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001B1 -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001B1
KR102252001B1 KR1020190101273A KR20190101273A KR102252001B1 KR 102252001 B1 KR102252001 B1 KR 102252001B1 KR 1020190101273 A KR1020190101273 A KR 1020190101273A KR 20190101273 A KR20190101273 A KR 20190101273A KR 102252001 B1 KR102252001 B1 KR 10225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information
smar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826A (ko
Inventor
김동필
박정빈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좋은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좋은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좋은넷
Priority to KR102019010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를 이용하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댁내의 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센서가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멀티센서,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중계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에서 제공되는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모듈과, 전송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 모듈과, 상기 DB 모듈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학습하여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AI 모듈과, 상기 통신모듈, 상기 AI 모듈 및 상기 DB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Home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multi-sensor}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를 이용하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을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어 가면서 홈 네트워크 산업과 관련기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여기에 더하여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 및 환경에 관련된 대용량 센싱 데이터를 전송, 취합, 저장,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적절히 제공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환경과 개인 상황의 자동 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인간 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을 위해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단말과 센서 단말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관리 서버 간에 매개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단말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매개 장치가 구축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가스 사용량과 전기 사용량 등이 급증함에 따라, 화재, 가스 누출 등에 의한 인명 사고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무실, 집, 공장 등의 장소에서는 화재, 가스 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사용자들은 이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또는 가스 누출에 따른 비상상황을 조기에 인지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감지하는 활동량 감지 센서 등을 집에 설치하여, 이 활동량 감지 센서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활동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파악하는 기술도 공지되었다.
이러한, 특정 위치의 센서를 통해 수집 감지되는 정보를 원격의 관리 서버와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주로 홀로 생활하는 독거 노인들을 위해 많이 이용된다. 즉, 홀로 생활하는 독거 노인들은 주변에 돌봐줄 사람이 부족해서 센서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이들을 돌봐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솔루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나아가,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에 다른 영역의 서비스가 접목되어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최근 개발되고 있다. 그 중,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주지에 생활하고 있을 때에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U-케어 서비스 및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사용자가 외출을 할 경우에는 댁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위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가 외출시 버튼입력을 통해 외출 상황을 입력하면, 방범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고 복귀시 복구 버튼을 입력하거나 사용자 키 입력을 통해 복귀 상황을 입력하여, 일반적인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U-케어 서비스 등의 모드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는 외출 및 복귀시에 게이트웨이 장치에 외출 및 복귀 사실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성인 이외에 조작을 수행할 수 없는 아이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조작 절차를 숙지하고, 매번 전자 기기 장치를 조작해야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케어 서비스 또는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 가스 농도 등의 절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나 가스 농도 등이 허용된 절대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댁내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경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각종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비상 상황이 아닌 정상 상황에서도 수치가 변경될 수 있고, 계절이나 지역의 환경적인 요인, 주거자의 활동 성향 등에 따라 상이한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정상 상황에서 경보 신호를 발생하거나, 비정상 상황에서 경보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들은 가정 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외부의 사용자와 대화형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댁내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경보 상황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적 요인이나 주거자의 활동 성향에 따라 최적화된 조건으로 경보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경보 상황이 발생된 댁내의 주변 지역에 대해서도 경보 상황을 알려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은, 댁내의 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센서가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멀티센서,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중계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에서 제공되는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모듈과, 전송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 모듈과, 상기 DB 모듈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학습하여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AI 모듈과, 상기 통신모듈, 상기 AI 모듈 및 상기 DB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댁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유독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유독가스 감지센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 거주자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AI 모듈은, 딥 러닝을 통해 상기 DB 모듈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학습하는 학습유닛과, 학습결과에 따라 모니터링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표시 수치를 설정하는 분석유닛과, 분석결과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된 정보에 대한 경보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경보 정보 및 대응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는 제 2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운영서버의 경보 정보를 전송받고, 경보에 따른 대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 정보와 함께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재난 대응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난 대응서버는, 경보에 따른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대응 정보 생성부와, 경보 정보와 대응 정보를 문자 신호로 전송하는 문자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수의 센서를 모듈로 구성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기초로 경보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경보 발생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댁내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경보 상황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적 요인이나 주거자의 활동 성향을 원인으로 하는 경보 발생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경보 상황이 발생된 댁내의 주변 지역에 대해서도 경보 상황을 알려 신속히 대응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경부 문자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한국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서도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스마트 멀티센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운영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들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 상, 하,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반드시 그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스마트 멀티센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운영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멀티센서(100)와, 중계기(200)와, 운영서버(300)와, 스마트 단말기(400)와, IoT 기기(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 멀티센서(100)는 가정 내의 각종 환경을 감시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다. 스마트 멀티센서(100)는 가정 내의 온도, 습도, 유독가스, 미세먼지, 인체 등을 감지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중계기(2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운영서버(300)로 전달된다.
이를 위한 스마트 멀티센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감지센서(111), 습도 감지센서(112), 일산화탄소 감지센서(113),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14), 유독가스 감지센서(115), 미세먼지 감지센서(116), 인체 감지센서(116)를 포함하는 센서모듈(110)과, 각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과, 센서모듈(11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130)과, 센서모듈(11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모듈(140)과, 경보를 알리는 경보모듈(150)과,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모듈(160)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 감지센서(111)에서 감지된 온도 정보는 화재나 이상 과열 등의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자료로 제공되고, 습도 감지센서(112)에서 감지된 습도 정보는 침수 등의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자료로 제공된다.
또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113)에서 감지된 일산화탄소 농도 정보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14)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와, 유독가스 감지센서(115)에서 감지되는 유독가스 농도 정보는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의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자료로 제공된다. 유독가스 감지센서(115)는 화재나 가스 누출시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특정 유독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일산화탄소 농도 정보,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 및 그 외 유독가스 농도 정보를 모두 활용함으로써, 운영서버(300)에서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여부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감지센서(116)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정보는 청정기와 같은 IoT 기기(500)의 가동을 판단하는 자료로 제공되고, 인체 감지센서(117)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가정 내 사람의 유무나 활동 성향을 판단하는 자료로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은 센서모듈(110)의 각 센서를 제어하여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통신모듈(13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의 제어에 따라 센서모듈의 감지정보를 중계기(200)로 전송하며,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모듈(1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의 제어에 따라 센서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표시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상태 표시용 LED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경보모듈(15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센서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스마트 멀티센서(100) 자체에서 경보를 알리는 구성으로, 부저나 싸이렌과 같은 통상의 경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이상 신호인지 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에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전원모듈(160)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 멀티센서(100)의 각 구성을 구동하는 전원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전원접속수단과 충전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100)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스마트 멀티센서(100)에 구비되는 센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중계기(200)는 스마트 멀티센서(1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의 운영서버(300)에 전송하고, 운영서버(300) 또는 스마트 단말기(400)로부터 IoT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IoT 기기(5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한 중계기(200)는 외부에 대하여 인터넷이 가능하고, 내부 기기에 대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일 예로, LTE 라우터나 유무선 공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스마트 멀티센서(10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 경보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가정 내의 상황을 스마트 단말기(40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운영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0)와, 통신모듈(320)과, DB 모듈(330)과, 학습유닛(341)과, 분석유닛(342)과, 판단유닛(343)을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유닛(341), 분석유닛(342) 및 판단유닛(343)은 AI 모듈(340)을 구성한다.
통신모듈(320)은 스마트 멀티센서(100) 및 스마트 단말기(4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LTE, 5G 등 다양한 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DB 모듈(330)은 스마트 멀티센서(10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DB 모듈(330)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는 AI 모듈(340)에 제공되어 반복적인 학습에 따라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AI 모듈(340)은 스마트 멀티센서(100)와 DB 모듈(33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정보를 학습 및 통계/분석하여 경보 상황을 가장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AI 모듈(340)는 스마트 멀티센서(100) 모니터링되는 센서 정보와 DB 모듈(330)에서 제공되는 센서 정보를 대상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고, 이러한 기계적 학습으로 센서가 설치된 각 지역의 지역적 환경, 거주자의 생활 특성 등에 가장 적절한 위험 표시 수치를 스스로 설정 및 판단하여 경보 상황을 제어한다.
이를 위한 AI 모듈(340)은 학습유닛(341), 분석유닛(342) 및 판단유닛(343)을 구비할 수 있다. 학습유닛(341)은 딥 러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정보를 학습하고, 분석유닛(342)은 학습에 연동되어 모니터링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표시 수치를 설정하고, 판단유닛(343)은 분석결과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된 정보에 대한 경보 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AI 모듈(340)과 연동되는 운영서버(300)에서는 지역적 환경이나 거주자의 특성에 의한 경보 발령 오차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통신모듈(320)을 통하여 스마트 멀티센서(100) 및 스마트 단말기(400)와 정보 전송을 제어하고, AI 모듈(340)에서 경보 상황에 대한 학습 및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스마트 멀티센서(100)에서 모니터링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기(400)에 제공하여 사용자(거주자의 가족)가 외부에서도 댁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단말기(400)는 댁내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지위를 갖는 자 예컨대, 댁내 거주자의 가족들이 소유하는 단말기로서, 운영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단말기(400)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된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가정 내 상황을 확인한 후, 가정 내의 특정 IoT 기기(5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4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IoT 기기(500)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 또는 제어 기기로서, TV나 냉장고와 같은 가전 제품 뿐만 아니라 가스 제어장치, 전기 제어장치, 환기장치 등의 각종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은 멀티형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누적적으로 학습 및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지역적 환경, 댁내 환경 및 거주자의 활동 특성 등에 의한 경보 발령 오차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은 재난 대응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 뿐만 아니라 주변 거주자에 대해서도 문자 및 방송 메시지를 통하여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멀티센서(100)와, 중계기(200)와, 운영서버(300)와, 스마트 단말기(400)와, IoT 기기(500)와, 재난 대응서버(6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는 사용자로서 거주자의 가족이 소유하는 단말기(이를 '제 1 단말기'라 함) 외에 경보 상황이 발생되는 지역의 다른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이를 '제 2 단말기'라 함)를 포함한다.
운영서버(300)는 센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제 1 단말기(410)에 전송하고 경보 상황이 발생되면 경보 발생 정보를 재난 대응서버(600)에 전송한다. 재난 대응서버(600)는 경보 발생 정보와 대응 정보를 제 2 단말기(420) 및 방송시스템(미도시)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은 재난 대응서버(600), 제 2 단말기(420) 및 지역의 방송시스템(미도시)과 연동되어 운영된다.
재난 대응서버(600)는 경보가 발생된 지역의 스마트 단말기(400)에 경보 발생 정보를 전송받고, 대피 요령 등의 대응 정보를 생성하여 문자 및 방송 수단으로 제 2 단말기(420)와 방송시스템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재난 대응서버(600)는 대응 정보 생성부, 문자 안내부 및 음성 안내부를 포함한다. 대응 정보 생성부는 누적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경보 발생에 대한 대응 정보를 생성하고, 문자 안내부는 경보 발생 정보와 대응 정보를 문자 형태로 제 2 단말기(420)에 전송하며, 음성 안내부는 경보 발생 정보와 대응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특정 지역의 방송시스템에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단지에서는 단지 내에서 운영되는 방송시스템일 수 있고, 단독 주택 단지에서는 주민센터 등에 구비되는 방송시스템일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안내부는 스마트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경보 발생 사실을 알려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 단말기(420)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TS 모듈은 재난 대응서버(600)로부터 문자로 수신된 경보 발생 정보와 대응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단말기(420)를 통하여 자동으로 송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문자를 확인하지 못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음성으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보 발생 상황을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TTS 모듈은 문자를 특정 언어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 2 단말기(4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주 언어를 분석 및 확인하는 언어 확인모듈이 더 구비되고, 언어 확인모듈에서 확인된 언어로 경보 발생 상황 및 대응 정보를 송출한다. 따라서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언어 사용자에 대해서도 경보 상황을 신속히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멀티센서
110 : 센서모듈 120 : MCU
130 : 통신모듈 140 : 표시모듈
150 : 경보모듈 160 : 전원모듈
200 : 중계기
300 : 운영서버
310 : 제어부 320 : 통신모듈
330 : DB 모듈 341 : 학습유닛
342 : 분석유닛 343 : 판단유닛
400 ; 스마트 단말기
410 : 제 1 단말기 420 : 제 2 단말기
500 : IoT 기기
600 : 재난대응서버

Claims (5)

  1. 댁내의 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센서가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MCU의 판단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알리는 경보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멀티센서;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중계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에서 제공되는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모듈과, 전송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 모듈과, 상기 DB 모듈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학습하여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AI 모듈과, 상기 통신모듈, 상기 AI 모듈 및 상기 DB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 1 스마트 단말기;
    상기 운영서버의 경보 정보를 전송받아 경보에 따른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대응 정보 생성부와, 경보 정보와 대응 정보를 문자 신호로 전송하는 문자 안내부와, 경보 정보와 대응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전송하는 음성 안내부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서버;
    상기 재난 대응서버의 문자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재난 대응서버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지역 방송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댁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유독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유독가스 감지센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 거주자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I 모듈은,
    딥 러닝을 통해 상기 DB 모듈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멀티센서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학습하는 학습유닛과, 학습결과에 따라 모니터링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표시 수치를 설정하는 분석유닛과, 분석결과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된 정보에 대한 경보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기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 모듈과,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언어를 확인하는 언어 확인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재난 대응서버의 경보 정보 및 대응 정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의 음성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101273A 2019-08-19 2019-08-19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5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273A KR102252001B1 (ko) 2019-08-19 2019-08-19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273A KR102252001B1 (ko) 2019-08-19 2019-08-19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26A KR20210021826A (ko) 2021-03-02
KR102252001B1 true KR102252001B1 (ko) 2021-05-14

Family

ID=7516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273A KR102252001B1 (ko) 2019-08-19 2019-08-19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283A (zh) * 2022-05-16 2022-10-28 南京恒进云未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机构综合化智能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033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올젠케어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80067056A (ko) * 2016-12-12 2018-06-20 (주)진성전자 Mems 환경 센서 기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47639A (ko) * 2017-10-27 2019-05-08 (주)공존에스앤티 멀티센싱을 이용한 공장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26A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5496B2 (en) Monitoring system
KR100792014B1 (ko)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CN101341521A (zh) 便携监视器
US20220083032A1 (en) Smart factory monitoring system
JP2010033518A (ja) 警報器
CN205451377U (zh) 一种家庭安防装置
JP6022797B2 (ja) 警報連携システム
JP2013187599A (ja) 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350705B2 (ja) コントローラ装置
JP4887670B2 (ja) 通信システム
KR102252001B1 (ko) 스마트 멀티센서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KR100674574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JP6022786B2 (ja) 警報連携システム
JP6110125B2 (ja) 警報システム
KR102286559B1 (ko)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JP2006313446A (ja) 在宅確認システム
KR20070081473A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080086154A (ko) 터미널형 무선 다기능 감지 장치
CN207337096U (zh) 一种智能家居环境检测系统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210112637A (ko) 세대 단말기를 이용한 약자 케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5848136B2 (ja) 連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