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498Y1 -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498Y1
KR200330498Y1 KR20-2003-0019229U KR20030019229U KR200330498Y1 KR 200330498 Y1 KR200330498 Y1 KR 200330498Y1 KR 20030019229 U KR20030019229 U KR 20030019229U KR 200330498 Y1 KR200330498 Y1 KR 200330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moke
sensing element
hea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스
Priority to KR20-2003-0019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조건에 따라 조기경보모드 또는 비화재보방지모드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화재시 발생시 열과 불꽃을 감지하는 열감지소자와, 연소가스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소자 등의 감지소자를 2개이상 직렬 및 병렬로 복합하여 화재경보기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감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화재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환경여건에 따라 경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건물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전원과 연결되도록 한 연결단자를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연결단자와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제어하도록 한 제어판과,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직렬 연결하도록 한 비화재보 방지모드와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병렬 연결하도록 한 조기경보모드와, 상기 비화재보 방지모드 및 조기경보모드를 연결, 차단하도록 한 감지모드선택스위치를 형성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시 연기 및 가스를 감지하도록 한 연기감지소자를 형성한 연기감지부와;
상기 고정판과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연기감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면에 삽입, 고정되며, 화재발생시 열 및 불꽃을 감지하도록 한 열감지소자를 형성한 열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a fire detector }
본 고안은 감지기가 설치된 주위의 환경조건에 따라 조기경보모드 또는 비화재보방지모드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발생시 열과 불꽃을 감지하는 열감지소자와, 연소가스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소자를 하나로 한 화재감지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되는 환경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하여 화재감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화재발생 시 경보를 하여 인명피해를 미연에 예방하기위한 목적으로 화재감지기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기, 불꽃을 감지하는 감지기 등으로 구분되며, 상기한 감지기는 건물의 천정 등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일정규모이상의 건축물에는 법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으며, 건물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주방의 가스오븐렌지나 가스스토브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노래방, PC방, 대형건물 등에 설치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화재감지기는 벽면에 매립되는 보호커버의 안쪽에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 등이 고정되며, 동작시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열감지소자를 보호하도록 한 덮개판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화재감지기를 사용으로 화재발생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대피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화재감지기는 열, 연기, 연소가스 등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발생하는 연소생성물 중 한가지만을 감지하는 단일감지소자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조기에 작동하지 못하거나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화재경보기도 환경에 맞도록 교환해주어야 함으로써 경비를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감지소자를 내장한 복합형 화재감지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2개의 감지소자를 내장한 복합형 화재감지기는 감지소자가 직렬로 고정 연결되어 있어 감지소자가 모두 감지하여야 경보기가 작동함으로써,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조기에 화재감지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직렬 연결한 조기화재 경보모드와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병렬 연결한 비화재보 방지모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화재감지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화재발생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화재보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략적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20 : 제어부
21 : 제어판 22 : 비화재보 방지모드
23 : 조기경보모드 24 : 감지모드 선택스위치
30 : 연기감지부 31 : 연기감지소자
40 : 덮개판 50 : 열감지부
51 : 열감지소자
본 고안은 환경여건에 따라 경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건물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전원과 연결되도록 한 연결단자를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연결단자와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제어하도록 한 제어판과,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직렬 연결하도록 한 비화재보 방지모드와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병렬 연결하도록 한 조기경보모드와, 상기 비화재보 방지모드 및 조기경보모드를 연결, 차단하도록 한 감지모드선택스위치를 형성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시 연기 및 가스를 감지하도록 한 연기감지소자를 형성한 연기감지부와;
상기 고정판과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연기감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면에 삽입, 고정되며, 화재발생시 열 및 불꽃을 감지하도록 한 열감지소자를 형성한 열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략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에 고정하도록 한 고정판(10)과,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제어하도록 한 제어부(20)와, 연기 및 연소가스를 감지하도록 한 연기감지부(30)와, 상기 연기감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덮개판(40)과, 열을 감지하도록 한 열감지부(50)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10)은 건물 천정에 구비된 고정볼트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은 좌우 회동에 따라 고정 및 이탈되도록 형성하고,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20)와 체결되도록 한 연결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의 연결단자와 체결되어 전원을 연결되도록 한 체결단자와, 상기 전원공급에 의해 감지기의 작동유무를 확인하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램프와,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제어하도록 형성한 제어판(21)과, 연기감지부(30) 및 열감지부(50)를 직렬 연결하도록 한 비화재보 방지모드(22)와, 연기감지부(30) 및 열감지부(50)를 병렬 연결하도록 한 조기경보모드(23)와, 상기 비화재보 방지모드(22) 및 조기경보모드(23)를 연결, 차단하도록 한 감지모드 선택스위치(24)를 형성한다.
상기 연기감지부(30)는 상기 제어판(20)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시 연기 및 연소가스를 감지하도록 한 연기감지소자(31)를 형성하며, 상기 연기감지부의 내부로 이물질 등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한 보호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기감지소자(31)는 상기 제어판과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광전식 발광소자 또는 이온화식의 아메리슘241 연기감지소자 및 CO, CO2의 연소가스를 감지하는 연소가스감지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판(40)은 상기 고정판(10)과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연기감지부(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하고, 화재 발생시 변형되지 않도록 강도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감지부(50)는 상기 덮개판(40)의 하면에 삽입, 고정되며,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도록 한 바이메탈, 써어미스터, 써어머조이너, 써어머스타트 등을 이용한 열감지소자(51)를 형성하고, 열을 감지하기 쉽도록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감지소자(51)는 상기 제어판(20)과 연결되도록 고정되며, 화재감지모드선택스위치(24)와 회로를 형성한다.
미 설명부호 1은 건물의 천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의 천정면에 고정볼트를 고정한 후 고정판(10)의 고정홈에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화재감지기의 고정판(10)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의 감지모드 선택스위치(24)를 건물의 화재가 발생하는 환경여건에 따라 연기감지부(30)와 열감지부(50)가 병렬로 연결한 조기화재 경보모드(23)와, 연기감지부(30)와 열감지부(50)가 직렬로 연결한 비화재보 방지보드(22)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제어부(20)를 상기 고정판(10)의 연결단자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한 후, 덮개판(40)의 하면에 열감지부(50)를 삽입, 고정하고, 상기 덮개판(40)을 고정판(10)에 체결하여 제어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로 비화재보의 우려가 높은 공장의 경우, 상기 제어부(20)의 감지모드 선택스위치(24)를 비화재 경보모드(22)로 선택, 고정하게 되며, 화재가 발생하면 열이나 연기중 한가지만이 연기감지소자(31) 및 열감지소자(51)에 감지되더라도 경보기가 작동하지 않고, 연기감지소자(31) 및 열감지소자(51)가 모두 감지되었을 경우에만 제어판(20)에 의해 감지기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사무실과 같이 비화재보의 우려가 낮은 지역에는 감지모드 선택스위치(24)를 조기화재 경보모드(23)로 선택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열이나 연기중 한가지만이라도 연기감지소자(31) 또는 열감지소자(51)에 감지되면 제어판(21)에 의해 제어, 감지되어 감지기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기감지부(30) 및 열감지부(50)를 직렬 및 병렬로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서,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조기 화재경보기능을 충족시켜 화재감지기의 신뢰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소자와 연기 및 연소가스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소자를 병렬로 연결하는 조기화재 경보모드와, 각 소자를 직렬로 연결하는 비화재보 방지모드로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화재감지기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감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화재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하도록 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건물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전원과 연결되도록 한 연결단자를 형성한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연결단자와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제어하도록 한 제어판(21)과,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직렬 연결하도록 한 비화재보 방지모드(22)와, 열감지소자 및 연기감지소자를 병렬 연결하도록 한 조기경보모드(23)와, 상기 비화재보 방지모드(22) 및 조기경보모드(23)를 연결, 차단하도록 한 감지모드 선택스위치(24)를 형성한 제어부(20)와;
    상기 제어판(20)의 하면에 고정되어 화재발생시 연기 및 연소가스를 감지하도록 한 연기감지소자(31)를 형성한 연기감지부(30)와;
    상기 고정판(10)과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연기감지부(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덮개판(40)과;
    상기 덮개판(40)의 하면에 삽입, 고정되며,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도록 한 열감지소자(51)를 형성한 열감지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KR20-2003-0019229U 2003-06-18 2003-06-18 화재감지기 KR200330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229U KR200330498Y1 (ko) 2003-06-18 2003-06-18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229U KR200330498Y1 (ko) 2003-06-18 2003-06-18 화재감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208A Division KR20040111209A (ko) 2004-08-07 2004-08-07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498Y1 true KR200330498Y1 (ko) 2003-10-22

Family

ID=4941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229U KR200330498Y1 (ko) 2003-06-18 2003-06-18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4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95B1 (ko) * 2006-08-21 2007-11-22 신화전자주식회사 화재감지기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12-0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KR102204896B1 (ko) * 2020-06-22 2021-01-19 주식회사 지닉스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95B1 (ko) * 2006-08-21 2007-11-22 신화전자주식회사 화재감지기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12-0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KR102204896B1 (ko) * 2020-06-22 2021-01-19 주식회사 지닉스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9927C (en) Alarm with co and smoke sensors
US5717188A (en) Safety device for a heating appliance
US10154574B2 (en) Multifunctional smart home lamp control and security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US20060170542A1 (en) Safety shut-off system
KR20170034762A (ko) 나쁜 공기질과 화재 예방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태의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감시 및 제어 방법
KR100647089B1 (ko) 소화기를 내장한 세대분전반
ES2830729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con supervisión de monóxido de carbono
KR200330498Y1 (ko) 화재감지기
KR200440867Y1 (ko) 화재용 열 감지기
KR101497539B1 (ko) 이중 구조의 암실을 갖는 연기 감지기
KR20040111209A (ko) 화재감지기
JP2007249285A (ja) 火災警報器
JP2005300114A (ja) 火災報知器と電磁誘導加熱調理器とレンジフード等の排気装置と常時換気装置との防火連動方法
WO2007009153A1 (en)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operator functions of hazardous condition alarm devices
US6418778B1 (en) Gas detector equipped with feedback function
KR100671045B1 (ko) 금속화재와 일반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JP2022510741A (ja) 照明灯に連動したリセット機能付きの火災感知器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方法
KR102246207B1 (ko) 화재 감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371051Y1 (ko) 천장 매입형 복합 화재감지기
EP2952792A1 (en) Electronic gas safety control means
JPS5913698B2 (ja) ガス漏れ検知警報方法
KR200397730Y1 (ko) 미세 연기 감지기
JP5361167B2 (ja) 火災警報器
KR200335512Y1 (ko) 레인지후드 내장형 자동식 간이 소화장치
TWM536957U (zh) 具防水功能之消防探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