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36B1 -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36B1
KR102466536B1 KR1020210146442A KR20210146442A KR102466536B1 KR 102466536 B1 KR102466536 B1 KR 102466536B1 KR 1020210146442 A KR1020210146442 A KR 1020210146442A KR 20210146442 A KR20210146442 A KR 20210146442A KR 102466536 B1 KR102466536 B1 KR 102466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operation uni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규
엄유진
이준
배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텍
Priority to KR102021014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6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thermally-expansible l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의 배터리모듈 장비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수납공간 내의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EQUIPMENT ATTACH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의 배터리모듈 장비 내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은 장치 또는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쓰이는 장치를 축압기라 하고, 더 넓은 범위의 시스템 전체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이라고 한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건전지나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소형 배터리도 전기에너지를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지만 이런 소규모 전력 저장 장치를 ESS라고 말하지는 않고, 일반적으로 수백 kWh 이상의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을 ESS라고 한다.
에너지 저장은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저장과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물리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양수발전과 압축공기저장, 플라이 휠 등을 들 수 있으며,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리튬이온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이 있다. 배터리 형식의 ESS를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ESS라고 하면 BESS를 말한다.
이러한 ESS는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높은 장점으로 인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전력소모량이 많은 산업시설, 아파트 등과 같은 시설에 ESS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전해액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과충전 시 과전류 및 과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폭발이나 발화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ESS는 화재 발생 시 빠른 화재 확산속도로 인해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으며, 특히, 일반화재와 다른 독특한 화재 양상으로 인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적절한 소화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8280(공개일: 2020.10.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의 배터리모듈 장비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수납공간 내의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는, 본체부의 수납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자동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열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가 구비되는 화재감지부;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화재로 판단 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제1소화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를 통해 열이나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화재 발생 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화작동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부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는, 상기 화재감지부 또는 제1소화작동부의 미작동 시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방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방출구를 통해 축압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제2소화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소화작동부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가 구비되는 파우치본체; 및 상기 배출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파우치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재가 대응되게 배치 및 부착되어 상기 방출구를 막아주며, 화재 발생 시 큐리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가 자성을 잃어 상기 방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해주는 소화약제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파우치본체의 일면에 제1케이스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파우치본체의 타면에 제2케이스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본체의 방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소화작동부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구비되는 파우치본체; 상기 배출공에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유입구와 방출구가 구비되는 고정몸체; 상기 방출구를 막아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 및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유입구에서 방출구를 향해 상기 밀폐부재의 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해주는 유동자와, 상기 밀폐부재의 타면을 지지 고정해주며 화재 발생 시 온도변화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밀폐부재의 지지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방출구를 개방시켜주는 화재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방출구를 통해 상기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해주는 소화약제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부재는, 상기 방출구 내주면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타면을 지지 고정해주고 화재 발생 시 소정 온도에서 변형되면서 상기 끼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측이 개구된 'C' 형상의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자의 외주면에는 상기 방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의 단턱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유동자가 돌출되는 방향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방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 내에 구비된 배터리셀의 케이스를 뚫어주어 상기 배터리셀 내부에 소화약제를 직접 방출할 수 있도록 절단날;이 구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는, 배터리모듈 장비의 수납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감지부를 통해 수납공간 내의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화재로 판단 시 제1소화작동부에서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부 또는 제1소화작동부의 미작동 시 온도 변화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보조 소화수단인 제2소화작동부를 구비하여 비상 상황을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소화작동부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소화작동부의 작동상태도 및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소화작동부의 저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0)의 수납공간(S) 내에서 화재 발생 여부 감지 및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1)는, 화재감지부(100), 제어부(200), 제1소화작동부(300), 제2소화작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감지부(100)는 본체부(10)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S) 내에서 열이나 연기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재감지부(100)는 수납공간(S) 내의 열을 측정하는 온도센서(110)와, 상기 수납공간(S) 내의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10)와 연기감지기(120)는 기존에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200)는 화재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측정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화재감지부(100)를 통해 열이나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의 측정치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화재 발생 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감지부(100)에서 측정된 열이나 연기의 측정치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로 판단된 경우 후술할 제1소화작동부(300)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소화작동부(300)는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제어부(200)에서 화재로 판단 시 수납공간(S) 내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소화작동부(300)는 본체부(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311)이 구비되는 공급배관(310)과, 상기 공급배관(310)에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 경우 상기 공급배관(310)은 외부의 소화약제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소화약제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노즐(311)은 본체부(10)의 수납공간(S) 내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해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소화작동부(400)는 화재감지부(100) 또는 제1소화작동부(300)의 미작동 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비상 소화작동수단으로, 이러한 제2소화작동부(400)는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저절로 방출구(411)가 개방되면서 방출구(411)를 통해 축압된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다. 즉 제2소화작동부(400)는 별도의 온도센서(110)와 연기감지기(120)가 불필요하며, 제어부(200)의 제어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소화작동부(400)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411)가 구비되는 파우치본체(410)와, 상기 방출구(411)를 사이에 두고 파우치본체(410)의 일면과 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재(M)가 대응되게 배치 및 부착되어 방출구(411)를 막아주며 화재 발생 시 큐리온도의 변화에 따라 자석부재(M)가 자성을 잃어 방출구(411)가 개방되면서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해주는 소화약제 방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본체(410)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테두리가 실링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접착제 또는 열압착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본체(41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약제 방출부(420)는 파우치본체(410)의 방출구(411)을 사이에 두고 파우치본체(410)의 일면과 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재(M)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자석부재(M)는 자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러한 자석부재(M)는 자력에 의해 파우치본체(410)의 일면과 타면이 서로 부착되면서 방출구(411)을 막아 밀폐시킬 수 있다(도 5a 참조).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M)는 화재 발생 시 자석부재(M)가 큐리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자성을 잃어 서로 떨어지게 된다(도 5b 참조). 소화약제 방출부(420)는 이와 같은 자석부재(M)의 큐리 온도를 이용한 것으로, 한 쌍의 자석(M)이 자성을 잃어 떨어지게 되면 방출구(411)가 개방되면서 파우치본체(4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방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도 5c 참조).
참고로,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는 자성을 가진 물질이 특정한 온도에서 고유한 자성을 잃게 되는 임계온도를 말한다. 물질 내에 존재하는 자기 쌍극자 모멘트는 물질마다 고유한 정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기 쌍극자 모멘트의 정렬 구조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 달라지는데, 퀴리 온도에 도달하면 물질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 정렬 구조가 변화하여 고유한 자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자석부재(M)는 파우치본체(410)의 일면에 제1케이스(42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제1자석(M1)과, 상기 파우치본체(410)의 타면에 제2케이스(423)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제2자석(M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석부재(M)는 페라이트(Ferrite), 사마륨(Samarium), 알니코(Alnico), 네오디뮴(Neodymium)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복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자석(M2)은 파우치본체(410)의 방출구(411)와 연통되는 배출공(M2-1)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자석(M2)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케이스(421)와 제2케이스(423)는 자석부재(M)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케이스(421)와 제2케이스(423)는 접착제 또는 열압착을 통해 파우치본체(410)에 일체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423)에는 제2자석(M2)의 배출공(M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회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관통 형성된 복수의 분사유로(4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케이스(423)에 소정각도 기울어진 복수의 분사유로(425)를 구비해줌에 따라, 상기 배출공(M2-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소화약제를 소정 각도 범위로 회전 방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 내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소화작동부(400)는 제1소화작동부(3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소화작동부(300)로부터 소화약제가 분사 시 이를 가로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d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자석부재(M)가 구비된 파우치본체(410) 주변의 상부시트(410a)와 하부시트(410b)의 내부 대향면에는 스프링(427)이 압축된 상태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427)이 적용된 구조를 통해,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자석부재(M)가 자성을 잃어버리는 순간 압축되었던 스프링(427)이 원상복귀되면서 상부시트(410a)와 하부시트(410b)를 서로 밀어 벌려줌으로써 제1자석(M1)과 제2자석(M2)이 좀 더 빨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출구(411)를 통해 소화약제를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427)이 상부시트(410a)와 하부시트(410b)의 대향면 사이에 개재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스프링(427)이 제1케이스(421)와 제2케이스(423)의 접합면 부위에 개재된 경우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소화작동부(400)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411)가 구비되는 파우치본체(410)와, 상기 방출구(411)에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유입구(431)와 배출구(433)가 구비되는 고정몸체(430)와, 상기 배출구(433)를 막아 밀폐시켜주는 밀폐부재(440)와, 평상 시 배출구(433)를 막아 밀폐시키고 화재 발생 시 배출구(433)를 개방하여 파우치본체(410) 내에 축압된 소화약제를 배출구(433)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소화약제 방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약제 방출부(450)는 고정몸체(430)의 내부 수용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453)를 매개로 유입구(431)에서 배출구(433)를 향해 밀폐부재(440)의 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해주는 유동자(451)와, 상기 밀폐부재(440)의 타면을 지지 고정해주며 화재 발생 시 온도변화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밀폐부재(440)의 지지 고정력이 해제되어 배출구(433)를 개방시켜주는 화재감지부재(4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부재(455)는 평상 시 배출구(433) 내주면의 끼움홈(437)에 끼움 결합(확장)되어 밀폐부재(440)의 타면을 지지 고정해주고, 화재 발생 시 소정 온도에서 변형(오므려짐)되면서 끼움홈(437)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측이 개구된 'C' 형상의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자(451)의 외주면에는 배출구(43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고정몸체(430) 내의 단턱(435)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452)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동자(451)가 돌출되는 방향의 선단에는 탄성부재(453)의 탄성력을 매개로 배출구(43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S) 내에 구비된 배터리셀(11)의 케이스(13)를 뚫어주어 배터리셀(11) 내부에 소화약제를 직접 방출할 수 있도록 절단날(45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화재감지부(100)는 소정의 설비가 구비된 본체부(10)의 수납공간(S) 내에서 열이나 연기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어부(200)는 화재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화재로 판단 시 제1소화작동부(300)의 개폐밸브(320)를 개방한다.
개폐밸브(320)가 개방됨에 따라 공급배관(310)을 따라 소화약제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소화약제는 복수의 노즐(311)을 통해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만약, 화재감지부(100) 또는 제1소화작동부(300)의 고장에 따른 미작동 시 본체부(10) 내에 구비된 제2소화작동부(400)가 작동할 수 있다. 즉 제2소화작동부(400)는 제어부(200)의 제어와 무관하게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방출구(411)가 개방되고, 개방된 방출구(411)를 통해 축압된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소화작동부(400)가 제1소화작동부(300)의 미작동 시 작동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소화작동부(300)와 제2소화작동부(400)는 경우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10 : 본체부
S : 수납공간 100 : 화재감지부
110 : 온도센서 120 : 연기감지기
200 : 제어부 300 : 제1소화작동부
310 : 공급배관 311 : 노즐
320 : 개폐밸브 400 : 제2소화작동부
410 : 파우치본체 411 : 방출구
420 : 소화약제 방출부 M : 자석부재
M1 : 제1자석 M2 : 제2자석
M2-1 : 배출공 421 : 제1케이스
423 : 제2케이스 425 : 분사유로
430 : 고정몸체 431 : 유입구
433 : 배출구 435 : 단턱
440 : 밀폐부재 450 : 소화약제 방출부
451 : 유동자 452 : 걸림턱
453 : 탄성부재 455 : 화재감지부재
457 : 절단날

Claims (8)

  1. 본체부의 수납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자동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열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가 구비되는 화재감지부;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화재로 판단 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제1소화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는,
    상기 화재감지부 또는 제1소화작동부의 미작동 시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방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방출구를 통해 축압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제2소화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소화작동부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가 구비되는 파우치본체; 및 상기 방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파우치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재가 대응되게 배치 및 부착되어 상기 방출구를 막아주며, 화재 발생 시 큐리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가 자성을 잃어 상기 방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해주는 소화약제 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파우치본체의 일면에 제1케이스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파우치본체의 타면에 제2케이스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본체의 방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를 통해 열이나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화재 발생 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화작동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 부위를 향해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46442A 2021-10-29 2021-10-29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10246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42A KR102466536B1 (ko) 2021-10-29 2021-10-29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42A KR102466536B1 (ko) 2021-10-29 2021-10-29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536B1 true KR102466536B1 (ko) 2022-11-14

Family

ID=8404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442A KR102466536B1 (ko) 2021-10-29 2021-10-29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151Y1 (ko) * 1996-05-27 1999-06-15 김명호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KR20170021965A (ko) * 2015-08-18 2017-03-02 세코스프링클러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헤드
KR101990977B1 (ko) * 2018-10-08 2019-06-20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 시스템
KR101998701B1 (ko) * 2018-05-31 2019-07-10 노불방재 주식회사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KR102154314B1 (ko) * 2019-12-18 2020-09-10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KR20200118280A (ko) 2019-04-04 2020-10-15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151Y1 (ko) * 1996-05-27 1999-06-15 김명호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KR20170021965A (ko) * 2015-08-18 2017-03-02 세코스프링클러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헤드
KR101998701B1 (ko) * 2018-05-31 2019-07-10 노불방재 주식회사 장비부착형 자동 소화 설비 시스템
KR101990977B1 (ko) * 2018-10-08 2019-06-20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 시스템
KR20200118280A (ko) 2019-04-04 2020-10-15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KR102154314B1 (ko) * 2019-12-18 2020-09-10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314B1 (ko)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US8852767B2 (en)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JP4907362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178601B1 (ko)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068036B1 (ko) 감지센서를 통한 보호수단을 구비한 보조배터리 충전 스테이션
US20200101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fire extinguishing through flooding the battery
JP4872034B2 (ja) 密閉型電池
KR20070028228A (ko)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이차전지
KR20200087956A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RU2537134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опасности и сигнализации
KR20160032843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419538B2 (ja) 水素貯蔵システム及び水素貯蔵装置
KR102466536B1 (ko)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20210076424A (ko) 연기거동 특성을 활용한 초기화재 감지가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
KR102466535B1 (ko) 보조 소화수단이 구비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CN210246362U (zh) 移动终端设备充电保护箱
JP6174069B2 (ja) 環境試験装置
KR102331145B1 (ko) 자석 홀더 타입의 배터리모듈용 소화장치
CN216980693U (zh) 储能系统
KR102534429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구조체
KR20210003360A (ko) 가정용 연료전지 연계 이차전지용 폭발방지 에너지 저장장치
KR102336357B1 (ko) 인젝션 노즐 타입의 배터리모듈용 소화장치
EP4451394A1 (en) Energy storage container
KR20220137818A (ko) 트레이드 오프형 화재방지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시스템
KR20240052378A (ko) 배터리 팩의 열폭주 전이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