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296B1 - 소방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296B1
KR102186296B1 KR1020200031923A KR20200031923A KR102186296B1 KR 102186296 B1 KR102186296 B1 KR 102186296B1 KR 1020200031923 A KR1020200031923 A KR 1020200031923A KR 20200031923 A KR20200031923 A KR 20200031923A KR 102186296 B1 KR102186296 B1 KR 10218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ode
present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자
Original Assignee
박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자 filed Critical 박인자
Priority to KR102020003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96B1/ko
Priority to PCT/KR2020/006258 priority patent/WO20211876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은, 화재를 감지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배치되는 화재감지기(100); 및 상기 화재감지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수신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 감지 시스템 {FIRE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는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문헌 001은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열 감지 캡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어프램과 스위칭접점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외부 충격이나 열변형에 의한 오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및 가동접점을 갖는 스위칭접점실과, 이 스위칭접점실을 수납 지지하는 차폐실과, 이 차폐실을 지지함과 동시에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실의 요입부에 환형 안착 홈을 마련하고, 이 안착 홈이 다이어프램의 플랜지와 스위칭접점실의 테두리를 함께 삽입 배치하여, 접착제로서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 오 동작을 방지하고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2는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하는 열 감지 캡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동 및 고정 접점과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미들 플레이트의 열적 변형을 억제하고, 다이어프램의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이 부착되고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위칭 접점실과, 이 스위칭 접점실을 수납 지지하는 미들 플레이트와, 이 미들 플레이트를 감싸며 밀폐 형성되는 차폐판을 구비하여 열 감지 캡을 구성하되,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중공부에 환형의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위칭 접점실에 상기 요부에 대응하는 철부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열적 변형에 따른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생산비의 절감과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지기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3은 화재초기 감지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감시대상 공간의 천정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해당 방향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그 적외선에 관련된 온도감지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1,2,3적외선센서와; 제1,2,3적외선센서에서 발생된 온도감지신호들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에서 비교된 온도감지신호중 1개의 온도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온도가 나머지 2개의 온도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온도와 비교설정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거나, 3개의 온도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온도들이 절대설정값 이상이 될 때 화재신호를 발생하는 화재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4는 환경조건에 따라 조기경보모드 또는 비화재보방지모드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화재시 발생시 열과 불꽃을 감지하는 열감지소자와, 연소가스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소자 등의 감지소자를 2개이상 직렬 및 병렬로 복합하여 화재경보기를 형성함으로써, 화재 감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화재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20-0162974 Y1 (등록일자 1999년09월28일) KR 20-0162868 Y1 (등록일자 1999년09월27일) KR 10- 1678885 B1 (등록일자 2016년11월17일) KR 20- 0330498 Y1 (등록일자 2003년10월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기의 화재 감지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개선된 구조 및 방법으로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개선된 소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은, 화재를 감지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배치되는 화재감지기(100); 및 상기 화재감지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수신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감지부(311); 및 상기 제1감지부(311) 일측에 배치되는 제2감지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는 상기 제1감지부(311)의 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31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신호 및/또는 대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고, 화재 열에 의해서 녹아서 상기 제1,2전극(321, 322)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왁스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상기 제1전극(321)이 하면에 형성되는 웨이트부재(340); 및 상기 웨이트부재(340)가 삽입되는 제1챔버(6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600)의 하면에 상기 제2전극(322)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605)을 포함하고, 상기 왁스부재(330)는 상기 제1하우징(605)의 제1챔버(6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하부로 개방된 제2챔버(80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800)의 상면에 상기 제1전극(321)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805); 및 상기 제1전극(321)과 설정거리를 두고 하부에 배치되고, 그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321) 측으로 상기 제2전극(322)이 설정거리 연장되는 지지부재(810)를 포함하고, 상기 왁스부재(330)는 상기 제2하우징(805)의 제2챔버(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재감지수신기에서 작동되는 스위치에 발광부를 형성하여 관련 종사자가 작동 스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가지 방식(다이어프램 방식 및 왁스 방식)의 감지기를 함께 사용하여 화재감지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왁스 방식의 화재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왁스 방식의 화재 감지기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이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화재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왁스 방식의 화재 감지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스위치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중 화재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다단 화재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재감지신호의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재감지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재감지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다단 화재감지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재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화재를 감지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배치되는 화재감지기(100); 및 상기 화재감지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수신기(110); 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천정 또는 벽면에 부착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센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적 기기이고, 이러한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전송받은 화재감지수신기에서는 화재 진화에 대한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화재감지기의 작동은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화재감지수신기는 화재감지기에서 보내준 신호를 빛이나 소리로 나타내고,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화재차단을 위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에어에 의해서 부풀어 올라 두 전극을 연결시켜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어프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온도변화에 따라서 변형되는 바이메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재감지기는 다이어프램 방식, 왁스 방식, 및/또는 바이메탈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재감지기는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는 다이어프램 방식이고, 제2감지부는 왁스 방식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 방식은 에어의 팽창에 의해서 부풀어오르는 다이어프램과 이의 움직임에 의해서 제1,2전극이 접촉되어 화재신호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왁스 방식은 왁스부재, 제1,2전극, 및 전극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서 왁스부재가 녹고, 전극탄성부재가 제1,2전극을 연결시켜 화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9를 참조하면, 바이메탈 방식은 바이메탈 제1,2전극, 및 바이메탈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열이 바이메탈을 변형시켜 제1,2전극이 접촉되어 화재신호가 생성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재경고등(102), 화재경종(104), 수동발신기(106), 및/또는 위치표시기(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에 의해서 작동되어 화재현장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쿨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1 참조), 화재감지수신기는 화재감지기, 화재경고등, 화재경종, 수동발신기, 위치표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쿨러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직간접적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화재경고등은 건물의 설정 위치에 설치되어 빛으로 화재를 알려줄 수 있고, 상기 화재경종은 소리로 화재를 알려줄 수 있으며, 수동발신기는 화재를 감지한 사람이 이를 눌러서 화재감지 신호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위치표시기는 화재발신기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들의 작동은 화재감지수신기에 각각 소리나 빛으로 나타내어지며, 작업자는 이를 통해서 화재발생, 위치, 등을 인지하고 이를 조치할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1-5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는, 상기 화재경고등(102), 상기 화재경종(104), 상기 수동발신기(106), 상기 위치표시기(108), 및/또는 스프링쿨러(112)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상태를 알려주거나 작동시키는 스위치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2 참조), 스위치유닛은 화재감지수신기와 연결된 구성요소들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알림수단이다.
예를 들어서, 화재감지기에서 화재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유닛에 구성된 발광부가 빛을 형성하여 화재신호가 감지된 화재감지기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이 스위치유닛의 버튼을 눌러서 화재감지기의 화재신호에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유닛(200)은, 버튼(205); 상기 버튼(205)를 외부로 탄성지지하는 스위치탄성부재(210); 상기 버튼(205)에 의해서 작동되는 스위치(215); 및 상기 버튼(205)를 통해서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스위치(215)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발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2 참조), 스위치유닛은 버튼, 발광부, 스위치, 및 스위치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스위치유닛은 특정 화재감지기의 작동을 발광부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고,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고 버튼을 통해서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작업자는 정확한 위치의 화재감지기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8]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130)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두 전극 사이의 접촉 시점을 조절하는 바이메탈탄성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9 참조), 바이메탈 방식은 바이메탈, 제1,2전극, 및 바이메탈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열이 바이메탈을 변형시켜 제1,2전극이 접촉되어 화재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바이메탈탄성부재는 바이메탈의 선단 흔들림을 방지하여 화재감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바이메탈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바이메탈탄성부재가 바이메탈을 당기면 화재감지 시점이 늦어지고, 바이메탈을 밀면 화재감지 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 아울러, 여러 개의 바이메탈 화재감지기가 배치되고, 바이메탈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다르게 하여 화재감지 시점을 시간기준으로 분포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감지부(311); 및 상기 제1감지부(311) 일측에 배치되는 제2감지부(312); 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는 상기 제1감지부(311)의 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31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신호 및/또는 대응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재감지기는 제1,2감지부를 통해서 화재를 감지함으로써, 감지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2감지부 중에서 하나가 오동작하더라도 화재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감지부는 하나의 감지 케이싱 안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계 사양에 따라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2감지부는 다이어프램방식, 바이메탈방식, 및 왁스방식 중에서 각각 선택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서로 다른 타입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311)는 에어의 팽창에 의해서 전극을 움직여서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어프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311)는 온도변화에 따라서 구부러지는 바이메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3 참조), 화재감지기에서, 제1감지부는 다이어프램 방식이고, 제2감지부는 왁스 방식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 방식은 에어의 팽창에 의해서 부풀어오르는 다이어프램과 이의 움직임에 의해서 제1,2전극이 접촉되어 화재신호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도 9를 참조하면, 바이메탈 방식은 바이메탈 제1,2전극, 및 바이메탈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열이 바이메탈을 변형시켜 제1,2전극이 접촉되어 화재신호가 생성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312)는, 두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고, 열에 의해서 녹아서 상기 제1,2전극(321, 322)을 연결하는 왁스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는 상기 제1,2감지부(311, 312) 중 하나의 신호에 의해서 화재경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2감지부(311, 312) 중 나머지 하나의 신호에 의해서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311)의 작동온도는 제2감지부(312)의 작동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3 참조), 제1감지부는 다이어프램 또는 바이메탈 방식이고, 제2감지부는 왁스 방식일 수 있다. 아울러, 제1감지부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위험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감지부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감지부의 화재감지 온도가 60도로 설정되면, 제2감지부의 화재감지 온도는 80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제1,2감지부는 시간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감지신호를 시간차이를 두고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고, 화재 열에 의해서 녹아서 상기 제1,2전극(321, 322)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왁스부재(330);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제1전극(321)을 제2전극(322)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전극탄성부재(335);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3 참조), 화재감지기는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제2감지부는 왁스 방식일 수 있다. 왁스 방식은 왁스부재, 제1,2전극, 및 전극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서 왁스부재가 녹고, 전극탄성부재가 제1,2전극을 접촉시켜 화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극탄성부재는 구비되지 않고, 전극이 자중에 의해서 접촉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왁스부재의 녹는점은 60도 또는 90도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왁스부재(330)는 유성, 및/또는 수성일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왁스부재(330)는 파라핀, 라놀린, 및/또는 밀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3 참조), 대부분의 왁스는 고온에서 녹으며 고광택의 단단한 막을 형성하고, 왁스와 지방은 같은 용매에 녹고 또한 종이 위에 기름 자국을 남길 수 있으며, 매우 단단하고 고광택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동물성 왁스인 밀랍은 다른 왁스보다 부드러우며 광택제로 사용하기보다는 방수제나 윤활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왁스의 대부분은 윤활유 저장물에서 밀랍을 제거시켜 석유로부터 회수되며, 석유왁스는 일반적으로 파라핀 왁스, 미소결정, 및 와셀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적어도 제1,2감지부(311, 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311)의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왁스부재(331); 및 상기 제2감지부(312)의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왁스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제2왁스부재(332)의 두께는 상기 제1왁스부재(331)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4 참조), 화재감지기는 제1감지부, 제2감지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를 포함하고, 제1,2,3,4감지부는 공통적으로 제1,2전극과 전극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2,3,4감지부는 제1,2,3,4왁스부재를 각각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4왁스부재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화재 발생시 제1감지부가 먼저 작동되고, 제4감지부가 제일 나중에 작동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제2왁스부재(332)의 녹는점은 상기 제1왁스부재(331)의 녹는점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3-8]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상기 제1감지부의 제1,2전극의 제1연결신호(S1)와 상기 제2감지부의 제1,2전극의 제2연결신호(S2) 사이의 시간차이를 감지하고, 이 시간차이의 크기에 따라서 화재특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4 참조), 제1감지부에 적용된 제1왁스부재의 녹는점과 제2감지부에 적용된 제2왁스부재의 녹는점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왁스부재는 섭씨 60도부터 녹을 수 있고, 제2왁스부재는 섭씨 70도부터 녹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감지부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신호(S1, S2, S3, S4)를 나타내고, 제1감지부는 S1신호를 생성하고, 제2감지부는 S2신호를 생성하며, 제3감지부는 S3신호를 생성하고, 제4감지부는 S4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들 사이에 시간차이가 존재하며, 이 시간차이의 특성을 통해서 화재의 크기나 이동경로 등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상기 제1전극(321)이 하면에 형성되는 웨이트부재(340); 및 상기 웨이트부재(340)가 삽입되는 제1챔버(6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600)의 하면에 상기 제2전극(322)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605); 을 포함하고, 상기 왁스부재(330)는 상기 제1하우징(605)의 제1챔버(6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6 참조), 화재감지기는 웨이트부재, 제1전극, 제1하우징, 제2전극, 열전달핀, 및 제1유동홀을 포함하며, 웨이트부재의 하면에 제1전극이 형성되고, 제1하우징에는 상기 웨이트부재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제1챔버가 형성되고, 이 제1챔버의 하면에 제2전극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에는 유동홀이 형성되고, 제1,2전극 사이에 왁스부재가 개재된다. 열을 흡수한 왁스부재는 녹아서 제1유동홀을 통해서 하부로 흘러내리고, 웨이트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제1,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킨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605)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열전달핀(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605)의 상기 제1챔버(600)의 하면에서 하부로 통하는 제1유동홀(6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3 참조), 상기 제1하우징에는 유동홀이 형성되고, 제1,2전극 사이에 왁스부재가 개재된다. 아울러, 제1하우징의 외면에는 외부 열을 흡수하는 열전달핀이 더 형성되고, 열을 흡수한 왁스부재는 녹아서 제1유동홀을 통해서 하부로 흘러내리고, 웨이트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제1,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킨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600) 및 상기 웨이트부재(340)의 폭방향 단면이 원형, 및/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600)와 상기 웨이트부재(340) 사이에는 상하 이동방향으로 돌기(620)와 홈(625) 구조의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7 참조), 상기 웨이트의 폭방향 단면은, (a)와 같이 원형을 가질 수 있고, (b)와 같이 직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하우징의 제1챔버의 형태도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형이나 직사각형 외에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웨이트부재의 외면과 제1하우징의 제1챔버 내면 사이에는 돌기와 홈의 가이드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를 통해서 웨이트부재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는 제1하우징에 형성되고, 홈은 웨이트부재에 형성되었으나, 이들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하부로 개방된 제2챔버(80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800)의 상면에 상기 제1전극(321)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805); 및 상기 제1전극(321)과 설정거리를 두고 하부에 배치되고, 그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321) 측으로 상기 제2전극(322)이 설정거리 연장되는 지지부재(810); 를 포함하고, 상기 왁스부재(330)는 상기 제2하우징(805)의 제2챔버(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8 참조), 화재감지기는 제2하우징, 제1전극, 지지부재, 제2전극, 및 왁스부재를 포함하고, 제1,2전극은 화재감지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2전극이 접촉되면 화재감지수신기는 화재 발생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우징에는 하부로 개방된 제2챔버가 형성되고, 이 제2챔버의 상면에 제1전극이 넓게 분포된다.
상기 제1전극의 하부에 설정거리를 두고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이 지지부재에는 제2전극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화재 발생시 왁스부재가 녹아내리고, 제2하우징의 하중에 의해서 제1전극과 함께 제2전극이 접촉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322)은, 서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1전극(821) 및 제2-2전극(8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8참조), 상기 제2전극은 제2-1전극, 제2-1전극, 제2-3전극, 및 제2-4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은 제2챔버의 상면에 설정된 영역에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고, 제2전극은 제2-1전극, 제2-2전극, 제2-3전극, 제2-4전극을 포함하고, 이들이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부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화재발생시, 제1전극은 제2-1전극, 제2-2전극, 제2-3전극, 제2-4전극 중 하나와 접촉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제2전극이 하나로만 형성된다면, 그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1전극(821) 및 제2-2전극(822)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소방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제2-1전극(821) 및 제2-2전극(822)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810)에는 상기 왁스부재(330)가 녹아서 흘러내리는 제2유동홀(830)이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8 참조), 제2전극은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데, 제2-1전극, 제2-2전극, 제2-3전극, 제2-4전극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2챔버 내부에는 왁스부재가 충진되며, 이 왁스부재가 제1,2전극 사이에 일정한 갭을 형성한다. 아울러, 지지부재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된다.
먼저, 화재가 발생되면, 제2하우징의 제2챔버에 충진된 왁스부재가 제2유동홀을 통해서 녹아내리고 제2하우징이 서서히 하강한다. 그리고, 제1전극과 제2-1전극이 먼저 접촉한다. 그 다음, 제1전극과 제2-2전극, 제2-3전극, 및 제2-4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화재의 전파속도와 크기 등을 인지할 수 있다.
100: 화재감지기 110: 화재감지수신기
102: 화재경고등 104: 화재경종
106: 수동발신기 108: 위치표시기
112: 스프링쿨러 120: 다이어프램
130: 바이메달 200: 스위치유닛
205: 버튼 210: 스위치탄성부재
215: 스위치 220: 발광부
311: 제1감지부 312: 제2감지부
313: 제3감지부 314: 제4감지부
321: 제1전극 322: 제2전극
330: 왁스부재 331: 제1왁스부재
332: 제2왁스부재 333: 제3왁스부재
334: 제4왁스부재 335: 전극탄성부재
340: 웨이트부재 600: 제1챔버
605: 제1하우징 610: 열전달핀
615: 제1유동홀 620: 돌기
625: 홈 800: 제2챔버
805: 제2하우징 810: 지지부재
821: 제2-1전극 822: 제2-2전극
823: 제2-3전극 824: 제2-4전극
830: 제2유동홀 900: 바이메탈탄성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화재를 감지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배치되는 화재감지기(100);
    상기 화재감지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수신기(110);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고, 화재 열에 의해서 녹아서 상기 제1,2전극(321, 322)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왁 스부재(330);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상기 제1전극(321)이 하면에 형성되는 웨이트부재(340);
    상기 웨이트부재(340)가 삽입되는 제1챔버(6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600)의 하면에 상기 제2전극(322)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605); 을 포함하고, 상기 왁스부재(330)는 상기 제1하우징(605)의 제1챔버(60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감지 시스템.
  5. 화재를 감지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배치되는 화재감지기(100);
    상기 화재감지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수신기(110);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2전극(321, 322) 사이에 개재되고, 화재 열에 의해서 녹아서 상기 제1,2전극(321, 322)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왁 스부재(330);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하부로 개방된 제2챔버(80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800)의 상면에 상기 제1전극(321)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805);
    상기 제1전극(321)과 설정거리를 두고 하부에 배치되고, 그 상면에서 상기 제1전극(321) 측으로 상기 제2전극(322)이 설정거리 연장되는 지지부재(810); 를 포함하고, 상기 왁스부재(330)는 상기 제2하우징(805)의 제2챔버(80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제1감지부(311);
    상기 제1감지부(311) 일측에 배치되는 제2감지부(312); 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수신기(110)는 상기 제1감지부(311)의 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31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신호 또는 대응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감지 시스템.
KR1020200031923A 2020-03-16 2020-03-16 소방 감지 시스템 KR10218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23A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03-16 소방 감지 시스템
PCT/KR2020/006258 WO2021187664A1 (ko) 2020-03-16 2020-05-13 소방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23A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03-16 소방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96B1 true KR102186296B1 (ko) 2020-12-03

Family

ID=7377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23A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03-16 소방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296B1 (ko)
WO (1) WO20211876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19B1 (ko) 2021-12-28 2023-02-14 주식회사 유원 공동주택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499117B1 (ko) 2021-12-27 2023-02-14 주식회사 유원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868Y1 (ko) 1994-05-31 1999-12-15 우영석 화재감지기
KR200162974Y1 (ko) 1994-05-31 1999-12-15 우영석 화재감지기
KR200285883Y1 (ko) * 2002-05-15 2002-08-16 이호준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KR200330498Y1 (ko) 2003-06-18 2003-10-22 주식회사 하이맥스 화재감지기
JP2006154920A (ja) * 2004-11-25 2006-06-15 Hideji Okamoto 自動火災報知器
KR101678885B1 (ko) 2015-05-20 2016-11-23 삼삼기업주식회사 화재초기 감지형 화재감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161A (ko) * 2011-05-04 2012-11-14 키드테크놀러지스.인크 압전 발전기 또는 점화기에 의해 점화되는 점화 액추에이터용 수동 릴리즈
KR101545958B1 (ko) * 2014-02-05 2015-08-21 하규호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소화 시스템
KR20160090215A (ko) * 2015-01-21 2016-07-29 이주섭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용 화재 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868Y1 (ko) 1994-05-31 1999-12-15 우영석 화재감지기
KR200162974Y1 (ko) 1994-05-31 1999-12-15 우영석 화재감지기
KR200285883Y1 (ko) * 2002-05-15 2002-08-16 이호준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KR200330498Y1 (ko) 2003-06-18 2003-10-22 주식회사 하이맥스 화재감지기
JP2006154920A (ja) * 2004-11-25 2006-06-15 Hideji Okamoto 自動火災報知器
KR101678885B1 (ko) 2015-05-20 2016-11-23 삼삼기업주식회사 화재초기 감지형 화재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17B1 (ko) 2021-12-27 2023-02-14 주식회사 유원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 시스템
KR102499119B1 (ko) 2021-12-28 2023-02-14 주식회사 유원 공동주택 소방 방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664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296B1 (ko) 소방 감지 시스템
KR20170034762A (ko) 나쁜 공기질과 화재 예방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태의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감시 및 제어 방법
KR101212984B1 (ko) 소방기기의 스마트 헤드 자동작동장치
EP3009820B1 (en) Pneumatic detector assembly with bellows
GB1399749A (en) Fire extinguishers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s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CN110910604B (zh) 用于火灾报警的监控方法、系统以及装置
US20190015688A1 (en) Self Contained Stovetop Fire Suppressor with Sensor Triggered Shuttle Activation and Method
JP4906820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点検方法
JP2009207630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湿式の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103786B1 (ko) 지능형 화재 대피 유도시스템
JP2007249285A (ja) 火災警報器
US4664198A (en) Straight-on fire sprinkler with improved valve locking mechanism
KR101261883B1 (ko) 열센싱 다이오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CN216352714U (zh) 火灾自动报警器
KR102425561B1 (ko)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JP2021533340A (ja) 温度センサ及びインジケータ
KR102143236B1 (ko) 독립형 온도반응 자동 화재경보기
US2247539A (en) Automatic fire alarm
JPH034293Y2 (ko)
CN212160875U (zh) 一种无线感温火灾探测器
KR101267473B1 (ko) 화재감지기
CN116434458A (zh) 一种定温火灾探测器
KR20160027556A (ko) 하중에 의한 지붕 붕괴를 예측하여 경고하는 장치 및 방법
CN217886867U (zh) 一种气溶胶灭火器启动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