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867Y1 - 화재용 열 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용 열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867Y1
KR200440867Y1 KR2020060031204U KR20060031204U KR200440867Y1 KR 200440867 Y1 KR200440867 Y1 KR 200440867Y1 KR 2020060031204 U KR2020060031204 U KR 2020060031204U KR 20060031204 U KR20060031204 U KR 20060031204U KR 200440867 Y1 KR200440867 Y1 KR 200440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uide piece
heat
fix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716U (ko
Inventor
이종길
Original Assignee
이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길 filed Critical 이종길
Priority to KR2020060031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86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용 열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내부 일측의 전원과 연결되기 위해 전선연결부를 갖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결합되어 전선연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전원연결바가 설치되고, 전원연결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연결판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판의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상면에 열감지 센서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연결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의 둘레를 따라 하향·돌출 형성되어 수평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이드편의 하단부에 수직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가이드편이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져 열 감지기가 완성되는 것으로써, 화재에 따른 열 발생시 수평기류열은 제 1가이드편으로, 수직기류열은 제 2가이드편으로 원할하게 유입됨에 따라 좀 더 신속하게 열기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따른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용 열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고정판, 연결판, 회로기판, 가이드편

Description

화재용 열 감지기{HEAT DETECTOR FOR THE FI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고정판에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캡에 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의 연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의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연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 감지기 10 : 고정판
11 : 고정나사홀 12 : 고정슬릿홀
13 : 고정수단 14,37 : 구멍
15 : 전선열결부 16 : 전선고정부
20 : 클립부 21 : 상부플레이트
22 : 하부플레이트 23 : 경사면
24 : 돌출부 30 : 연결판
31 : 전원연결바 32 : 접속단자
33 : 설치홈 34 : 고정홈
35 : 표시부재 36 : 고정부
40 : 회로기판 40a : 결합홈
42 : 열 감지센서 50 : 캡
52 : 결합부 52a : 결합돌기
53 : 유입홀 54,56 : 제 1,제 2가이드편
54a,56a : 개구부 55 : 연결링
57 : 걸림편
본 고안은 화재용 열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감지기의 캡에 방사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유입홀과 연결되도록 제 1개구부를 갖는 다수개의 제 1가이드편과, 제 1가이드편의 하단부에 연결·형성된 연결링의 내측으로 유입홀과 연결되도록 제 2개구부를 갖는 제 2가이드편을 형성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수평기류열과 수직기류열이 제 1, 제 2가이드편의 개구부로 각각 원할하게 유입됨에 따라 좀 더 신속하게 열기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따른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용 열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천정 또는 벽면 등에 부착·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센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적 기기로써, 건물 내의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기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열 감지기는 일정 규모이상의 건축물에 법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주방의 가스 오븐렌지나 가스스토브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 많은 곳에 주로 설치되고, 근래에는 노래방, PC방, 대형 건물 등에 많이 설치·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열 감지기 구조는, 천정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된 캡과, 상기 연결판과 캡 사이에 설치되고 열 감지센서가 구비된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되, 작동가능하도록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열 감지기는 화재시 캡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입홀로 열기가 유입되어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화재가 발생하여 열기가 올라오게 되면 열 감지기의 유입홀로 곧바로 유입되거나, 천정으로 올라온 열기가 천정 벽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 감지기에 부딪힌 후 ,열 감지기의 외면을 타고 내려와 유입홀로 유입되거나, 또는 열 감지기의 저면으로 똑바로 올라와 외면을 타고 유입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홀은 단순히 캡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된 구조로써, 상기와 같이 수평기류열과 수직기류열이 열 감지기에 부딪힌 다음 외면을 타고 내려가거나 올라오면서 유입홀로 유입됨에 따라 그만큼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재의 특성상 1분 1초라도 지체할 경우 피해가 산더미같이 늘어나는 현실에서 조금이라도 더 신속하게 열기를 감지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열 감지기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열 감지기의 캡 부분을 수평기류열과 수직기류열이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좀 더 신속하게 열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화재발생에 따른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열 감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내부 일측의 전원과 연결되기 위해 전선연결부를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어 전선연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전원연결바가 설치되고, 전원연결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연결판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판의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상면에 열감지 센서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연결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의 둘레를 따라 하향·돌출형성되어 수평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이드편의 하단부에 수직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가이드편이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진 화재용 열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저면 중앙부에 다단으로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단에는 다수개의 고정홈과, 표시부재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에는 전원연결바와 접속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고정판에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캡에 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의 연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의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연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써, 본 고안의 화재용 열 감지기(1)는 고정수단(13)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내부 일측의 전원과 연결되기 위해 전선연결부(15)를 갖는 고정판(10)이 형성되고, 전선연결부(15)에 착탈가능하도록 전원연결바(31)가 설치되고, 전원연결바(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3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연결판(30)이 고정판(10)에 결합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판(30)의 접속단자(32)와 연결되고, 상면에 열감지 센서(42)가 설치된 회로기판(40)이 구비되고, 연결판(30)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53)의 둘레를 따라 하향·돌출형성되어 수평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편(5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이드편(54)의 하단부에 수직기류열이 원할히 유 입될 수 있도록 제 2가이드편(56)이 형성된 캡(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10)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저면에 고정수단(13)에 의해 천정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나사홀(11)과 고정슬릿홀(12)이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연결부(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홀(11)과 고정슬릿홀(12)에 결합되는 고정수단(13)은 나사로써, 특히 고정슬릿홀(12)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의 양단에 나사의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원형의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선연결부(15)는 전선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된 전선고정부(16)의 측부에 클립부(20)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클립부(20)는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2)가 탄성을 가지고 서로 접하면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2)의 단부가 측부를 향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경사면(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에이트(22)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돌출부(24)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설치되는 전원연결바(31)의 접촉을 좋게 함으로써 전기가 잘 통하게 된다.
상기 연결판(30)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고정판(10)에 결합되고, 전선열결부(15)에 착탈가능하도록 상부에 전원연결바(31)가 설치되며, 전원연결바(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32)가 설치된다.
이때, 전원연결바(31)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판(10)에 형 성된 클립부(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판(30)은 저면 중앙부에 다단으로 원형의 설치홈(33)이 형성되어 상단에는 다수개의 고정홈(34)과, 투명재질의 표시부재(35)가 각각 형성되며, 하단에는 전원연결바(31)의 일측이 끼워지고, 전원연결바(31)와 연결된 접속단자(32)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36)가 복수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판(10)과 연결판(30)은 저면 중앙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14,3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판(30)의 접속단자(32)와 연결되고, 상면에 열감지 센서(42)가 설치된다,
또한, 회로기판(40)은 상면에 다수개의 결합홈(40a)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32)와 접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접점(미도시)을 형성하되, 상기 접점은 반구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 접속단자의 접촉에 바람직하다.
상기 캡(50)은 연결판(30)의 설치홈(33)에 끼워져 상면에 회로기판(40)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부(52)가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53)의 둘레를 따라 하향·돌출형성되어 상기 유입홀(53)과 연결되도록 제 1개구부(54a)를 갖는 방사형의 제 1가이드편(54)과, 상기 제 1가이드편(54)의 하단부에 연결링(55)이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연결링(55)의 내측에 유입홀(53)과 연결되도록 제 2개구부(56a)를 갖는 방사형의 제 2가이드편(5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2)는 회로기판(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회로기판(40)의 결합홈(40a)에 결합되기 위해 다수개의 결합돌기(52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30)의 고정홈(34)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편(57)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제 2가이드편(54,56)은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그 사이사이에 개구부(54a,5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용 열 감지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화재용 열 감지기(1)는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를 캡(50)의 개구부(54a,56a)로 원할하게 유입되도록 형성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재용 열 감지기(1)의 고정판(10)을 천정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판(10)에 형성된 고정나사홀(11)과 고정슬릿홀(12)에 고정수단(13), 즉 나사를 결합하여 천정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판에 연결판(30)과 열감지 센서(42)가 구비된 회로기판(40), 제 1, 제 2개구부(54a,56a)를 갖도록 제 1, 제 2가이드편(54,56)이 형성된 캡(50)을 차례로 결합하여 열 감지기(1)를 완성하되, 작동가능하도록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설치한다.
이때, 열 감지기(1)는 설치될 곳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되, 주로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주방의 가스 오븐렌지나 가스스토브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 많은 곳에 주로 설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 감지기(1)가 설치된 곳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연기와 함께 열기가 천정으로 올라오게 되고 열 감지기(1)가 열기를 감지하게 된다.
즉,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는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올라오면서 곧바로 제 1가이드편(54)의 제 1개구부(54a)로 유입되거나, 또는 열기가 올라와 천정에 맞닥뜨리게 되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하는 열기는 제 1가이드편(54)을 따라 제 1개구부(54a)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유입된 열기는 회로기판(40)에 설치된 열 감지센서(42)가 감지하여 제어반 또는 관리실에 경보를 보내게 된다.
또한, 열 감지기(1)의 저면을 향해 수직으로 올라오는 열기는 곧바로 제 2가이드편(56)의 개구부(56a)로 유입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회로기판(40)에 설치된 열 감지센서(42)가 감지하여 제어반 또는 관리실에 경보를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보를 받은 관리실 또는 제어반의 관리자들은 즉시 소방서에 연락하거나 또는 자체 소방팀을 급파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재(35)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회로기판(40)에 형성된 램프의 빛을 외부로 비추게 하여 연기감지기의 작동 여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화재용 열 감지기는, 열 감지기의 캡에 제 1, 제 2개구부를 갖는 제 1, 2가이드편을 형성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수평기류열과 수직기류열이 제 1, 제 2가이드편의 개구부로 각각 원할하게 유입되고, 이에 따라 좀 더 신속하게 열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내부 일측의 전원과 연결되기 위해 전선연결부를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어 전선연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전원연결바가 설치되고, 전원연결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연결판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판의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상면에 열감지 센서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연결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의 둘레를 따라 하향·돌출형성되어 수평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이드편의 하단부에 수직기류열이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가이드편이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진 화재용 열 감지기에 있어서,
    연결판(3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저면 중앙부에 다단으로 설치홈(33)이 형성되어 상단에는 다수개의 고정홈(34)과 표시부재(35)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에는 전원연결바(31)와 접속단자(32)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열 감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캡(50)은 상면에 회로기판(40)을 설치하기 위한 사각틀 형태의 결합부(5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2)의 내측으로 회로기판(40)의 결합홈(40a)에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돌기(52a)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30)의 고정홈(34)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걸림편(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열 감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캡(50)은 상기 유입홀(53)과 연결되도록 제 1개구부(54a)를 갖는 방사형의 제 1가이드편(54)과, 상기 제 1가이드편(54)의 하단부에 연결링(55)이 연결·형성되고, 연결링(55)의 내측에 유입홀(53)과 연결되도록 제 2개구부(56a)를 갖는 방사형의 제 2가이드편(56)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제 2가이드편(54,56)은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열 감지기.
KR2020060031204U 2006-12-07 2006-12-07 화재용 열 감지기 KR200440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204U KR200440867Y1 (ko) 2006-12-07 2006-12-07 화재용 열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204U KR200440867Y1 (ko) 2006-12-07 2006-12-07 화재용 열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16U KR20080001716U (ko) 2008-06-11
KR200440867Y1 true KR200440867Y1 (ko) 2008-07-04

Family

ID=4132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204U KR200440867Y1 (ko) 2006-12-07 2006-12-07 화재용 열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8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68B1 (ko) * 2019-03-25 2019-11-08 주식회사 예람 화재감지기 체결형 스마트 어댑터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US11195399B2 (en) 2017-09-06 2021-12-07 Carrier Corporation Heat alarm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714B1 (ko) * 2009-12-28 2012-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경보장치용 고정장치
CN105069953A (zh) * 2015-07-15 2015-11-18 张阳 Ktv点歌系统报警方法及系统
CN109493557B (zh) * 2018-12-29 2024-02-06 深圳市赛飞奇光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气火灾监控探测器结构
KR102340977B1 (ko) * 2021-07-20 2021-12-17 한국토지주택공사 결로 방수 화재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399B2 (en) 2017-09-06 2021-12-07 Carrier Corporation Heat alarm unit
KR102035568B1 (ko) * 2019-03-25 2019-11-08 주식회사 예람 화재감지기 체결형 스마트 어댑터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16U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867Y1 (ko) 화재용 열 감지기
US20100073172A1 (en) Dual condition fire/smoke detector with adjustable led cannon
US20200056793A1 (en) Hvac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6161885A1 (zh) 多侦测功能的模块化照明装置
JP3366098B2 (ja) 多機能センサ
JP7221939B2 (ja) 火災検出装置
JP2001324191A (ja) 空気調和装置
JP2014186574A (ja) 警報システム
JP4061453B2 (ja) 無線送信器
JP2005300114A (ja) 火災報知器と電磁誘導加熱調理器とレンジフード等の排気装置と常時換気装置との防火連動方法
JP6681130B2 (ja) 火災感知器
CN207473790U (zh) 迷宫结构烟雾报警器
JP2007157391A (ja) 自動火災警報装置付照明器具
KR20090096213A (ko) 광전식 화재감지기
JP2014170348A (ja) 警報器
KR200482975Y1 (ko) 조립이 용이한 등기구 장치
JP2000276674A (ja) 家庭用セキュリテイシステム
TWM542228U (zh) 可增加功能的觸控開關
CN210951456U (zh) 一种具有测温功能的照明灯具及集成灶
CN205878630U (zh) 一种智能防护型壁挂炉
JP2020021262A (ja) 警報システム、警報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21040197U (zh) 一种独立式火灾报警探测器
KR200213989Y1 (ko) 카트리지형 화재 경보기
CN214622505U (zh) 家用可燃气体探测器
CN218241066U (zh) 一种大型商业综合体建筑电气火灾自动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