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155B1 -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155B1
KR102190155B1 KR1020200078433A KR20200078433A KR102190155B1 KR 102190155 B1 KR102190155 B1 KR 102190155B1 KR 1020200078433 A KR1020200078433 A KR 1020200078433A KR 20200078433 A KR20200078433 A KR 20200078433A KR 102190155 B1 KR102190155 B1 KR 10219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fire
extinguishing
tank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락
이승현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7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3Control unit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에서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소화농도가 설계된 농도 미만인 경우, 추가로 소화가스가 방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호구역 내부에 농도유지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소화설비에서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방호구역의 소화농도를 측정하여, 소화농도가 설계된 농도 미만인 경우, 소화가스가 연장 방출되도록 하여,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성공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부를 이용하여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었는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는 현장 복구시 안전하게 방호구역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하고 신속한 추가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Extinguishing Agent Extended E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에서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소화농도가 설계된 농도 미만인 경우, 추가로 소화가스가 방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방시설은 특정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건축물의 규모, 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시설로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고 소화활동을 원활히 하며, 거주자의 신속한 피난을 유도함으로써 인명안전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설을 일컫는다.
소방시설의 종류로는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등으로 구분되고, 소화설비는 소화기구, 옥내, 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 등 소화설비로 구분된다. 이러한 소화설비 중 옥내, 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는 소화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구비가 용이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전기화재 및 유류화재에는 적응성이 없으며, 원자력발전소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과 같은 특수한 장소에서는 사용이 곤란하므로, 물분무 등 소화설비인 가스계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및 포소화설비로 대체하고 있다. 특히 가스계소화설비는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 컴퓨터실, 전기실, 디젤발전기실 또는 ESS의 배터리저장실 등 대부분의 방호구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가스계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소화가스의 종류로는 이산화탄소, 할론(Halon), 질소, 아르곤(Ar) 등이 있으며, 소화가스를 저장한 고압용기를 방호구역 외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화재 발생시, 고압용기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고압용기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방호구역으로 방출되어,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이때, 방호구역의 환기구, 급, 배기 댐퍼 등이 열린 상태에서 소화가스가 방출되면 방출된 소화가스가 환기구 등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에 소화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는 가스계소화설비 작동 시 환기장치가 자동으로 정지되어야 한다.
한편, 가스계소화설비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방호구역에 소화가스가 방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충분한 소화농도가 유지되어야만 소화가 가능하며, 이를 소화농도 유지시간이라 한다. 그런데 국내에서 생산되는 가스계소화설비에는 방출된 소화약제의 소화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며, 방호구역의 하부에 위치한 개구부 등으로 소화약제가 지속적으로 누설되어, 방호구역에서는 화재를 진압하기에 충분한 소화 농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기반시설인 전산실, UPS실, 전기실, 서버실, 통신실 또는 ESS의 배터리저장실 등은 무인으로 운영되므로, 방호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진압되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알 수 없어, 현장 복구를 하러 방호구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90483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소화설비에서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방호구역의 소화농도를 측정하여, 소화농도가 설계된 농도 미만인 경우, 추가로 소화가스가 방출되도록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었는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여, 작업자는 현장 복구시 안전하게 방호구역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는 화재진압탱크와, 방호구역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있어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농도유지탱크를 갖는 농도 유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도 유지 장치를 이용한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도유지탱크는 상기 방출부를 통하여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농도유지탱크가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방호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이상인 경우,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는 화재진압탱크와, 상기 화재진압탱크와 연결되는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 위치되는 방출배관과, 방호구역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있어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화재방호물의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의 일측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측정센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화재방호물의 타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의 타측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제 2 농도측정센서; 상기 화재방호물과 이격되도록 방호구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방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소화 가스가 충전되는 농도유지탱크를 갖는 농도유지장치;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방출배관 사이에 위치되는 외부연결밸브;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방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연결밸브; 및 상기 외부연결밸브와 상기 내부연결밸브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결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연결배관 또는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방출배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내부연결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방출부 또는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연결배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연결밸브가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방출배관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제 1 농도측정센서가 측정한 소화 농도 또는 상기 제 2 농도측정센서가 측정한 소화 농도에 따라 상기 외부연결밸브 또는 상기 내부연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에 충전된 소화 가스가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방출부로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화재방호물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농도측정센서는 상기 화재방호물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농도측정센서는 상기 화재방호물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한 이후, 상기 제 1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내부연결밸브가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연결밸브가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방출배관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한 이후, 상기 제 2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내부연결밸브가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방출부를 연결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가 상기 방출부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연결밸브는,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방출배관과 상기 연결배관 사이에 위치되는 외부본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외부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부유로와,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 1 외부유로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외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밸브는,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방출부와 상기 농도유지탱크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본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내부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유로와,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 1 내부유로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외부유로의 양단부가 상기 외부공급배관 및 상기 방출배관과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유로의 일단부 및 상기 제 2 외부유로가 상기 연결배관 및 상기 방출배관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내부유로의 양단부가 상기 연결배관 및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내부유로의 일단부 및 상기 제 2 내부유로가 상기 농도유지탱크 및 상기 방출부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화설비에서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방호구역의 소화농도를 측정하여, 소화농도가 설계된 농도 미만인 경우, 소화가스가 연장 방출되도록 하여,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성공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호구역 내부에 농도유지장치가 설치되므로, 방호구역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소화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소화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방호구역 내부에 농도유지장치를 추가하는 것이므로, 복잡한 설비를 추가 또는 확장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비용이 낮아지므로,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농도측정센서가 하우징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설치되므로, 소화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부를 이용하여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었는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는 현장 복구시 안전하게 방호구역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하고 신속한 추가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방호물의 상측 지점의 소화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측정센서 및 화재방호물의 중간 지점의 소화농도를 측정하는 제 2 농도측정센서를 구비하므로, 방호구역의 화재방호물 주변의 소화농도가 전반적으로 기설정된 농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호구역의 전 지역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연결밸브를 이용하여 외부공급배관, 방출배관 및 연결배관 중 2개의 배관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내부연결밸브를 이용하여 농도유지탱크, 방출부 및 연결배관 중 2개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화재진압탱크의 소화가스를 노즐 방향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고, 농도유지탱크의 소화가스를 노즐 방향 또는 방출부 방향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농도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이 설치된 방호구역을 상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이 설치된 방호구역을 측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외부연결밸브 및 내부연결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외부연결밸브가 방출배관 및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연결밸브가 농도유지탱크와 연결배관과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내부연결밸브가 농도유지탱크와 방출부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내부연결밸브가 농도유지탱크와 방출부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농도유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100)은 소화설비(110) 및 농도유지장치(120)를 포함한다.
소화설비(110)는 예를 들면 건물에 설치되는 기존의 가스계 소화설비(1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노즐(111), 화재진압탱크(112), 화재진압밸브(113: 도 3 도시), 연결배관(114), 화재감지부(115) 및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가스계 소화설비(110)를 그대로 이용 가능하므로, 설치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노즐(111)은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노즐(111)은 방호구역의 면적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방호구역의 천장에 설치된다.
화재진압탱크(112)는 방호구역의 외부에 보관되는 것으로, 가스계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있다. 가스계 소화약제로는 물리적,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독성이 적고, 높은 안전성을 갖는 아르곤, 이산화탄소 등의 소화가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아르곤 가스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르곤 가스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무색, 무취, 무미의 불활성가스로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소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 가스계 소화약제는 공기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방호구역에서 소화약제의 누설이 많은 반면, 아르곤 소화약제는 비중이 1.38로 공기보다 무거운 관계로, 방호구역의 상부에 개구부가 존재하여 소화약제의 농도유지가 어려운 공간의 화재 방호에 적합하다. 화재진압밸브(113)는 제어부(116)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화재진압탱크(112)를 오픈 또는 클로즈시킨다. 연결배관(114)은 화재진압탱크(112)와 노즐(111)을 상호 연결시킨다.
화재감지부(115)는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일반적인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재감지부(115)는 예를 들면 연기를 감지하거나 열을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방호구역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16)는 화재감지부(115)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화재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방호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화재진압밸브(113)가 화재진압탱크(112)를 오픈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화재진압탱크(112)가 노즐(111)로 소화가스를 공급하여,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농도유지장치(120)는 방호구역의 내부에 설치되며, 화재진압탱크(112)에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방호구역의 소화농도를 측정하여 방호구역의 소화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농도유지장치(120)의 세부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농도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농도유지장치(120)는 하우징(121), 농도측정센서(122), 농도유지탱크(123), 농도유지밸브(124), 예비전원부(125) 및 온도센서(126)를 포함한다. 이러한 농도유지장치(120)는 기존의 소화설비(110)와는 별도로 방호구역에 새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소화설비(110)가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를 공급한 이후, 방호구역의 소화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방호구역 내부에 농도유지장치(120)가 설치되므로, 방호구역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소화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소화설비(11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방호구역 내부에 농도유지장치(120)를 추가하는 것이므로, 복잡한 설비를 추가 또는 확장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비용이 낮아지므로,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하우징(121)은 예를 들면 캐비닛과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는 것으로, 방호구역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21)은 캐비닛 이외에도 방호구역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121)의 상측에는 소화 가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방출부(121a)가 형성된다. 방출부(121a)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우징(121)에 형성되는 방출부(121a)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농도측정센서(122)는 하우징(121)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호구역 내부의 소화 농도, 예를 들면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농도측정센서(122)는 하우징(121)의 측벽의 길이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우징(121) 측벽의 상, 중, 하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농도측정센서(122)가 하우징(121)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설치되므로, 전체 공간에 대한 소화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농도유지탱크(123)는 예를 들면 화재진압탱크(112)에 충전되는 소화가스와 동일한 가스가 충전되며, 하우징(121)의 내부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된다. 농도유지밸브(124)는 제어부(116)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농도유지탱크(123)를 오픈 또는 클로즈시킨다.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하여 농도유지밸브(124)가 농도유지탱크(123)를 오픈시키면 농도유지탱크(123)는 방출부(121a)를 통하여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한다.
예비전원부(125)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며, 하우징(1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전원부(125)는 제어부(116)가 방호구역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로 인한 정전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6)는 예비전원부(125)를 구동하여, 전기가 필요한 여러 모듈에 예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116)는 화재로 인하여 정전이 발생된 경우, 예비전원부(125)를 구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온도센서(126)는 하우징(121)의 외측에 장착되어 방호구역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는 제어부(116)로 전달한다.
출력부(130)는 방호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제어부(116)로부터 전달받은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특정 색상을 발광하는 발광부 또는 안내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기존의 소화설비(110)에 구비되는 제어부(116)를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화재진압탱크(112)가 노즐(111)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 이후,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농도유지탱크(123)가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라 함은, 화재진압탱크(112)에서 분사된 소화가스가 방호구역의 하부에 위치한 개구부 등으로 빠져나가, 농도측정센서(122)가 측정한 방호구역의 산소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를 일컬으며, 제어부(116)는 별도의 수식을 통하여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산소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 농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16)는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측정되는 소화농도가 기설정된 소화 농도 이상인 경우,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된 것으로 판단하고, 출력부(130)로 출력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16)는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 농도 이상인 경우,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여부를 한번 더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6)는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제어부(116)는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아직 완벽하게 진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농도유지탱크(123)가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제어부(116)는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하여 출력부(130)로 출력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6)는 화재감지부(115)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방호구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100), 방호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진압밸브(113)를 오픈시켜서 화재진압탱크(112)가 노즐(111)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S110). 그러면 화재진압탱크(112)에서 공급되는 소화가스가 노즐(111)을 통하여 방호구역으로 분사되어, 방호구역의 화재를 진압한다.
그 후, 제어부(116)는 농도측정센서(122)를 작동시켜서(S120),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소화 농도를 전달받도록 하여,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S130), 방호구역의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농도유지밸브(124)를 오픈시켜서 농도유지탱크(123)가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가 연장 공급되도록 제어한다(S140)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소화설비(110)에서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가 방출된 이후, 방호구역의 소화농도를 측정하여, 소화농도가 설계된 농도 미만인 경우, 소화가스가 연장 방출되도록 하여,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성공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만일, S130 단계에서, 농도측정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 농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116)는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여부를 한번 더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6)는 온도센서(126)를 작동시켜서, 온도센서(126)로부터 방호구역 내부의 온도를 전달받는다(S150). 그 후, 제어부(116)는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S160),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완전하게 진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농도유지밸브(124)를 오픈시켜서 농도유지탱크(123)가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S160 단계에서, 온도센서(126)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성공적으로 진압된 것으로 판단하고, 출력부(130)로 화재 진압 성공을 알리는 출력신호를 전달한다(S170). 그러면 출력부(130)는 화재 진압 성공을 알리는 불빛을 발광시키거나 또는 소리로 알려주거나 또는 문자로 보여주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방호구역의 화재가 진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었는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여, 작업자는 현장 복구시 안전하게 방호구역으로 진입 가능하게 되고, 신속한 추가 대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이 설치된 방호구역을 상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이 설치된 방호구역을 측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200)은 소화설비(210), 제 1 농도측정센서(220), 제 2 농도측정센서(222), 농도유지장치(230), 외부연결밸브(250), 내부연결밸브(260) 및 연결배관(244)을 포함한다.
소화설비(210)는 예를 들면 건물에 설치되는 기존의 가스계 소화설비(2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노즐(211), 화재진압탱크(212), 외부공급배관(240), 방출배관(242), 화재감지부(213) 및 제어부(214)를 포함한다.
노즐(211)은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노즐(211)은 방호구역의 면적 또는 화재방호물(10)의 면적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노즐(211)은 방호구역의 중앙에 위치되는 화재방호물(10)의 일측 상부 및 타측 상부에 각각 2개씩 구비된다.
화재진압탱크(212)는 소화 가스가 충전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방호구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된다. 화재진압밸브(212a)는 각각의 화재진압탱크(212)에 구비된다.
외부공급배관(240)은 각각의 화재진압탱크(21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방호구역 방향으로 삽입된다. 방출배관(242)은 일측은 노즐(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공급배관(240)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공급배관(240)과 노즐(211) 사이에 위치된다.
화재감지부(213)는 방호구역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14)는 화재감지부(213)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각각의 화재진압탱크(212)가 각각의 노즐(211)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제 1 농도측정센서(220)는 화재방호물(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10)의 일측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한다. 세부적으로 제 1 농도측정센서는 화재방호물(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10) 주변의 상측 공기에 대한 소화 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 1 농도측정센서(220)는 화재방호물(10)의 4개의 꼭짓점 상측에 장착되도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농도측정센서(222)는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화재방호물(10)의 타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10)의 타측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한다. 세부적으로 제 2 농도측정센서(222)는 화재방호물(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10) 주변의 중간 지점 공기에 대한 소화 농도를 측정한다.
농도유지장치(230)는 화재방호물(10)과 이격되도록 방호구역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방호구역은 화재방호물(10)을 중심으로 하여 그 변두리를 따라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농도유지장치(230)는 4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구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농도유지장치(230)는 하우징(231) 및 농도유지탱크(232)를 포함한다.
하우징(231)은 화재방호물(10)과 이격되도록 방호구역의 변두리 일측에 설치되고, 방출부(231a)는 하우징(231)의 일측에 형성된다. 방출부(231a)는 제 2 농도측정센서(222)와 마주보도록 하우징(23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농도측정센서(222)는 화재방호물(10) 중에서도 화재가 발생되면 안되는 중요한 부품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방출부(231a)는 제 2 농도측정센서(222)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므로,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방출부(231a)를 통하여 제 2 농도측정센서(222) 방향으로 직접 분사되어, 화재방호물(10)의 중요한 부품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농도유지탱크(232)는 하우징(231)의 내부에 위치되며 소화 가스가 충전된다. 이들 하우징(231), 농도유지탱크(232)는 제 1 실시예의 하우징(121) 및 농도유지탱크(123)와 유사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연결밸브(250)는 외부공급배관(240)과 방출배관(242) 사이에 위치되고, 내부연결밸브(260)는 농도유지탱크(232)와 방출부(231a) 사이에 위치되며, 연결배관(244)은 외부연결밸브(250)와 내부연결밸브(260) 사이를 연결시킨다. 외부연결밸브(250)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공급배관(240)과 연결배관(244) 또는 연결배관(244)과 방출배관(242)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내부연결밸브(260)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하여 농도유지탱크(232)와 방출부(231a) 또는 농도유지탱크(232)와 연결배관(244)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14)는, 화재감지부(213)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외부연결밸브(250)가 외부공급배관(240)과 방출배관(242)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한 후, 화재진압밸브(212a)를 오픈시켜서 화재진압탱크(212)가 노즐(211)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4)는 제 1 농도측정센서(220)가 측정한 소화 농도 또는 제 2 농도측정센서(222)가 측정한 소화 농도에 따라 외부연결밸브(250) 또는 내부연결밸브(260)를 제어한 후, 농도유지밸브(232a)를 오픈시켜서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 가스가 노즐(211) 또는 방출부(231a)로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외부연결밸브(250) 및 내부연결밸브(260)의 작동으로 인하여, 화재진압탱크(212)를 오픈 또는 클로즈시키는 화재진압밸브(212a) 및 농도유지탱크(232)를 오픈 또는 클로즈시키는 농도유지밸브(232a)는 생략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외부연결밸브 및 내부연결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연결밸브(250)는, 외부공급배관(240)과 방출배관(242)과 연결배관(244) 사이에 위치되는 외부본체(252)와,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본체(252)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외부플레이트(254)와, 외부플레이트(254)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외부플레이트(254)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부유로(256)와, 외부플레이트(254)의 테두리에서 제 1 외부유로(256)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외부유로(258)를 포함한다.
외부본체(252)는 예를 들면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을 따라 외부공급배관(240), 방출배관(242), 연결배관(24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부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외부플레이트(254)는 예를 들면 외부본체(252)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이 외부본체(252)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어부(214)가 외부플레이트(254)를 제 1 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외부유로(256)의 양단부가 외부본체(252)의 외부연통홀을 통하여 외부공급배관(240) 및 방출배관(242)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214)가 외부플레이트(254)를 제 2 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외부유로(256)의 일단부 및 제 2 외부유로(258)가 외부본체(252)의 외부연통홀을 통하여 연결배관(244) 및 방출배관(242)과 각각 연결된다.
내부연결밸브(260)는, 연결배관(244)과 방출부(231a)와 농도유지탱크(232)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본체(262)와,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하여 내부본체(262)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플레이트(264)와, 내부플레이트(264)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내부플레이트(264)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유로(266)와, 내부플레이트(264)의 테두리에서 제 1 내부유로(266)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내부유로(268)를 포함한다.
내부본체(262)는 예를 들면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을 따라 연결배관(244)과 방출부(231a)와 농도유지탱크(2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내부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내부플레이트(264)는 예를 들면 내부본체(262)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이 내부본체(262)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어부(214)가 내부플레이트(264)를 제 1 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내부유로(266)의 양단부가 내부본체(262)의 내부연통홀을 통하여 연결배관(244) 및 농도유지탱크(232)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 2 내부유로(268)는 방출부(231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된다. 또한, 제어부(214)가 내부플레이트(264)를 제 2 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내부유로(266)의 일단부 및 제 2 내부유로(268)가 내부본체(262)의 내부연통홀을 통하여 농도유지탱크(232) 및 방출부(231a)와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부(213)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214)는 외부플레이트(254)를 회전시켜서 제 1 외부유로(256)의 양단부가 외부공급배관(240)과 방출배관(242)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 2 외부유로(258)는 연결배관(244)의 반대 방향에 위치된다. 그 후, 화재진압밸브(212a)를 오픈시키면 화재진압탱크(21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외부연결밸브(250)의 제 1 외부유로(256)를 지나 노즐(211)로 공급되어, 노즐(211)을 통하여 방호구역의 화재방호물(10)로 소화가스가 방출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외부연결밸브가 방출배관 및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연결밸브가 농도유지탱크와 연결배관과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14)는 내부플레이트(264)를 회전시켜서 제 1 내부유로(266)의 양단부가 연결배관(244) 및 농도유지탱크(232)와 각각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14)는 외부플레이트(254)를 회전시켜서 제 1 외부유로(256)의 일단부 및 제 2 외부유로(258)가 연결배관(244) 및 방출배관(242)과 각각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내부연결밸브(260)의 제 1 내부유로(266)와, 외부연결밸브(250)의 제 1 외부유로(256) 및 제 2 외부유로(258)를 지나 노즐(211)로 공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내부연결밸브가 농도유지탱크와 방출부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214)는 내부플레이트(264)를 회전시켜서 제 1 내부유로(266)의 일단부 및 제 2 내부유로(268)가 농도유지탱크(232) 및 방출부(231a)와 각각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내부연결밸브(260)의 제 1 내부유로(266) 및 제 2 내부유로(268)를 지나 방출부(231a)로 공급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14)는 화재감지부(213)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방호구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200), 방호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 8과 같이 외부연결밸브(250)를 제 1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 1 외부유로(256)의 양단부가 제 1 외부유로(256) 및 방출배관(242)과 연결되도록 한 후(S210), 화재진압밸브(212a)를 오픈시킨다(S220). 그러면 화재진압탱크(21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외부공급배관(240), 제 1 외부유로(256) 및 방출배관(242)을 지나 노즐(211)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노즐(211)에서 소화가스가 방호구역으로 분사되어 방호구역의 화재를 진압한다.
그 후, 제어부(214)는 제 1 농도측정센서(220)를 작동시켜서(S230), 제 1 농도측정센서(220)로부터 제 1 소화 농도를 전달받도록 하여, 제 1 농도측정센서(22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소화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S240), 도 9와 같이 내부연결밸브(260)를 제 1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 1 내부유로(266)의 양단부가 연결배관(244) 및 농도유지탱크(232)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S250), 외부연결밸브(25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 1 외부유로(256)의 일단부 및 제 2 외부유로(258)가 연결배관(244) 및 방출배관(242)과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S260). 그러면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제 2 내부유로(268), 연결배관(244), 제 1 외부유로(256), 제 2 외부유로(258) 및 방출배관(242)을 지나 노즐(211)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노즐(211)에서 소화가스가 방호구역의 중앙 부분 즉, 화재방호물(10) 주변으로 추가적으로 연장 분사되어 방호구역의 화재방호물(10) 주변의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제어부(214)는 제 2 농도측정센서(222)를 작동시켜서(S270), 제 2 농도측정센서(222)로부터 제 2 소화 농도를 전달받도록 하여, 제 2 농도측정센서(222)로부터 전달받은 제 2 소화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S280), 도 10과 같이 내부연결밸브(26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 1 내부유로(266)의 일단부 및 제 2 내부유로(268)가 농도유지탱크(232) 및 방출부(231a)와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S290). 그러면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제 1 내부유로(266) 및 제 2 내부유로(268)를 지나 방출부(231a)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방출부(231a)에서 소화가스가 화재방호물(10)의 중간 지점으로 방출되어, 화재방호물(10)의 중간 지점의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S280단계에서, 농도유지장치(230)가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되므로, 제어부(214)는 각각의 농도유지장치(230)에 설치되는 각각의 제 2 농도측정센서(222)로부터 제 2 소화 농도를 전달받고, 각각의 영역에 대한 제 2 소화 농도를 개별적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복수의 영역 중 해당 영역의 제 2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214)는 S290단계에서, 해당 영역에 설치되는 농도유지장치(230)와 연결된 내부연결밸브(260)를 제 2 위치로 이동시켜서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 가스가 해당 영역으로 연장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화재방호물(10)의 상측 지점의 소화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측정센서(220) 및 화재방호물(10)의 중간 지점의 소화농도를 측정하는 제 2 농도측정센서(222)를 구비하므로, 방호구역의 화재방호물(10) 주변의 상측 및 중간 지점의 소화농도가 전반적으로 기설정된 농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호구역의 전 지역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연결밸브(250)를 이용하여 외부공급배관(240), 방출배관(242) 및 연결배관(244) 중 2개의 배관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내부연결밸브(260)를 이용하여 농도유지탱크(232), 방출부(231a) 및 연결배관(244) 중 2개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화재진압탱크(212)의 소화가스를 노즐(211) 방향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고, 농도유지탱크(232)의 소화가스를 노즐(211) 방향 또는 방출부(231a) 방향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의 농도유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소화설비(210)와 농도유지장치(230)가 상호 연동되지 않는 것으로, 농도유지장치(230)에서 바로 소화약제가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2231) 내부에 구비되는 농도유지탱크(232)와 배출부(231a) 사이는 내부연결관(27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214)는 제 2 농도측정센서(222)로부터 전달받은 제 2 소화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농도유지밸브(232a)를 오픈시켜서 농도유지탱크(232)에 충전된 소화가스가 내부연결관(270)을 지나 방출부(231a)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방출부(231a)에서 소화가스가 화재방호물(10)의 중간 지점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소화약제연장방출시스템
110: 소화설비 111: 노즐
112: 화재진압탱크 113: 화재진압밸브
114: 연결배관 115: 화재감지부
116: 제어부 120: 농도유지장치
121: 하우징 121a: 방출부
122: 농도측정센서 123: 농도유지탱크
124: 농도유지밸브 125: 예비전원부
126: 온도센서 130: 출력부
200: 소화약제연장방출시스템
210: 소화설비 211: 노즐
212: 화재진압탱크 212a: 화재진압밸브
213: 화재감지부 214: 제어부
220: 제 1 농도측정센서 222: 제 2 농도측정센서
230: 농도유지장치 231: 하우징
231a: 방출부 232: 농도유지탱크
232a: 농도유지밸브 240: 외부공급배관
242: 방출배관 244: 연결배관
250: 외부연결밸브 252: 외부본체
254: 외부플레이트 256: 제 1 외부유로
258: 제 2 외부유로 260: 내부연결밸브
262: 내부본체 264: 내부플레이트
266: 제 1 내부유로 268: 제 2 내부유로
270: 내부연결관

Claims (7)

  1.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는 화재진압탱크와, 방호구역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있어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농도유지탱크를 갖는 농도 유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도유지탱크는 상기 방출부를 통하여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농도유지탱크가 방호구역으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2. 삭제
  3.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는 화재진압탱크와, 방호구역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있어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방호구역 내부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농도유지탱크를 갖는 농도 유지 장치를 포함하고,
    방호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이상인 경우, 방호구역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4. 건물 내부의 방호구역에 설치되어 소화 가스를 방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소화 가스를 공급하는 화재진압탱크와, 상기 화재진압탱크와 연결되는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 위치되는 방출배관과, 방호구역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에 있어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화재방호물의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의 일측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측정센서;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화재방호물의 타측에 설치되어 화재방호물의 타측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화 농도를 측정하는 제 2 농도측정센서;
    상기 화재방호물과 이격되도록 방호구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방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며 소화 가스가 충전되는 농도유지탱크를 갖는 농도유지장치;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방출배관 사이에 위치되는 외부연결밸브;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방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연결밸브; 및
    상기 외부연결밸브와 상기 내부연결밸브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결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연결배관 또는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방출배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내부연결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방출부 또는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연결배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연결밸브가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방출배관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제 1 농도측정센서가 측정한 소화 농도 또는 상기 제 2 농도측정센서가 측정한 소화 농도에 따라 상기 외부연결밸브 또는 상기 내부연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에 충전된 소화 가스가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방출부로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화재방호물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농도측정센서는 상기 화재방호물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농도측정센서는 상기 화재방호물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한 이후, 상기 제 1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내부연결밸브가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연결밸브가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방출배관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진압탱크가 상기 노즐로 소화가스를 공급한 이후, 상기 제 2 농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소화 농도가 기설정된 소화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내부연결밸브가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상기 방출부를 연결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농도유지탱크가 상기 방출부로 소화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밸브는, 상기 외부공급배관과 상기 방출배관과 상기 연결배관 사이에 위치되는 외부본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외부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부유로와,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 1 외부유로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외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연결밸브는, 상기 연결배관과 상기 방출부와 상기 농도유지탱크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본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내부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유로와,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 1 내부유로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외부유로의 양단부가 상기 외부공급배관 및 상기 방출배관과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유로의 일단부 및 상기 제 2 외부유로가 상기 연결배관 및 상기 방출배관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내부유로의 양단부가 상기 연결배관 및 상기 농도유지탱크와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내부유로의 일단부 및 상기 제 2 내부유로가 상기 농도유지탱크 및 상기 방출부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KR1020200078433A 2020-06-26 2020-06-26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KR10219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3A KR102190155B1 (ko) 2020-06-26 2020-06-26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3A KR102190155B1 (ko) 2020-06-26 2020-06-26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155B1 true KR102190155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33A KR102190155B1 (ko) 2020-06-26 2020-06-26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1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464B1 (ko) * 2017-03-02 2017-11-15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발전소 가스소화설비 설계농도 측정 및 유지 장치
KR101904835B1 (ko) 2017-10-26 2018-10-15 주식회사 페스텍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안전 소화 시스템용 통합제어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464B1 (ko) * 2017-03-02 2017-11-15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발전소 가스소화설비 설계농도 측정 및 유지 장치
KR101904835B1 (ko) 2017-10-26 2018-10-15 주식회사 페스텍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안전 소화 시스템용 통합제어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ES2684329T3 (es) Central de control y procedimiento para la activación de dos dispositivos suministradores de agente extintor
CN110102001B (zh) 一种消防联动控制系统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US6952169B1 (en) Cordless/wireless automatic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KR20170028680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4261A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2190155B1 (ko)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JP3397382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WO2004098718A1 (en) Combined water spray fire protection system using common piping with gaseous fire protection system
CN216053244U (zh) 燃气轮机发电机组的火灾防护系统
JP2000140142A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装置
KR102298824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JP3948858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CN215741507U (zh) 换电站的消防系统
RU2066217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CN217391436U (zh) 一种自动灭火集装箱岸桥电气房
JP2019205815A (ja) 消火設備
Yusoff et al. Case study on Designing a Comprehensive Fire Protection System for KY Power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