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278Y1 - 화재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감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9278Y1 KR200349278Y1 KR20-2004-0002951U KR20040002951U KR200349278Y1 KR 200349278 Y1 KR200349278 Y1 KR 200349278Y1 KR 20040002951 U KR20040002951 U KR 20040002951U KR 200349278 Y1 KR200349278 Y1 KR 2003492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amount
- carbon monoxide
- laser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확히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화재 감시 장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와, 파이프에 접속되어 홀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팬과, 흡입된 공기에 레이저를 분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부와,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분산되는 레이저의 양을 파악하기 위한 레이저 수신부와,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일산화탄소(CO) 센서와, 레이저 수신부에서 수신된 레이저의 양 및 일산화탄소 센서에 의해 체크된 일산화탄소의 양을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재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확히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장치들이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시장치들은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가 감지되면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소화설비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감시장치에서는 화재감지센서로 연기감지형 또는 열감지형을 사용하고 있다. 열감지형은 주위온도를 감지하고, 주위온도가 소정이상으로 판단될 때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열감지형 센서는 감지범위가 좁고 감지시간이 늦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여, 열감지형 센서는 고열발생시에만 화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조기감지 및 조기진화의 소방목적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연기감지형 센서는 대기에 포함되어 있는 연기성분이 일정량 생성될 때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연기감지형 센서는 감지범위가 좁고 감지시간이 느리기 때문에(즉 일정량 이상의 연기가 있을 때에만 화재로 인식) 조기감지 및조기진화의 소방목적을 총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현재 화재감시 장치에는 설치 장소에 따라 열감지형 센서 및 연기감지형 센서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기감지형 센서는 도 1과 같이 소정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와, 발광 다이오드(1)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센서(3)로 이루어진다.
발광 다이오드(1) 및 수광센서(3)는 대기중에 설치되어 소정의 빛을 방출 및 수신한다. 이때, 대기중에 연기등이 포함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1)로부터 방출된 빛이 산란되고, 이에 따라 수광센서(3)로 공급되는 빛의 양의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수광센서(3)로 공급되는 빛의 양이 차이가 발생되면 종래의 화재감지 장치는 소정의 알람을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경고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연기감지형 센서는 단순히 빛의 감지양을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많은 오동작이 발생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종래의 연기감지형 센서는 대기중에 포함되는 황사 및 먼지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1)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산란될 때에도 화재로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확히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기감지형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재 감지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흡입 파이프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화재감지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환경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광 다이오드 3 : 수광센서
32 : 표시부 34 : 제어장치
35 : 메모리 36,52 : 알람부
38 : 인터넷망, 랜망 40 : 화재/환경 감시유닛
42 : 화재감지부 44 : 환경감지부
46 : 카메라 48 : 제어유닛
49 : 출입통제부 50 : 소화설비
54 : 흡입파이프 56 : 누수케이블
57 : 카드리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화재 감시 장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와, 파이프에 접속되어 홀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팬과, 흡입된 공기에 레이저를 분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부와,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분산되는 레이저의 양을 파악하기 위한 레이저 수신부와,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일산화탄소(CO) 센서와, 레이저 수신부에서 수신된 레이저의 양 및 일산화탄소 센서에 의해 체크된 일산화탄소의 양을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일산화탄소 센서로부터 체크된 일산화탄소의 양이 10ppm이하일 때 레이저의 분산양과 무관하게 화재로 인식하지 않는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 감시 장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 감시 장치는 통제실에 설치되는 제어장치(34), 알람부(36), 표시부(32) 및 메모리(35)와, 화재 및 환경을 감시할 곳에 설치되어(원격지) 화재 및 환경을 감시하기 위한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을 구비한다.
제어장치(34)는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을 제어함과 아울러 화재/환경 감시유닛(40)으로부터 화재 및 환경에 관련된 정보를 공급받는다. 메모리(35)는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됨과 아울러 화재/환경 감시유닛(40)으로부터 제어장치(34)로 전송된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즉, 제어장치(34)는 메모리(35)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을 제어함과 아울러 자신에게 공급되는 정보를 메모리(35)에 저장한다.
표시부(32)는 제어장치(34)로부터 화재 및 환경에 관련된 정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통제실 운영자는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환경 및 화재를 감시한다. 알람부(36)는 제어장치(34)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어 소정의 알람을 송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34)는 원격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알람부(36)를 제어하여 소정을 알람을 송출할 수 있다.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은 인터넷 망 및 랜(LAN : Local Area Network)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망에 의하여 제어장치(34)와 접속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화재감시 장치에서는 통제실에서 다양한 원격지의 화재 및 환경을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을 무인 중계소에 설치한 후, 통제실에서 무인 중계소의 환경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은 특정장소, 예를 들면 전산실, 청정실, 보관실, 관제센터, 통신실, 기계실, 전력실, 방송실, 무인 중계소 및 기타 중요장소에 설치되어 화재 및 환경을 감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화재/환경 감시유닛(40)은 화재 감지부(42), 환경 감지부(44), 카메라(46), 제어유닛(48), 출입 통제부(49), 소화설비(50), 알람부(52), 흡입 파이프(54), 누수 케이블(56) 및 카드 리더(57)를 구비한다.
화재 감지부(42)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화재 발생여부를 감시한다. 이를 위해, 화재 감지부(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 센서(62), 제어부(64) 및 일산화탄소 센서(Co Sensor)(62)를 구비한다. 그리고, 화재 감지부(42)는 흡입 파이프(54)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팬을 구비한다. 여기서, 흡입 파이프(54)는 도 4와 같이 특정장소의 천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흡입 파이프(54)에는 소정간격으로 홀(58)이 형성되고, 이 홀(58)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화재 감지부(42)로 공급된다.
화재감지 센서(62)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화재감지 센서(62)는 도 5와 같이 레이저 공급부(70)와 레이저 수신부(72)를 구비한다. 레이저 공급부(70)는 흡입 파이프(5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레이저(74)를 발사한다. 레이저 수신부(72)는 흡입된 공기에서 분산되는 레이저(74) 양을 파악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체크한다.
일산화탄소 센서(60)는 흡입 파이프(5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체크한다.
제어부(64)는 일산화탄소 센서(60) 및 화재감지 센서(62)를 제어하면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시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64)는 화재감지 센서(62)로부터 입력되는 레이저의 분산양 및 일산화탄소 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일산화탄소의양을 체크하면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시한다. 여기서, 제어부(64)는 일산화탄소 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이 일정 ppm 이하일 때 레이저(74)의 분산양에 관계없이 화재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공기중에 황사 또는 먼저등이 소정이상 포함되면(이때, 일산화탄소의 양은 변화되지 않는다) 화재와 무관하게 레이저(74)의 분산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64)는 레이저(74)의 분산량이 증가되더라도 일산화탄소의 양이 일정 ppm이하라면 화재로 인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본 고안에서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체크하면서 화재 발생여부를 감시하기 때문에 황사 또는 먼지등의 증가를 화재로 인식하지 않고, 이에 따라 보다 정확히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정확히 화재의 발생을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오동작에 의한 물품 및 인명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일반적으로 실내 환경기준에 의한 일산화탄소의 허용농도는 10ppm 이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제어부(64)는 일산화탄소의 양이 10ppm 이상임과 동시에 레이저(74)가 소정이상 분산될 때 화재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실제 화재로 인식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의 양은 연소물질 및 환경에 따라 상이해 지기 때문에 제어부(64)에서 화재로 인식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의 양은 연소물질 및 환경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일산화탄소 센서(60)는 화재 감지부(42)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재 감지부(42)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흡입 파이프(54)를 통하여 화재 감지부(42)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후, 제어부(64)는 화재감시센서(62) 및 일산화탄소 센서(60)를 체크하면서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64)는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알람부(52)를 제어하여 알람을 송출함과 아울러 소화설비(50)를 제어하여 화재가 조기 진압되도록 한다.
환경 감지부(44)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환경을 감시한다. 이를 위해, 환경 감지부(4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80), 습도센서(82), 침수감지센서(84), 과열감지센서(86) 및 조도센서(86)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온도센서(80)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제어장치(34)는 온도센서(80)로부터 공급되는 온도를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메모리(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습도센서(82)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제어장치(34)는 습도센서(82)로부터 공급되는 습도를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메모리(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침수감지센서(84)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침수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제어장치(34)는 침수감지센서(84)로부터 공급되는 침수여부를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메모리(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과열감지센서(86)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 예를 들면 장비등에 설치되어 장비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제어장치(34)는 과열감지센서(86)로부터 공급되는 온도를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메모리(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조도센서(88)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제어장치(34)는 조도센서(88)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메모리(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카메라(46)는 자신이 설치된 장소의 화상을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제어장치(34)는 카메라(46)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을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시킨다. 통제실의 운영자는 표시부(32)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임함으로써 육안으로 원격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운영자는 표시부(32)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누수 케이블(56)은 특정장소의 바닥에 설치되어 누수여부 및 누수위치를 체크한다. 제어유닛(48)은 누수 케이블(56)을 감시함으로써 누수의 발생여부 및 누수위치를 감시하고, 감시된 정보를 화재감지부(42)를 경유하여 제어장치(34)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유닛(48)은 인터넷 망 및/또는 랜망(38)을 경유하여 제어장치(34)로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카드리더(57)는 원격지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카드리더(57)는 출입 통제부(49)에 의해 제어되면서 인증된 사용자만이 원격지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서 원격지 출입자는 자신에게 발급된 인증카드를 카드리더(57)에 위치시킨다. 카드리더(57)는 카드로부터의 정보를 출입 통제부(49)로 전송한다.
출입 통제부(49)는 자신에게 전송된 카드정보를 제어장치(34)로 전송한다. 제어장치(34)는 출입 통제부(49)로부터 전송된 카드정보를 메모리(35)에 저장된 카드정보와 비교하여 인증된 카드인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장치(34)는 인증 또는비인증카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입 통제부(49)로 전송한다. 출입 통제부(49)는 제어장치(34)로부터 인증 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출입문을 개방한다. 그리고, 출입 통제부(49)는 제어장치(34)로부터 비인증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감시 장치는 화재감지부 내부에 일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설치장소에 제한없이 정확히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고안에서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의 양을 체크하여 황사 또는 먼지로 인하여 레이저가 분산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화재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 다수의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와,상기 파이프에 접속되어 상기 홀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팬과,상기 흡입된 공기에 레이저를 분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부와,상기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분산되는 레이저의 양을 파악하기 위한 레이저 수신부와,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일산화탄소(CO) 센서와,상기 레이저 수신부에서 수신된 레이저의 양 및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에 의해 체크된 일산화탄소의 양을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로부터 체크된 상기 일산화탄소의 양이 10ppm이하일 때 상기 레이저의 분산양과 무관하게 화재로 인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2951U KR200349278Y1 (ko) | 2004-02-06 | 2004-02-06 | 화재 감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2951U KR200349278Y1 (ko) | 2004-02-06 | 2004-02-06 | 화재 감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9278Y1 true KR200349278Y1 (ko) | 2004-05-04 |
Family
ID=4934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2951U KR200349278Y1 (ko) | 2004-02-06 | 2004-02-06 | 화재 감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927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962B1 (ko) | 2010-02-08 | 2012-07-19 |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1455030B1 (ko) * | 2014-06-16 | 2014-11-04 | 도원기술 주식회사 | Co가스 이송장치 |
KR102138478B1 (ko) * | 2019-11-20 | 2020-07-27 | 김용석 |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
-
2004
- 2004-02-06 KR KR20-2004-0002951U patent/KR20034927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962B1 (ko) | 2010-02-08 | 2012-07-19 |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1455030B1 (ko) * | 2014-06-16 | 2014-11-04 | 도원기술 주식회사 | Co가스 이송장치 |
KR102138478B1 (ko) * | 2019-11-20 | 2020-07-27 | 김용석 |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195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 |
CN101918084B (zh) | 用于具有吊扇的建筑物的防火系统 | |
EP3968299B1 (en) | Self-testing hazard sensing device | |
KR102580356B1 (ko) |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 |
KR102128676B1 (ko) | 복합 센서 모듈 | |
KR10223444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간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 |
JP2007280167A (ja) | 空気調和機 | |
CN208655009U (zh) | 一种智能燃气系统 | |
KR200485463Y1 (ko) |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용 화재발생 감지장치 | |
KR200417542Y1 (ko) |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 |
CN115841409A (zh) | 一种楼宇施工火灾逃生引导方法、系统、设备及介质 | |
KR200349278Y1 (ko) | 화재 감시 장치 | |
KR101956787B1 (ko) |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 |
KR101113418B1 (ko) |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 |
KR100596204B1 (ko) | 랙용 화재징후 복합 감지 시스템 | |
KR101166962B1 (ko) |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
KR100632445B1 (ko) |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 |
US2002000091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ine disconnection and a fire, and a fire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056803B1 (ko) | 실내공간에서의 용접 및 화재 식별 시스템 및 방법 | |
JP6399572B1 (ja) |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 |
US20240328920A1 (en) | Trim element for a fire dete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 |
US11619411B2 (en) | HVAC monitoring system | |
KR20080092513A (ko) |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재감지관리시스템 | |
KR102349423B1 (ko) |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 |
KR20000051230A (ko) |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