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929B1 -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929B1
KR101433929B1 KR1020130039974A KR20130039974A KR101433929B1 KR 101433929 B1 KR101433929 B1 KR 101433929B1 KR 1020130039974 A KR1020130039974 A KR 1020130039974A KR 20130039974 A KR20130039974 A KR 20130039974A KR 101433929 B1 KR101433929 B1 KR 10143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mpoule
pipe
fire extinguishing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3003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소화장치의 소화용기에 부취제를 혼합하지 않고 대신에 가스 유동관 도중에 간단한 구조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소화용기에서 이산화탄소가 자동으로 방출될 경우 그 방출 압력에 의해 상기 부취제 방출장치로부터 앰플이 파열되면서 상기 이산화탄소에 부취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ODORIZER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후각 경보장치 중의 하나인 부취제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에 전역방출 방식의 이산화탄소 자동소화장치에서 이산화탄소가 자동으로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후각적인 경보와 함께 이산화탄소의 방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부취제도 함께 방출될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취제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전역방출 방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대형 오피스 빌딩, 공장 등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의 전기실, 발전기실, 기계실, 배터리실, UPS실 등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되는 가장 일반적인 소화설비이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 약제량은 많이 사용되나, 약제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이산화탄소 약제의 특성상 약제가 방출되어도 전기장치 및 기타 기계장치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인 설비의 피해를 주지 않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제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설비의 주요 소화 메카니즘은 밀폐된 실에 방출되어 냉각효과와 더불어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감소시켜 소화시키는 소화 효능이 있으며, 가스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장치는 소화용기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충전되어 화재 발생 시 내부 가스의 팽창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가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소화장치를 통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에서 기체로 존재하므로 방출 후 잔존물이 없으며, 방출 체적이 큰 관계로 기화 잠열로 인한 열 흡수에 의해 냉각 작용이 크며, 공기보다 비중이 커 가스 상태로 물질 심부까지 침투가 용이한 기체이다.
그런데, 상기 이산화탄소는 기화시 온도가 급랭하여 동결의 위험이 상존하는 관계로 정밀 기기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방출 시 드라이아이스 생성으로 시야를 가리게 되어 초기 피난에 장애를 주게 되며, 대표적인 온실가스로서 GWP(지구온난화지수)가 제일 높은 물질로 사용하는데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상기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이므로 오감에 의한 식별이 어렵고, 방출 후 산소농도가 저하되면서 질식의 위험이 있으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리적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하에 위치한 전기실 등에서는 오작동에 의한 방출 사고가 발생하여 사망사고 등의 인명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방출된 이후 지하 공간에서는 환기가 되지 않아 방출된 이산화탄소가 방출된 전기실의 옆 공간 및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특별한 계측기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이산화탄소의 존재 자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소화용기 내에 충전된 이산화탄소에 냄새나는 물질인 부취제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방출 시에 상기 부취제가 함께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위험성을 후각으로서 경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 소화용기의 제조 시에 개별적으로 상기 부취제를 주입하여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7534호(2004.04.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소화장치의 소화용기에 부취제를 혼합하지 않고 대신에 가스 유동관 도중에 간단한 구조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소화용기에서 이산화탄소가 자동으로 방출될 경우 그 방출 압력에 의해 상기 부취제 방출장치로부터 앰플이 파열되면서 상기 이산화탄소에 부취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는, 자동소화설비에 설치된 소화용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방호구역마다 배치되는 가스 유동관의 임의의 위치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소화용기로부터 방출되는 소화가스에 부취제를 혼합시켜 외부로 분사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부취제가 저장되는 앰플(ampoule);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타측이 가스 유동관에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앰플이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앰플 수용관; 상기 가스 유동관과 앰플 사이에 설치되며, 가스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재를 포함하되, 상기 앰플은 상기 가스 유동관으로 공급된 소화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고, 이동하는 방향의 폐쇄된 벽체에 부딪혀 여러 조각으로 파열됨으로써 내부의 부취제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앰플 수용관은,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가스 유동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동관에 교차하게 연통되는 연통관에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관과 상기 연결관의 대응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연통관과 연결관이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O-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내측면에는 상기 앰플을 지지하는 고정 링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재는 상기 연통관의 상부와 상기 연결관의 하부 사이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단턱요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통관에 고정 너트를 통해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앰플 수용관의 외측면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앰플의 바닥면은 상기 이산화탄소의 방출 압력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솟아 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앰플 수용관은, 양단이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는 배관 캡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관의 개방된 일단과 상기 배관 캡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앰플에 대한 고정 링의 고정 압력은 상기 소화가스의 방출 압력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에 의하면, 자동소화설비의 가스 유동관의 임의의 위치에 간단한 구조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소화용기에 개별적으로 부취제를 혼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부취제 방출장치의 앰플 수용관 내에 부취제가 저장되어 있는 앰플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휴대 시 흔들림으로 인한 상기 앰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앰플과 상기 가스 유동관 사이에 가스통공이 형성된 고정판재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앰플의 파열 시 앰플의 유리 조각이 가스 유동관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전역방출방식의 자동소방설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자체에 설치되는 자동소방설비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100)와, 고압의 소화가스(이하, '이산화탄소'라고 한다)를 저장하는 다수의 소화용기(200)와, 상기 소화용기(200)로부터 가스방출배관(미도시)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방호구역마다 배치되는 가스 유동관(300)과, 상기 가스 유동관(30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용기(200) 내의 이산화탄소를 화재 장소에 분사하는 분사 노즐(400) 및, 각종 밸브(50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용기(200)는, 상기 감지기(100)에 의해 화재 감지시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밸브장치(미도시)가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소화용기(200) 내부에 압축되어 저장되는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상기 가스 유동관(300)으로 방출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취제 방출장치(A)는 자동소화설비에 설치된 소화용기(200)와 연결되는 가스 유동관(300)의 임의의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용기(200)로부터 방출되는 무색, 무취의 이산화탄소에 냄새나는 물질로 이루어진 부취제를 혼합시켜 상기 분사 노즐(400)을 통해 외부로 분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취제의 냄새를 맡은 사람들로 하여금 화재 발생을 인식토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취제 방출장치(A)는 상기 가스 유동관(3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동관(300)에 교차하게 연통되는 연통관(310)에 밀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취제 방출장치(A)는, 내부에 부취제가 저장되는 앰플(ampoule,10)과,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타측이 상기 연통관(310)에 실링 상태로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앰플(10)이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앰플 수용관(20)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앰플(10) 내에 저장되는 부취제는 상기 소화용기(200)에서 저장되는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냄새로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첨가제로써 다양한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부취제는 첨가제의 성분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거나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앰플 수용관(20) 내에 수용되는 앰플(10)은, 상기 부취제가 저장되어 밀폐되는 파열되기 쉬운 유리 재질의 소형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앰플 수용관(20) 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앰플 수용관(20) 내에 수용되는 앰플(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산화탄소의 방출 압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되고, 내부의 부취제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방향의 폐쇄된 벽체에 부딪혀 여러 조각으로 파열된다.
이때, 상기 앰플(10)의 바닥면은 상기 이산화탄소의 방출 압력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솟아 오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앰플 수용관(20)은 상기 연통관(3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정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관(40)을 매개로 상기 연통관(310)에 연결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앰플 수용관(20)은 상기 연통관(310)이 연결되는 개방 부위에 대향하는 일측이 폐쇄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단이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관통관(21)과, 상기 관통관(21)의 개방된 일단을 나사 체결하여 폐쇄하는 배관 캡(2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연통관(310)에 고정 너트(70)를 통해 나사 체결되어 실링 상태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앰플 수용관(20)의 외측면에 나사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통관(310)과 상기 연결관(40)의 대응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연통관(310)과 연결관(40)이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O-링(5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용기(200)로부터 고압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가 가스 유동관(300)을 통해 연통관(310)으로 분기되며, 누설되지 않는 상태로 오직 앰플 수용관(20) 쪽으로만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연통관(310)의 상부와 상기 연결관(40)의 하부 사이의 내측 둘레 면에는 환 형상의 단턱요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턱요홈(32)에는 다수의 가스 통공(31)이 형성된 고정판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재(30)는 상기 앰플(10)이 그 위에 교차하게 지지 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가스 통공(31)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해 파열된 앰플(10)이 가스 유동관(30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앰플(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재(30) 위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관(4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링(60)에 의해 지지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링(60)에 의해 상기 연결관(40)에 고정되는 앰플(10)은 휴대 시 흔들림으로 인한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앰플(10)에 대한 고정 링(60)의 고정 압력은 상기 이산화탄소의 방출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앰플(10)이 상기 고정 링(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반면,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용기(20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방출 시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방출 압력에 의해 상기 앰플(10)이 고정 링(6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앰플 20 : 앰플 수용관
21 : 관통관 30 : 고정판재
31 : 가스 통공 32 : 단턱요홈
40 : 연결관 50 : O-링
60 : 고정 링

Claims (10)

  1. 자동소화설비에 설치된 소화용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방호구역마다 배치되는 가스 유동관의 임의의 위치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소화용기로부터 방출되는 소화가스에 부취제를 혼합시켜 외부로 분사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부취제가 저장되는 앰플(ampoule);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타측이 가스 유동관에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앰플이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가스 유동관에 교차하게 연통되는 연통관에 밀폐되도록 구성된 앰플 수용관;
    내측면에 상기 앰플을 지지하는 고정 링이 설치되며 상기 앰플 수용관이 가스 유동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관; 및,
    상기 가스 유동관과 앰플 사이에 설치되며, 가스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재를 포함하되,
    상기 앰플은 상기 가스 유동관으로 공급된 소화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고, 이동하는 방향의 폐쇄된 벽체에 부딪혀 여러 조각으로 파열됨으로써 내부의 부취제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앰플에 대한 고정 링의 고정 압력은 상기 소화가스의 방출 압력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과 상기 연결관의 대응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연통관과 연결관이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O-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재는 상기 연통관의 상부와 상기 연결관의 하부 사이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단턱요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통관에 고정 너트를 통해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앰플 수용관의 외측면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의 바닥면은 상기 소화가스의 방출 압력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솟아 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용관은, 양단이 연통된 상태로 개방된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는 배관 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의 개방된 일단과 상기 배관 캡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10. 삭제
KR1020130039974A 2013-04-11 2013-04-11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KR10143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74A KR101433929B1 (ko) 2013-04-11 2013-04-11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74A KR101433929B1 (ko) 2013-04-11 2013-04-11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929B1 true KR101433929B1 (ko) 2014-08-29

Family

ID=5175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974A KR101433929B1 (ko) 2013-04-11 2013-04-11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9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077A (ko) * 2019-01-22 2020-07-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KR20200093299A (ko) 2019-01-28 2020-08-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안전장치
KR20230154707A (ko) 2022-05-02 2023-11-09 엄태평 가스 소화설비의 후각경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58A (ja) * 1994-07-11 1996-01-30 Koatsu:Kk ガス系の消火設備における付臭装置
JPH09108377A (ja) * 1995-10-16 1997-04-28 Hatsuta Seisakusho:Kk ガス系消火装置
JP4348382B2 (ja) * 2007-01-30 2009-10-21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臭気発生警報装置
KR20130046146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엘엔피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58A (ja) * 1994-07-11 1996-01-30 Koatsu:Kk ガス系の消火設備における付臭装置
JPH09108377A (ja) * 1995-10-16 1997-04-28 Hatsuta Seisakusho:Kk ガス系消火装置
JP4348382B2 (ja) * 2007-01-30 2009-10-21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臭気発生警報装置
KR20130046146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엘엔피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077A (ko) * 2019-01-22 2020-07-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KR102171927B1 (ko) * 2019-01-22 2020-10-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KR20200093299A (ko) 2019-01-28 2020-08-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안전장치
KR20230154707A (ko) 2022-05-02 2023-11-09 엄태평 가스 소화설비의 후각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93902T7 (es) Método de inertización para la prevención y extinción de incendios en espacios cerrados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433929B1 (ko)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RU2595990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й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11406855B2 (en) Dynamic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i'hereof
US6952169B1 (en) Cordless/wireless automatic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20190130862A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253400B1 (ko) 자동 소화 장치
KR101503705B1 (ko) 양압형 방폭장치
JP2007068605A (ja) 風力発電設備用自動消火システム
EP2987404A1 (en) Injection device for powdered drugs and injection method for powdered drugs
RU2537134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опасности и сигнализации
KR20090059427A (ko) 이너트 가스를 이용한 캐비닛형 소화장치
KR101005253B1 (ko) 화재감지튜브 부착형 자동소화장치
JP2015037457A (ja) 泡消火設備
KR101289761B1 (ko) 자동 소화설비의 재충전 가능한 부취제 자동 분사장치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KR101289763B1 (ko)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RU195013U1 (ru) Многоразовое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модуля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ES1306299U (es) Dispositivo de extinción de incendios con nitrógeno líquido
KR20230154707A (ko) 가스 소화설비의 후각경보장치
WO2021080463A1 (ru) Многоразовое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модуля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