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83Y1 -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83Y1
KR200285883Y1 KR2020020014758U KR20020014758U KR200285883Y1 KR 200285883 Y1 KR200285883 Y1 KR 200285883Y1 KR 2020020014758 U KR2020020014758 U KR 2020020014758U KR 20020014758 U KR20020014758 U KR 20020014758U KR 200285883 Y1 KR200285883 Y1 KR 200285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ttery
fire detection
built
electrolyte solutio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이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준 filed Critical 이호준
Priority to KR2020020014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83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 유리앰플에 전해질 용액이 담겨있고, 상기 유리앰플의 외측에 금속전극이 외장되어 있는 구조의 비축전지와, 화재시 상기 유리앰플을 파괴하여 전해질과 각 금속전극이 접촉하여 전기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격발기 및 상기 비축전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를 작동전원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A Fire Detecting Device Including Reserve Battery}
본 고안은 외부전원이 없이도 자체적인 전원으로 비축전지가 내장되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질 용액을 유리앰플에 담아 활물질과 분리하여 두었다가 화재시 온도가 상승하면 열접합되었던 솔더가 용융되면서 평소 고정 단속하였던 격발기가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유리앰플을 가격 파괴함으로써, 누출된 전해질 용액과 활물질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전원으로 회로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감지방식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수반되는 열을 감지하는 방식, 연기를 감지하는 방식, 그리고 적외선을 감지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모두 전자적으로 동작하므로, 전기에너지 즉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전원공급은 건물 등에 인입되는 전력선을 이용하거나, 감시소등과 같이 별도로 위난에 대비한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기 자체에 1차전지를 탑재하여 전원으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건물에 인입되는 전력선을 사용할 경우 감지기에는 110V 또는 220V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정류기가 탑재되어 사용된다. 만약 화재의 발생이 상기 전력선에 기인할 경우를 대비하여 감지기의 구동을 위해 2차전지를 이용한 충전회로가 함께 내장된다.
이러한 방식은 외부 인입 전력선의 사용으로 전원획득에 있어서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화재감지기의 설치시 별도의 전기공사가 수반되며, 상기 전력선이 미치지 못하는 장소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류기 및 정류회로와 더불어 2차전지를 위한 충전회로의 설치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감지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인 단점이 있다.
아울러 감시소 등에서 독립적인 전력선을 설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방식인 경우는 아파트나 빌딩처럼 대단위 주거시설이 밀집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독립적인 전원의 공급으로 신뢰성은 높지만, 감시소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통 수십 내지 수백미터에 이르는 전력선의 길이를 감안할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요인에 의해 상기 전력선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전력공급의 차질이 발생된다.
또한 1차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주변 전기공급시설과는 관계없이 화재감지기의 설치가 비교적 자유로우나, 통상적인 1차전지의 구조상 전해질 용액과 금속전극이 항시 접촉하고 있어 1년 내지 2년 정도기간의 방치시 자가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인 1차전지의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비교적 장기간의 비사용에도 불구하고, 화재발생시 즉각적인 전원공급을 내장된 비축전지로부터 담보해낼 수 있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화재시의 열변형이 비축전지의 전기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부가적인 전기공사가 불필요하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비교적 자유로운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호 비가역적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전해질 용액(12) 및 활물질과, 상기 전해질 용액(12) 및 활물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내포되며, 열 또는 충격으로 국소 또는 전체가 파괴될 수 있는 격리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축전지(10); 및
상기 비축전지(10)로부터 작동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회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리용기가 파괴될 수 있도록 상기 격리용기를 순간적으로 가격할 수 있는 격발기(3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격발기(30)는 상기 격리용기를 향해 타격돌기(32a)가 돌출 형성되는 타격부(32)와,
상기 타격부(32)의 타측에 대해 소정길이의 이동축(33)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34)와,
상기 타격부(32) 및 디스크(34)의 사이에 압축 탄지되어 상기 타격부(32)가 상기 격리용기를 가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35)과,
상기 코일스프링(35)에 기반한 탄성력으로 상기 타격돌기(32a)가 상기 격리용기를 가격할 수 있도록 열전달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타격부(32) 및 디스크(34)의 이동을 단속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열용융으로 상기 디스크(34)가 하우징(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34)의 타측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벽 사이에 양측이 각각 융착되어 있는 저온솔더(36)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은 열변형으로 상기 타격부(32)가 하우징(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32)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31)의 입구에 양측이 각각 밀착 및 고정되는 바이메탈(36b)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해질 용액(12)은 염화암모늄 및 염화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격리용기는 상기 활물질에 대해 상기 전해질 용액(12)이 격리될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전해질 용액(12)이 포함되어 있는 유리앰플(12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물질은 이산화망간 및 카본이 포함되어 상기 회로부(40)의 양극단자(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박판(13a)과,
아연이 포함되어 상기 회로부(40)의 음극단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박판(13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박판(13a,13b)의 사이에 개재되는 부직포(14)와 더불어 상기 격리용기의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외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동작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실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축전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비축전지 11: 전지케이스
12: 전해질 용액 12a: 유리앰플
13a: 제 1박판 13b: 제 2박판
14: 부직포 20: 타격막대
30: 격발기 31: 하우징
32: 타격부 32a: 타격돌기
33: 이동축 34: 디스크
35: 코일스프링 36a: 저온솔더
36b: 바이메탈 40: 회로부
40a: 무선송신부 40b: 메모리
41: 양극단자 42: 음극단자
50: 케이스 60: 경보기
100: 화재감지장치 200: 소방서
210: 무선송신부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동작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실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장치(100)는 유리앰플(12a)에 담겨져 평상시 활물질과 격리되었던 전해질 용액(12)을 화재시에는 누출시켜 상기 활물질인 제 1박판(13a) 및 제 2박판(13b)과 접촉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 때 발생되는 전기가 회로부(40)에 공급되어 위난을 외부에 통보 및 경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리앰플(12a)은 전해질 용액(12)과 각 박판을 분리시키기 위한 격리용기로서, 이 때 코일스프링(35)의 탄성력에 기반한 격발기(30)가 화재시 상기 유리앰플(12a)을 가격 파괴할 수 있도록 상기 유리앰플(12a)의 전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기 화재감지장치(100)는 상기 회로부(40)의 작동전원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비축전지(10)와, 화재시 열을 감지하여 상기 비축전지(10)가 전기를 공급하도록 유리앰플(12a)을 가격 파괴할 수 있는 격발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축전지(10)에서 긴 원통 형태의 유리앰플(12a)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 전해질 용액(12)으로 염화암모늄 및 염화아연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앰플(12a)의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 활물질인 제 1박판(13a)과 제 2박판(13b)인데, 상기 제 1박판(13a)은 이산화망간과 카본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 2박판(13b)는 아연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박판(13a,13b)가 상기 전해질 용액(12)과의 접촉할 경우 상기 비축전지(10)는 통상적인 망간전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박판(13a) 및 제 2박판(13b)의 사이에는 상기 유리앰플(12a)의 파괴시 누출되는 전해질 용액(12)을 흡수할 수 있도록 부직포(14)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부직포(14)는 상기 각 박판(13a,13b)과 더불어 상호 적층되어 상기 앰플(12a)의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박판(13a,13b) 중 제 1박판(13a)에는 양극단자(41)가 접선되어 있고, 상기 제 2박판(13b)에는 음극단자(42)가 접선되어 있는데, 상기 각 단자(41,42)는 또한 회로부(40)에 접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박판(13a,13b)에 대해 상기 전해질 용액(12)의 비가역적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전기가 결국 회로부(40)에 인가된다.
이 때 상기 비축전지(10)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구리판으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11)로 원통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11)의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는 것이 상기 격발기(30)의 타격부(32)이다.
이러한 상기 타격부(32)에서 상기 전지케이스(11)를 향해 돌출된 것이 타격돌기(32a)이며, 상기 타격부(32)의 타측 중앙에 고정된 것이 이동축(33)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33)을 사이에 두고 고정된 것이 원판 형태의 디스크(34)이며, 이러한 상기 디스크(34) 및 타격부(3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원통 형상의 하우징(31)이다.
상기 하우징(31)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전지케이스(11) 및 회로부(40)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스(50)에 연결되도록 일측이 개봉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50)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대해 보다 큰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31)의 타측 내벽에 융착된 것이 디스크(34)의 고정수단으로 기능하는 저온솔더(36a)로서, 상기 저온솔더(36a)는 비스무스, 납, 아연 및 인듐으로 이루어진 합금이며, 화재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약 60℃ 정도 이상이면 곧바로 용융된다.
상기 저온솔더(36a)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34)가 부착 단속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타격부(32)와 상기 디스크(34)의 사이에 압축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축(33)을 따라 나선으로 권취된 것이 코일스프링(35)이다.
이러한 상기 코일스프링(35)은 상기 디스크(34)와 상기 타격부(32)의 사이에서 탄지되어 있다가 상기 저온솔더(36)가 열전달로 용융되어 상기 디스크(34)의 단속이 해제되면, 탄성력을 기반으로 상기 타격부(32)를 일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 때 상기 디스크(34)의 직경은 디스크(34)의 단속 해제시 상기 디스크(34)가 상기 코일스프링(35)을 통과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35)의 권취된 나선의 최소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상기 타격부(32)가 코일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32)를 밀어내게 되면, 타격돌기(32a)가 상기 전지케이스(11)을 가격하게 되며, 그 충격력은 상기 전지케이스(11)의 타측 내벽과 유리앰플(12a)의 타측 전면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세라믹 재질의 타격막대(20)에 전달된다.
이러한 상기 타격막대(20)는 상기 타격돌기(32a)의 가격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타격돌기(32a)의 가격력을 유리앰플(12a)에 전달하여 상기 유리앰플(12a)의 파괴가 초래된다.
이러한 상기 유리앰플(12a)의 파괴로 인하여 전해질 용액(12)이 누출되고, 이를 흡수한 부직포(14)에 제 1박판(13a) 및 제 2박판(13b)이 밀착되어 접촉하면서 염화암모늄 및 염화아연과의 화학반응으로 전기가 발생된다.
발생된 전원은 양극단자(41) 및 음극단자(42)를 통해 상기 회로부(40)에 인가되어 작동전력으로 이용된다. 이 때 상기 회로부(40)에는 화재발생을 경보하기 위한 음성이나 사이렌과 같은 음향을 저장하여 상기 회로부(40)에 연결된 경보기(60)를 통해 방출하기 위한 메모리(40b)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회로부(40)에는 소방서(200)와 같은 위난대비시설(또는 위난대비업체)에 화재를 통보하기 위하여 무선송신부(40a)가 내장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소방서(200)에는 무선수신부(210)가 설치되어 있어 각 건물에 복수개의 화재감지장치(100)가 설치되었을 경우 각 무선송신부(40a)로부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진압을 위한 긴급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결국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이 상기 저온솔더(36)의 용융으로 이어지면서 회로부(40)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저온솔더(36)는 도 2에서처럼 화재감지장치(100) 작동의 시초가 되며, 열을 감지하여 화재감지장치(100)의 작동으로 연결해주는 열감지센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축전지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축전지(10)는 구리판으로 이루어진 캔 형상의 전지케이스(11) 내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11)의 중앙에는 전해질 용액(12)이 담긴 유리앰플(12a)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유리앰플(12a)의 외주연을 제 1박판(13a), 부직포(14) 및 제 2박판(13b)이 순차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평상시에 상기 유리앰플(12a)은 상기 전해질 용액(12)과 각 박판(13a,13b)의 화학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용기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외부의작은 충격에도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어 화재시 곧바도 파괴시켜 전해질 용액(12)과 활물질인 각 박판(13a,13b)의 화학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리앰플(12a)이 파괴되어 전해질 용액(12)이 누출되면, 상기 부직포(14)에 흡수되면서 제 1박판(13a) 및 제 2박판(13b)이 전해질 용액(12)과 접촉하고, 곧바로 비가역 화학반응이 발생하면서 전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유리앰플(12a) 이외에, 소정온도 이상에서 용융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미도시)에 상기 전해질 용액(12)이 담겨 있는 구조도 가능하며, 이 때에는 화재로 인한 고온의 열이 전지케이스(11)를 통해 상기 플라스틱 용기에 전달되어 열용융되면, 상기 전해질 용액(12)이 누출되면서 각 박판(13a,13b)에 접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제 2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장치(100)에서 격발기(30)의 타격부(32)가 바이메탈(36b)을 고정수단으로 하여 단속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바이메탈(36b)은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이종의 금속이 서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열전달시 서로 다른 팽창률로 인해 일방향으로 변형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바이메탈(36b)의 양측은 상기 타격부(32)의 일측 및 하우징(31) 개봉부위에 대해 각각 밀착 및 접합되어 있어 열이 가해지면, 일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타격부(32)의 단속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타격부(32) 및 디스크(34)의 사이에서 탄지되었던 코일스프링(35)의 탄성력에 기반하여 타격돌기(32a)가 타격막대(20)의 타측부위에해당하는 전지케이스(11) 부위를 가격하게 되어 유리앰플(12a)이 파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괴된 유리앰플(12a)로부터 전해질 용액(12)이 누출되면서 각 박판(13a,13b)과 화학반응을 하게 되어 전기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전기는 회로부(40)의 작동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100)에서, 상기 격발기(30)의 코일스프링(35) 이외에, 상기 타격부(32)의 타측 및 상기 하우징(31)의 내벽 사이에 가압되어 있는 탄성고무, 용기 내에 가압보관된 유체의 팽창력 등을 타격부의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막대(20)는 재질이 세라믹 이외에, 금속, 고강도 플라스틱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저온솔더(36a) 및 바이메탈(36b) 이외에, 형상기억합금이나 고열에 바로 용융될 수 있는 플라스틱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축전지(10)에서 격리용기가 상기 전해질 용액(12)를 포함하여 활물질과 격리시키는 형태 이외에, 활물질을 격리용기에 담아 전해질 용액(12)과 격리시키는 형태도 본 고안에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비축전지(10)는 1차전지로서 망간전지의 구조를 취하는 것 이외에, 전해질 용액(12) 및 활물질의 성분요소를 변경하여 다른 다양한 전지형태(예를 들어 양극 및 음극에 각각 과산화납 및 납이 사용되고 전해질 용액으로 황산을 포함한 2차전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비축전지는 화재 이전까지 약 20년 정도의 보증기간을 가질만큼 높은 신뢰성을 갖으며, 부수적인 전기공사나 부품의 교체없이 어떠한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대도시는 물론 전기시설이 닿지 않는 산림이나 공원 및 사찰 등과 같이 전력설비가 비교적 낙후되어 있는 산간벽지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8)

  1. 상호 비가역적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전해질 용액(12) 및 활물질과, 상기 전해질 용액(12) 및 활물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내포되며, 열 또는 충격으로 국소 또는 전체가 파괴될 수 있는 격리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축전지(10); 및
    상기 비축전지(10)로부터 작동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회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용기가 파괴될 수 있도록 상기 격리용기를 순간적으로 가격할 수 있는 격발기(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기(30)는 상기 격리용기를 향해 타격돌기(32a)가 돌출 형성되는 타격부(32)와,
    상기 타격부(32)의 타측에 대해 소정길이의 이동축(33)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34)와,
    상기 타격부(32) 및 디스크(34)의 사이에 압축 탄지되어 상기 타격부(32)가상기 격리용기를 가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35)과,
    상기 코일스프링(35)에 기반한 탄성력으로 상기 타격돌기(32a)가 상기 격리용기를 가격할 수 있도록 열전달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타격부(32) 및 디스크(34)의 이동을 단속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열용융으로 상기 디스크(34)가 하우징(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34)의 타측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벽 사이에 양측이 각각 융착되어 있는 저온솔더(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열변형으로 상기 타격부(32)가 하우징(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32)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31)의 입구에 양측이 각각 밀착 및 고정되는 바이메탈(36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12)은 염화암모늄 및 염화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용기는 상기 활물질에 대해 상기 전해질 용액(12)이 격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전해질 용액(12)이 포함되어 있는 유리앰플(1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이산화망간 및 카본이 포함되어 상기 회로부(40)의 양극단자(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박판(13a)과,
    아연이 포함되어 상기 회로부(40)의 음극단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박판(13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박판(13a,13b)의 사이에 개재되는 부직포(14)와 더불어 상기 격리용기의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KR2020020014758U 2002-05-15 2002-05-15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KR200285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758U KR200285883Y1 (ko) 2002-05-15 2002-05-15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758U KR200285883Y1 (ko) 2002-05-15 2002-05-15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631A Division KR100451655B1 (ko) 2002-05-15 2002-05-15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83Y1 true KR200285883Y1 (ko) 2002-08-16

Family

ID=7307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758U KR200285883Y1 (ko) 2002-05-15 2002-05-15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93B1 (ko) 2010-05-18 2013-04-17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 상태 확인 및 출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5958B1 (ko) * 2014-02-05 2015-08-21 하규호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소화 시스템
KR102152447B1 (ko)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KR102186296B1 (ko) * 2020-03-16 2020-12-0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KR102203287B1 (ko)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형 무선 정온식 감지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93B1 (ko) 2010-05-18 2013-04-17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 상태 확인 및 출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5958B1 (ko) * 2014-02-05 2015-08-21 하규호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소화 시스템
KR102152447B1 (ko)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KR102186296B1 (ko) * 2020-03-16 2020-12-0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WO2021187664A1 (ko) * 2020-03-16 2021-09-2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KR102203287B1 (ko)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형 무선 정온식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61792A1 (ja) 防災装置
JP5993271B2 (ja) 蓄電装置
JP2000182598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熱動継電器
KR200285883Y1 (ko)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JP2012182909A (ja) 電池パック、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電力システ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17004959A (ja) 蓄電装置
KR100451655B1 (ko)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KR101089513B1 (ko)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JP5674860B2 (ja) 救助支援機能を有する地震警報装置
JP2014075906A (ja) 蓄電装置
KR102152447B1 (ko)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CN211705728U (zh) 一种感温自动灭火启动器
JP2013047647A (ja) 電子回路、温度測定方法、プログラム、火災警報器および火災警報受信出力装置
JP6042687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0394972Y1 (ko) 단독형 화재 감지기
CN112038715A (zh) 一种用于监测电动自行车电池安全的监测装置
CN210052262U (zh) 一种利用固体导电材料熔点固定特性的高温安全预警装置
CN217157422U (zh) 一种火灾预警系统
KR200464821Y1 (ko) 스마트 단독형 화재 감지기
US400905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icity in case of fire
CN212782225U (zh) 一种突发事件应急求救装置
CN218824616U (zh) 一种锂电池状态监测传感器
CN204380048U (zh) 自备电源启动器
CN213024721U (zh) 一种基于gprs的无线消防烟感报警系统
CN213024720U (zh) 一种光电感烟火灾探测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