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478B1 -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478B1
KR102138478B1 KR1020190149897A KR20190149897A KR102138478B1 KR 102138478 B1 KR102138478 B1 KR 102138478B1 KR 1020190149897 A KR1020190149897 A KR 1020190149897A KR 20190149897 A KR20190149897 A KR 20190149897A KR 102138478 B1 KR102138478 B1 KR 10213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ir
unit
detection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9014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은 공기 흡입 감지기(100), 화재 통신부(140), 중앙 처리부(141), 디스플레이부(142), 그리고 제어부(14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재 감시 영역의 미소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 발생지점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면서, 연기감지를 위한 센서와 센서 제어부가 일원화되어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며, 연기 센서를 컴팩트화시키고 센서 제어부와 중앙 서버의 신호 라인을 줄여 넓은 지역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설치단가와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높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Smoke detection fire disaster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감시지역의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를 예방 및 방재할 수 있는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감시는 연기, 불꽃, 또는 영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연기와 불꽃은 감시지역에 설치되는 연기와 불꽃 센서를 통해 감지된다. 화재는 연기가 먼저 일어나고 불꽃이 발생되므로, 초기에 연기를 감지한다면 화재에 대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불꽃은 이미 화재가 초기 상태로 진입한 상태로서, 그 지역이 철저하게 방염재로 구성되지 있지 않다면, 순식간에 불길이 번지게 되므로 초기 대응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며, 화재가 진압되어도 상당한 소실을 입는다.
등록특허 10-1166962에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 감지시스템은, 주로 특정 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흡입 라인에 인증 번호를 갖고 설치되는 연기 감지기들에 의해 연기 발생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연기 감지기는 인증 번호가 있으며, 제어부에서 관리된다. 제어부는 연기 감지기에서 수신된 결과 및 그 인증 번호를 화재 감지 장치 또는 중앙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화재 감지시스템은 연기가 감지된 공간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화재 감지 대상 지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시스템은, 연기 감지기들을 화재 감시지역에 분포된 흡입 라인들에 간격을 두고 설치해야 하고, 연기 감지기들과 통신하여 연기감지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제어부를 연기 감지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했다.
이러한 화재 감지시스템은 화재 감시지역의 화재 감시 영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는 하지만, 화재 감시를 위한 설비 구축에 큰 비용이 소요되며, 실질적으로 연기 감지기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은 간단치 않은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며, 흡입 라인에 간격을 두고 복잡한 구성의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화재 감지시스템에 설치된 일반적인 소화기는, 전산 서버와 같은 민감한 감시 대상물이 있어 소화제의 사용된 제한된 지역에는 사용이 어려웠으며, 감시 체계의 작동으로 화재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진압하기에는 제한 사항이 많았으며, 화재 진압을 위한 작업자가 화재 지점을 정확히 찾아가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영역의 미소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 발생 지점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면서, 연기감지를 위한 센서와 센서 제어부가 일원화되어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며, 연기 센서를 컴팩트화시키고 센서 제어부와 중앙 서버의 신호 라인을 줄여 넓은 지역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설치단가와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높은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민감한 감시 대상물이 있는 화재 감시지역에 적절한 소화기를 설치하고 화재 감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시켜 화재 지점을 정확히 진압하며, 작업자가 화재 지점으로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든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은, 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공기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관들에 연결되어 연기 농도를 검사할 수 있는 검출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챔버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부가 있는 복수의 공기 흡입 감지기;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와 연결되되, 통신선을 이용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접속된 화재 관련 기기에 연결되어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화재 통신부; 상기 화재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기의 검출 신호를 디지털 감시신호로 변환하는 화재 감시부; 상기 화재 감시부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시부에 의해 변환된 검출 신호를 감시 데이터로 저장 처리하며, 상기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될 경우 경보 및 화재 감시지역의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화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화기에 전달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 신호에 상응한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감시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 상기 화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신호를 전달받으며, 경보기와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경보기와 소화기 측에 설치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기관들이 배치되는 각각의 지역에 설치되되, 상기 중앙 처리부에 상기 화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연기 발생 지점을 촬영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중앙 처리부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는, 상기 화재 감시지역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시지역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 상기 메인 소화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구역 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개폐부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된 제1 밸브 하우징; 및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 및 상기 제1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된 제2 밸브 하우징; 및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 및 상기 제2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과 제2 밸브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유체 압력을 상기 제2 밸브 하우징 측으로 전달하되, 상기 플런저를 가동시키는 가동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 가스는 아르곤과 질소 가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시지역에 설치된 감시 대상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소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소화기는 상기 감시 대상물의 내벽 상부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통을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분사판; 및 상기 약제통의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약제통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전자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는, 상기 검출 챔버로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챔버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가 있으며, 공기에 있는 연기의 농도를 상기 레이저의 산란에 의해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부가 있으며, 상기 레이저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이저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직렬 통신부가 있으며, 직렬 통신부끼리 상호 연결되어 상기 화재 통신부에 직렬 연결되되,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는, 상기 검출 챔버가 중공 형상으로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검출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 챔버를 매개로 연결되는 레이저 입구와 출구가 있는 검출 챔버 본체; 상기 검출 챔버 본체의 외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출 챔버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산란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 센서; 및 상기 레이저 입구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연결하며, 상기 레이저에 대한 외부 영향을 차단하는 차폐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챔버의 내벽부에는 상기 레이저를 산란시키기 위한 레이저 반사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는, 상기 검출 챔버 본체가 내장되도록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프런트 커버와 리어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부에 공기관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구가 통합되는 흡입 공간이 하부에 있으며,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구가 하부에 있는 흡입 연결 블록; 및 상기 흡입 연결 블록의 하부에서 상기 다른 연결구를 통해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프런트 커버 측으로 공기를 이송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팬의 하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일부 정화되어 상기 검출 챔버 본체로 투입되도록 상기 에어필터가 배치된 필터블록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검출 챔버 본체의 상부와 하부 측으로 정화된 공기와 연기가 있는 공기를 각각 주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검출 챔버 본체의 일부 공기는 상기 흡입 팬 측으로 순환되며 일부 공기는 배기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의 전단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관은, 천정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파이프; 및 상기 수평 파이프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는, 롤투롤 타입으로 공기 유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필터부재가 감겨 있는 제1 필터 롤; 상기 제1 필터 롤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필터 롤; 상기 제2 필터 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롤을 감는 롤 구동부; 및 상기 롤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켜 상기 제2 필터 롤 측으로 상기 제1 필터 롤의 필터부재를 이송시켜 상기 필터블록 내부에서 노출되는 필터부재를 교체시키는 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처리부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며, 작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화재 발생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구역 별로 상기 공기관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비컨; 및 상기 비컨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화재 발생지점을 상기 화재 감시지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표시하는 화재 경보 앱이 탑재된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비컨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중앙 처리부에 연결되되, 상기 작동 신호 수신을 나타내는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재 감시 영역의 미소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 발생 지점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면서, 연기 감지를 위한 센서와 센서 제어부가 일원화되어 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며, 연기 센서를 컴팩트화시키고 센서 제어부와 중앙 서버의 신호 라인을 줄여 넓은 지역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설치단가와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높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민감한 감시 대상물이 있는 화재 감시지역에 적절한 소화기를 설치하고 화재 감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시켜 화재 지점을 정확히 진압하며, 작업자가 화재 지점으로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든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의 연기감지를 위한 배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 흡입 감지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공기 흡입 감지기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에어 필터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5의 검출 챔버 본체에서 레이저에 의한 연기감지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의 연기감지에 따른 방재 배치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소화기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다른 소화기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은, 공기 흡입 감지기(100), 화재 통신부(140), 중앙 처리부(141), 디스플레이부(142), 그리고 제어부(145)을 포함한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공기관(101)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관(101)들에 연결되어 연기 농도를 검사할 수 있는 검출 챔버(110)를 구비하며, 검출 챔버(110)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부(120)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화재 감시를 위한 화재 감시지역에 배치된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의 공기관(101)들은 검출 챔버(110)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공기관(101)들은 검출 챔버(110)로부터 연장되어 화재 감시지역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며 화재 감시지역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검출 챔버(110)로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화재 통신부(140)은 통신선을 이용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접속된 화재 관련 기기에 연결되어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화재 통신부(140)에는 공기 흡입 감지기(100)뿐만 아니라, 불꽃 및 열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기가 연결된다. 화재 관련 정보는 주로 후술되는 중앙 처리부(141)로 전달되어 화재 경보 발생과 소화를 위한 소화기들의 작동을 위한 기초 정보로 사용된다.
화재 감시부(143)은 화재 통신부(140)과 연결되며, 연기의 검출 신호를 디지털 감시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에서 전달되는 검출 신호는 연기의 농도에 따라 파형을 이루게 된다. 화재 감시부(143)은 검출 신호의 파형 정보를 연기가 있는지 없는지의 정확한 논리 정보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이를 후술되는 중앙 처리부(141)에 전달한다.
중앙 처리부(141)은 화재 감시부(143)에 연결되며, 화재 감시부(14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검출 신호를 감시 데이터로 저장 처리하며,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될 경우 경보 및 화재 감시지역의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중앙 처리부(141)은 화재 관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중앙 처리부(141)은 공기 흡입 감지기(100)을 통해 전달된 연기의 농도를 검출한 검출 신호를 화재 감시부(143)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전달받아 저장하며, 이를 기초로 화재 경보 및 소화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처리부(141)은 디지털 신호가 연속적 11111인 경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자동 발생시키고, 해당 지점에 인접한 소화기들을 자동 작동시킨다. 반대로 디지털 신호가 00000인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로 판단하여 경보기와 소화기에 대해서는 체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부(142)는 중앙 처리부(141)에 연결되어 검출 신호에 상응한 화재 감시지역의 감시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중앙 처리부(141)은 각 화재 감시지역에 있는 각각의 화재 감지기와 공기 흡입 감지기(100)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2)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2)에는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있을 수 있으며, 작동과 경보를 위한 아이콘들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45)은 중앙 처리부(141)에 연결되어 작동 신호를 전달받으며, 경보기와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어부(145)는 경보기와 소화기의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경보기와 소화기에 대한 정상적인 작동 상태를 중앙 처리부(141)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14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검출 챔버(110)로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필터(122)를 구비하며, 검출 챔버(110)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25)가 있고, 공기에 있는 연기의 농도를 레이저의 산란에 의해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부(130)가 있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들은, 레이저 검출부(130)에 연결되며 레이저 검출부(130)의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직렬 통신부(135)로 연결된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직렬 통신부(135)끼리 상호 연결되어 화재 통신부(140)에 직렬 연결된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흡입부(120)에 의해 화재 감시지역의 공기를 공기관(101)들을 통해 빨아들이며, 그 공기 중에 포함된 연기를 레이저의 산란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의 흡입부(120)로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 팬 혹은 펌프(162)가 사용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검출 챔버(110)에서 레이저의 출구 측에 교차하게 연결될 수 있다.
화재 감시지역의 공기는 공기관(101)의 홀을 거쳐 공기관(101)을 통해 에어필터(122)를 통과한 후, 검출 챔버(110)의 입구를 지나 검출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검출 챔버(110)를 거쳐 출구에 연결된 배기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검출 챔버(110)에는 레이저가 조사되므로, 연기가 포함된 공기가 검출 챔버(110)로 유입된 경우, 연기가 포함되지 않은 공기에 비해 레이저에 의한 산란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레이저의 산란 정도는 레이저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되어 직렬 통신부(135)를 통해 화재 통신부(140)으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공기 흡입 감지기(100)을 설명한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검출 챔버 본체(150), 수광 센서(151), 차폐 파이프(152), 그리고 레이저 반사층(155)을 포함한다.
검출 챔버 본체(150)는 계란형의 중공 형상이 내부에 마련된다.
검출 챔버 본체(150)는 내부 중공 형상을 매개로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레이저 입구(153)와 출구(154)가 있다.
검출 챔버 본체(150)의 내벽부에서는 수광 센서(151)가 레이저 산란 정도를 감지한다.
수광 센서(151)는 레이저 검출부(130)로서, 검출 챔버 본체(150)의 외벽부에 위치하며, 검출 챔버(110)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산란을 감지할 수 있도록 검출 챔버(110)의 내벽부 측에 배치된다.
차폐 파이프(152)는 레이저 입구(153)와 레이저 조사부(125)를 연결하며, 레이저에 대한 외부 영향을 차단하는 것이다.
차폐 파이프(152)는 레이저 조사부(125) 측에서 레이저 입구(153) 측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에 대한 외부 빛 또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재를 포함한다.
한편 레이저 반사층(155)은 검출 챔버(110)의 내벽부에 마련된 것으로서, 검출 챔버(110)에서 산란되는 빛을 반사시켜 레이저의 산란에 대한 감도를 높일 수 있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은, 검출 챔버 본체(150)가 내장되도록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프런트 커버(160)와 리어 박스(161)를 포함한다.
프런트 커버(160)와 리어 박스(161)는 상호 결합되며, 리어 박스(161)의 상부에는 공기관(101)들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흡입부(120)는 흡입 팬(162)과 흡입 연결 블록(165)을 포함한다.
흡입 연결 블록(165)은 상부에 공기관(101)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167)가 마련된 것이다.
흡입 연결 블록(165)은 복수의 연결구(167)가 통합되는 흡입 공간이 하부에 있으며, 그 흡입 공간에 연결되는 연결구(167)가 상부에 있다.
흡입 공간은 유입된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모이도록 구성되며, 흡입 공간의 전방에는 흡입 팬(162)에 연결되는 개구(170)가 마련된다.
흡입 연결 블록(165)에서 모아진 공기관(101)들의 공기는 개구(170)를 통해 흡입 팬(162)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흡입 팬(162)은 공기관(101)들을 통해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흡입 팬(162)은 공기의 급송을 위한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팬(162)은 흡입 연결 블록(165)의 하부에서 연결구(167)를 통해 흡입 공간에 연결되어 프런트 커버(160) 측으로 공기를 이송할 수 있다.
흡입 팬(162)의 하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일부 정화되어 검출 챔버 본체(150)로 투입되도록 에어필터(122)가 배치된 필터블록(180)이 연결된다. 에어필터(122)는 필터블록(180)의 내부 한쪽에 배치된다.
필터블록(180)의 한쪽 내부는 에어 필터(122)가 설치되며, 다른 내부 한쪽은 비어 있는 공간이 된다.
필터블록(180)에는 검출 챔버 본체(150)의 상부와 하부 측으로 각각 정화된 공기와 연기가 있는 공기를 각각 주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라인(181, 182)이 연결된다.
복수의 공기 라인(181, 182) 중 하나의 공기 라인(181)은 필터블록(180)의 에어필터(122)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는 라인이며, 다른 하나의 공기 라인(182)은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통과하는 라인이다.
복수의 공기 라인(181, 182) 중 하나의 공기 라인(181)에 의해 유입된 검출 챔버 본체(150)의 일부 공기는 흡입 팬(162) 측으로 순환되며 일부 공기는 배기될 수 있다.
필터블록(180)에서 에어필터(122)를 통과한 공기는 복수의 공기 라인 중 에어필터(122) 측에 연결된 공기 라인(181)을 통해 검출 챔버 본체(150)의 상부로 유입된 후, 다시 흡입 팬(162)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블록(180)에서 에어필터(122)가 없는 내부통로를 통과한 공기는 다른 공기 라인(182)을 통해 검출 챔버 본체(150)의 하부로 유입된다.
상기에서 검출 챔버 본체(150)를 통해 흡입 팬(162)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흡입 팬(162)의 고속 회전 시에 과도한 음압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입 팬(162)의 회전에 대한 모멘텀을 더하므로 흡입 팬(162)의 정상적인 작동을 가능케 하며 작동 효율성을 높여 준다.
검출 챔버 본체(150)의 하부에는 검출 챔버(110)가 마련되어 있다. 공기는 검출 챔버(110)로 주입되며, 레이저 산란 정도에 의한 연기 농도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에어필터(122)는 롤투롤 타입으로 공기 유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필터부재(122a)가 감겨 있는 제1 필터 롤(123), 제1 필터 롤(123)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필터부재(122a)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필터 롤(124), 제2 필터 롤(124)에 연결되며 제2 필터 롤(124)을 감는 롤 구동부(126), 및 롤 구동부(126)에 연결되며 제2 필터 롤(124)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켜 제2 필터 롤(124) 측으로 제1 필터 롤(123)의 필터부재(122a)를 이송시켜 필터블록(180) 내부에서 노출되는 필터부재(122a)를 교체시키는 롤 제어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화재 통신부(140)과 공기 흡입 감지기(100)의 직렬 통신부(135)는 TCP/IP 이더넷에 의해 연결되며, 중앙 처리부(141)과 공기 흡입 감지기(100)에는 TCP/IP 이더넷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탑재될 수 있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의 직렬 통신부(135)는 TCP/IP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통신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 칩은 RS232, RS485 직렬 통신이 가능한 칩일 수 있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에서 감지된 연기 농도는 RS232 혹은 RS485 직렬 통신을 다른 공기 흡입 감지기(100)을 거치거나 직접적으로 화재 통신부(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화재 감시지역이 넓고 복잡하여 여러 대의 공기 흡입 감지기(100)이 배치되는 경우, 공기 흡입 감지기(100)들은 직렬 방식의 RS232 혹은 RS485 통신 라인으로 묶이며, 화재 통신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의 직렬 통신은 공기 흡입 감지기(100)에 탑재된 자체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통신 프로그램을 화재 통신부(140)의 구동을 위한 통신 프로그램으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공기 흡입 감지기(100)들이 TCP/IP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직렬 통신으로 상호 묶이어 연결되고, 화재 통신부(140)을 통해 중앙 처리부(141)에 연결되며, 연기 농도 정보가 화재 감시부(143)을 거쳐 중앙 처리부(141)에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142)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처리부(141)과 디스플레이부(142) 및 공기 흡입 감지기(100)을 연결하는 통신라인이 단순화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직렬 통신라인에 의해서만 공기 흡입 감지기(100)들을 연결하고, 그 라인을 사용하여 중앙 처리부(141)과 디스플레이부(142)에 대한 정보 전달 및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공기 흡입 감지기(100)에는 TCP/IP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가 탑재될 수 있다. 즉 공기 흡입 감지기(100)들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화재 통신부(140)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으로는 TCP/IP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부(120)의 전단인 흡입 연결 블록(165)의 내부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19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 센서(190)는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질소 산화물, 황 산화물 및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센서(190)에 의한 가스 감지는 TCP/IP 이더넷 통신을 통해 중앙 처리부(14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중앙 처리부(141)은 일정 이상의 농도가 감지되는 경우에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령을 내릴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은, 중앙 관제 센터(200)에 연결되며 공기관들이 배치되는 각각의 지역에 설치되는 카메라(201)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201)는 중앙 처리부(141)에 화재 통신부(140)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 신호를 전송받고, 화재 감시지역(10)의 연기 발생지점을 촬영하도록 회전 동작되며, 중앙 처리부(141)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제 센터(200)에서는, 카메라(201)를 통해 실시간 화재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소화기(210)는 화재 감시지역(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211), 복수의 소화 탱크(211)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화재 감시지역(10)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212), 메인 소화 파이프(212)에 연결되며 화재 감시지역(10)의 구역 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213), 및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211)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의 소화 탱크(211)에 각각 설치되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220)을 포함한다.
중앙 처리부(141)에서 화재 감시지역(10)의 연기가 공기 흡입 감지기(100)를 통해서 감지되면, 중앙 처리부(141)는 제어부(145)에 소화기(210)의 작동 신호를 보낸다. 소화기(210)의 개폐수단(220)은 제어부(14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45)의 작동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된다.
개폐수단(220)이 열림에 따라 소화 탱크(211)의 소화 가스가 메인 소화 파이프(212)와 서브 소화 파이프(213)의 노즐을 통해서 화재 감지 지역(10)으로 분사될 수 있다.
개폐수단(220)은 복수의 소화 탱크(211) 중 한쪽 상부에 설치된 제1 개폐부(221)와 다른 한쪽 상부에 설치된 제2 개폐부(225)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221)는 복수의 소화 탱크(211) 중 한쪽 상부에서 소화 탱크(211)의 내부로 연결된 제1 밸브 하우징(222), 및 제1 밸브 하우징(222)에 설치되며 제1 밸브 하우징(222)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223), 및 제1 밸브체(223)에 연결되어 제1 밸브체(223)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224)를 포함한다.
제1 밸브 하우징(222)에는 소화 가스가 통과 가능한 밸브 통로가 마련되며, 밸브 통로는 솔레노이드(224)에 의해 이동되는 제1 밸브체(223)에 의해 개폐된다.
제2 개폐부(225)는 복수의 소화 탱크(211) 중 다른 한쪽의 상부에서 소화 탱크(211)의 내부로 연결된 제2 밸브 하우징(226), 제2 밸브 하우징(226)에 설치되며 제2 밸브 하우징(226)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227), 및 제2 밸브체(227)에 연결되어 제2 밸브체(227)를 동작시키는 플런저(228)를 포함한다.
제2 밸브 하우징(226)에는 소화 가스가 통과 가능한 밸브 통로가 마련되며, 밸브 통로는 플런저(228)에 의해 이동되는 제2 밸브체(227)에 의해 개폐된다. 플런저(228)는 제1 밸브 하우징(222)의 밸브 통로에 연결되며, 제1 밸브 하우징(222)에 연결된 소화기(210)의 소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소화기(210)는 제1 밸브 하우징(222)과 제2 밸브 하우징(226)을 연결하며 제1 밸브 하우징(222)의 유체 압력을 제2 밸브 하우징(226) 측으로 전달하되 플런저(228)를 가동시키는 가동라인(2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화 가스는 화염 주변의 산소 퍼지를 위한 아르곤과 질소 가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 대상물(20)의 내부에 다른 소화기(230)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소화기(230)는 컴퓨터 서버와 같이 화재 감시지역(10)에 설치되는 감시 대상물(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소화기(230)는 감시 대상물(20)의 내벽 상부에 결합된 브라켓(231), 브라켓(231)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통을 구비한 케이싱(232), 케이싱(232)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분사판(233), 및 약제통의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약제통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전자개폐밸브(234)를 포함한다.
다른 소화기(230)의 전자개폐밸브(234)는 제어부(145)의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약제통을 개방시키며, 약제통의 소화 약제는 분사판(233)을 통해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은, 중앙 처리부(141)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비컨(250) 및 화재 경보 앱(245)이 탑재된 단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비컨(250)은 제어부(145)로부터 작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화재 발생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도록 화재 감시지역(10)의 구역별로 공기관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단말(240)은 비컨(25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며, 화재 감시지역(10)의 화재 발생지점을 화재 감시지역(10)을 나타내는 지도에 표시한다.
복수의 비컨(250) 각각은 제어부(145)를 통해 중앙 처리부(141)에 연결되며 작동 신호 수신을 나타내는 경광등(255)을 포함할 수 있다.
비컨(250)은 화재 발생지점을 나타내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휴대한 단말(240)에는 비컨(25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화재 경보 앱(245)이 탑재된다.
작업자가 지도에서 화재 발생지점을 추측하고, 비컨(250) 측으로 접근함에 따라 비컨(250)의 무선 신호가 단말(240)에 수신됨으로써 단말(240)에 화재 발생지점이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
비컨(250)의 무선 신호는 다른 소화기(230) 측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다른 소화기(230)는 비컨(250)의 무선 신호로 작동될 수 있다.
비컨(250)은 화재 감시지역(10) 내의 일정 구역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의 카메라(201)는 촬영된 영상은 작업자의 단말(240) 측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화재 경보 앱(245)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경광등(255)은 작업자를 비컨(250) 측으로 유도 및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은, 민감한 감시 대상물이 있는 화재 감시지역에 적절한 소화기를 설치하고 화재 감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시켜 화재 지점을 정확히 진압하며, 작업자가 화재 지점으로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든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공기 흡입 감지기 101: 공기관
110: 검출 챔버 120: 흡입부
122: 에어필터 122a: 필터부재
123: 제1 필터 롤 124: 제2 필터 롤
125: 레이저 조사부 126: 롤 구동부
127: 롤 제어부
130: 레이저 검출부 135: 직렬 통신부
140: 화재 통신부 141: 중앙 처리부
142: 디스플레이부 145: 제어부
150: 검출 챔버 본체 151: 수광 센서
152: 차폐 파이프 155: 레이저 반사층
160: 프런트 커버 161: 리어 박스
162: 흡입 팬 165: 흡입 연결 블록
167: 연결구 170: 개구
180: 필터블록 190: 가스 센서
200: 중앙 관제 센터 201: 카메라
210: 소화기 211: 소화 탱크
212: 메인 소화 파이프 213: 서브 소화 파이프
220: 개폐수단 221: 제1 개폐부
222: 제1 밸브 하우징 223: 제1 밸브체
224: 솔레노이드 225: 제2 개폐부
226: 제2 밸브 하우징 227: 제2 밸브체
228: 플런저 229: 가동라인
230: 다른 소화기 231: 브라켓
232: 케이싱 233: 분사판
234: 전자개폐밸브 240: 단말
245: 화재 경보 앱 250: 비컨
255: 경광등

Claims (9)

  1. 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공기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관들에 연결되어 연기 농도를 검사할 수 있는 검출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챔버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부가 있는 복수의 공기 흡입 감지기;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와 연결되되, 통신선을 이용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접속된 화재 관련 기기에 연결되어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화재 통신부;
    상기 화재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기의 검출 신호를 디지털 감시신호로 변환하는 화재 감시부;
    상기 화재 감시부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시부에 의해 변환된 검출 신호를 감시 데이터로 저장 처리하며, 상기 감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으로 판단될 경우 경보 및 화재 감시지역의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화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소화기에 전달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 신호에 상응한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감시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 상기 화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신호를 전달받으며, 경보기와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경보기와 소화기 측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공기관들이 배치되는 각각의 지역에 설치되되, 상기 중앙 처리부에 상기 화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연기 발생지점을 촬영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중앙 처리부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카메라;
    상기 중앙 처리부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며, 작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화재 발생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구역별로 상기 공기관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비컨; 및
    상기 비컨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화재 발생지점을 상기 화재 감시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상에 표시하는 화재 경보 앱이 탑재된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는, 상기 화재 감시지역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소화 가스가 저장된 복수의 소화 탱크;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와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시지역으로 설치되는 메인 소화 파이프; 상기 메인 소화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시지역의 구역별로 배치되며 소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있는 복수의 서브 소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라인과 복수의 소화 탱크를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라인 측으로 소화 가스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1 개폐부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설치된 제2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된 제1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 및 상기 제1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소화 탱크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소화 탱크의 내부로 연결된 제2 밸브 하우징;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 및 상기 제2 밸브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과 제2 밸브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유체 압력을 상기 제2 밸브 하우징 측으로 전달하되, 상기 플런저를 가동시키는 가동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는, 상기 검출 챔버로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 챔버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가 있으며, 공기에 있는 연기의 농도를 상기 레이저의 산란에 의해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부가 있으며, 상기 레이저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이저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직렬 통신부가 있으며, 직렬 통신부끼리 상호 연결되어 상기 화재 통신부에 직렬 연결되되,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는, 상기 검출 챔버가 중공 형상으로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검출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 챔버를 매개로 연결되는 레이저 입구와 출구가 있는 검출 챔버 본체; 상기 검출 챔버 본체의 외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검출 챔버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산란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 센서; 및 상기 레이저 입구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연결하며, 상기 레이저에 대한 외부 영향을 차단하는 차폐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챔버의 내벽부에는 상기 레이저를 산란시키기 위한 레이저 반사층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필터는, 롤투롤 타입으로 공기 유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필터부재가 감겨 있는 제1 필터 롤; 상기 제1 필터 롤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필터 롤; 상기 제2 필터 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롤을 감는 롤 구동부; 및 상기 롤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 롤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켜 상기 제2 필터 롤 측으로 상기 제1 필터 롤의 필터부재를 이송시켜 필터블록 내부에서 노출되는 필터부재를 교체시키는 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비컨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중앙 처리부에 연결되되, 상기 작동 신호 수신을 나타내는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가스는 아르곤과 질소 가스의 혼합물인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지역에 설치된 감시 대상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소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소화기는,
    상기 감시 대상물의 내벽 상부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통을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된 분사판; 및
    상기 약제통의 소화 약제가 분사되도록 상기 약제통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전자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감지기는, 상기 검출 챔버 본체가 내장되도록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프런트 커버와 리어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부에 공기관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구가 통합되는 흡입 공간이 하부에 있으며,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되는 다른 연결구가 하부에 있는 흡입 연결 블록; 및
    상기 흡입 연결 블록의 하부에서 상기 다른 연결구를 통해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프런트 커버 측으로 공기를 이송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팬의 하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일부 정화되어 상기 검출 챔버 본체로 투입되도록 상기 에어필터가 배치된 필터블록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검출 챔버 본체의 상부와 하부 측으로 정화된 공기와 연기가 있는 공기를 각각 주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검출 챔버 본체의 일부 공기는 상기 흡입 팬 측으로 순환되며 일부 공기는 배기되는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전단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가 마련되는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은, 천정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파이프; 및
    상기 수평 파이프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파이프를 포함하는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49897A 2019-11-20 2019-11-20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KR10213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897A KR102138478B1 (ko) 2019-11-20 2019-11-20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897A KR102138478B1 (ko) 2019-11-20 2019-11-20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478B1 true KR102138478B1 (ko) 2020-07-27

Family

ID=7189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897A KR102138478B1 (ko) 2019-11-20 2019-11-20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4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78Y1 (ko) * 2004-02-06 2004-05-04 박윤관 화재 감시 장치
KR101166962B1 (ko) * 2010-02-08 2012-07-19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60481B1 (ko) * 2014-07-25 2014-11-11 박광혁 모듈형 자동 필터교체 장치
JP2016057166A (ja) * 2014-09-09 2016-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及び位置測位システム
KR101998701B1 (ko) * 2018-05-31 2019-07-10 노불방재 주식회사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78Y1 (ko) * 2004-02-06 2004-05-04 박윤관 화재 감시 장치
KR101166962B1 (ko) * 2010-02-08 2012-07-19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60481B1 (ko) * 2014-07-25 2014-11-11 박광혁 모듈형 자동 필터교체 장치
JP2016057166A (ja) * 2014-09-09 2016-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及び位置測位システム
KR101998701B1 (ko) * 2018-05-31 2019-07-10 노불방재 주식회사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2050803B1 (ko) 에너지 저장장치(ess) 화재 감지 및 확산 방지용 자동소화시스템
TWI609175B (zh) 用於決定煙霧進入一煙霧偵測系統中的至少一進入點的方法及裝置,及煙霧偵測器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TWI2708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lising a fire
TW201530112A (zh) 粒子偵測之可定址性技術
CN100470597C (zh) 安防监控系统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563655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CN205507496U (zh) 一种实验室防爆通风柜控制系统
MX2008004257A (es) Dispositivo de deteccion de fuego en gabinetes de conmutador.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CN213582481U (zh) 一种智慧消防火灾报警装置
KR20200098317A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2138478B1 (ko)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CN109758705A (zh) 极早期自动灭火装置和极早期自动灭火一体机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190128327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KR102265760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통신구 관리 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KR101166962B1 (ko)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0618636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KR101524779B1 (ko) 금연구역 소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