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730Y1 - 미세 연기 감지기 - Google Patents

미세 연기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730Y1
KR200397730Y1 KR20-2005-0021622U KR20050021622U KR200397730Y1 KR 200397730 Y1 KR200397730 Y1 KR 200397730Y1 KR 20050021622 U KR20050021622 U KR 20050021622U KR 200397730 Y1 KR200397730 Y1 KR 200397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ensor
detector
hous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Priority to KR20-2005-0021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세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용 설비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연기까지도 감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연기 입자의 정밀 감지를 통한 산업현장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감지기의 본체 브라켓(10) 내부에는 측면을 따라 연기 유입을 위한 다수의 슬릿통공(32a)이 형성된 내부하우징(32) 및 상기 내부하우징(32) 내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1)로 구성되는 연기 감지부(30)가 장착되고, 상기 감지센서(31)로 부터의 신호를 감지 및 제어하는 센서칩(43) 및 전원 입출력단자(41)가 회로기판(40)상에 구비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브라켓(10)에는 내부하우징(32)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센서 하우징(20)이 장착되되, 상기 센서 하우징(32)에는 내부하우징(32)의 각 슬릿통공(3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기 유입공(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연기 감지기{SMOKE DETECTOR}
본 고안은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기 감지기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지기는, 크게 연기 감지형과 열 감지형으로 대변될 수 있다. 그중 열감지형 화재경보기는 주위온도의 상승시 일정온도가 초과하면 내부의 바이메탈이 동작하여 접점을 접속하는 정온도 방식과, 주위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감열실 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감열실 내의 다이어램프를 밀어올려 접점 내부의 접점을 접합시켜 감지하도록 하는 차등식이 있다.
이러한 열감지형 화재감지기는 설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은 반면에 감지범위가 좁고, 감지시간이 늦어 화염에 의한 고열 발생시에만 감지되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조기감지 및 조기진화의 소방목적을 충족시키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화재 발생 경보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 조기의 화재 진압에 실패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빛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광전식과, 방사능의 물질을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하는 이온화식이 있다. 즉, 광전식 감지기는 연기에 의해 빛이 차단되거나 빛이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이온화식 감지기는 감지센서 내에서 방사능 물질을 이용하여 화재시 인화성 액체가 연소할때 발생되는 비 가시적 연기입자에 의해 상기 광전식 감지기의 방식과 유사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감지범위가 넓고 감지시간이 빠른 장점으로 인해 일반 지상건축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기감지기는 대부분이 일반 가정용으로 보급되기 때문에 산업현장의 설비용으로 사용할 정도의 검지의 정확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측정센서가 설치된 기판회로상에서 주변 전자파로 인한 노이즈의 악영향이 미치게 됨으로 미세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산업용 자동화설비에 적용시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보다 미세한 연기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센서 주변의 노이즈 차폐를 통한 정밀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는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의 신호를 감지 및 제어하는 센서칩 및 전원 입력단자가 회로기판상에 구비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에는 다수의 연기 유입공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이 감지센서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연기 감지기의 저면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감지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저면측 결합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고안 미세연기 감지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연기 감지기의 상부 본체를 이루는 본체브라켓(10)에는 연기량 감지를 위한 통상의 연기 감지부(30)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기 감지부(30)는 필요에 따라 광전식 또는 이온화식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기판(40)이 결합되었다.
그리고, 연기 감지부(30)는 유입된 미량의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1)가 내부하우징(32) 내에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부하우징(32)에는 측면을 따라 경사편(32b)이 소정 경사로 절개되어짐으로 연기의 유입이 가능한 슬릿통공(32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기판(40)상에는 입출력선(42)이 연결되는 입출력단자(41)를 포함하는 다수의 회로부품이 실장되어져 있는데, 그중 감지부(31)로 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도록 전선(45)으로 연결되어진 센서칩(43)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노이즈 차폐덮개(44)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노이즈 차폐덮개(44) 상부에는 곡률면을 이루고 있는 판스프링(45)이 결합되어져 본체 브라켓(10) 상면과의 밀착력에 의해 노이즈 차폐덮개(44)를 탄성으로 지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연기 감지부(30)를 보호하면서 사이에 일정 체적의 공간을 형성시켜 미세 연기의 감지가 가능하도록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센서하우징(20)이 본체브라켓(10)에 결합되게 되는데, 상호간에는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13)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3)에 의해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 하우징(20)에는 저면 중앙 및 센서 하우징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연기 유입공(21a,21b)이 형성되어져 있는데, 그중 측면에 형성된 연기 유입공(21a)은 하우징 저면부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서 여러 방면에서의 연기가 용이하게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감지기의 천정측 설치를 위한 연결 스크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연기 감지기의 설치 및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연기 감지기는 센서하우징(20)을 도 3과 같이 본체 브라켓(10)에 나사 결합하여 연기 감지부(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본체 브라켓(10)에 형성된 연결 스크류(11)를 이용하여 산업설비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연기가 발생되어지게 되면, 발생된 연기는 먼저 센서하우징(20)에 형성된 연기 유입공(21)을 통해 센서하우징(2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연기 감지부(30)측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입된 연기입자는 연기 감지부(30)의 내부하우징(32)에 형성된 슬릿통공(32a)을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서 감지센서(31)에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센서칩(43)측으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기 감지부(30) 주변에는 본 고안의 센서하우징(20)으로 인해 연기입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슬릿통공(32a)을 통해 내부하우징(32)의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됨으로 연기입자의 감지가 한층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발생된 연기의 감지시 본 고안의 센서하우징(20)이 연기 유입공(21)을 통해 유입된 연기가 곧바로 흘러 나가지 않고 일정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게 됨으로, 미세한 연기일 지라도 보다 정밀한 감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예로서 만일 본 고안의 센서하우징(20)이 없는 경우에는, 내부하우징(32)에서 슬릿통공(32a)과 함께 형성되어져 있는 경사편(32b)에 의해 연기입자의 원활한 내부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방해인자로 작용하게 됨으로 미세연기의 측정에 어려움이 있게 되나, 이를 본 고안의 센서하우징(20)이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하우징(20)이 연기 감지부(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은 물론,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져 있기 때문에 노이즈의 악영향을 차폐하여 감지의 정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기판(40)상에 센서칩(43)이 별도의 노이즈 차폐덮개(44)에 의해 보호됨으로, 주변의 전자파 노이즈로 인한 센서칩(43)의 동작 악영향을 방지하여 더욱더 정밀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연기 감지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연기 감지부(30)가 사용된 것으로 이러한 감지센서는 광전식과 이온화식 모두 통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연기 감지기는, 산업용 설비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연기까지도 감지가 가능하게 됨으로 연기 입자의 정밀 감지를 통한 산업현장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고안의 센서하우징으로 인해 연기 감지부 주변에 일정 공간부를 형성시켜서 감지센서 주위에서 연기입자가 바로 빠져 나가지 않고 일정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부의 감지부에서 소량의 연기입자 까지도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판상에 별도의 노이즈 차폐덮개를 구비함으로서, 노이즈로 인하여 센서칩에 미치는 동작 악영향을 차단하여 보다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연기 감지기의 저면측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연기 감지기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연기 감지기의 저면측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브라켓 13 : 수나사부
20 : 센서하우징 21 : 연기 유입공
23 : 암나사부 30 : 연기 감지부
31 : 감지센서 32 : 내부하우징
32a: 슬릿통공 32b: 경사편
40 : 기판 41 : 입출력단자
42 : 입출력선 43 : 센서칩
44 : 노이즈 차폐덮개 45 : 판스프링

Claims (5)

  1. 감지기의 본체 브라켓(10) 내부에는 측면을 따라 연기 유입을 위한 다수의 슬릿통공(32a)이 형성된 내부하우징(32) 및 상기 내부하우징(32) 내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1)로 구성되는 연기 감지부(30)가 장착되고, 상기 감지센서(31)로 부터의 신호를 감지 및 제어하는 센서칩(43) 및 전원 입출력단자(41)가 회로기판(40)상에 구비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브라켓(10)에는 내부하우징(32)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센서 하우징(20)이 장착되되, 상기 센서 하우징(32)에는 내부하우징(32)의 각 슬릿통공(3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기 유입공(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연기 감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기 유입공(21a,21b)은 센서 하우징(32) 저면의 중앙 및 센서 하우징(32)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측면에 형성된 연기 유입공(21a)은 하우징 저면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연기 감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40)상에는 센서칩(43)을 보호하기 위한 노이즈 차폐덮개(44)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연기 감지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32) 및 노이즈 차폐덮개(44)는 외부로 부터의 노이즈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연기 감지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차폐덮개(44) 상부에는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판스프링(45)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연기 감지기.
KR20-2005-0021622U 2005-07-25 2005-07-25 미세 연기 감지기 KR200397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22U KR200397730Y1 (ko) 2005-07-25 2005-07-25 미세 연기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22U KR200397730Y1 (ko) 2005-07-25 2005-07-25 미세 연기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730Y1 true KR200397730Y1 (ko) 2005-10-06

Family

ID=4369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22U KR200397730Y1 (ko) 2005-07-25 2005-07-25 미세 연기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7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95B1 (ko) * 2006-08-21 2007-11-22 신화전자주식회사 화재감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95B1 (ko) * 2006-08-21 2007-11-22 신화전자주식회사 화재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5445B2 (en) Rapidly responding, false detection immune alarm signal producing smoke detector
CN100449573C (zh) 火警报警器
EP2264676B1 (en) Sensor
JP5853143B2 (ja) 火災感知器
US7804402B2 (en) Fire detectors with environmental data input
US9082275B2 (en) Alarm device for alerting hazardous conditions
JPH01270199A (ja) 火災の早期検出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火災報知機
CN104766432A (zh) 感烟感温火灾探测器
JPH0548516B2 (ko)
JP2019169111A (ja) 煙感知システム、煙感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97730Y1 (ko) 미세 연기 감지기
KR200470830Y1 (ko) 센서통합보드가 내장된 천장형 센서케이스
JP2014199632A (ja) 熱感知器
KR100983539B1 (ko) 광전식 화재감지기
JP2008102575A (ja) 火災警報器
JP2010262329A (ja) 警報器
JP2017037502A (ja) 煙感知器、及び煙濃度推定方法
JP7278446B2 (ja) 火災感知器用遮蔽板の設置方法
JP2019197346A (ja) 火災感知器用遮蔽板
TWM560100U (zh) 偵煙探測器之結構
JP6829784B2 (ja) 煙感知器、及び煙濃度推定方法
KR200330498Y1 (ko) 화재감지기
TW201919009A (zh) 偵煙探測器之結構
KR20040111209A (ko) 화재감지기
CN111033585B (zh) 热警报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