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400B1 - 자동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400B1
KR102253400B1 KR1020200120779A KR20200120779A KR102253400B1 KR 102253400 B1 KR102253400 B1 KR 102253400B1 KR 1020200120779 A KR1020200120779 A KR 1020200120779A KR 20200120779 A KR20200120779 A KR 20200120779A KR 102253400 B1 KR102253400 B1 KR 10225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ire
sunken
sin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규
Original Assignee
이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규 filed Critical 이대규
Priority to KR102020012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400B1/ko
Priority to KR1020210059549A priority patent/KR2022003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자동 소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 소화 장치는, 소화 용기 및 소화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소화 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제1 배출로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소화기 본체; 제1 배출로에 마련되며 화재 시 소화 용기를 개방시켜 소화 약제를 제1 배출로로 배출시키는 격침부; 및 제1 배출로와 수직되게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제2 배출로에 결합되며 화재 시 파손되는 유리 벌브에 의해 격침부의 걸림을 해제시켜 소화 약제를 방호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로 배출시키는 격침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소화 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방호 공간의 내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며, 작동 시 금속 부속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체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가스형태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자동소화장치(이하 가스자동소화장치라 한다)는 화재 감지부,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용기, 용기를 막고 있는 밸브, 압력확인을 위한 압력게이지로 크게 구성된다.
일반적인 가스자동소화장치는 용기와 밸브의 연결부, 누기를 확인하는 압력계이지 또는 그 연결구, 밸브의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방출구 등 여러 부분에서 누기가 발생할 수 있고, 누기가 발생하면 가스자동소화장치의 기능이 상실된다.
특히, 가스자동소화장치가 설치되는 전기 및 제어 판넬 내부는 전기가 흐르는 관계로 가스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에 전기안전상 위험한 것이 현실이다.
아주 작은 공간에 적용되어지는 가스자동소화장치의 경우 설치장소내에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설치할 수가 없다.
가스자동소화장치를 외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감지부와 방출구가 공간내부에 설치되고 부피가 큰 소화용기는 외부에 설치해야 하는데 그런 구조를 만들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소공간에 적용하는 가스자동소화장치는 저렴해야 하는데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반면 기존의 소화장치는 가스소화장에 또한 가스자동소화장치는 전기판넬 내부에 설치 시 전기 및 제어 판넬내부에 설치는 기기들의 간섭으로 인해 설치할 수 없을 경우 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가스자동소화장치가 작동될 때 전기 및 제어 판네 내부에서 가스자동소화장치로부터 금속 부속이 탈락되어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54675호(육송 주식회사) 2020. 09. 0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방호 공간의 내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며, 작동 시 금속 부속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화 용기 및 상기 소화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소화 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제1 배출로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제1 배출로에 마련되며 화재 시 상기 소화 용기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 약제를 상기 제1 배출로로 배출시키는 격침부; 및 상기 제1 배출로와 수직되게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제2 배출로에 결합되며 화재 시 파손되는 유리 벌브에 의해 상기 격침부의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소화 약체를 방호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로 배출시키는 격침 작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격침부는, 상기 제1 배출로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는 격침 바디; 상기 격침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화재 시 상기 소화 용기를 개방시키는 격침 부재; 및 상기 제1 배출로에 마련되어 상기 격침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침 바디의 외벽에는 스토퍼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 홈에는 상기 격침 작동부의 스토퍼 부재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격침부를 스토핑시킬 수 있다.
상기 격침 부재의 내부는 비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격침 작동부는, 상기 제2 배출로가 마련된 영역에 결합되며 화재 시 소화 약제를 배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된 작동 바디; 상기 제2 배출로에 배치되어 상기 격침부의 격침 바디를 스토핑시키는 스토퍼 부재;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손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리 벌브; 및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를 지지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유리 벌브가 지지되는 시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는 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화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 약제를 가압하는 가스 부재가 채워져 있고, 상기 소화 용기의 배출구에 용접 결합되는 봉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방호 공간의 내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며, 작동 시 금속 부속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화재 시 유리 벌브가 파손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리 벌브의 파손에 의해 소화 약제가 작동 바디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설치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화재 시 유리 벌브가 파손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리 벌브의 파손에 의해 소화 약제가 작동 바디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1)는, 소화기 본체(100)와, 소화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화재시 소화기 본체(100)에 저장된 소화 약제(111)를 배출시키는 격침부(200)와, 소화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화재 시 격침부(200)를 작동시키는 격침 작동부(300)를 구비한다.
소화기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용기(110)와, 소화 용기(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화재 시 소화 약제(111)의 배출 통로로 제공되며 격침부(200)와 격침 작동부(300)가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120)를 포함한다.
소화기 본체(100)의 소화 용기(110)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소화 용기(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약제(111)와 가스 부재(112)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스 부재(112)는 소화 약제(111)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압력을 형성하는 물질로 소화 약제(111)의 가스나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소화 용기(110)의 배출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판(11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봉인판(113)은 소화 용기(110)의 배출구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화 용기(110)에 소화 약제(111)와 가스 부재(112)를 충전 후 소화 용기(110)의 배출구를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봉인판(113)으로 용접하여 밀봉하여 사용하면 봉인판(113)이 손상되거나 부식으로 구멍이 발생하지 않은 한 누기가 발생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화기 본체(100)의 베이스 바디(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용기(110)의 배출구인 하부 영역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격침부(200)가 베이스 바디(12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배출로(121)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로(121)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2 배출로(122)가 마련되며 제2 배출로(122)의 단부에는 격침 작동부(300)의 작동 바디(31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화재 시 소화 용기(110)에서 배출되는 소화 약제(11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로(121)로 먼저 공급되고,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로(122)로 공급되어 작동 바디(31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작동 바디(310)에 마련된 개구부(311)를 통해 작동 바디(3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설치홈(123)이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 예는 설치홈(123)을 통해 방호 공간이나 배전반함 등의 결합 대상물(10)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20)는 본 실시 예를 특정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의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격침 작동부(300)가 결합되는 외벽과 그 반대편 외벽은 편평하고, 도 3을 기준으로 베이스 바디(120)의 가로 길이는 소화 용기(110)의 가로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소화 용기(110)는 배출구의 외벽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의해 베이스 바디(1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격침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20)의 제1 배출로(121)에 마련되며 화재 지 격침 작동부(300)의 해제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판(113)을 뚫어 소화 액제를 제1 배출로(121)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격침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로(12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는 격침 바디(210)와, 격침 바디(2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화재 시 소화 용기(110)의 봉인판(113)을 개방시키는 격침 부재(220)(220)와, 제1 배출로(121)에 마련되어 격침 바디(2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30)를 포함한다.
격침부(200)의 격침 바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에 마련되는 스토퍼 홈(211)에 삽입되는 격침 작동부(300)의 스토퍼 부재(320)에 제1 배출로(121)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격침 작동부(300)의 유리 벌브(330)가 파손되면 스토퍼 부재(320)의 스토핑이 해제되어 봉인판(113)의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격침 바디(210)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침 부재(220)가 결합되는 홀이 마련되고, 이 홀은 격침 바디(210)의 저면부까지 마련되어 소화 약제(111)의 이동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격침 부재(220)가 결합되는 영역의 홀의 직경은 그 하부 영역의 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격침부(200)의 격침 부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침 바디(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화재시 격침 바디(210)와 같이 승강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판(113)을 뚫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격침 부재(220)는 봉인판(113)에 구멍을 내기 위해 단부가 날카롭고 속이 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격침 부재(220)의 속을 비게 한 이유는 소화 약제(111)의 배출 유로를 원활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다. 즉 격침 부재(220)가 봉인판(113)에 구멍을 낼때 격침 부재(220)와 봉인판(113) 사이의 간격이 작아 소화 약제(111)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아 격침 부재(220)의 내부 공간으로 소화 약제(111)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다.
격침부(200)의 탄성 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는 제1 배출로(121)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격침 바디(210)의 저면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0)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격침 작동부(300)에 의해 격침 바디(210)의 스토핑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격침 바디(210)를 봉인판(113)의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격침 작동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로(122)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120)의 영역에 마련되어 화재 시 격침 바디(210)의 스토핑을 해제함과 아울러 제2 배출로(122)를 통해서 배출되는 소화 약제(111)를 내부로 통과시킨 후 격칙 작동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격침 작동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로(122)가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 바디(120)에 결합되며 화재 시 소화 약제(111)를 배출시키는 개구부(311)가 마련된 작동 바디(310)와, 제2 배출로(122)에 배치되어 격침 바디(210)를 스토핑시키는 스토퍼 부재(320)와, 작동 바디(3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손되어 스토퍼 부재(320)를 작동 바디(3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리 벌브(330)와, 작동 바디(3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부는 스토퍼 부재(320)를 지지하고 타측부에는 유리 벌브(330)가 지지되는 시트 헤드(340)와, 작동 바디(310)에 결합되어 유리 벌브(330)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플러그(350)를 포함한다.
격침 작동부(300)의 작동 바디(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로(122)가 마련된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바디(310)의 후방부에는 소화 약제(111)가 배출되는 개구부(311)가 마련될 수 있고, 이 개구부(311)는 작동 바디(310)의 내부에 마련된 내측 공간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 결과 화재 시 소화 용기(110)에서 배출되는 소화 약제(111)는 제1 배출로(121), 제2 배출로(122), 작동 바디(310)의 내측 공간부, 작동 바디(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작동 바디(310)에 마련된 개구부(311)는 시트 헤드(340)와 플러그(350)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되어 화재 시 작동 바디(310)의 외부로 튀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방호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10)의 내부에 마련된 전기 및 제어 부품이 화재시 튀어나올 수 있는 시트 헤드(340)와 플러그(350)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침 작동부(300)의 스토퍼 부재(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화재 시 파손되는 유리 벌브(330)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바디(310)의 내부 공간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격침 바디(210)의 스토핑이 해제되어 격침 바디(210)는 봉인판(113)의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시트 헤드(340)의 선단부를 굴곡지게 마련하여 스토퍼 부재(320)를 대체할 수 있다.
격침 작동부(300)의 유리 벌브(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바디(3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선단부는 시트 헤드(340)의 후방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플러그(350)의 전방부에 지지되며 그 내부에는 화재 시 팽창되는 액체가 들어 있어 파손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헤드(340)와 스토퍼 부재(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50)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격침부(200)는 상승될 수 있다.
격침 작동부(300)의 시트 헤드(340)는, 소화 약제(111)의 유로를 형상하기 위해 외벽에 단턱이 마련되고, 화재시 개구부(311)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보보다 직경이 크고 길이가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격침 작동부(300)의 플러그(3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바디(310)의 후방에 나사 결합되어 유리 벌브(330)의 후방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플러그(350)는 화재시 개구부(311)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보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10)의 패널 내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대상물(10)의 패널 외부에 결합되며 격침 작동부(300)만이 결합 대상물(10)의 내부에 배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동 소화 장치
100 : 소화기 본체 110 : 소화 용기
111 : 소화 약제 112 : 가스 부재
113 : 봉인판 120 : 베이스 바디
121 : 제1 배출로 122 : 제2 배출로
123 : 설치홈 200 : 격침부
210 : 격침 바디 211 : 스토퍼 홈
220 : 격침 부재 230 : 탄성 부재
300 : 격침 작동부 310 : 작동 바디
311 : 개구부 320 : 스토퍼 부재
330 : 유리 벌브 340 : 시트 헤드
350 : 플러그 10 : 결합 대상물

Claims (7)

  1. 소화 용기 및 상기 소화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소화 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제1 배출로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제1 배출로에 마련되며 화재 시 상기 소화 용기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 약제를 상기 제1 배출로로 배출시키는 격침부; 및
    상기 제1 배출로와 수직되게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제2 배출로에 결합되며 화재 시 파손되는 유리 벌브에 의해 상기 격침부의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소화 약제를 방호 공간을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로 배출시키는 격침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침부는, 상기 제1 배출로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는 격침 바디; 상기 격침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화재 시 상기 소화 용기를 개방시키는 격침 부재; 및 상기 제1 배출로에 마련되어 상기 격침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침 부재의 내부는 비어 있고,
    상기 격침 바디에는 상기 격침 부재가 결합되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은 상기 격침 바디의 저면부까지 마련되어 상기 소화 약제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고,
    상기 격침 작동부는, 상기 제2 배출로가 마련된 영역에 결합되며 화재 시 소화 약제를 배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된 작동 바디; 상기 제2 배출로에 배치되어 상기 격침부의 격침 바디를 스토핑시키는 스토퍼 부재;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화재 시 파손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리 벌브; 및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를 지지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유리 벌브가 지지되는 시트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헤드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사이즈로 마련되어 상기 유리 벌브의 파손 시 상기 작동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재 시 상기 소화 용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소화 약제는 상기 제1 배출로, 상기 제2 배출로, 상기 작동 바디의 내측 공간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자동 소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침 바디의 외벽에는 스토퍼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 홈에는 상기 격침 작동부의 스토퍼 부재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격침부를 스토핑시키는 자동 소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볼 형상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 약제를 가압하는 가스 부재가 채워져 있고,
    상기 소화 용기의 배출구에 용접 결합되는 봉인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20200120779A 2020-09-18 2020-09-18 자동 소화 장치 KR10225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79A KR102253400B1 (ko) 2020-09-18 2020-09-18 자동 소화 장치
KR1020210059549A KR20220037936A (ko) 2020-09-18 2021-05-07 자동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79A KR102253400B1 (ko) 2020-09-18 2020-09-18 자동 소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49A Division KR20220037936A (ko) 2020-09-18 2021-05-07 자동 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400B1 true KR102253400B1 (ko) 2021-05-18

Family

ID=761585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779A KR102253400B1 (ko) 2020-09-18 2020-09-18 자동 소화 장치
KR1020210059549A KR20220037936A (ko) 2020-09-18 2021-05-07 자동 소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49A KR20220037936A (ko) 2020-09-18 2021-05-07 자동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3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648A (ko) 2022-07-14 2024-01-23 육송(주) 소공간 자동소화기
KR102628627B1 (ko) 2023-01-05 2024-01-25 (주)대동소방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1193B1 (ja) 2022-12-10 2024-01-11 新三平建設株式会社 消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009371B1 (ko) *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2154675B1 (ko) 2020-02-27 2020-09-10 육송(주) 유리벌브의 파손작동장치를 갖는 소공간용 자동소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009371B1 (ko) *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2154675B1 (ko) 2020-02-27 2020-09-10 육송(주) 유리벌브의 파손작동장치를 갖는 소공간용 자동소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648A (ko) 2022-07-14 2024-01-23 육송(주) 소공간 자동소화기
KR102628627B1 (ko) 2023-01-05 2024-01-25 (주)대동소방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936A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400B1 (ko) 자동 소화 장치
ES2537152T3 (es) Sistema de supresión del riesgo de incendios de gas inerte con auto-modulación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US2017012008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ion system for transportable container
KR102048799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US20180272171A1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WO2019136327A1 (en) Dynamic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80196766A1 (en) Breakaway self-sealing safety valve
KR20170011061A (ko) 압력 챔버 방식의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KR102316190B1 (ko)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JP2016047313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1005253B1 (ko) 화재감지튜브 부착형 자동소화장치
US20160354622A1 (en) Gas detection and fire suppression system for hydrogen salt cavern
KR20220048231A (ko) 자동 소화 장치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KR101433929B1 (ko)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KR102316192B1 (ko)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20200037709A (ko) 전력구 소화설비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JP3934978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645863B1 (ko) 화재발생을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기기
KR100399600B1 (ko) 자동 화재방지장치
KR200145151Y1 (ko)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CN218485053U (zh) 燃气轮机用消防系统气瓶站
CN210228968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嵌入式消防装置
JP3217796U (ja) 自動消火器及び簡易スプリンク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