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39B1 -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039B1
KR102513039B1 KR1020210017579A KR20210017579A KR102513039B1 KR 102513039 B1 KR102513039 B1 KR 102513039B1 KR 1020210017579 A KR1020210017579 A KR 1020210017579A KR 20210017579 A KR20210017579 A KR 20210017579A KR 102513039 B1 KR102513039 B1 KR 10251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device
automatic fire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280A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창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0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 설치되어 해당 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태 감지 정보를 통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화장치 감시부와, 소화장치 감시부로부터 자동소화장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자동소화장치의 상태와 작동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 및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관리 제어부로부터 자동소화장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자동소화장치에 이슈가 발생한 경우 자동소화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관리 제어부는 소화장치 감시부가 제공하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이슈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며, 이슈 발생 시 해당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알림을 생성하고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이슈 정보를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이슈에 상응하는 긴급 제어 버튼을 갖는 UI를 생성하고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IOT-based automated fire extinguisher remo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OT 기반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주방용 자동소화장치를 원격으로 관리하고 특성상황, 예를 들어 화재 예측 또는 발생 시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후속조치가 신속히 취해질 수 있도록 한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이 소화기를 조작해야만 소화제가 분사되므로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화염으로 인해 소화기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의 소화 대상물은 단순한 기존의 건물 혹은 그 내부의 장치 및 기록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부속설비 등의 다양화, 집적화 등에 따른 것으로, 부속설비가 다양화되고 집적화되는 추세에서 종래 소화 설비로는 특정영역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화재를 신속하게 제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화재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는 주방화재의 경우 화재가 한번 발생하면 대형화재로 이어지기 쉽고 소화도 무척 어렵다. 이에 주방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화재 감지 시 소화장치 개방수단이 자동으로 작동해 사전에 지정된 주방의 특정 영역(소화대상공간)을 향하여 소화약제를 집중 분출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종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대부분은 사후 화재 진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화재를 진압하더라도 어느 정도 화재 피해는 있을 수 밖에 없다. 이에 주방화재를 사전에 진단 예측하고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화재 피해를 줄이는 네트워크 통신 기반 화재 관리 시스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9249호(등록일 2012. 03. 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주방에 설치된 자동소화장치를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방화재를 사전에 진단 예측하고 관련 정보를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화재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 설치되어 해당 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태 감지 정보를 통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화장치 감시부;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상태와 작동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 및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 제어부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자동소화장치에 특정상황(이슈)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제어부는 소화장치 감시부가 제공하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소화장치에 이슈가 발생했는지 모니터링 하며, 이슈 발생 시 해당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알림을 생성하고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이슈 정보를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이슈에 상응하는 긴급 제어 버튼을 갖는 UI를 생성하고 시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는,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소화용기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모듈과, 상기 자동소화장치 주변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과, 화재 감지 시 상기 소화용기의 소화 약제 분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자동소화장치 작동감지모듈 및 상기 압력측정모듈, 온도측정모듈, 자동소화장치 작동감지모듈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내압, 주변 외기 온도,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각각의 모듈에 부여된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관리 제어부에 전송하는 IOT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는 상기 소화용기 내압의 단위 시간당 변동폭이 설정 변동폭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외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동폭이 설정 변동폭 범위를 벗어난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켜 외부에 발산하는 광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제어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용기의 내압이 상기 외기 온도에 따른 내압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점검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자동소화장치 주변 외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외기 온도 변화율)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긴급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긴급 알림 수신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전동식 가스 차단기 또는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의 원격 제어를 위한 긴급제어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이 감지되면 비상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상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한편, 관할 소방서가 위치한 지역 관재서버에도 해당 정보를 이슈가 발생된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주방화재를 사전에 진단 예측하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사전 대응 가능하며, 화재로 이어지더라도 자동소화장치 무선 통신 기반 원격 제어를 통한 신속한 후속 대응이 가능하므로 화재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주방에 설치된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원격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지원하므로, 자동소화장치의 유지 및 관리 차원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장치 운용 및 관리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략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화장치 감시부를 개략 도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략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소화장치 감시부(30)를 포함한다. 소화장치 감시부(30)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20)에 설치되어 해당 자동소화장치(20)의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그 감시 결과, 즉 상기 주방용 자동소화장치(20)의 상태 정보를 통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주방용 자동소화장치(20)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로서, 소화약제가 가압 충진된 소화용기(25)와, 소화용기(25)의 출구 측에 어댑터로 연결되며 화재 감지 신호로 상기 소화용기(25)의 소화 약제 분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전동식 개방수단(28),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2059585와 같은 밸브 기동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소화장치 감시부(30)에 의한 감시 결과, 즉 상기 주방용 자동소화장치(20)의 상태 정보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제어부(40)에 전송될 수 있다.
관리 제어부(40)는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30)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20)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자동소화장치(20)의 상태와 작동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장치 감시부(30)로부터 상기 소화용기(25) 내부 압력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면, 전달받은 내부 압력 정보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 메시지와 함께 내부 압력에 관한 정보를 수치나 그래픽 형태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28)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40)는 일 예로, 비디오 도어폰 기능뿐 아니라 조명, 난방, 환기, 가전제품 등 가정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인 월패드(Wall-pad)일 수 있다. 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일정크기의 화면과 몇 개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일 수 있다. 물론 관리 제어부(40)가 언급한 월패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제어부(40)의 주요 기능은 소화장치 감시부(30)가 제공하는 상태 정보(주방용 자동소화장치(20)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소화장치(20)에 이슈가 발생했는지 주시하는 모니터링 기능이다. 그리고 모니터링 중 이슈가 발생한 때 해당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알림을 생성하고 중앙 관재서버(50)를 통해 후술할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6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또한 사용자 단말(6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60)은 자동소화장치(20)에 관한 상태 정보를 원격 확인하거나 긴급상황(화재 예측 및 발생)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예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사용자 단말(60)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에는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이 설치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은 중앙 관재서버(50)를 통해 상기 관리 제어부(40)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20)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에 설치되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은 바람직하게, 자동소화장치(20)에 특정 이슈(Issue), 예컨대 소화용기(25) 압력 변화, 주변 외기 온도의 급격한 상승, 후술하게 될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작동 등의 이슈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슈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자동소화장치(20) 원격 제어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불을 켜놓은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로 소화용기(25) 주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관리 제어부(40)는 관련 알림(예컨대, 화재 발생 위험 알림 또는 화재 발생 알림)을 생성하고 중앙 관재서버(50)를 사용자 단말(6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알림을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6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이 해당 이슈에 상응하는 긴급 제어 버튼을 갖는 UI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소화장치 감시부를 개략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화장치 감시부(30)는, 자동소화장치(20)의 소화용기(25)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모듈(32)과, 자동소화장치(20) 주변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34), 그리고 자동소화장치(20)의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모듈(36)과 상기 관리 제어부(40)와 양방향 통신을 위한 IOT 통신 모듈(38)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측정모듈(32)은 상기 자동소화장치(20)의 소화용기(25) 내압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IOT 통신 모듈(38)에 전달할 수 있다. 압력측정모듈(32)은 상기 소화용기(25) 내압 측정을 위한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센서가 측정하는 소화용기(25) 내압은 소화용기(25) 내부의 소화 약제의 충진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측정된 내압 정보는 소화약제 용량을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34)은 상기 자동소화장치(20) 주변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IOT 통신 모듈(38)에 전달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34)은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동소화장치(20) 주변의 외기 온도 정보(온도변화 추이)를 활용하여 주방화재를 예측할 수 있고 실제 화재를 검출할 수 있다.
자동소화장치(20) 작동감지모듈(36)은 화재 감지 시 상기 소화용기(25)의 소화 약제 분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자동소화장치(20) 작동감지모듈(36)은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전동모터 출력축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를 상기 IOT 통신 모듈(38)에 전달할 수 있다.
IOT 통신 모듈(38)은 상기 압력측정모듈(32), 온도측정모듈(34), 자동소화장치(20) 작동감지모듈(36)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20)의 내압, 주변 외기 온도,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신된 정보를 각각의 모듈에 부여된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 제어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소화장치 감시부(30)는 또한 광원 모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37)은 상기 압력측정모듈(32)이 측정한 소화용기(25) 내압의 단위 시간당 변동폭이 설정 변동폭 범위를 벗어나거나, 온도측정모듈(34)이 측정한 외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동폭이 설정 변동폭 범위를 벗어난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켜 외부에 발산함으로써 위험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상기 관리 제어부(40)는 소화장치 감시부(30)가 제공하는 정보 중 소화용기(25)의 내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소화장치(20)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화용기(25)의 내압이 주변 외기 온도에 따른 내압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점검 알림을 생성하고 중앙 관재서버(50)를 통해 사용자 단말(60)에 전송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화용기(25) 내부의 소화약제의 자연 유출로 내압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자연 유출에 따른 내압 감소로 인해 소화용기(25)의 내압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화용기(25)의 교체나 점검이 필요할 수 있다. 때문에 관리 제어부(40)는 이런 경우 점검 알림을 생성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이를 사전에 알릴 수 있다.
소화용기(25)의 내압은 자동소화장치(2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제어부(40)는 소화용기(25)의 외기 온도에 따른 내압 기준 범위를 바탕으로 상기 점검 알림 생성을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40)는 또한, 자동소화장치(20) 주변 외기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긴급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소화장치(20) 주변 외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외기 온도 변화율)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긴급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긴급 알림을 중앙 관재서버(50)를 통해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60)에 전송할 수 있다.
주방화재는 다양한 원인(가스렌지 주변 가연물에 의한 화재, 가스렌지 주변 벽이나 환기구 후드에 들러붙은 기름 찌거기에 의한 화재, 조리 중 자리이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 등)으로 발생한다. 그 중 조리 중 자리 이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는 조리 용기 과열 -> 조리 용기 내 음식물 연소 -> 주방화재로 진행되는 화재 특성이 있다.
화재 발생 전단계인 상기 조리 용기 과열 단계나 음식물 연소 단계는 급격한 온도 변화를 동반한다. 때문에 해당 단계에서의 급격한 온도 변화가 감지된 때 이를 바탕으로 상기 관리 제어부(40)가 긴급 알림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60)에 전송하면,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신속한 후속 대응조치가 취해질 수 있어 실제 주방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속한 후속 대응조치를 위해 상기 긴급 알림이 수신된 시점에 사용자 단말(60)에 설치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은 긴급제어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긴급 알림 수신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60)에 설치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이 생성하는 긴급제어버튼은 가스차단기 또는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원격 제어를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관리 제어부(40)는 또한, 화재 발생에 따라 전동식 개방수단(28)의 작동이 감지되면 비상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생성된 비상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50)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65)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60)에 전송하는 한편, 관할 소방서가 위치한 지역 관재서버(70)에도 해당 정보를 이슈가 발생된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종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대부분은 사후 화재 진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화재를 진압하더라도 어느 정도 화재 피해는 있을 수 밖에 없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주방화재를 사전에 진단 예측하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사전 대응 가능하며, 화재로 이어지더라도 자동소화장치 무선 통신 기반 원격 제어를 통한 신속한 후속 대응이 가능하므로 화재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주방에 설치된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원격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지원하므로, 자동소화장치의 유지 및 관리 차원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장치 운용 및 관리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20 :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25 : 소화용기
28 : 전동식 개방수단
30 : 소화장치 감시부
32 : 압력측정모듈
34 : 온도측정모듈
36 : 자동소화장치 작동감지모듈
37 : 광원 모듈
38 : IOT 통신 모듈
40 : 관리 제어부
50 : 중앙 관재서버
60 : 사용자 단말
65 : 전용 어플리케이션
70 : 지역 관재서버

Claims (7)

  1.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 설치되어 해당 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화장치 감시부;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상태와 작동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 및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 제어부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한편, 상기 자동소화장치에 이슈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제어부는 소화장치 감시부가 제공하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소화장치에 이슈가 발생했는지 모니터링 하며, 이슈 발생 시 해당 이슈 정보에 상응하는 알림을 생성하고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이슈 정보를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이슈에 상응하는 긴급 제어 버튼을 갖는 UI를 생성하고,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는,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소화용기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모듈과, 상기 자동소화장치 주변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과, 화재 감지 시 상기 소화용기의 소화 약제 분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의 전동모터 출력축 회전을 엔코더가 감지하여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자동소화장치 작동감지모듈 및 상기 압력측정모듈과, 상기 온도측정모듈, 자동소화장치 작동감지모듈로부터 상기 자동소화장치의 내압, 주변 외기 온도,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각각의 모듈에 부여된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관리 제어부에 전송하는 IOT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소화용기의 내압이 상기 외기 온도에 따른 내압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관리 제어부는 점검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는,
    상기 소화용기 내압의 단위 시간당 변동폭이 설정 변동폭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외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동폭이 설정 변동폭 범위를 벗어난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켜 외부에 발산하는 광원 모듈;을 더 포함하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자동소화장치 주변 외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외기 온도 변화율)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긴급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알림 수신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전동식 가스 차단기 또는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의 원격 제어를 위한 긴급제어버튼을 생성하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개방수단의 작동이 감지되면 비상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상 알림을 상기 중앙 관재서버를 통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한편,
    관할 소방서가 위치한 지역 관재서버에도 해당 정보를 이슈가 발생된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210017579A 2021-02-08 2021-02-08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51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79A KR102513039B1 (ko) 2021-02-08 2021-02-08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79A KR102513039B1 (ko) 2021-02-08 2021-02-08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80A KR20220114280A (ko) 2022-08-17
KR102513039B1 true KR102513039B1 (ko) 2023-03-23

Family

ID=8311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79A KR102513039B1 (ko) 2021-02-08 2021-02-08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0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39B1 (ko) * 2005-11-01 2007-06-0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디지털 축압지시장치를 구비한 워터미스트 소화기
KR101389541B1 (ko) * 2013-01-10 2014-04-25 (주)한솔하이테크 주방용 화재 방지시스템
KR101679231B1 (ko) 2014-07-02 2016-12-06 주식회사 지오시스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697935B1 (ko)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714338B1 (ko) 2016-06-20 2017-03-08 김종석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JP2018129747A (ja) * 2017-02-10 2018-08-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リモート制御装置、被制御装置、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制御方法、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32549B1 (ko) * 2018-06-27 2019-11-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융합 지능형 안전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49Y1 (ko) 2011-07-28 2012-03-23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39B1 (ko) * 2005-11-01 2007-06-0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디지털 축압지시장치를 구비한 워터미스트 소화기
KR101389541B1 (ko) * 2013-01-10 2014-04-25 (주)한솔하이테크 주방용 화재 방지시스템
KR101679231B1 (ko) 2014-07-02 2016-12-06 주식회사 지오시스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714338B1 (ko) 2016-06-20 2017-03-08 김종석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697935B1 (ko)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JP2018129747A (ja) * 2017-02-10 2018-08-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リモート制御装置、被制御装置、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制御方法、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32549B1 (ko) * 2018-06-27 2019-11-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융합 지능형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80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35B1 (ko)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714338B1 (ko)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US20070241866A1 (en) Wireless service tool for automated protection systems
CN115731664A (zh) 电气安全装置和系统
KR101811393B1 (ko)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EP3859706B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JP201400255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ム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JP5543007B2 (ja) 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100750513B1 (ko)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GB2599142A (en) Fire safety system and method
KR20190023613A (ko) 수신부 일체형 자동소화장치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2513039B1 (ko)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CN209858667U (zh) 一种光电耦合器的老化试验装置
KR20140094680A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CN112805072A (zh) 壁挂式喷头单元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2479B1 (ko) 주방소화장치의 무선경보 및 음성경보시스템
KR20160001170U (ko)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Singh et al. Detection of Liquefied petroleum gas using sensor through arduino uno microcontroller
JP2017068294A (ja) 支援システム、支援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2204896B1 (ko)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