 업로드한 뒤, 빅 데이터 조회 아이콘(73)을 선택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이미지를 기계 학습하여, 이미지 내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감독자는 제2 단말(200)을 통해 도 7c와 같이 이미지를 토대로 예측된 위험 항목과 그에 대한 안전 대책 방안(74)을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자신의 판단 결과와 안전 관리 서버(10)의 예측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생각될 경우, 선택을 눌러 위험 항목을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3)는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한 뒤, 해당 위험 항목의 점검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점검 횟수에 따라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는 해당 이미지, 위치에 위험 항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어 점검 횟수가 많은 경우인지 또는 위험 항목이 처음 발견된 경우인지에 따라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 또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 송신되는 위험 알림 횟수, 주기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이 위험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의 요청에 따라 건설 현장 내 위험 항목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부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의 업무를 수행하여, 위험 항목에 대한 처리가 제대로 완료되었는지를 2회 이상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시각각으로 생성되는 위험 항목으로부터 근로자들의 안전을 보장해줄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위험 항목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된 경우, 프로세서(13)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포함하는 현장 재조치 알림을 송신하고,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로는 재점검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안전 관리 서버(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 내 근로자들이 실시간으로 발견해내는 위험 항목의 위치를 기초로 위험 항목에 대한 경고 알람을 생성하는 바, 근로자들의 안전을 상시 확보할 수 있으며, 건설 현장 내 근로자들이 상시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과 비콘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는 바, 건설 현장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10: 안전 관리 서버
11: 저장부 12: 통신부
13: 프로세서
20: 근로자 단말
100: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
400: 현장 소장 단말

Claims (16)

  1. 안전 관리 서버의 프로세서를 통해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위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점검 결과를 전달 받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 위치가 상기 위험 영역 근방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비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영역은,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된 위치를 기초로 설정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와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서 해당 비콘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유지하거나 해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장 조치 결과의 적합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기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위험 항목의 점검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와
    확인된 점검 횟수에 따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위험 알림 횟수, 주기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이미지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해당 이미지와 함께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위험 영역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와
    비콘 장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비콘 장치 등록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9.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위치를 기초로 위험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점검 결과를 전달 받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 위치가 상기 위험 영역 근방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위험 항목에 대한 알람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비콘 장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험 영역은,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된 위치를 기초로 설정되는, 안전 관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항목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서 해당 비콘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유지하거나 해지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장 조치 결과의 적합 여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 항목을 예측하도록 학습된 건설 현장 관리 모델에 상기 위험 항목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기 처리 결과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하여, 위험 항목의 존재 여부를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위험 항목에 대한 점검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점검 횟수에 따라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 또는 상기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위험 알림 횟수, 주기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이미지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이미지와 함께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무인 항공기의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및 화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위험 영역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비콘 장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관리 감독자의 단말로 비콘 장치 등록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관리 서버.
KR1020210038947A 2021-03-25 2021-03-25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KR20220133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947A KR20220133620A (ko) 2021-03-25 2021-03-25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947A KR20220133620A (ko) 2021-03-25 2021-03-25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20A true KR20220133620A (ko) 2022-10-05

Family

ID=8359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947A KR20220133620A (ko) 2021-03-25 2021-03-25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6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19B1 (ko) * 2023-01-26 2023-05-30 한국산업안전(주)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576793A (zh) * 2023-07-14 2023-08-11 北京住总基础设施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箱梁模板支架施工的管控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19B1 (ko) * 2023-01-26 2023-05-30 한국산업안전(주)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576793A (zh) * 2023-07-14 2023-08-11 北京住总基础设施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箱梁模板支架施工的管控系统及方法
CN116576793B (zh) * 2023-07-14 2023-10-03 北京住总基础设施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箱梁模板支架施工的管控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03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US20200202471A1 (en) Personalized display of real-time safety information of an industrial environment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US111641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ocess safety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US99165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based on dynamic assessment parameters
JP2020080535A (ja) マシンおよびデバイスの登録、モニタおよび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信号
US11392841B2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water-related data
Li et al. Integrating real time positioning systems to improve blind lifting and loading crane operations
CN107133776A (zh) 一种移动安全监管系统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20133620A (ko)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US20180357583A1 (en) Operational monitoring system
CN106249707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KR102421223B1 (ko)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KR102287225B1 (ko) 전자근로계약을 위한 비콘 기반 노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1867A (ko)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CN109146393B (zh) 人伤查勘信息处理方法及系统
WO2018057754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quipment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KR20210113103A (ko)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594B1 (ko)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200113395A (ko) 건설현장의 시공 및 검사 측량용 드론시스템
CN112367397A (zh) 外勤作业的监控预警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154758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KR102059579B1 (ko) 재난 발생 신고의 수보 정보에 따른 재난 대응 정보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