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701B1 -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701B1
KR101998701B1 KR1020180062428A KR20180062428A KR101998701B1 KR 101998701 B1 KR101998701 B1 KR 101998701B1 KR 1020180062428 A KR1020180062428 A KR 1020180062428A KR 20180062428 A KR20180062428 A KR 20180062428A KR 101998701 B1 KR101998701 B1 KR 10199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agen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노불방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불방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불방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품 혹은 물질의 생산, 시험, 검사, 보관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비에 부착 가능한 시스템으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 감지기와,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농도 감지기와, 상기 공간 내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기와, 상기 장비에 부착되되 소화 약재 탱크들이 수납되는 자동 소화기 박스와, 상기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화 약재 탱크들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방출배관들과, 상기 방출배관 각각에 연결되는 선택개방밸브들과, 감지기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공간 내의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들 중 하나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어느 하나의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고,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진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에 따라 또 다른 분사노즐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나머지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EQUIPMENT EQUIPPED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상의 큰 피해를 입는바, 이와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의 건물에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반도체, LCD, 산업기계 등의 제조라인의 경우에는 가연성 또는 폭발성을 갖는 반응 가스들 또는 매우 강한 독성을 지닌 화학물질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라인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매우 치명적인 재난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에 제조 공장의 제조라인, 전기실, 발전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가스 자동 소화 시스템이 설치 운용되고 있다.
반도체, LCD 등의 제조 공장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크게 다수의 소화 약제통(10)과, 소화 약제통들(10) 혹은 각각의 소화 약제통(10)과 연결되는 공급라인(12), 각 제조라인 상에 소화 약재를 분사하기 위한 약재 분사체(20), 약재 분사체(22) 및 상기 공급라인(12)에 연결되는 약재 유로 라인(22), 소화 약제통(10) 상단에 연결되며 소화 약재가 각각의 공급라인(12)측으로 분출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체(14)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제조라인, 공장 등에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장비 내에서 제품의 가공 혹은 생산이 이루어질 경우 장비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전조 증상(불꽃 감지, 연기 감지 등)을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초기 화재 발생에 신속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정밀 기계, 반도체, OLED, LCD 등의 제품은 보통 부스 혹은 밀폐된 장비 내에서 생산되는데, 이러한 장비들이 공장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술한 일반적인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비 내의 화재 전조 증상을 초기에 감지하여 진화할 수 없기에, 새로운 타입의 소화 설비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134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5469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장비에 부착하여 장비 내의 화재 전조 증상을 초기에 감지하여 진화할 수 있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장 등의 제조라인에 시스템 구축하되, 시스템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한 장비에 대해서만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위에 위치한 장비와 시설이 화재 진압으로 인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제품 혹은 물질의 생산, 시험, 검사, 보관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비에 부착되어 활용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 감지기와;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농도 감지기와;
상기 공간 내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기와;
상기 장비에 부착되되 소화 약재 탱크들이 수납되는 자동 소화기 박스와;
상기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화 약재 탱크들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방출배관들과;
상기 방출배관 각각에 연결되는 선택개방밸브들과;
감지기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공간 내의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들 중 하나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어느 하나의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고,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진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에 따라 또 다른 분사노즐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나머지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 내에 수납되며, 화재감지시 상기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 오토 댐퍼를 폐쇄시킴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가 규정농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또 다른 분사노즐로부터 일정 양의 소화 약재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나머지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되 이를 반복 수행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특징을 갖는 시스템들에서 상기 연기 감지기는 공기 흡입형 연기 감지기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화 약재 탱크들 각각과 그에 연결되는 각각의 방출배관 사이에는 방출배관 내의 압력을 낮추어 주기 위한 정압제어밸브가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TMA(트리메틸 알루미늄) 설비에 부착되어 사용될 경우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상기 컨트롤러는,
팽창 진주암 보관함에 연결되어 있는 팽창 진주암 개방밸브를 관리자 조작명령에 응답하여 개방제어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장비의 공간 내에만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화 작업으로 인해 주변에 위치하는 설비, 장비 등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한 장비에 대해 1차 화재 진압에 이어 2차, 3차 진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한 장비에 대해 초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재발화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제품 혹은 물질의 생산, 시험, 검사, 보관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비에 부착하여 운영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라인 전체에 소화 설비, 배관 등을 설치해야 하는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구축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설치 예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배관 및 연결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블럭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장비 설치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배관 및 연결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산업기계류, 반도체 장비, LCD 생산 장비, 각종 무인장비 등 고가의 제품 혹은 위험성 물질(예를 들면 TMA:트리메틸 알루미늄)의 생산, 시험, 검사, 보관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비에 부착(혹은 설치)되어 활용 가능한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비(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 내에 설치되어 공간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불꽃 감지기(120)와,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농도 감지기(130)와, 상기 공간 내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기(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기 감지기는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관 내에 설치 가능한 공기 흡입형 연기 감지기로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감지기들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장비(100)의 외벽에 부착되되 소화 약재 탱크들이 내부에 수납되는 자동 소화기 박스(110)와,
상기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들(분사노즐 1, 분사노즐 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화 약재 탱크들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방출배관들(도 2의 방출배관 1과 방출배관 2)과,
상기 방출배관 각각에 연결되는 선택개방밸브들(150, 도 2의 150-1과 150-2)을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도 2에서는 장비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하나이지만 장비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공간에는 화재 발생 초기에 소화 약재를 분사하기 위한 초기용 분사노즐(이를 분사노즐 1로 표기함)과, 분사노즐 1을 통해 소화 약재를 분사한 후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재차 소화 약재를 분사하기 위한 연장용 분사노즐(이를 분사노즐 2로 표기함)을 설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자동 소화기 박스(110) 내에는 2개의 소화 약재 탱크가 수납되며, 각 소화 약재 탱크에는 소화 약재를 방출배관으로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체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 약재는 각 방출배관에 연결된 선택개방밸브(150-1 혹은 150-2)의 개방 여부에 따라 분사노즐 1 혹은 분사노즐 2를 통해 상기 공간 내로 분출된다. 물론 자동 소화기 박스(110) 내에 수납되는 소화 약재 탱크의 수는 소화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110)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 전원을 시스템 각 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함께 수납되며,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도 4의 113)가 더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3)는 상기 감지기들(120,130,1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공간 내의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들 중 하나, 예를 들면 초기용 분사노즐 1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선택개방밸브(150-1)를 제어하고,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진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가 규정농도를 초과하면 또 다른 분사노즐인 분사노즐 2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나머지 선택개방밸브 150-2를 제어한다.
상술한 기본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수동 조작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비(100) 외벽에 부착되는 수동 조작함은 작업자 혹은 관리자 등에 의해 비상시 조작되는 일종의 조작 판넬로서, 전기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13)와 연결된다. 컨트롤러(113)는 수동 조작함에 구비된 여러 조작버튼 조작에 따라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시스템 제어한다.
한편 도 2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160은 오토 댐퍼를 도시한 것으로, 오토 댐퍼는 컨트롤러(113)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데, 평상시에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화재 발생시에는 상기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간 내에는 온도 감지기(170)를 더 설치하여 화재 발생 여부, 공간 내의 현재 온도 모니터링, 화재 진압중 공간 내의 온도 변화 등을 모니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동 소화기(110) 외부에는 시스템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동작 혹은 경보 상태를 알리기 위한 램프 등이 구비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동 소화기(110) 내부에 수납되는 소화 약재 탱크들 각각과 그에 연결되는 방출배관 사이에는 방출배관 내의 압력을 낮추어 주기 위한 정압제어밸브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소화 약재 탱크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소화 약재 공급시 배관내의 압력을 낮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배관 연결 및 신호선 연결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MOCVD용 LED 장비에 부착된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좌측에 도시된 자동 소화기(110) 내에는 컨트롤러(113)와 소화 약재 탱크가 위치한다. 각 소화 약재 탱크에는 방출배관 1과 방출배관 2가 연결되어 있으며, 구획된 각 공간에는 분사노즐 1과 분사노즐 2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분사노즐과 방출배관 사이에는 선택개방밸브(150-1,150-2)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개방밸브는 밸브 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구획된 각 공간에는 산소농도 감지기와 불꽃 감지기, 온도 감지기와 오토 댐퍼(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미도시한 공기흡입형 연기 감지기 또한 설치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제품 혹은 물질의 생산, 시험, 검사, 보관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비(100)의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 감지기(120)와,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농도 감지기(130)와, 상기 공간 내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공기 흡입형 연기 감지기(140)와, 상기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기(170)를 포함한다.
상술한 여러 감지기들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은 컨트롤러(113)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컨트롤러(113)는 감지기들(120,130,140,17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공간 내의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분사노즐들 중 하나, 예를 들면 분사노즐 1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선택개방밸브 1(150-1)을 제어하고,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진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에 따라 또 다른 분사노즐로, 예를 들면 분사노즐 2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나머지 선택개방밸브(150-2)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113)는 도 2에 도시한 수동 조작함에 구비된 수동 조작부(115)를 통해 관리자 혹은 작업자 등의 수동입력 명령에 따라 선택개방밸브들(150-1,150-2)을 순차 혹은 일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컨트롤러(113)는 통신부(118)를 통해 화재 발생한 장비에 대한 정보, 장비의 동작상태 등을 상황실 혹은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며, 상태 표시부(111)를 통해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에 포함 가능한 상황 전파부(117)는 컨트롤러(113)의 제어에 따라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을 경보음 등으로 전파한다.
도 4에서 미설명된 밸브 샤프트 구동부(119), 선택개방밸브 1(150-1), 선택개방밸브 2(150-2), 오토 댐퍼(160)는 컨트롤러(113)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들로서, 밸브 샤프트 구동부(119)는 소화 약재 탱크에 결합되어 소화 약재 탱크로부터 방출배관들로 소화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공급 경로를 단속하는 밸브 샤프트를 구동시키며, 선택개방밸브들(150-1,150-2) 역시 각각 분사노즐 1과 분사노즐 2로 공급되는 소화 약재를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토 댐퍼(160)는 장비 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시키는데 활용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장비에 부착된 자동 소화기(110) 내에 수납되는 컨트롤러(113)는 여러 감지기들(120,130,140,17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체크한다. 체크중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공간 중 좌측 공간에 위치하는 감지기들로부터 불꽃 감지신호와 연기 감지신호가가 입력되었다면, 컨트롤러(113)는 이를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2개의 소화 약재 탱크 각각에 결합된 밸브체를 구성하는 밸브 샤프트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밸브 샤프트 구동부(119)를 구동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따라 밸브 샤프트가 열림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소화 약재 탱크 각각의 소화 약재 공급 통로는 개방상태가 된다. 아울러 컨트롤러(113)는 오토 댐퍼(160)를 제어해 화재 발생한 공간을 밀폐시킨다.
이어 컨트롤러(113)는 초기 분사노즐로 설정된 분사노즐 1에 연결되어 있는 방출배관 1에 위치하는 선택개방밸브 1(150-1)을 개방제어함으로써, 분사노즐 1을 통해 화재 발생한 공간으로 지정된 양만큼의 소화 약재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소화 약재의 분출로 인해 화재는 초기 진압될 수 있는데, 공간 내에 존재하는 물질, 제품의 특성상 재발화 가능성은 항시 존재한다.
이에 컨트롤러(113)는 소화 약재를 1차 분출시킨 후 재차 산소농도 감지기(130), 불꽃 감지기(120), 연기 감지기(140) 등을 통해 화재 발생한 공간 내의 재발화 가능성을 체크한다.
화재 발생한 공간은 밀폐되어 있고 화재와 1차 소화 약재 분출로 인해 산소농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산소 농도는 재차 증가하게 된다. 이는 화재 발생한 공간이 완전 밀폐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산소 농도가 재차 증가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재발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므로, 컨트롤러(113)는 1차 소화 약재 분출 후 산소농도가 규정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혹은 불꽃 감지기(120)를 통해 불꽃 감지신호가 재검출되면, 연장 분사노즐로 설정된 분사노즐 2를 통해 소화 약재의 2차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선택개방밸브 2(150-2)를 제어한다.
이에 화재 발생한 공간 내에는 소화 약재의 2차 방출이 이루어짐으로써, 화재 발생한 공간 내에서의 재발화 가능성을 현저히 낮쳐 준다. 산소농도 혹은 불꽃 감지신호를 통해 소화 약재를 재방출하는 과정은 현장에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출동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트롤러(113)의 시스템 제어동작 중에 컨트롤러(113)는 화재발생 사실을 상황실 등으로 전파하거나 현장 주변에 상황 전파하도록 시스템 각 부를 병행하여 제어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장비의 공간 내에만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화 작업으로 인해 주변에 위치하는 설비, 장비 등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한 장비에 대해 1차 화재 진압에 이어 2차, 3차 진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한 장비에 대해 초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재발화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OCVD용 LED 설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TMA 설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을 부착하여 운용할 수 있다. TMA 설비에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약재로서 팽창 진주암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MA 설비에 소화 약재로 사용 가능한 팽창 진주암 보관함을 설치해 두고, 그 팽창 진주암 보관함의 출구와 설비 내의 공간이 연통하도록 배관 작업을 하면, 연통 배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보관함 개방밸브를 개방시켜 화재 발생한 공간 내로 팽창 진주암이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팽창 진주암은 소화 약재의 1차 및 2차 분출 후에 분출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소화 약재의 1차 분출 후 2차 소화 약재로서 분출되도록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품 혹은 물질의 생산, 시험, 검사, 보관을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비에 부착 가능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 감지기와;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농도 감지기와;
    상기 공간 내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기와;
    상기 장비에 부착되되 소화 약재 탱크들이 수납되는 자동 소화기 박스와;
    상기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화 약재 탱크들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방출배관들과;
    상기 방출배관 각각에 연결되는 선택개방밸브들과;
    각각의 소화 약재 탱크들과 그에 연결되는 각 방출배관 사이에 연결되어 방출배관 내의 압력을 낮추어 주기 위한 정압제어밸브들과;
    상기 감지기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공간 내의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분사노즐들 중 하나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어느 하나의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고,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진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에 따라 또 다른 분사노즐로부터 소화 약재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나머지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 내에 수납되며, 화재감지시 상기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 오토 댐퍼를 폐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간 내의 산소농도가 규정농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또 다른 분사노즐로부터 일정 양의 소화 약재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나머지 선택개방밸브를 제어하되 이를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는 공기 흡입형 연기 감지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소화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상기 컨트롤러는,
    팽창 진주암 보관함에 연결되어 있는 팽창 진주암 개방밸브를 관리자 조작명령에 응답하여 개방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KR1020180062428A 2018-05-31 2018-05-31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KR10199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428A KR101998701B1 (ko) 2018-05-31 2018-05-31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428A KR101998701B1 (ko) 2018-05-31 2018-05-31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701B1 true KR101998701B1 (ko) 2019-07-10

Family

ID=6725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428A KR101998701B1 (ko) 2018-05-31 2018-05-31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7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0054A (zh) * 2019-12-19 2020-03-06 深圳市鸿嘉利消防科技有限公司 加油机火情自动应急系统
KR102138478B1 (ko) * 2019-11-20 2020-07-27 김용석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KR102239961B1 (ko) * 2020-08-19 2021-04-14 포이스주식회사 자연발화성 화학물질의 초기 화재 억제장치 및 화재 억제방법
KR20210106063A (ko) * 2020-02-19 2021-08-30 이연호 Ess 화재 초기 진압용 자동소화방법 및 자동소화시스템
KR20220079009A (ko) * 2020-12-04 2022-06-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466535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보조 소화수단이 구비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102466536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714A (ja) * 2000-10-18 2002-07-10 Eads Airbus Gmbh 閉鎖空間内で突発した火災を消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335469Y1 (ko) 2003-09-05 2003-12-11 (주)우진기전 수변전 설비용 자동 소화 장치
KR101301344B1 (ko) 2012-11-30 2013-08-29 김래성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KR20170104261A (ko) * 2016-03-07 2017-09-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714A (ja) * 2000-10-18 2002-07-10 Eads Airbus Gmbh 閉鎖空間内で突発した火災を消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335469Y1 (ko) 2003-09-05 2003-12-11 (주)우진기전 수변전 설비용 자동 소화 장치
KR101301344B1 (ko) 2012-11-30 2013-08-29 김래성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KR20170104261A (ko) * 2016-03-07 2017-09-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478B1 (ko) * 2019-11-20 2020-07-27 김용석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CN110860054A (zh) * 2019-12-19 2020-03-06 深圳市鸿嘉利消防科技有限公司 加油机火情自动应急系统
KR20210106063A (ko) * 2020-02-19 2021-08-30 이연호 Ess 화재 초기 진압용 자동소화방법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461637B1 (ko) * 2020-02-19 2022-11-03 이지에스주식회사 Ess 화재 초기 진압용 자동소화방법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239961B1 (ko) * 2020-08-19 2021-04-14 포이스주식회사 자연발화성 화학물질의 초기 화재 억제장치 및 화재 억제방법
KR20220079009A (ko) * 2020-12-04 2022-06-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570495B1 (ko) * 2020-12-04 2023-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466535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보조 소화수단이 구비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102466536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701B1 (ko)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KR20100032930A (ko) 위험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03705B1 (ko) 양압형 방폭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US6952169B1 (en) Cordless/wireless automatic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EP1534394B1 (en) Automatic foam fire fighting equipment especially used as fixed installation equipment for fire fighting of large hydrocarbon storage tanks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JP2019088423A (ja) 消火システム
CN110251870A (zh) 一种贮压式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KR20040096713A (ko) 공통배관을 이용한 가스계 겸용 물분무 소화설비시스템
KR100976172B1 (ko) 질소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265760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통신구 관리 시스템
KR101301344B1 (ko)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CN210534947U (zh) 一种船舶用烟雾报警器、报警系统
KR20090033429A (ko) 밸브 일체식 스프링쿨러및 이를 이용한 화재 조기 진압시스템
JP6823998B2 (ja) ガス系消火設備
US20140116992A1 (en) Welding Enclosure
KR200343725Y1 (ko) 가스계 소화기구 점검장치
JP2015084822A (ja) 消火設備
KR102333354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긴급 배기 시스템
WO2022016298A1 (es) Sistema de detección y supresión de incendios
KR102190155B1 (ko)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US20240003561A1 (en) System and method of a loop architecture of a fixed piping system implemented within a safety system of a structure to continuously supply breathable air therewithin
KR102586376B1 (ko) 다중 분사라인 및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시스템
JP6144148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