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896B1 -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896B1
KR102204896B1 KR1020200075568A KR20200075568A KR102204896B1 KR 102204896 B1 KR102204896 B1 KR 102204896B1 KR 1020200075568 A KR1020200075568 A KR 1020200075568A KR 20200075568 A KR20200075568 A KR 20200075568A KR 102204896 B1 KR102204896 B1 KR 102204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location
sensor
carbon monoxid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닉스
Priority to KR102020007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전기 화학식 센서를 통해 실내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 보일러 및 가스 사용 기구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감지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구비하고,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연동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감지기,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및 복합 감지기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및 복합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통합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가전을 제어하는 룸콘 및 룸콘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CONSUMER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COMBINATION SENSOR}
본 발명은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보일러 룸콘과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나 조리도구인 가스레인지와 같은 제품은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고 있으나, 가스 누출이나 화재 사고와 같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누출로 인한 가스중독 및 가스폭발과 화재사고는 재산 피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큰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지난 2018년 발생한 펜션 유독가스 질식 사고에 의해 사망자가 발생하여 가스 누출 및 화재 사고에 대한 큰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와 같은 움직임을 계기로 2020년 일산화탄소감지기 설치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공포되기에 이르렀으며, 가스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다양한 감지기가 연구되어 시장에 보급되고 있다.
가스 누출 감지나 화재 감지는 가스 감지기 및/또는 화재 감지기를 설치하여, 주변의 가스나 화재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감지기 또는 화재 감지기는 가스나 화재가 감지될 경우 경보음을 울리거나 안내 음성을 통해 이를 주변에 전파하여 경보하는 체계를 갖춘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 감지나 가스 누출 감지는 단순히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것에만 그칠 뿐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며,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오작동을 보완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종래 감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22887호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중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일반적인 화재수신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화재발생 여부만을 감지할 뿐 가스 누출을 감지하지 못하며,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보완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화재 감지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광전식 연기 센서와 열감지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광전식 연기 센서의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한 빛이 연기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것을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 연기가 아닌 다른 입자 또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를 연기로 감지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기의 경우 주변의 열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게 되는데, 화재 발생 위치와 주변 환경에 따라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열이 열 감지기로 전파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 감지 속도가 느린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228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일러를 구비한 소비자 가정 내에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여 화재 및 가스 누출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을 감지하고, 상호 연동을 통해 오작동을 방지하며,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비자 방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광전식 연기 감지기와 비교하여 오류 발생이 적으며, 열감지기와 비교하여 감지 속도가 빠른 복합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룸콘, 통합관리서버 및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으로, 전기 화학식 센서를 통해 실내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 보일러 및 가스 사용 기구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감지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구비하고,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연동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감지기,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및 복합 감지기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및 복합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통합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가전을 제어하는 룸콘 및 룸콘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은 무선통신을 통해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되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룸콘에 가전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적외선 LED를 구비하며 룸콘에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감지 신호가 전달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은 감지 위치에 대응하는 IP카메라를 통해 해당 위치의 영상을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감지기는 구비된 일산화탄소 센서를 통해 일산화탄소가 감지되고, 동시에 구비된 광전식 연기 센서를 통해 연기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감지기에서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만 감지된 경우, 통합관리서버는 사용자에게 화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해당 위치의 IP카메라 영상을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감지기는 열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우선적으로 화재를 판단하고, 열감지기는 광전식 연기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의 감지 이후 화재 발생을 재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감지기는 접촉연소식 센서를 이용하여 LPG 및 LNG 가스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합관리서버는 룸콘이 설치된 장소의 실내 도면과 실내에 설치된 가전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와 실내 도면과 실내에 배치된 가전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은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내 도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실내 도면 상에 감지기의 위치, 가전 위치 및 발생한 상황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황이 발생한 위치의 IP카메라 영상을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합관리서버는 룸콘으로부터 전달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룸콘이 설치된 주소를 확인하여 인접한 소방서에 경보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룸콘, 통합관리서버 및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화학식 센서를 통해 실내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 보일러 및 가스 사용 기구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감지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구비하고,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연동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감지기, 적외선 LED를 구비하며 룸콘에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감지 신호가 전달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및 복합 감지기와 Wi-Fi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및 복합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통합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가전을 제어하는 룸콘, 룸콘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되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발생 상황과 해당 위치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룸콘에 상기 가전을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설치된 보일러를 관리 및 제어하는 룸콘을 중심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적인 화재 발생은 물론 보일러로부터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다양한 감지기를 연동하여, 실내에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위험상황에 대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를 통해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다양한 감지기를 연동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대한 오작동을 방지하면서도 동시에 빠르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화재 발생 판단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실내 설치 구성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복합 감지기(300), 룸콘(500) 및 통합관리서버(600)를 포함하고, IP카메라(400) 및 모바일 단말(500)을 더 포함한다.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감지기로서, 전기 화학식 센서를 사용하여 실내에 일산화탄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기설정된 기준 이상의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면 감지된 일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일산화탄소 감지 신호와 함께 룸콘(5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룸콘(500)과 무선 연결되며, 통신 연결의 편의를 위하여 Wi-Fi를 통해 무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100)가 설치된 경우, 각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식별번호를 가지며, 식별번호를 일산화탄소 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일산화탄소 감지 신호와 함께 룸콘(500)에 전달하여, 룸콘(500) 및 통합관리서버(600)에서 일산화탄소가 감지된 위치를 식별하도록 한다.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구비된 전기 화학식 센서를 사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성분이 전기 화학식 센서의 내부 감응전극에 확산되어 도달하면 일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로 산화될 때 발생하는 전자의 양을 감지하여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산화탄소 감지기(100)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와 함께 일산화탄소 감지 신호를 룸콘(500)으로 전달한다.
일산화탄소는 탄소가 포함된 연료가 산소가 부족한 환경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 불완전연소 할 때 일반적으로 생성되므로,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보일러, 가스레인지 및 가스오븐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전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천장 또는 벽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으며 천장에서 10 내지 30.5cm를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실내 공간의 모퉁이 부분에서는 공기가 제대로 순환되지 않으므로, 모퉁이 부분에는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는 실내 공간의 구조와 넓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100)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감지기(100)를 보일러실과 주방에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에 위치한 각 공간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스 감지기(200)는 접촉연소식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가스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에서 감지되는 비정상 상태는 보일러의 불완전연소에 따라 발생된 일산화탄소 이외에, 가스 밸브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가전에서 LPG 및 LNG와 같은 누출된 가스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스 감지기(200)는 LPG 및 LNG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감지기(200)는 접촉연소식 센서를 사용하여 LPG 및 LNG를 감지하므로, 열에 의한 센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열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감지기(2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룸콘(500)과 무선 연결되며, 통신 연결의 편의를 위하여 Wi-Fi를 통해 무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둘 이상의 가스 감지기(200)가 설치된 경우, 각각의 가스 감지기(200)는 식별번호를 가지며, 식별번호를 가스 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가스 감지 신호와 함께 룸콘(500)에 전달하여, 룸콘(500) 및 통합관리서버(600)에서 가스가 감지된 위치를 식별하도록 한다.
복합 감지기(300)는 내부에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함께 포함하며, 이를 연동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 중 하나로 광전식 연기 센서가 많이 사용된다. 광전식 연기 센서는 연기가 빛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연기가 유입되면 발광소자에서 발한 빛이 산란현상을 일으키고 수광 소자는 이를 감지해 연기 발생을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광전식 연기 센서는 화재 발생 시 발생되는 연기에 존재하는 입자에 의해 발광소자의 빛이 산란현상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하지만, 연기 입자 이외에 주변의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산란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먼지가 많이 존재하거나 광전식 연기 센서 주변에 다른 입자나 이물질이 침투하여 산란현상을 일으킬 경우 이를 연기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복합 감지기(300)는 광전식 연기 센서의 오류로 인해 화재를 잘못 감지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화재 발생 시 일산화탄소가 함께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광전식 연기 센서뿐 아니라 일산화탄소 센서를 함께 구비하여, 광전식 연기 센서에서 연기가 감지되고 동시에 일산화탄소 센서에서 일산화탄소가 함께 감지될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감지기(300)는 광전식 연기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를 함께 연동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감지기(300)는 광전식 연기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에 추가하여 반도체식 열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식 열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경우, 광전식 연기 센서와 일산화탄소 센서가 동시에 감지하거나, 광전식 연기 센서와 반도체식 열감지기가 동시에 감지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광전식 연기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및 반도체식 열감지기가 모두 감지할 때를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은 복합 감지기(300)가 설치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만, 반도체식 열감지기는 광전식 연기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에 비해 감지 속도가 느리므로, 광전식 연기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우선적으로 화재를 판단하고, 반도체식 열감지기는 광전식 연기 센서 및 일산화탄소 센서의 감지 이후 화재 발생을 재확인하는 보조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감지기(3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룸콘(500)과 무선 연결되며, 통신 연결의 편의를 위하여 Wi-Fi를 통해 무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둘 이상의 복합 감지기(300)가 설치된 경우, 각각의 복합 감지기(300)는 식별번호를 가지며, 식별번호를 화재 감지 신호와 함께 룸콘(500)에 전달하여, 룸콘(500) 및 통합관리서버(600)에서 화재발생이 감지된 위치를 식별하도록 한다.
IP카메라(400)는 실내 여러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구비된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600)로 촬영한 영상을 전달한다. IP카메라(400)는 일반적인 실내 CCTV와 같이 지정된 구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P카메라(400)는 Wi-Fi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거나, 고용량의 영상 전송을 위하여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룸콘(500) 또는 통합관리서버(600)와 연결되어 영상을 전송한다.
또한, IP카메라(400)는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및 복합 감지기(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IP카메라(400)가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및 복합 감지기(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기와 1:1로 대응하여 설치되고, 감지기에서 일산화탄소, 가스 또는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대응하는 IP카메라(400)가 현장 영상을 촬영하여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IP카메라(4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통합관리서버(60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70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현재 발생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P카메라(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CTV와 같은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화재 발생 시 연기로 인해 일반적인 카메라로는 실내 상황을 제대로 촬영하기 어려우므로, 연기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실내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IP 카메라(400)는 적외선 LE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LED를 사용할 경우 주간과 야간 모두에 촬영이 가능하며, 불꺼진 어두운 실내에서도 촬영이 용이하다.
또한, IP카메라(400)는 모바일 단말(700)로부터 전달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룸콘(500)은 종래의 보일러를 제어하는 조절장치의 기능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서 실내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복합 감지기(300) 및 IP카메라(400)와 무선연결되어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복합 감지기(300) 및 IP카메라(4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 및 영상을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한다. 다만, IP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영상의 품질에 따라 직접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룸콘(500)은 실내에 설치된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및 복합 감지기(300)에서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함과 동시에 대응 조치로서 보일러, 가스 사용 기구, 가스 밸브 및 전기를 제어하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룸콘(500)은 통합관리서버(6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해당 위치의 IP카메라(400)를 동작 시켜 해당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700)을 통해 전달한 명령을 통합관리서버(600)로부터 수신하여 보일러, 가스 사용 기구, 가스 밸브 및 전기 등의 가전(800)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룸콘(500)은 수신된 감지신호를 내장된 스피커 또는 알람을 이용하여 경보하여, 위험상황 발생을 주변 사람들에게 전파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룸콘(500)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복합 감지기(300) 및 IP카메라(400) 각각의 식별 정보를 통해 감지 신호를 보내온 감지기(100, 200, 300) 또는 IP카메라(400)의 위치를 확인하여,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700)을 통해 발생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당 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룸콘(500)과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복합 감지기(300) 및 IP카메라(400)는 통신 연결의 편의성을 위하여 Wi-Fi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룸콘(500)과 통합관리서버(600)는 동일하게 Wi-Fi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의 안정성과 IP카메라(400)의 영상을 고속으로 전달하기 위해 이더넷과 같은 유선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룸콘(500)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여 연결된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복합 감지기(300) 및 IP카메라(4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합관리서버(600)는 룸콘(50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 상황의 종류(감지 종류)와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700)로 전달한다.
통합관리서버(600)는 해당 룸콘(500)이 설치된 장소의 실내 도면과 실내에 설치된 가전(800)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며, 도면 상에 설치된 각 감지기(100, 200, 300) 및 IP카메라(4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룸콘(500)으로부터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발생한 상황의 종류(일산화탄소 누출, 가스 누출 및 화재 등)를 판별하고, 해당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실내 도면 상에서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영향을 주는 가전(800)의 종류를 함께 특정하여 이를 감지 종류와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에 추가시켜 모바일 단말(70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6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보일러가 설치된 다용도실에 붙어있는 방에서 일산화탄소가 감지된다면, 일산화탄소 감지와 함께 다용도실 보일러를 원인으로 추정하여 모바일 단말(700)로 전달하거나, 직접 다용도실 보일러를 차단하는 명령을 룸콘(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600)는 룸콘(500)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룸콘(500)이 설치된 주소를 확인하여 인접한 소방서에 경보를 전달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단말(700)은 통합관리서버(600)로부터 수신된 감지 종류와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700)에 표시된 상황정보를 통해 현재 발생한 상황과 해당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통합관리서버(600)를 통해 룸콘(5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700)을 통해 주방에서 일산화탄소 감지 사실을 확인하고, 모바일 단말(700)을 통해 룸콘(500)에 보일러와 가스레인지를 정지시키고 가스밸브를 차단하는 명령을 전달하여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700)은 장소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바일 단말(700)은 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IP카메라(400)를 동작시켜 해당 위치의 영상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여 현재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여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700)을 통해 룸콘(500)과 여러 감지기(100, 200, 300) 및 IP카메라(400)를 통해 해당 위치의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속 조치를 취함으로써, 가스중독, 가스폭발 및 화재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고 기타사유로 발생되는 비화재 상황을 정확하게 24시간 감시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산화탄소 감지기(100), 가스 감지기(200) 및 복합 감지기(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기에서 상황이 감지(S201)되면, 감지 신호를 룸콘(500)으로 전달한다(S202). 이때, 감지 신호는 각각의 감지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룸콘(500)에서 감지기의 종류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룸콘(500)은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감지기의 종류와 해당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한다(S203). 그리고 룸콘(500)은 감지기의 위치와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통합관리서버(600)로 전달한다(S204).
룸콘(500)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통합관리서버(600)는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감지기의 종류(감지된 신호의 종류)와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한다(S205). 이때, 통합관리서버(600)는 해당 룸콘(500)이 설치된 장소의 실내 도면과 실내에 설치된 가전의 위치 및 종류를 저장하며, 실내 도면 상에 설치된 각 감지기(100, 200, 300) 및 IP카메라(4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룸콘(500)으로부터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발생한 상황의 종류를 판별하고, 해당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실내 도면 상에서 특정하고, 특정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영향을 주는 가전의 종류를 함께 특정하여 이를 감지 종류와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에 추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황 정보가 생성되면 통합관리서버(600)는 생성된 상황 정보를 모바일 단말(700)로 전달한다(S206).
모바일 단말(700)은 통합관리서버(600)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황 정보는 발생한 상황의 종류(예를 들어, 가스 누출, 화재 발생 등)와 구체적인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위치와 관련된 가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700)은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한 구체적인 위치(예를 들어, 주방, 거실 등)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700)에 표시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특정하고, 모바일 단말(700)은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IP카메라 영상을 요청한다(S208). 이때, IP카메라 영상 요청은 통합관리서버(600)를 경유하여 룸콘(500)에 전달되거나, 바로 룸콘(5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P카메라에 직접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700)로부터 해당 위치에 대한 IP카메라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IP카메라는 촬영 영상을 모바일 단말(700)로 전달한다(S209). 그리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700)을 통해 해당 위치의 촬영 영상을 확인하여 발생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모바일 단말(700)은 해당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S210)하여, 제어명령을 룸콘(500)으로 전달한다(S211). 모바일 단말(700)에 표시되는 IP카메라 영상을 통해 상황이 인식되면, 모바일 단말(70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황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해당 위치와 관련된 가전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된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룸콘(500)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7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보일러가 설치되었거나 보일러와 인접한 장소에서 일산화탄소사 감지된 것이라면, 해당 보일러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가스 밸브를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룸콘(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7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룸콘(500)은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가전의 제어하여 해당 상황을 통제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화재 발생 판단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은 화재 감지를 위해 단일의 감지기가 아닌 복합 감지기(300)를 사용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재 감지기는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를 통해 화재를 감지한다. 그러나 연기 감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전식 연기 센서의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한 빛이 연기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것을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 연기가 아닌 다른 입자 또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를 연기로 감지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중에 먼지가 많이 존재하거나 다른 입자 물질이 부유하고 있는 경우 연기와 동일하게 산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광전식 연기 감지 센서는 이를 연기 발생으로 오인하게 된다. 또한, 열감지기의 경우 주변의 열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게 되는데, 열은 연기에 비해 전파 속도가 느리며, 특히 화재 발생 위치와 주변 환경에 따라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열이 열 감지기로 전파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 감지 속도가 느린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를 함께 구비한 복합 감지기(300)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감지 오류를 줄이고 빠른 화재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복합 감지기(500)에서 신호가 감지(S301)되면 룸콘(500) 또는 통합관리서버(600)에서 복합 감지기(500)의 감지 신호가 광전식 연기 센서와 일산화탄소 센서 모두에서 감지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만일, S302 단계에서 복합 감지기(500)의 감지 신호가 광전식 연기 센서와 일산화탄소 센서 모두에서 감지된 것이라면 룸콘(500) 또는 통합관리서버(600)는 화재가 발생한 것을 인식(S303)하고, 모바일 단말(700)로 화재 감지 사실을 전달한다(S304). 이와 같이 복합 감지기(500)를 사용하며, 광전식 연기 센서와 일산화탄소 센서의 감지 신호를 연동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오작동을 줄이고 화재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만일, S302 단계에서 감지 신호가 광전식 연기 센서와 일산화탄소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만 감지된 것이라면, 룸콘(500) 또는 통합관리서버(600)는 화재 감지를 보류하고, 모바일 단말(700)로 해당 복합 감지기(500)에 대응하는 IP카메라 영상과 함께 확인 요청을 전달한다(S305). 모바일 단말(700)은 수신된 확인 요청과 IP카메라 영상을 함께 제공하여, 보류된 화재 판단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화재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의 실내 설치 구성 일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서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및 IP카메라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실내 여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일례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및 IP카메라를 하나의 감지기 그룹(411 내지 416)으로 묶어 도시하였다. 각각의 감지기 그룹(411 내지 416)은 각각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및 IP카메라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방1에 제1 감지기 그룹(411), 방2에 제2 감지기 그룹(412), 방3에 제3 감지기 그룹(413), 다용도실에 제4 감지기 그룹(414), 주방에 제5 감지기 그룹(415), 거실에 제6 감지기 그룹(416), 발코니에 제7 감지기 그룹(417)을 설치하였다. 다만, 도 4의 일례에서 7개의 감지기 그룹을 설치한 것은 하나의 일례로서, 설치 장소와 용도에 따라 감지기의 종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일례에서는 모든 위치에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및 IP카메라를 하나의 그룹으로 동일하게 설치하였으나, 위치에 따라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및 IP카메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감지기 그룹(411 내지 417)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지기 그룹에서 감지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감지기 그룹의 감지기는 룸콘(420)으로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룸콘(420)은 감지 신호를 통합관리서버로 전달하고, 통합관리서버는 해당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황이 발생한 위치와 해당 위치와 관련된 가전을 확인하여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달한다.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은 상황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황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는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황인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모바일 단말을 통해 룸콘(420)에 전달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단순히 상황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실내 도면 상에 각 감지기 그룹(411 내지 417)의 위치 및 실내 도면 상의 가전(431, 432) 위치를 도시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위치와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가전의 위치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의 일례에서는 주방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제5 감지기 그룹(415)을 통해 감지된 화재 감지 신호가 룸콘(420)으로 전달되고, 룸콘(420)은 이를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전달한다.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실내 도면에서 화재 발생 알람(440)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방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전달하고, 주방에 설치된 제5 감지기 그룹(415)의 IP카메라로부터 주방 영상을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재 상황을 직접 확인시킨 후, 주방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화재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스레인지(432) 및 보일러(431)의 가스를 차단하는 제어 명령을 모바일 단말에서 룸콘(420)으로 전달하여 우선 가스레인지(432)의 가스를 차단하여 우선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화재 경보를 주변에 전파하고, 소방서에 화재 사실을 전달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일산화탄소 감지기 200: 가스 감지기
300: 복합 감지기 400: IP카메라
500: 롬콘 600: 통합관리서버
700: 모바일 단말 800: 가전
411~417: 제1 내지 제7 감지기 그룹
420: 룸콘
431: 보일러 432: 가스레인지
440: 화재 발생 알람

Claims (12)

  1.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룸콘, 통합관리서버 및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화학식 센서를 통해 실내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
    보일러 및 가스 사용 기구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감지기;
    일산화탄소 센서, 광전식 연기 센서 및 반도체식 열감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광전식 연기 센서가 동시에 감지되면 우선적으로 화재를 판단하고 상기 반도체식 열감지기를 통해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광전식 연기 센서의 감지 이후 화재 발생을 재확인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감지기;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 상기 가스 감지기 및 상기 복합 감지기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 상기 가스 감지기 및 상기 복합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통합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가전을 제어하는 룸콘; 및
    상기 룸콘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감지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존재하거나 영향을 주는 보일러, 가스 사용 기구, 가스 밸브 및 전기를 차단하는 명령을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룸콘으로 전달하고,
    상기 룸콘은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장소와 관련된 보일러, 가스 사용 기구, 가스 밸브 및 전기를 차단하며,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전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되고, 실내 공간의 모퉁이 부분이 아닌 천장으로부터 10 내지 30.5cm를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스 감지기는 고열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룸콘에 상기 가전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적외선 LED를 구비하며, 상기 룸콘에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감지 신호가 전달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감지 위치에 대응하는 IP카메라를 통해 해당 위치의 영상을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감지기에서 일산화탄소 센서 및 광전식 연기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만 감지된 경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사용자에게 화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해당 위치의 IP카메라 영상을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감지기는 접촉연소식 센서를 이용하여 LPG 및 LNG 가스를 감지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룸콘이 설치된 장소의 실내 도면과 실내에 설치된 가전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와 실내 도면과 실내에 배치된 가전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내 도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실내 도면 상에 감지기의 위치, 가전 위치 및 발생한 상황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황이 발생한 위치의 IP카메라 영상을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룸콘으로부터 전달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룸콘이 설치된 주소를 확인하여 인접한 소방서에 경보를 전달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12. 일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감지기, 복합 감지기, 룸콘, 통합관리서버 및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화학식 센서를 통해 실내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감지기;
    보일러 및 가스 사용 기구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감지기;
    일산화탄소 센서, 광전식 연기 센서 및 반도체식 열감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광전식 연기 센서가 동시에 감지되면 우선적으로 화재를 판단하고 상기 반도체식 열감지기를 통해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광전식 연기 센서의 감지 이후 화재 발생을 재확인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감지기;
    적외선 LED를 구비하며, 상기 룸콘에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감지 신호가 전달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 상기 가스 감지기 및 상기 복합 감지기와 Wi-Fi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 상기 가스 감지기 및 상기 복합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통합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가전을 제어하는 룸콘;
    상기 룸콘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와 감지 신호를 전달한 감지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 상황과 감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발생 상황과 해당 위치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룸콘에 상기 가전을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감지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존재하거나 영향을 주는 보일러, 가스 사용 기구, 가스 밸브 및 전기를 차단하는 명령을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룸콘으로 전달하고,
    상기 룸콘은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장소와 관련된 보일러, 가스 사용 기구, 가스 밸브 및 전기를 차단하며,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기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전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되고, 실내 공간의 모퉁이 부분이 아닌 천장으로부터 10 내지 30.5cm를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스 감지기는 고열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KR1020200075568A 2020-06-22 2020-06-22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KR102204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68A KR102204896B1 (ko) 2020-06-22 2020-06-22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68A KR102204896B1 (ko) 2020-06-22 2020-06-22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896B1 true KR102204896B1 (ko) 2021-01-19

Family

ID=7423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568A KR102204896B1 (ko) 2020-06-22 2020-06-22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46A (ko) * 2021-08-31 2023-03-08 주식회사 가스트론 다수의 가스 감지기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498Y1 (ko) * 2003-06-18 2003-10-22 주식회사 하이맥스 화재감지기
KR101836038B1 (ko) * 2017-04-26 2018-03-08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화재 요소의 복합적인 감지를 통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852785B1 (ko) *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22887B1 (ko) 2018-04-09 2019-09-19 김용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KR102095986B1 (ko) * 2019-07-08 2020-04-01 주식회사 신관산업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498Y1 (ko) * 2003-06-18 2003-10-22 주식회사 하이맥스 화재감지기
KR101836038B1 (ko) * 2017-04-26 2018-03-08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화재 요소의 복합적인 감지를 통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852785B1 (ko) *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22887B1 (ko) 2018-04-09 2019-09-19 김용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KR102095986B1 (ko) * 2019-07-08 2020-04-01 주식회사 신관산업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46A (ko) * 2021-08-31 2023-03-08 주식회사 가스트론 다수의 가스 감지기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2516509B1 (ko) * 2021-08-31 2023-04-04 주식회사 가스트론 다수의 가스 감지기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CN104504840A (zh) 一种烟气报警系统及报警方法
CN208655009U (zh) 一种智能燃气系统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20180023118A (ko) 화재감지 시스템
KR102204896B1 (ko)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JP3888824B2 (ja) 火災警報器等とガスメータを利用した保安システム
JP2013041604A (ja) 消火装置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2301794B1 (ko) 건물의 화재감지 자동신고시스템
KR20190014936A (ko) 화재 감시 시스템 및 화재 감시 방법
KR100671045B1 (ko) 금속화재와 일반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KR102311141B1 (ko) 지능형 가스 및 화염 감지시스템
KR102194379B1 (ko) 복합센서 화재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22097B1 (ko) 가스 누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6143B1 (ko) 보일러 안전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52001B1 (ko)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120113378A (ko) 선박용 유무선 방재 시스템
KR101750933B1 (ko) 공동주택의 소방감지와 소방서 자동신고시스템
CN110164077A (zh) 一种火灾智能报警装置
US11619411B2 (en) HVAC monitoring system
TWI645382B (zh) 區域性告警保全系統及其運作方法
JP6602035B2 (ja) 検知装置
KR200349278Y1 (ko) 화재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