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151Y1 -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151Y1
KR200145151Y1 KR2019960013267U KR19960013267U KR200145151Y1 KR 200145151 Y1 KR200145151 Y1 KR 200145151Y1 KR 2019960013267 U KR2019960013267 U KR 2019960013267U KR 19960013267 U KR19960013267 U KR 19960013267U KR 200145151 Y1 KR200145151 Y1 KR 200145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valve
valve body
fir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755U (ko
Inventor
송수근
Original Assignee
김명호
한국하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한국하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19960013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151Y1/ko
Publication of KR970060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151Y1/ko

Links

Landscapes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호대상물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와 연결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작동하여 소화약제용기내의 압축 소화약제를 방출시킴으로써 신속한 화재진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몸체와 결합되어 소화약제용기밸브체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된 밸브커버내에 패킹 사이로 위치되는 차단막과 이들을 내장시켜 된 차단막지지구로써 이루어진 밸브개폐부재를 나사결합에 의해 내장설치하고, 상기 차단막은 별도 솔레노이드나 화약 등의 천공수단에 의해 전진 동작되는 절단날에 의해 파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약제의 누수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화재발생시 정확한 작동에 의해 소화약제가 방호대상물로 방출되도록 하여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작동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밸브커버내로 밸브개폐부재를 나사결합 및 해정시키는 단순작업에 의해 밸브개폐수단의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밸브체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제1도는 종래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밸브개폐구조가 적용된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실시예 1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밸브개폐구조가 적용된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실시예 2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A, B부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발췌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1 : 돌출나사부 1,10 : 밸브몸체
3,30 : 파일롯플러그 2,20 : 개폐변
5,50 : 스프링 4,40 : o링
7 : 무시고무 6,60 : 밸브커버
71 : 차단막지지구 70 : 밸브개폐부재
73 ; 차단막 72 : 패킹
82 : 절단날 G : 소화약제용기
F : 화재감지기 V :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
본 고안은 방호대상물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와 연결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작동하여 소화약제용기내의 압축 소화약제를 방출시킴으로써 신속한 화재진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방식을 개선하여서 평상시 소화약제 누출의 염려를 배제하여 화재발생시 정확한 소화약제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립 및 해체가 자유로워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론계열의 소화약제(HARON 1301, HFC-227ea 등)를 이용한 소화설비에 있어서, 이러한 소화약제가 내장된 소화약제용기와 연결되어 이를 화재발생시 자동방출시키도록 된 소화약제용기밸브체는 종래 적은 구경을 갖는 밸브를 채택하여 왔으나,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진화를 필요로 하는 근래에는 화재감지기로부터 10초 이내에 소화약제를 방출시키기 위해 밸브체의 규격이 커짐과 동시에 여러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소화약제용기밸브체 중 대표적인 일례가 제1도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하부측이 소화약제용기(G)에 결합되고, 미도시된 분사구와 연결되는 돌출나사부(1a)가 일측으로 형성된 밸브몸체(1) 내부로 압력유지 기능을 갖는 파일롯플러그(3) 및, 상기 파일롯플러그(3)와 나사결합되어 o링(4)에 의해 기밀유지된 상태에서 소화약제의 차폐기능을 수행하는 개폐변(2)이 각각 내장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1) 상부로 무시고무(7)가 내장설치된 밸브커버(6)가 결합되되 상기한 개폐변(2)과 밸브커버(6) 사이에는 스프링(5)이 개재되어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V)를 이루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재발생시 미도시된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의 작동봉(미도시됨)이 동작되어 개폐밸브(6)에 내장설치된 무시고무(7)를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이 무시고무(7)가 눌려져 밸브체(1)내의 소화약제가 외부로 누출되면 스프링(5) 및 개폐변(2), 파일롯플러그(3) 등에 의해 진공상태에서 적정압력으로 유지되고 있던 소화약제용기밸브체(V) 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 소화약제용기(G)와의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화약제용기(G)내의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개폐변(2)을 상부로 들어올리며 빠져나가 밸브몸체(1)의 돌출나사부(1a)와 연결설치되는 분사구(미도시됨)를 통해 방출되어져 방호대상물에 대한 화재진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에서는 밸브몸체(1)내의 압력균형을 깨뜨려 소화약제용기(G)내의 소화약제를 분출시키기 위한 밸브개폐수단으로서 밸브커버(6)내에 무시고무(7)를 내장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무시고무방식은 재질의 특성인 고무의 노화로 인해 기밀유지가 불가능하여 소화약제가 서서히 누출됨으로써 화재발생시 감지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소화설비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무시고무를 교환하거나 수리할 경우에도, 이를 위해 무시고무(7)를 조립, 해제해주는 작업공수가 상당히 까다로워 소화약제용기밸브체(1)의 사용편리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특히 밸브몸체와 결합되어 소화약제용기밸브체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된 밸브커버내에 패킹 사이로 위치되는 차단막과 이들을 내장시켜 된 차단막지지구로써 이루어진 밸브개폐부재를 나사결합에 의해 내장설치하고, 상기 차단막은 별도 솔레노이드나 화약 등의 천공수단에 의해 전진 동작되는 절단날에 의해 파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약제의 누수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화재발생시 정확한 작동에 의해 소화약제가 방호대상물로 방출되도록 하여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작동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밸브커버내로 밸브개폐부재를 나사결합 및 해정시키는 단순작업에 의해 밸브개폐수단의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밸브체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이 소화약제용기(G)에 결합되고 분사구와 연결되는 돌출나사부(11)가 일측으로 형성된 밸브몸체(10) 내부로 압력유지기능을 갖는 파일롯플러그(30) 및, 상기 파일롯플러그(30)와 나사결합되어 o링(40)에 의해 기밀유지된 상태에서 소화약제의 차폐기능을 수행하는 개폐변(20)이 각각 내장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10) 상부로 소정의 밸브커버(60)가 결합되되 상기한 개폐변(20)과 밸브커버(60) 사이에는 스프링(50)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에 있어서, 외주연에 나사부(71a)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71b)으로는 소정위치에 구획된 일정 두께의 걸림턱(71C)이 돌출되는 차단막지지구(71)를 형성하고, 관통공(7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패킹(72) 사이에 박판상의 차단막(73)이 위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상기 차단막지지구(71)내의 걸림턱(71C)에 걸려지도록 끼움설치하여 된 밸브개폐부재(70)로 별도 구비한다. 이때 상기한 차단막(73)의 재질로는 금속이 바람직하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화되거나 기타 형상변형 등의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재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밸브개폐부재(70)의 차단막지지구(71)에 형성된 나사부(71a)를 밸브커버(60)의 나사부와 서로 나사결합시켜 상기 밸브개폐부재(70)가 밸브커버(60)내에 내장설치되어 밸브몸체(10)와 연통된 상태에서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밸브개폐부재(70)는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의 설치조건 및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작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밸브몸체(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된 수직형 밸브커버(61)내에 내장설치하거나, 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밸브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된 수평형 밸브커버(62)내에 내장설치하는 등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의 형태에 구애됨없이 단순한 설계변형에 의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또는 화약 등의 천공수단(80) 의해 동작되는 작동봉(81)상에 결합된 절단날(82)의 전진작동에 의해 상기 차단막(72)이 파괴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로써 83은 와셔를, 84는 연결부재를, 84a는 통공을, F는 화재감지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이 적용되는 소화약제용기밸브체(10)의 설치상태를 우선적으로 살펴본 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화약제가 충진된 상태의 소화약제용기(G)와 밸브몸체(10)를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해 연결한다. 이때, 소화약제용기(G)로부터 분출되는 소화약제는 스프링(50)을 통해 소정압력으로 가압하는 개폐변(20)과 연결설치된 파일롯플러그(30)를 통해 밸브몸체(10)내로 서서히 충진되어 밸브몸체(10) 내부와 소화약제용기(G) 사이의 압력균형이 상호 일치되면 소화약제용기(G)로부터의 소화약제 분출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개폐변(20)은 밸브몸체(10)내에 소화약제가 서서히 충진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스프링(50)에 의해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상태에서 소화약제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밸브몸체(10)내의 상부에는 압축공기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 의해 소화설비가 설치완료된 후 화재가 발생시에는, 화재감지기(F)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또는 화약 등과 같은 천공수단(80)의 작동으로 작동봉(81)은 전진작동되게 되고, 상기 작동봉(81)상에 결합된 절단날(82) 역시 함께 전진작동되어져 밸브개폐부재(70)의 차단막(73)을 파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막(73)이 파괴되면 밸브몸체(10)내에 상부로 형성된 압축공기가 파괴된 상기 차단막(73)을 통해 솔레노이드(80)와 밸브커버(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84)의 통공(84a)을 거쳐 외부로 방출되어진다.
이와같이 압축공기가 방출되면 밸브몸체(10)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한 소화약제용기(G)와의 압력차에 의해 소화약제용기(G)로부터 강한 압력으로 소화약제가 분출되어 개폐변(20) 및 파일롯플러그(30)를 들어올리며 돌출나사부(11)축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분출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은 개폐변(20)을 가압하는 스프링(50)의 가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개폐변(20) 및 파일롯플러그가 동시에 상승되어져 소화약제의 분출통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돌출나사부(11)측으로 분출된 소화약제는 상기 돌출나사부(11)와 연결되는 소정의 미도시된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어 방호대상물의 화재발생부위로 방출되어져 화재를 진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작동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밸브 개폐구조는, 초기 밸브몸체(10)와 소화약제용기(G)와의 결합시 서서히 분출되어 밸브몸체(10)내에 충진된 소화약제의 외부누출은 물론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의 장기간 설치상태 유지시에도 소화약제의 외부누출을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절단날(82)의 전진작동에 의해 차단막(73)의 파괴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신속한 소화약제의 방출을 유도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을 이루는 밸브개폐부재(70)는 밸브커버(60)와 상호 나사결합시켜 주는 단순작업으로써 밸브커버(60)내에 견고히 내장설치되기 때문에 수리 및 교체를 위한 밸브개폐부재(70)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소화약제의 누출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화재발생시 정확한 작동에 의해 소화약제의 방출이 이루어져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작동 및 제품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그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밸브체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 장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소화약제용기(G) 및 분사구와 각각 결합연결되는 밸브몸체(10) 내부에 개폐변(20) 및 이와 결합된 파일롯플러그(3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밸브몸체(10) 상부에 결합된 밸브커버(60)와 접촉되는 스프링(50)이 상기 개폐변(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되, 화재감지기(F)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작동되어 소화약제용기(G)내의 소화약제를 자동방출시키도록 된 통상의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V)에 있어서, 외주연에 나사부(71a)가 형성되고 내부 관통공(71b)으로는 소정위치에 구획된 일정 두께의 걸림턱(71c)이 돌출되는 차단막지지구(71)를 형성하고, 관통공(7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패킹(72) 사이에 박판상의 차단막(73)이 위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상기 차단막지지구(71)내의 걸림턱(71c)에 걸려지도록 끼움설치하여 된 밸브개폐부재(70)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커버(60)내에 내장설치하여 밸브몸체(10)와 연통되도록 하되, 상기 밸브개폐부재(70)의 차단막(73)은 천공수단(80)의 작동봉(81)상에 결합된 절단날(82)의 전진동작에 의해 파괴되어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부재(70)를 수직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수직형 밸브커버(61) 내에 내장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부재(70)를 수평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된 수평형 밸브커버(62) 내에 내장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KR2019960013267U 1996-05-27 1996-05-27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KR200145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267U KR200145151Y1 (ko) 1996-05-27 1996-05-27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267U KR200145151Y1 (ko) 1996-05-27 1996-05-27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755U KR970060755U (ko) 1997-12-10
KR200145151Y1 true KR200145151Y1 (ko) 1999-06-15

Family

ID=6092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267U KR200145151Y1 (ko) 1996-05-27 1996-05-27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1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768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장치
KR102466536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768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장치
KR102543093B1 (ko) * 2020-09-08 2023-06-13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소화기용 밸브장치
KR102466536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75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0512B1 (en) Suppression and isolation system
KR102380502B1 (ko) 위험물 보관장치
US5291952A (en)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US5727586A (en) Reclosing collapsible pin pressure relief valve
KR102253400B1 (ko) 자동 소화 장치
KR100314152B1 (ko) 압력검지밸브가장착된스프레이헤드
JPH11503945A (ja) 消火液による消火装置
KR200145151Y1 (ko)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US9901762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fast evacuation of a pressurized vessel
KR100809864B1 (ko) 소화병의 밸브 조립체
KR102578258B1 (ko) 자동소화기용 밸브장치
US20040182584A1 (en) Fire port with frangible crosshair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JP3045480U (ja) 消火用消火薬剤容器弁体の弁開閉構造
DK174171B1 (da) Ventil til brandslukningsinstallationer
US4476937A (en) Rapid acting two stage pyrotechnic valve for fixed fire extinguishers
US5915506A (en) Emergency stop module for a robot
RU2785569C1 (ru) Пироголовка мембранная
KR200382690Y1 (ko) 소화기용 차압식 가스밸브.
JPH0712382B2 (ja) 湿式の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KR200497344Y1 (ko) 자동소화기용 이산화탄소 실린더밸브
KR102043164B1 (ko) 화재진압 기동시스템
KR200233236Y1 (ko) 가스 소화기의 용기밸브 실링장치
KR102543093B1 (ko) 소화기용 밸브장치
RU46939U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